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5:13:29

스트라제스

파일:에픽세븐 로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영웅
파일:에픽 전사.png 파일:에픽 기사.png 파일:에픽 도적.png 파일:에픽 사수.png 파일:에픽 마도사.png 파일:에픽 정령사.png
전사 기사 도적 사수 마도사 정령사
아티팩트
파일:에픽 전사.png 파일:에픽 기사.png 파일:에픽 도적.png 파일:에픽 사수.png 파일:에픽 마도사.png 파일:에픽 정령사.png
전사 5성 기사 5성 도적 5성 사수 5성 마도사 5성 정령사 5성
공용 5성 전용 4성 공용 4성 3성 1~2성
스토리
메인스토리 서브스토리
월광 극장 평판 스토리 세계관 설정
게임 요소
시스템 이벤트 장비
재화 성역 업적
신수
전투
기사단 출정 시련의 전당 미궁
오토마톤 타워 토벌&제단 원정대
기타
평가 및 문제점 사건 사고 템플릿(영웅 | 아티팩트)
}}}}}}}}} ||

파일:에픽 전사.png
에픽세븐 전사 영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5 영웅
파일:epic7_라비_ptr.png파일:epic7_화란의_라비_ptr.png파일:epic7_라이아_ptr.png파일:epic7_레테_ptr.png파일:epic7_렘_ptr.png파일:epic7_루나_ptr.png파일:epic7_리무루_ptr.png파일:epic7_릴리벳_ptr.png
라비화란의 라비라이아레테루나리무루릴리벳
파일:epic7_디자이너_릴리벳_ptr.png파일:epic7_뮤이_ptr.png파일:epic7_베니마루_ptr.png파일:epic7_불사형 오공_ptr.png파일:epic7_샤르티아_ptr.png파일:epic7_세크레트_ptr.png파일:epic7_솔_ptr.png파일:epic7_슈_ptr.png
디자이너 릴리벳뮤이베니마루불사형 오공샤르티아세크레트
파일:epic7_도시의 그림자 슈_ptr.png파일:epic7_스트라제스_ptr.png파일:epic7_심판자_키세_ptr.png파일:epic7_아룬카_ptr.png파일:epic7_아비게일_ptr.png파일:epic7_알렌시아_ptr.png파일:epic7_어둠의_코르부스_ptr.png파일:epic7_어린_여왕_샬롯_ptr.png
도시의 그림자 슈스트라제스심판자 키세아룬카아비게일알렌시아어둠의 코르부스어린 여왕 샬롯
파일:epic7_에드워드_엘릭_ptr.png파일:epic7_유피네_ptr.png파일:epic7_바캉스_유피네_ptr.png파일:epic7_일편고월 벨로나_ptr.png파일:epic7_자하크_ptr.png파일:epic7_잭_오_ptr.png파일:epic7_조율자_카웨릭_ptr.png파일:epic7_지배자_릴리아스_ptr.png
에드워드 엘릭유피네바캉스 유피네일편고월 벨로나자하크잭 오조율자 카웨릭지배자 릴리아스
파일:epic7_체르미아_ptr.png파일:epic7_사자왕_체르미아_ptr.png파일:epic7_케인_ptr.png파일:epic7_켄_ptr.png파일:epic7_무투가_켄_ptr.png파일:epic7_클로에_ptr.png파일:epic7_태유_ptr.png파일:epic7_화영_ptr.png
체르미아사자왕 체르미아케인무투가 켄클로에태유화영
파일:epic7_고독한 늑대 페이라_ptr.png파일:epic7_방관자 화영_ptr.png
고독한 늑대 페이라방관자 화영
★4 영웅
파일:epic7_대족장_카와나_ptr.png파일:epic7_딩고_ptr.png파일:epic7_배드캣_아밍_ptr.png파일:epic7_여일의_디에리아_ptr.png파일:epic7_카르투하_ptr.png파일:epic7_암살자_카르투하_ptr.png파일:epic7_카와주_ptr.png파일:epic7_광염의_카와주_ptr.png
대족장 카와나딩고배드캣 아밍여일의 디에리아카르투하암살자 카르투하카와주광염의 카와주
파일:epic7_코르부스_ptr.png파일:epic7_클라릿사_ptr.png파일:epic7_고양이_클라릿사_ptr.png파일:epic7_퍼지스_ptr.png파일:epic7_대장_퍼지스_ptr.png
코르부스클라릿사고양이 클라릿사퍼지스대장 퍼지스
★3 영웅
파일:epic7_군터_ptr.png파일:epic7_디에리아_ptr.png파일:epic7_레나_ptr.png파일:epic7_로리나_ptr.png파일:epic7_리코리스_ptr.png파일:epic7_멜라니_ptr.png파일:epic7_무카차_ptr.png파일:epic7_바터스_ptr.png
군터디에리아레나로리나리코리스멜라니무카차바터스
파일:epic7_아미키_ptr.png파일:epic7_아젤리아_ptr.png파일:epic7_에노트_ptr.png파일:epic7_에인즈_ptr.png파일:epic7_일리오스교_도끼병_ptr.png파일:epic7_자누타_ptr.png파일:epic7_쥬니_ptr.png파일:epic7_카밀라_ptr.png
아미키아젤리아에노트에인즈일리오스교 도끼병자누타쥬니카밀라
파일:epic7_타라노르_근위부대원_ptr.png파일:epic7_탈라즈_ptr.png파일:epic7_페닐라_ptr.png파일:epic7_헬가_ptr.png
타라노르 근위부대원탈라즈페닐라헬가
전직 영웅
파일:epic7_선봉대장_리코리스_ptr.png파일:epic7_자유로운_용병_헬가_ptr.png파일:epic7_전승의 아미키_ptr.webp파일:epic7_지휘관_로리나_ptr.png파일:epic7_카오스교_도끼_대장군_ptr.png
선봉대장 리코리스자유로운 용병 헬가전승의 아미키지휘관 로리나카오스교 도끼 대장군
}}}}}}}}} ||
스트라제스
Straze
ストラゼス
史瑞杰思
파일:0d5829d6033249b7a1ac91effcf9b802_1588063706.png
에피소드 2 이전 ▼
파일:에픽 스트라제스 에피소드 2 이전.webp
영웅 소개

레코스 세계를 파멸시킨 칠흑의 군주

속성 파일:에픽 어둠속성.png
어둠 속성
직업 파일:에픽 전사.png
전사
별자리 파일:에픽 금우궁.png
금우궁
파일:에픽 지휘.png
지휘
97 파일:에픽 매력.png
매력
33 파일:에픽 정치.png
정치
88
정보
태생 등급 ☆5 본명 스트라제스
소속 대적자 설정분류 [별의 계보]
대적자
C.V. 곽윤상(한)/야스모토 히로키(일)/크리스핀 프리먼(영)
출시 형식 신비소환 출시일 2021/07/08
각인해방 파일:각인해방-전체.png 각인집중 파일:각인집중.png
공격력% 증가 공격력% 증가
각인 공유 영웅
- - 파일:epic7_스트라제스_ptr.png -
- - 스트라제스 -
성약 전직 월광 이벤트
특기
불멸성의 종말
그의 의도와 관계없이, 무한의 존재에게서 한계를 발견하여 파멸에 이르게 합니다.
적용 유형 추적 특기 효과 보상 보너스 +10%
프로필
다크 네뷸라의 사악한 신 파스투스의 유혹에 빠져 자신이 섬기는 신을 죽이고 레코스 세계의 멸망을 불러온, 타락한 성기사. 외우주의 강력한 마물 군단을 거느리고 오르비스 세계를 침공해온다.
영웅 관계도
기본
라스 파일:에픽 관계도 라이벌.png 쇠락해 가는 어떤 여신의 대리자이며, 이제는 의미가 사라진 약속.
루루카 파일:에픽 관계도 우호.png 그녀의 순수한 열정도 나약한 신을 지켜내지는 못했다.
릴리벳 파일:에픽 관계도 우호.png 두 개로 나뉜 가위는 그녀의 양면성을 상징하겠지.
카웨릭 파일:에픽 관계도 우호.png 운명을 증오하는 그의 냉소는 내가 지나간 길을 떠올리게 한다.
능력치
<colbgcolor=#c3e1e6,#19373c> 레벨 Lv.15성0각성 Lv.505성5각성 Lv.60 6성6각성
전투력 1406 13624 17106
공격력 99 984 1228
생명력 322 4607 5784
속도 109
방어력 68 446 553
치명확률 15.0% 23.0%
치명피해 150.0%
협공확률 3.0%
효과적중 0%
효과저항 0%

1. 개요2. 배경 스토리3. 작중 행적
3.1. 반인반룡의 용기사3.2. 특무대 팬텀3.3. 에피소드 23.4. 에피소드 3
4. 성능
4.1. 스킬4.2. 평가4.3. 시너지 영웅4.4. 카운터 영웅
5. 추천 아티팩트6. 상하향 내역7. 대사8. 기타

[clearfix]

1. 개요

황혼의 시간이 찾아오면, 잔혹한 운명의 굴레를 벗어나리라.
모바일 게임 에픽세븐의 5성 전사 영웅 스트라제스.

2. 배경 스토리

언노운 군단을 이끌고 오르비스 세계를 침공한 칠흑의 검사. 그는 레코스 행성의 최고신을 섬기기로 맹세한, 촉망받는 젊은 성기사였다.

하지만 왕가의 피가 흐르지 않는 출신으로 인해 모함과 차별을 받게 되고 시공간의 균열 넘어로 그의 정신적 갈등을 감지하고 접근한 다크 네뷸라의 상위 신 파스투스에게 현혹당한다. 파스투스는 '누구보다 빛나고 뛰어난 자'라고 칭하여 그의 자만심을 키우면서, 모든 것을 깨고 힘을 차지하라고 선동한다.

유혹에 넘어간 스트라제스는 자신을 따르는 휘하의 기사들을 끌고 성도로 돌아와 방어군을 격파하고 카오스 게이트보다 더 강력한 힘을 가진 소환문을 열어 파스투스를 불러들이고 자신이 섬기던 레코스 신을 살해한다.

그렇게 스트라제스는 신을 죽인 자가 되었다.

3. 작중 행적

3.1. 반인반룡의 용기사

갑자기 에우레카 대륙에 나타나 폴리티아를 멸망시키고 '그것'의 봉인을 푼 뒤 윈텐베르크로 이동했다. 선발대로 먼저 간 루나, 세실리아, 로제, 네무나스를 압도하지만 윈텐베르크 최강의 용기사인 여왕 프란체스카와 한 나절에 걸친 결투를 벌였음에도 승부를 가리지 못하고 큰 부상을 입은 채 물러났다.

3.2. 특무대 팬텀

디기터스의 입으로 폴리티아의 1/4을 날려버리고 레펀도스와 윈텐베르크의 지원군도 격파했다고 언급된다. 암살자 카르투하주시자 슈리는 그가 군단을 이끌고 수많은 세계를 파괴했다고 말했다.

이후 리타니아의 실바람 평원에 나타나 특무대 팬텀과 방패기사단과 교전했다. 스트라제스는 팬텀 최강인 벨로나도 이길 수 없을 정도로 강했지만 막 이 세계로 넘어오느라 힘을 많이 소모한 상태였기에 결판을 내지 않고 물러났다.

3.3. 에피소드 2

에픽세븐 대적자 영웅
{{{#!wiki style="margin: 0px -11px; margin-bottom: -2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margin-bottom: -11px;"
에피소드 1
성약의 계승자
에피소드 2
신을 죽인 자
에피소드 3
설원에 울리는 찬가
에피소드 4
개벽의 장
에피소드 5
영원의 그림자
파일:epic7_마신의_그림자_ptr.png 파일:epic7_스트라제스_ptr.png 파일:epic7_벨리안_ptr.png 파일:epic7_지오_ptr.png 파일:epic7_하르세티_ptr.png
마신의 그림자 스트라제스 벨리안 지오 하르세티
}}}}}}}}} ||

시도니아로 넘어간 스트라제스는 압도적인 힘으로 각 도시국가의 시티로드들을 굴복시켰다. 용맹한 전사들을 한꺼번에 몰살시키는 그의 힘에 모두 무릎꿇을 수밖에 없었고, 퍼랜드의 릴리아스 퍼루티아는 자신의 야심을 위해 먼저 스트라제스에 접근했다. 스트라제스는 언노운의 침입을 막는 장치라고 속여 각 도시에 혜성의 눈동자를 세우고, 공간의 균열을 만들어 파스투스를 완전히 불러오려고 했다. 라스가 이 사실을 파악하고 각 도시를 돌아다니며 시티로드의 협력을 얻는 등 분전했지만, 스트라제스는 자신을 공격하는 라스와 아킨군을 단칼에 궤멸시켜버렸다. 그리고 마지막 제물로 신성이 깃든 라스의 피를 가져가 계획에 박차를 가했다.

이후 라스의 활약과 리타니아에서 온 연합군들 때문에 릴리아스 정권이 무너지고 모든 국가들이 자신을 적대하게 되었지만 스트라제스는 전혀 신경쓰지 않았다. 왜냐하면 전투가 격렬해져 더 많은 피를 흘릴수록 공간의 균열은 확대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라스가 이를 깨닫고 연합군을 뒤로 물린 뒤, 자신을 비롯한 소수 병력으로 스트라제스를 쳤다. 파스투스의 꼭두각시로 파괴와 악행을 거듭하던 자신에 회의가 있던 스트라제스는 라스에게 패배하고, 그의 손에 죽으려 하지만 이미 그의 몸은 신의 그릇으로 완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죽지 못하고 파스투스에게 몸을 빼앗겼다.
파일:에픽 불완전한 파스투스.png

불완전한 파스투스는 라스 일행을 환상에 빠뜨려 시간을 끌고, 그동안 완전히 지상에 강림하려 했다. 라스 일행이 깨어나 공격을 가하지만 다크 네뷸라 중에서도 고위 신에 속하는 파스투스는 자신 이상의 신성을 가진 자 아니면 자신을 쓰러뜨릴 정도로 강력한 필멸자가 아니면 쓰러뜨릴 수 없었다. 하지만 라스는 혜성의 신전에서 들은 예언에서 힌트를 얻어, 완전히 신성을 포기하여 파스투스를 처치하는 데 성공했다.
파일:에픽 스트라제스 결말.png

라스가 파스투스를 처치하자 스트라제스는 로앤나와 함께 오르비스에서 멀리 떨어진 어느 세계로 전이되었다. 그는 기억을 잃고 소년의 모습이 되었으며, 로앤나와 함께 어디론가로 떠나게 된다.

3.4. 에피소드 3

챕터 10에서 잠시 언급된다. 스트라제스의 강대한 힘에 굴복한 벨리안은 에너지 수집용으로 쓰던 혜성의 눈동자를 순순히 넘겨주었고, 에너지 수급을 위해 사도 티위그가 형상화한 붉은 돌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4. 성능

4.1. 스킬

파일:스트라제스 스킬1.jpg 강렬한 검격
기본 공격 - - 소울 1 획득
스킬 효과 검을 휘둘러 적을 공격하고 자신의 행동게이지를 20% 증가시킵니다.
스킬 계수 공격력*1(1.3)
스킬 강화
+1 피해량 5% 증가
+2 피해량 5% 증가
+3 피해량 5% 증가
+4 피해량 5% 증가
+5 피해량 10% 증가


파일:스트라제스 스킬2.jpg 파멸의 시선
액티브 - - 소울 2 획득
스킬 효과 파동으로 적 전체를 공격하고 강화 효과를 2개 해제합니다.
자신보다 공격력이 낮은 대상의 효과 저항을 무시합니다.
적 대상이 3인 이하일 경우, 대상이 적을수록 피해량이 증가합니다.
스킬 계수 공격력*0.9(1.17)
적 3명: 1.08(1.404)
적 2명: 1.26(1.638)
적 1명: 1.44(1.872)
소울번 효과 해당 스킬 쿨타임이 2턴 감소합니다. 소울 10 소모
스킬 강화
+1 피해량 5% 증가
+2 피해량 5% 증가
+3 피해량 5% 증가
+4 피해량 5% 증가
+5 피해량 10% 증가


파일:스트라제스 스킬3.jpg 별의 소멸
액티브 쿨타임: 6턴(5턴) - 소울 3 획득
스킬 효과 검으로 적 전체를 공격합니다. 최대 생명력이 가장 높은 대상의 방어력을 30% 관통합니다. 자신의 공격력이 관통 대상의 공격력보다 높을 수록 관통량이 증가하며 최대 100%까지 증가합니다.
각성 후 검으로 적 전체를 공격합니다. 최대 생명력이 가장 높은 대상의 방어력을 30% 관통합니다. 자신의 공격력이 관통 대상의 공격력보다 높을 수록 관통량이 증가하며 최대 100%까지 증가합니다. 자신에게 1턴 간 무적을 발생시킵니다.
스킬 계수 공격력*0.95(1.235)
방어력 관통: 30% + 공격력 차이*0.03
공격력 차이가 2333보다 클 경우 방어력을 100% 관통
스킬 강화
+1 피해량 5% 증가
+2 피해량 5% 증가
+3 쿨타임 1턴 감소
+4 피해량 10% 증가
+5 피해량 10% 증가
스킬 애니메이션
파일:b11575c1092247cb92b5f8b6fe61a577_1582282868.gif

4.2. 평가

탱커분쇄기. 자신과 가장 체력이 높은 상대방의 공격력 차이만큼 3스킬의 방어력 관통 퍼센트가 늘어난다. 대부분의 탱커 캐릭터는 공격력을 챙기지 않으므로 웬만해서는 방관 100프로로 적을 시원하게 갈아버릴 수 있다. 방관 100% 되는 공격력 차이의 기준은 2333으로, 셰나 같은 캐릭터가 아닌 이상 어지간한 탱커는 전부 해당된다.

아레나에서는 보통 공덱으로 애용된다. 보통 작정하고 누운 상대를 친히 반으로 갈라주기 위해 쓰이는 픽. 방덱에서 쓰자니 속덱한테 쓸려나가기 딱 좋은지라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실레나에서 사용하는 경우 스트라제스가 나온 이상 상대는 기를 쓰고 스트라제스의 공격을 막을 것이므로 스트라제스를 쓴다면 기본적으로 스트라제스의 공격력, 속도를 일정 수준 이상 챙겨줘야 하고 스트라제스 단독으로는 속도 싸움에서 질 확률이 높은만큼 행동게이지를 늘려줄 캐릭터가 필요하다. 보통은 에밀리아, 아미드 같은 행게증+공증이 있는 정령사로 끌어주는 경우가 많다.

전생슬 콜라보가 복각되며 출시된 전사 아티인 베니마루의 도가 매 턴 공증을 부여해주기 때문에 딜을 조금 낮춘 대신 속도를 올려 발사대 없이도 단독 행동이 가능한 세팅도 쓰이기 시작했다. 다만 아티팩트가 한정인데다가 30강이 아니면 공증 확률이 100%가 아니기 때문에 세팅 비용이 매우 비싸다는게 단점이며 픽업을 돌리지 못했으면 맞출 수조차 없다.

PVP에서도 탱커 분쇄기로 인기가 높지만 워낙 데미지가 막강하다보니 PVE컨텐츠에서도 애용받는 영웅이다. 방어력 관통데미지를 이용해 주슈리와 함께 토벌 원턴킬 덱의 메인 딜러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스트라제스가 있으면 면역 토벌 원턴킬덱 스펙 요구컷이 엄청나게 낮아지기 때문에 픽업때 토벌 원턴용 스트라제스 2호기를 뽑는 과금러들도 있었을 정도이다. 특히 모든 옵션이 극한으로 딜에 박힌 격류 세트를 여섯 부위 전부 착용하면 이론상 모든 토벌 보스를 원펀내버릴 수 있다.

4.3. 시너지 영웅

  • 엘페르트 : 선턴잡이 세팅을 한 엘페르트와 속딜러 세팅의 스트라제스 조합은 굉장히 강력하다. 엘페르트 스킬이 타격형 해제 + 방깎 + 공증 스킬이기 때문에 구레나 혹은 기사단전에서는 엘펠 3-2스 콤보를 폴리 같은 유닛에 넣으면 스트라제스 3스 한방으로 탱커 포함 2명을 짜르고 시작할 수 있다. 선턴 죄젤과 달리 폴리티스에 카운터 당하지 않는다는 점도 플러스 요인. 엘페르트 바로 뒤에 스트라제스가 와야 하므로 스트라제스 속도를 적어도 240-250대는 맞춰야 한다는게 단점이지만, 제대로 세팅이 되면 웬만한 방덱은 몽땅 갈아버릴수 있다.
  • 에밀리아 : 2스 한번에 행동게이지 증가, 공격력 증가, 약화해제까지 깔끔한 케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완벽한 3스 한방덱이 구성된다. 무엇보다 약화해제 덕분에 선턴을 뺏겨 디버프가 묻어 있어도 만회가 가능하다는 점이 포인트. 다만 폴리티스의 토템 성능에 다소 찔린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실레나라면 밴으로 피해가는 것도 좋은 편.
  • 플랑 : 2스 한번에 행동게이지 증가 , 공격력 증가 , 치명 데미지 증가라는 이득을 취할 수 있어 이 것 또한 3스 한방덱을 기대할 수 있다.
  • 종결자 찰스 : 환상의 듀오. 공버프를 받은 스트라제스는 말그대로 별을 삭제할 만큼의 파괴력을 가지고 있지만, 제 아무리 딜이 강력하더라도 자체 속도가 낮은 스트라제스로서는 딜을 뿜내기전에 적의 견제를 맞고 퇴장할 확률이 높다. 그래서 행동게이지 증가등 턴을 확보할 수단이 있으면 정말 좋은데, 종결자 찰스가 공버프 부여와 행동게이지 증가를 단독으로 충족 시켜줄 수 있다. 그에 끝나지 않고, 스트라제스가 공버프의 힘으로 상대 한명을 확실하게 삭제해버리면, 종찰스의 패시브가 발동되어 곧바로 종찰스의 턴이 온다. 서로가 서로에게 시너지가 되는 조합이라 한 번 이 템포가 형성이 되어버리면 상대는 속수무책으로 무너져버릴 확률이 높다.

4.4. 카운터 영웅

  • 셰나 : 패시브의 공증 30퍼센트 때문에 공증버프 없이는 방어력 관통이 거의 안되고, 공증버프를 받더라도 기본적으로 치명저항이 있기 때문에 못잡을 확률이 높다.
  • 암살자 시더: 기본속이 매우 높은 암시더를 스트라제스가 아무리 속도를 극한으로 올려도 뺏을 수 없다. 생방을 별로 챙기지 않는 스트라제스는 그냥 쪼개진다. 암살자 콜리와 파벨도 유효하다.

5. 추천 아티팩트

  • 구원자들의 초상화: 극딜을 주로 넣는 역할인 만큼 딜량을 상승 시켜주는 초상화는 아주 좋은 선택이다.
  • 결속의 상징: 데미지 증가를 곱연산으로 증가시키기 때문에 심플한 극딜 속딜러 세팅을 한다면 가장 좋은 선택. 3스 시전후 후속타로 2스를 쓸때 무적으로 풀피지만 상대 폴리티스나 집빌 때문에 무적/명감이 동시에 걸려있어 2스 시전시 빗나감이 뜨면서 화력이 줄어들 확률도 커버된다.
  • 푸른빛 혜성: 리제로 콜라보 한정 아티. 조건없는 치명확률 15퍼센트 보정 덕분에 템세팅이 한결 편해지고, 다른 스텟에 더 투자할 수 있다. 또한 스트라제스의 3스킬 한 방이면 웬만한 탱커는 무조건 한방에 죽기 때문에 누군가 사망시 행동 게이지 증가 옵션도 충분히 써먹을 수 있다.
  • 지옥 절단기 : PVP보단 PVE에서 유용한 아티팩트. 속도를 크게 중요시하지 않고 일격이 중요한 PVE 스트라제스 입장에서는 보스 스테이지에서 딜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는 지옥 절단기도 괜찮은 선택이다. PVP에서도 쓸 수 있겠지만 PVE와 다르게 수많은 디버퍼들이 스트라제스를 방해할 것이 뻔하므로 조합을 잘 짜 스트라제스가 안정적으로 3스를 날릴 수 있게 보조해야 한다. 일반 아레나면 모를까 실레나에서는 여러모로 써먹기 힘든 아티팩트.
* 베니마루의 도: 자체적으로 공증을 수급할 수 있게 해주는 아티팩트이지만, 30강을 해야 확률이 100%가 되는데다가 콜라보 한정이기 때문에 매우 비싸다는게 단점이다.

6. 상하향 내역

7. 대사

기본 스킨
상황 대사
전투 준비 공포에 물들 시간이다..
필멸의 시간이 다가오는군.
절망을 받아들여라.
차가운 혼돈을 선사하지.
패배 아직 마지막 고해가 남았네.
획득 황혼의 시간이 찾아오면, 잔혹한 운명의 굴레를 벗어나리라.
레벨 업 운명이 조금은 움직인 듯하군.
승리 이것이 내가 가야할 길이다..
스킬2 공허로 돌아가게.
한계를 시험하지.
무의미한 저항이네.
스킬3 피할 수 없는... 결말 앞에 사라져라.
모든 존재에게... 영원한 안식을!
그 어떤 운명도... 이 검을 피할 순 없다!
협공 요청 시작하지.
움직여라.
협공 반응 내 차롄가.
끝내지.
캠핑
무용담 레코스 신을 죽인 이후로 내 삶은 더 고독해졌다네. 하지만 뒤를 돌아보거나 후회하지 않아. 어차피 내가 가야 할 길이니.
영웅적 응원 우리 군단 중에는 요리 잘하는 녀석이 없다네. 일단은 식성도 나와 다른 것 같아. 각자 원하는 것을 먹지.

8. 기타

  • 공식채널 소개 영상
  • 출시일인 2021년 7월 8일 서버가 유래없는 긴 긴급점검을[1] 하게 되어 행성 뿐 아니라 서버도 갈랐다는 드립이 흥행중이다.[2]
  • 이 캐릭터의 인기를 입증하듯 나무위키 문서도 에픽세븐 영웅들 중에서도 굉장히 빠르게 만들어진 편에 속한다. 출시된지 일주일도 안된 채 만들어졌으니.[3]
  • 에피소드 2 이전에 쓰인 일러스트는 묘하게 빌트레드를 닮은 얼굴을 하고 있는데, 원래 중년 빌트레드의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명도 에피소드 2 이전까지는 '칠흑의 기사'였다가 에피소드 2 출시와 함께 '칠흑의 검사'로 변경되었으며, 성격도 조금 바뀌었다.[4]

[1] 낮 12시~다음날 새벽 1시, 총 13시간. 원래는 아침 6시까지 잡았다가 새벽 2시로 단축하고 1시간 빨리 끝난 것이다.[2] 그래서인지 평가창의 베댓 1위가 이 내용이다(...) 정확히는 행성을 가르랬더니 서버를 갈라버리면 어쩌냐는 내용.[3] 5성 수속성 마도사인 에다를 시작으로 이후 출시된 영웅 및 전직 영웅의 만들어진 문서는 스트라제스 뿐이었다(...) 지금은 일부 캐릭터들의 문서가 생성되어 나아진 편.[4] 과거의 스트라제스는 현재와 달리 어딘가 무기력하고 체념한 모습이 없었고 말수가 좀 더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