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12:24:25

영광군수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광양 나주 목포 순천 여수
정인화 윤병태 박홍률 노관규 정기명
강진 고흥 곡성 구례 담양
강진원 공영민 조상래 김순호 이병노
무안 보성 신안 영광 영암
김산 김철우 박우량 장세일 우승희
완도 장성 장흥 진도 함평
신우철 김한종 김성 김희수 이상익
해남 화순
명현관 구복규
* 영광군수 강종만 당선무효 (2024.5.17.)
* 곡성군수 이상철 당선무효 (2024.5.30.)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colcolor=#ffffff> 파일:영광군 CI_White.svg
'''전라남도 영광군수
全羅南道 靈光郡守
Mayor of Yeonggwang County
'''
파일:장세일0.jpg
현직 <colbgcolor=#ffffff,#1f2023>장세일 / 제52대 (민선 8기)
취임일 2024년 10월 17일
정당
파일:zsdkl3gasdg.svg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clearfix]

1. 개요

전라남도 영광군수전라남도 영광군을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영광읍 중앙로 203 (무령리)에 있는 영광군청이다. 3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

2. 상세

상세한 특징을 입력해주세요.

3. 명단

  • 국회의원, 시·도지사, 차관급 이상의 직을 역임한 구청장에게는 볼드체 표시함.
<rowcolor=#ffffff> 대수 성명 재임 기간 정부 및 당적[1] 기타
관선 전라남도 영광군수[?급]
초대 김영하 1946년 3월 9일 ~ 1946년 10월 30일
2대 이상락 1946년 10월 30일 ~ 1947년 10월 30일
3대 정명섭 1947년 10월 30일 ~ 1948년 5월 15일
4대 김영춘 1948년 5월 29일 ~ 1950년 5월 15일
5대 이인영 1950년 5월 15일 ~ 1950년 10월 22일
6대 차성태 1951년 3월 10일 ~ 1953년 1월 4일
7대 박형윤 1953년 1월 4일 ~ 1954년 3월 17일
8대 임기순 1954년 3월 17일 ~ 1955년 8월 4일
9대 김보균 1955년 8월 4일 ~ 1957년 4월 2일
10대 한창석 1957년 4월 2일 ~ 1957년 12월 18일
11대 정재수 1957년 12월 28일 ~ 1959년 8월 19일
12대 임기순 1959년 8월 19일 ~ 1960년 2월 8일
13대 조영선 1960년 2월 8일 ~ 1960년 5월 23일
14대 이해영 1960년 5월 23일 ~ 1960년 11월 25일
15대 임종영 1960년 11월 25일 ~ 1961년 6월 16일
16대 박형권 1961년 6월 16일 ~ 1961년 7월 15일
17대 원병한 1961년 7월 15일 ~ 1961년 10월 31일
18대 김남권 1961년 10월 31일 ~ 1962년 7월 24일
19대 김홍영 1962년 7월 24일 ~ 1963년 3월 5일
20대 김문수 1963년 3월 5일 ~ 1965년 8월 1일
21대 정상열 1965년 8월 1일 ~ 1968년 6월 15일
22대 유계홍 1968년 6월 15일 ~ 1969년 8월 1일
23대 김남섭 1969년 8월 1일 ~ 1970년 6월 20일
24대 전석홍 1970년 6월 20일 ~ 1972년 8월 10일
25대 이재로 1971년 8월 21일 ~ 1974년 1월 25일
26대 박남칠 1974년 1월 25일 ~ 1975년 9월 3일
27대 김세장 1975년 9월 3일 ~ 1975년 12월 31일
28대 임두일 1975년 12월 31일 ~ 1977년 2월 17일
29대 김재수 1977년 2월 17일 ~ 1978년 8월 2일
30대 오경석 1978년 8월 2일 ~ 1979년 10월 26일
31대 백주원 1979년 10월 26일 ~ 1980년 1월 31일
32대 이용기 1980년 2월 1일 ~ 1981년 12월 22일
33대 류희창 1981년 12월 23일 ~ 1982년 9월 11일
34대 심성식 1982년 9월 18일 ~ 1985년 3월 11일
35대 조항규 1985년 3월 11일 ~ 1986년 12월 24일
36대 장재필 1986년 12월 24일 ~ 1988년 1월 1일
37대 박준식 1988년 1월 1일 ~ 1989년 1월 12일
38대 서재관 1989년 1월 13일 ~ 1991년 1월 14일
39대 정병철 1991년 1월 14일 ~ 1993년 3월 29일
40대 서형환 1993년 3월 29일 ~ 1994년 5월 6일
41대 김홍식 1994년 5월 6일 ~ 1994년 12월 31일
42대 박래관 1995년 1월 1일 ~ 1995년 6월 30일
민선 전라남도 영광군수[?급]
43대 김봉열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44대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45대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6대 강종만 2006년 7월 1일 ~ 2008년 3월 12일

[[무소속(정치)|
무소속
]]
권한대행 신창섭 2008년 3월 12일 ~ 2008년 6월 4일 부군수
47대 정기호 2008년 6월 5일 ~ 2010년 6월 30일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48대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49대 김준성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무소속(정치)|
무소속
]]
50대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1대 강종만 2022년 7월 1일 ~ 2024년 5월 17일

[[무소속(정치)|
무소속
]]
권한대행 김정섭 2024년 5월 17일 ~ 2024년 10월 16일 부군수
52대 장세일 2024년 10월 17일 ~ 2026년 6월 30일(예정)
파일:zsdkl3gasdg.svg

4. 역대 선거 결과

파일:영광군 CI_White.svg 역대 전라남도 영광군수 선거 결과(민선)
1995 1998 2002 2006 2008 재보궐선거
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무소속
통합민주당
김봉열 강종만 정기호
2010 2014 2018 2022 2024 재보궐선거
민주당
무소속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더불어민주당
정기호 김준성 강종만 장세일

4.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영광군 CI(2002-2021).svg 영광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봉열(金奉烈) 15,886 1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39.53% 당선
2 강명룡(姜明龍) 4,868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2.11% 낙선
3 김기순(金氣順) 9,563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3.79% 낙선
4 김천식(金千植) 748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86% 낙선
5 조영표(趙榮杓) 9,12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2.69% 낙선
선거인 수 53,881 투표율
77.23%
투표 수 41,611
무효표 수 1,426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김봉열 1회 지선.jpg
파일:강명룡 1회 지선.jpg
파일:김기순 1회 지선.jpg
파일:김천식 1회 지선.jpg
파일:조영표 1회 지선.jpg
}}}}}}}}}

4.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영광군 CI(2002-2021).svg 영광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김봉열(金奉烈) 17,729 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46.35% 당선
4 김연관(金連官) 8,16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1.35% 낙선
5 조영표(曺泳杓) 12,348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2.28% 낙선
선거인 수 53,795 투표율
73.16%
투표 수 39,354
무효표 수 1,108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김봉열 2회 지선.jpg
파일:김연관 2회 지선.jpg
파일:조영표 2회 지선.jpg
}}}}}}}}}

4.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영광군 CI(2002-2021).svg 영광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김봉열(金奉烈) 12,616 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32.32% 당선
3 김규현(金奎現) 9,255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3.71% 낙선
4 장현(張顯) 12,26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1.43% 낙선
5 정흥수(鄭興秀) 4,886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2.52% 낙선
선거인 수 52,290 투표율
76.19%
투표 수 39,840
무효표 수 817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김봉열 3회 지선.jpg
파일:김규현 3회 지선.jpg
파일:장현 3회 지선.jpg
파일:정흥수 3회 지선.jpg
}}}}}}}}}

4.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영광군 CI(2002-2021).svg 영광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3 정기호(鄭基浩) 16,538 2위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48.13% 낙선
6 강종만(姜鍾晩) 17,816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1.86% 당선
선거인 수 48,577 투표율
74.75%
투표 수 36,310
무효표 수 1,956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정기호 4회 지선.jpg
파일:강종만_2006벽보.jpg
}}}}}}}}}

4.5. 2008년 재보궐선거

파일:영광군 CI(2002-2021).svg 영광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기호(鄭基浩) 12,491 1위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40.98% 당선
7 김규현(金奎鉉) 6,97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2.86% 낙선
8 김성환(金成宦) 사퇴


[[무소속(정치)|
무소속
]]
9 김연관(金聯關) 393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28% 낙선
10 김천식(金千植) 115 7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37% 낙선
11 장현(張顯) 7,933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6.02% 낙선
12 전태갑(全太甲) 617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2% 낙선
13 조기상(曺淇相) 사퇴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 최종걸(崔綜傑) 1,263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13% 낙선
선거인 수 - 투표율
64.6%
투표 수 -
무효표 수 -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정기호 2008 재보궐.jpg
파일:김규현 2008 재보궐.jpg
파일:김성환 2008 재보궐.jpg
파일:김연관 2008 재보궐.jpg
파일:김천식 2008 재보궐.jpg
파일:장현 2008 재보궐.jpg
파일:전태갑 2008 재보궐.jpg
파일:조기상 2008 재보궐.jpg
파일:최종걸 2008 재보궐.jpg
}}}}}}}}}

4.6.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영광군 CI(2002-2021).svg 영광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정기호(鄭基浩) 22,560 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73.26% 당선
7 김기열(金起烈) 8,231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6.73% 낙선
선거인 수 46,484 투표율
69.03%
투표 수 32,090
무효표 수 1,299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정기호 5회 지선.jpg
파일:김기열 5회 지선.jpg
}}}}}}}}}

4.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영광군 CI(2002-2021).svg 영광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정기호(鄭基浩) 15,903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45.27% 낙선
4 김준성(金準成) 19,222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4.72% 당선
선거인 수 47,906 투표율
75.16%
투표 수 36,007
무효표 수 882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정기호 6회 지선.jpg
파일:김준성 6회 지선.jpg
}}}}}}}}}

4.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영광군 CI(2002-2021).svg 영광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준성(金準成) 27,015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85.02% 당선
4 김연관(金連官) 4,758 2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14.97% 낙선
선거인 수 46,689 투표율
70.58%
투표 수 32,953
무효표 수 1,180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김준성 7회 지선.jpg
파일:김연관 7회 지선.jpg
}}}}}}}}}
김연관은 단 0.03%p의 차이로 선거 비용을 반절밖에 보전받지 못하게 되었다. 소숫점 첫째자리만 표시할 경우, 15%를 채웠다고 착각할 수 있기 때문에 둘째짜리까지 표시. 8표만 더 받았어도 선거 비용을 전부 보전받을 수 있었다.

4.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영광군 CI_White.svg 영광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준성(金準成) 15,022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8.87% 낙선
4 강종만(姜鍾晩) 15,715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1.12% 당선
선거인 수 45,299 투표율
70.24%
투표 수 31,822
무효표 수 1,085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김준성 8회 지선.jpg
파일:강종만_2022벽보.jpg
}}}}}}}}}

4.10. 2024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파일:영광군 CI_White.svg 영광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장세일(張世一) 12,951 1위

파일:zsdkl3gasdg.svg
41.08% 당선
3 장현(張顯) 8,373 3위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26.56% 낙선
5 이석하(李錫廈) 9,683 2위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30.72% 낙선
6 오기원(吳基遠) 512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62% 낙선
선거인 수 45,248 투표율
70.12%
투표 수 31,729
무효표 수 210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152484><bgcolor=#152484> 2024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영광군수 읍면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장세일 장현 이석하
득표수
(득표율)
12,951
(41.08%)
8,373
(26.56%)
9,683
(30.72%)
+3,268
(△10.36)
45,248
(70.12%)
영광읍[4] 40.64% 29.30% 28.77% △11.34 68.74
백수읍 35.12% 24.28% 38.80% ▼3.68 69.56
홍농읍 40.78% 30.31% 27.23% △10.47 65.61
대마면[5] 27.09% 12.22% 59.24% ▼32.15 78.45
묘량면 43.62% 20.54% 31.56% △12.06 73.20
불갑면 39.39% 30.49% 28.79% △8.90 75.53
군서면 44.04% 24.24% 29.89% △14.15 77.86
군남면 40.86% 27.26% 30.06% △10.80 70.93
염산면 45.10% 30.07% 23.18% △15.03 71.04
법성면 46.60% 19.53% 32.57% △14.03 70.16
낙월면 59.02% 22.13% 17.21% △36.89 55.13
후보 장세일 장현 이석하 격차
거소·선상투표 48.09% 25.14% 21.31% △22.95
관외사전투표 48.15% 12.96% 34.26% △13.89
당초 여론조사에서부터 3파전이 예상되었으며, 이 부분이 실제 투표에도 반영되며 재보선 치고는 이례적으로 매우 높은 70%대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그동안의 여론조사에서 세 후보가 모두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였고 선거 직전 여론조사에서 진보당 이석하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장세일 후보를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는 여론조사가 발표되기도 하였고, 극초반 개표 때는 이석하 후보의 고향인 대마면 표가 먼저 개표되며 앞서나갔지만 개표 10%대에서 장세일 후보에게 역전당했다. 결국 이변없이 장세일 후보가 40%를 넘게 득표하며 진보당 이석하 후보를 11%p 차로 제치고 낙승하였다.

조국혁신당은 조국 대표의 유세 등 공을 들였음에도 불구하고 장현 후보의 총학생회장 경력 허위기재 논란[6] 등으로 인해 여론조사 상에서 지지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민주당과 경쟁할 것이라는 여론조사가 무색하게 최종적으로 3위로 낙선하는 매우 충격적인 결과를 받아들여야 했다.

4.11.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영광군 CI_White.svg 영광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0

파일:zsdkl3gasdg.svg
00.00%
2 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00.00%
선거인 수 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

5. 역대 정당별 전적

6. 역대 군정 목표

<rowcolor=#ffffff> 군수 군정 구호
정기호 (민선 4·5기) 활기찬 경제 하나된 군민 참 좋은 영광
Glory 영광, 대한민국 1등 군 영광
김준성 (민선 6·7기) 군민과 함께하는 행복한 영광
강종만 (민선 8기) 위대한 영광 군민과 함께
장세일 (민선 8기) 함께 만드는 영광 같이 누리는 군민

7. 여담

8. 관련 문서


[1] 관선의 경우 임명 정부명 기재, 민선의 경우 당선 시 기준. 당적 변동 사항은 각주로 기재.[?급] [?급] ?급 대우.[4] 장세일 후보, 장현 후보의 고향[5] 이석하 후보의 고향[6] 사실 허위기재 자체도 논란이지만 실제 경력이 그 전두환 정부 시절 총학생회를 대신해 관변단체 노릇을 하던 자유호국단이란 게 치명적이었다. 호남권에서 전두환에 대한 이미지가 어떤지 생각해보면 이유를 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