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23:07:59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레드 데몬]]{{{#!if 문서명2 != null
, [[듀얼 드래곤]]}}}{{{#!if 문서명3 != null
, [[더블 튜닝]]}}}{{{#!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 관련 틀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염마룡 진화형 시리즈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 → 염마룡 레드 데몬 베리얼 → 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
}}}}}} || 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 <nopad> 고고한 절대 파괴신이여, 신역으로부터 내려와 종언을 가져와라! 孤高の絶対破壊神よ!神域より舞い降り終焉をもたらせ! 싱크로 소환! 「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 シンクロ召喚!「琰魔竜王レッド・デーモン・カラミティ」! -코믹스 유희왕 5D'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잭 아틀라스- 고고한 절대 파괴신이여, 신역에서 내려와 종언을 고하여라! 싱크로 소환! 「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 -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잭 아틀러스더빙판 -
유희왕 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한글판 명칭 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琰魔竜王, ruby=えんまりゅうおう)] レッド・デーモン・カラミティ 영어판 명칭 Hot Red Dragon Archfiend King Calamity 싱크로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12 어둠 드래곤족 4000 3500 튜너 2장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준다. 이 카드가 존재하는 한 전투 파괴를 무효로 할 수 없다.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 묘지의 "염마룡 레드 데몬 "을 특수 소환하고, 필드의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한다.
유희왕 5D's 코믹스 에 등장한 레드 데몬의 새로운 더블 튜닝 진화체. 원작에서 튜너였던 백 잭과 헬 겔, 그리고 베리알을 소재로 소환했다. 왕 몬스터 2장을 튜너로 써서 그런지 이 몬스터 이름도 염마룡왕 이 되었다.스카레드 노바 드래곤 처럼 공격력 상승 효과와 공격 무효 효과는 없지만, 기본적인 공격력은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보다 500이 더 높은 4000이라서 매우 높고,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 과 같은 번 효과에, 파괴 무효, 유언계 효과까지 가지고 있다.잭 아틀라스 가 본편에서 후도 유세이 를 뛰어넘는 강렬한 카오게이를 선보이며 싱크로 소환 , 진섬광룡 스타더스트 크로니클 을 파괴했다. 이후 효과를 발동해 파괴한 진섬광룡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유세이에게 주려 하지만 정크리보의 효과로 무효화되고 파괴된다. 두 번째 효과는 섬광룡 스타더스트 의 효과를 공략하기 위해 만들어진 효과로 보인다. 공격명은 '크림즌 앱솔루트 브레이크([ruby(真紅の絶対破壊, ruby=クリムゾン・アブソリュート・ブレイク)] / Crimson Absolute Break)'. 양손으로 깍지를 낀 후 힘껏 내려친다. 효과명은 '헬 캘러미티 메테오([ruby(地獄の災厄琰弾, ruby=ヘル・カラミティ・メテオ)] / Hell Calamity Meteor)'. 상당히 위력적이게 나온다. 염마룡 3단 진화체들의 이름을 영어 로 보면, 1번 어비스(Abyss) 는 A , 2번 배리얼(Burial) 은 B , 마지막 3번인 이 카드(Calamity)는 C 로 시작하는 수식어가 추가된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5년)
}}}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 일어판명칭=<ruby>琰魔竜王<rp>(</rp><rt>えんまりゅうおう</rt><rp>)</rp></ruby> レッド・デーモン・カラミティ, 영어판명칭=Hot Red Dragon Archfiend King Calamity, 속성=어둠, 레벨=12, 공격력=4000, 수비력=3500, 종족=드래곤족, 소재=튜너 2장 + 튜너 이외의 드래곤족 / 어둠 속성 싱크로 몬스터 1장,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의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이 턴에\, 상대는 필드에서 발동하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로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레벨 8 이하의 드래곤족 / 어둠 속성 싱크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
러시듀얼@ V점프 2015년 10월호 동봉 카드로 OCG화, 한국과 TCG권에서는
샤이닝 빅토리즈 에 수록됐다. 약칭은 '캘러미티' 또는 '캘러'.
①의 효과는 싱크로 소환됐을 때 그 턴 동안 상대가 필드에서 발동하는 효과를 발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유발 효과 . 이 효과의 발동에 대해 상대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상대가 필드에서 발동하는 모든 효과를 그 턴 동안 틀어막는데, 여기에 체인까지 불가능하다는 대단한 락이다. 피니셔로 등판해 승기를 굳히는 상황에서도 적합하지만, 상대 턴에 소환해 상대 전개를 봉쇄하는 것이 특히나 강력하다.
②의 효과는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 효과 데미지를 주는 강제 발동형
유발 효과 . 그냥 전투로 파괴만 하면 되기 때문에 묘지로 가지 않는
보옥수 및 펜듈럼 몬스터를 파괴하거나,
차원의 틈 ,
매크로 코스모스 가 깔려 있어도 발동한다.
③의 효과는 상대에 의해 파괴됐을 경우, 자신 묘지에서 레벨 8 이하의 드래곤족 / 어둠 속성 싱크로 몬스터 하나를 대상으로 해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 . 효과 무효가 빠진 대신 레벨 8 이하의 어둠 속성 /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이기만 하면 소환할 수 있도록 바뀌었다. 덕분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 대신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라이트 를 소생시켜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 ,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 ,
레드 데몬즈 드래곤 타이란트 같은 다른 진화체를 소환할 수 있다.
상술했듯 ①의 효과는 상대 턴에 발동할 수만 있다면 반 확정적으로 턴을 받아오는 파격적인 락이지만, 본래는 이 카드를 상대 턴에 싱크로 소환하는 것이 까다로웠기에 환경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이버스톰 액세스 에서
낙인의 에튀드 가 추가되자,
카오스 싱크로 에서
카오스 위치-혼돈의 마녀- 로 만들어진 튜너 토큰 둘과
혼돈마룡 카오스 룰러 를 소재로 해 캘러미티를 상대 턴에 싱크로 소환한다는 전략을 선보였다. 거기다 다른 레벨 12 싱크로 몬스터만 있으면 캘러미티를 상대 턴에 싱크로 소환 취급으로 꺼내는
붉은 용 이
듀얼리스트 넥서스 에서 등장하며 이 전략을 본격적으로 유행시켰다. 끝내 12기 환경에서
마나둠 ,
센츄리온 등 대부분의 싱크로 전개 덱의 목표는 붉은 용으로 캘러미티를 상대 턴에 뽑는 것으로 획일화 되었다. 그 결과 OCG에서
2024년 1월 금지 카드가 되었다. TCG에선 큰 성적을 내지 못해서인지 다소 늦은
2024년 9월 에
금지 카드가 되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에선 초중무사가 지속적으로 캘러미티를 중심으로 빌드를 강화한 결과 2024년 3월 듀얼리스트 컵에서 굉장히 뛰어난 성과를 보였고, 초중무사의 금제 이후에도 호루스 엔진을 채용한
나츄르 가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붉은용 캘러미티를 사용해 결국
2024년 6월 금지 되었다.
사실
레드 데몬 레조네이터 의 컨셉을 감안했을 때, 이 카드는 상대 턴에 소환해 락을 거는 게 아니라 자신 턴에 소환해 상대 견제를 차단하고 게임을 끝내는 피니셔로 설계됐을 것이다. 하지만 레드 데몬의 견제 수단 부족 문제로 인해 그나마 유용한 락 효과를 가진 이 카드의 효율이 레드 데몬에서는 제대로 나오지 못하는데다가, 메타의 변화로 인해 피니셔의 기준치가
액세스코드 토커 ,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정도로 아득히 올라갔다. 그러다 보니 캘러미티로 락을 거는 사용법은 본 카드의 소속 테마인 레드 데몬 레조네이터에서는 굉장히 불편하다. 레드 데몬 덱은 상대 턴에 싱크로 소환을 할 수단이 기믹 내 서치가 불가능한
싱크로 콜 이나
버닝 소울 정도밖에 없어, 어떻게든 레드 데몬 덱에서 활용하려면 비스테드와 낙인의 에튀드를 섞는 수밖에 없다.
싱크로 몬스터 중 최초로 턴 락 효과를 가졌는데,
No.16 쇼크 마스터 ,
No.86 H-C 론고미언트 ,
외신 아자토트 ,
SNo.0 호프 제알 ,
진룡황 V.F.D. 등 턴 락 효과를 가진 다른 몬스터들을 따라 이 카드 또한 금지의 전철을 밟았다. 또한 금지 카드 소식을 들은
잭 아틀라스 의
성우 인
호시노 타카노리 는 "カラミティ!オマエ!!!(캘러미티! 너!!!)"라며 충격을 받은 듯한
트윗 을 남겼다. 이후 마듀에서도 금지를 먹으며 유희왕 전용 계정에서 다시금 드디어 마스터 듀얼에서도 금지가 되는 건가라면서 아쉬움 섞인
트윗 을 남기기도 했다.
여담이지만
하이스피드 라이더즈 에서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 ,
염마룡 레드 데몬 베리얼 이
슈퍼 레어 로 나와서
시크릿 레어 는 이 카드가 차지할까 싶었지만, 정작 이 카드는 V점프 동봉으로 나오고 시크릿은 한참 위상이 낮은
레드 와이반 이 차지했다. 한국 정발은 그로부터 꽤 시간이 지난
샤이닝 빅토리즈 였고, 레어도가 난데없이
레어 로 강등되었다. 염마룡의 최종 진화라는 대단한 위상과 막강한 능력에 비해 낮은 레어도가 된 카드의 대표적인 예시로 통하고 있다.
2.2.1. 튜너 이외의 드래곤족 / 어둠 속성 싱크로 몬스터 일람 수록 시리즈 2015-08-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JMP-JP107 | Vジャンプ 2015年 10月号 付録カード 2016-11-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LE-JP039 | ディメンションボックス -リミテッド・エディション- 2023-06-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46-JPP03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王者の鼓動- 天地鳴動パック 2016-05-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HVI-EN097 | SHINING VICTORIES 2019-04-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PO-EN059 | DUEL POWER 2021-11-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GED-EN070 | MAXIMUM GOLD: EL DORADO 2023-09-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CK-EN047 | STRUCTURE DECK: THE CRIMSON KING 2016-05-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HVI-KR083 | 샤이닝 빅토리즈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LE-KR039 | 디멘션 세트 2023-09-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46-KRP03 | 스트럭처 덱 왕자의 고동 천지명동 팩
3.1. 캘러미티 재테크유희왕 마스터 듀얼 에서 이 카드는 게임 서비스 개시부터 오랜 시간 동안 무제한이었으나,
붉은 용 이 발매되며 붉은 용과의 콤보가 발견된 이후 마스터 듀얼 유저들도 '붉은 용이 발매되는 순간 캘러미티는 시한부 카드가 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런데 이 카드가 나오는 시크릿 팩 '사나운 홍련마룡'은 UR 카드가 캘러미티를 포함해 단
5장 뿐이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시크릿 팩보다 캘러미티가 나올 확률이 높아 일반 캘러미티가 나와도 원하는 UR 교환권을 뽑은 것이니 손해가 아니고, 샤인이라 로얄 가공 캘러미티를 뽑으면 이득을 본 것이라는 주장이
유희왕 마스터듀얼 마이너 갤러리 에서 나오며 너나 할 것 없이 캘러미티를 뽑기 위해 시크릿 팩을 뽑기 시작했다.
여기에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가 범용인 것까지 한 몫을 했다. 이 때문에 마스터 듀얼에서는 실전성과 별개로 '캘테크'(캘러미티+재테크), '캘바오'(캘러미티+
푸바오 ) 등으로 불리며 컬트적인 인기를 끌었다.
4. 관련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