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전대 마스크맨 멤버 & 등장 전사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레드 마스크 타케루/강영준 |
| 블랙 마스크 켄타/오민수 | |
| 블루 마스크 아키라/박태환 | |
| 옐로 마스크 하루카/김경아 | |
| 핑크 마스크 모모코/이은진 | |
| X1 마스크 아스카 료/준호 |
}}}}}} ||
| <colbgcolor=#50c878,#50c878><colcolor=#fff,#fff> | |
| 이름 | <colbgcolor=#fff,#191919> [ruby(飛鳥, ruby=あすか)] リョオ |
| 현지화명 | 준호 |
| 성별 | 남성 |
| 소속 | 없음 |
| 주요 출연작 | 광전대 마스크맨 |
| 인물 유형 | 단역, 조력자, 히어로 |
| 변신체 | X1 마스크 |
| 첫 등장 & 마지막 등장 | 부활! 수수께끼의 X1 마스크 (광전대 마스크맨 에피소드 39) |
| 배우 | 시바야 히데키(柴谷 英樹)[1] |
| 한국판 성우 | 노민[2] |
| 슈트 액터 | 오오후지 나오키[3] |
1. 개요
X1 마스크!
소개 대사
소개 대사
광전대 마스크맨의 등장인물.
2. 작중 행적
2.1. 마스크맨
슈퍼전대 시리즈 최초의 번외전사이며, 39화에만 나왔다.무도의 달인으로, 스가타 산쥬로 장관에게 발탁되어 마스크맨의 프로토 타입인 녹색 전사 'X1 마스크'[4]가 된다. 하지만 연인이었던 유코가 그의 눈 앞에서 츄브에게 살해당하자 "내가 마스크맨이 되었기 때문에 유코가 휘말렸다", "한 명의 여자도 구하지 못한 나 따위가 지구를 구할 수 있을 리가 없다"는 자책감을 못 견디고 모습을 감춘다.
이후 마그마 도그라에 고전하는 마스크맨 앞에 나타나 그들이 후퇴할 시간을 벌어주었다. 그럼에도 다시 싸울 마음이 돌아온 것은 아니었기에 마스크맨과 함께 싸우는 것은 거부했으나, 언제까지고 과거에 매달려서는 안 된다는 타케루의 설득에 마음이 움직여 다시금 싸우기로 결심한다. 마스크맨과는 달리 마스킹 브레스의 힘으로 변신을 하는데, 마그마 도그라와의 두 번째 전투에서 마스크맨들을 구하려다 마스킹 브레스가 파괴된다. 신체적인 부상, 후유증이 생긴 것은 아니었으나 변신 능력을 상실했는데, 이에 잘 됐다며 홀가분해하는 모습을 보였고, 앞으로는 아이들에게 무도를 가르치는 삶을 살기로 결심한다.
3. X1 마스크
| |
체인지 파워![5]
변신 구호
변신 구호
료가 변신한 모습으로, 변신기는 따로 없다. 오라파워를 수도(手刀)로 휘둘러 발사하는 투척 기술이 전반이다.
- 가스 버클 : 허리띠 중앙에서 발사되는 연막을 뿌린다.
- 번개 공격 : 오라로 전기 볼트를 만들어 적을 공격한다.
4. 기타
- 비록 1회성이지만 슈퍼전대 시리즈의 6번째 신전사 개념의 효시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6] 특히, 초창기 신전사 색상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블랙&그린 중 기본멤버에 없던 배색으로 나온다는 기본을 이 때부터 깔았다는 점에서 재미있는 캐릭터.
- 디자인적으로 배틀피버 J를 닮았는데 이것이 의도적으로 '마스크맨의 프로토타입'이라는 설정에 맞추어 고전전대의 디자인을 차용한 것이라면 재미있는 이스터 에그라고 할 수도. 그러다보니 현역 마스크맨들과는 외관상 이질감이 크다. 이후의 시리즈에서는 '힘의 기원이 같으면 슈트 디자인도 비슷하다'는 관행이 정착되었다.
- 초창기 작품들 이후로 슈트에서 제거된 머플러를 착용한 점이 특징인데, 마스크맨 초기 제작 단계 때의 슈트 디자인이 1회성으로 쓰였다.
5. 같이 보기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bgcolor=white,#191919> 마스크맨 |
| 타케루 - 켄타 - 아키라 - 하루카 - 모모코 | |
| 조력자 | |
| 스가타 산쥬로 - 아스카 료 - 이아루 공주 | }}}}}}}}} |
| 슈퍼전대 시리즈의 그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1대 | 2대 | 4대 | 8대 | 10대 |
| 아스카 켄지 | 다이치 분타 | 미도리카와 타츠야 | 타카스기 신고 | 다이 (라이) | |
| 11대 | 12대 | 16대 | 17대 | 19대 | |
| 아스카 료 (준호)[B] | 아이카와 쥰이치 (이은호)[A] | 브라이[A] | 천환성 다이고 | 요카이치 쇼헤이 | |
| 20대 | 22대 | 23대 | 24대 | 26대 | |
| 우에스기 미노루 | 하야테 | 타츠미 쇼 | 시온 | 슈리켄저[A] 텐카이[B] | |
| 28대 | 29대 | 31대 | 32대 | 33대 | |
| 에나리 센이치 (셰인) | 오즈 마키토 (오즈 유진) | 메레○[B] | 죠 한토 (죠) | 타니 치아키 | |
| 34대 | 35대 | 36대 | 37대 | 38대 | |
| 마지스[B] | 돈 도고이어 | 도묘지 아츠시 (레스)[B] | 릿푸칸 소우지 (소지후) 릿푸칸 소우지로 (소진우)[B] | 히카리 (꾹이) | |
| 39대 | 40대 | 41대 | 42대 | 43대 | |
| 코코노에 루나 (배루나)○[B] | 터스크 | 하미○ | 히카와 사쿠야 (이윤슬) 시노노메 사토루 (민재하)[B] | 토와 (유노) 마스터 그린[B] | |
| 44대 | 49대 | ||||
| 하야미 세나○ | 타케하라 킨지로 | ||||
| 번외 | |||||
| 다이노포스 브레이브 | |||||
| <colbgcolor=#ffffff,#191919> 이푸른 | |||||
| [A]: 신전사, [B]: 번외전사, ○:여성 전사 | |||||
| 레드 · 블루 · 옐로 · 그린 · 블랙 · 핑크 골드 · 실버 · 화이트 · 바이올렛 · 오렌지 · 기타 색상 | }}}}}}}}} | ||||
[1] 생년월일은 1960년 11월 21일. 현재는 아즈마 신지(東 真司)라는 예명으로 활동하고 있다.[2] 국내에 수입된 대영팬더판 슈퍼전대 시리즈를 통틀어서 노민 성우가 유일하게 맡은 전대 멤버 배역이다. 물론 아스카 료를 공식적인 여섯번째 전사로 인정할 경우의 이야기지만.[3] 大藤直樹. 본 배역이 슈트 액터 데뷔역이다.[4] X1 마스크의 디자인은 마스크맨 초기 디자인 중에 하나를 사용한 것. 초기 디자인은 배틀피버 J와 비슷한 디자인이였다.[5] 마스크맨의 변신 구호는 '오라 마스크'이다.[6]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사령관, 전사로 활동한 잭커 전격대의 빅 원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