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03:17:32

슈퍼맨 실사화 시리즈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슈퍼맨 시리즈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실사 매체에서 등장하는 슈퍼맨}}}에 대한 내용은 [[슈퍼맨/미디어 믹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슈퍼맨/미디어 믹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슈퍼맨/미디어 믹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실사 매체에서 등장하는 슈퍼맨: }}}[[슈퍼맨/미디어 믹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슈퍼맨/미디어 믹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슈퍼맨/미디어 믹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Superman_shield.png
슈퍼맨 실사화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word-break: keep-all;"
슈퍼맨
아톰맨 대 슈퍼맨
슈퍼맨의 모험 (슈퍼맨과 몰맨)
1993
맨 오브 스틸
}}}}}}}}}

1. 개요2. 영화
2.1. 슈퍼맨 시리얼 영화 시리즈2.2. 슈퍼맨과 몰맨2.3. 슈퍼맨 앤솔로지2.4. DC 확장 유니버스2.5. DC 유니버스 《슈퍼맨 사가》
3. 드라마4. 무산된 작품
4.1. 슈퍼맨 리브즈
5. 기타
5.1. 난점

1. 개요

슈퍼맨 단독 실사화 시리즈에 관한 문서.

슈퍼맨은 DC 코믹스의 최초의 슈퍼 히어로이자 히어로라는 개념의 상징과도 같은 캐릭터인만큼 아주 오래전부터 다양한 영화화가 이루어졌다.

2. 영화

2.1. 슈퍼맨 시리얼 영화 시리즈

<rowcolor=#bdbdbd,#bdbdbd> 연도 제목 감독 비고
1948 슈퍼맨
Superman
파일:Superman_serial.jpg 스펜서 고든 베넷
토마스 카
1편
1950 아톰맨 대 슈퍼맨
Atom Man Vs. Superman
파일:Superman_vs_Atom_Man.jpg 스펜서 고든 베넷 2편
1948년 사상 최초로 실사화된 슈퍼맨 시리즈. 담당 배우는 커크 알린으로, 슈퍼맨(1978)에서는 카메오로 출연한다.

2.2. 슈퍼맨과 몰맨

<rowcolor=#bdbdbd,#bdbdbd> 연도 제목 감독 비고
1951 슈퍼맨과 몰맨
Superman and The Mole Man
파일:Superman_and_the_Mole_Men_001.jpg 리 숄렘 슈퍼맨의 모험
드라마 슈퍼맨의 모험파일럿 형식으로 제작된 작품으로, 최초의 슈퍼맨 장편 영화다.
조지 리브스 탄생 110주년 기념으로 팬 제작 한국어 자막이 나왔다. #

2.3. 슈퍼맨 앤솔로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슈퍼맨 앤솔로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퍼맨 앤솔로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퍼맨 앤솔로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연도 제목 감독 비고
1978 슈퍼맨
Superman: The Movie
파일:superman-1978-poster2.jpg 리처드 도너
1980 슈퍼맨 2
Superman 2
파일:external/ilooker.com.tw/%E8%B6%85%E4%BA%BA2.jpg 리처드 도너/리차드 레스터[1]
1983 슈퍼맨 3
Superman 3
파일:external/www.comicbookbrain.com/superman-III-the-movie-poster.jpg 리차드 레스터
1984 슈퍼걸
Supergirl
파일:supergirl.jpg 자노 슈와르크 스핀오프
1987 슈퍼맨 4: 최강의 적
Superman 4: The Quest for Peace
파일:external/4.bp.blogspot.com/superman-iv-poster.jpg 시드니 J. 퓨리
2006 슈퍼맨 2: 리처드 도너 컷
Superman II: The Richard Donner Cut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DonnerCut.jpg 리처드 도너 [2]
2006 슈퍼맨 리턴즈
Superman Returns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uperman-returns-poster.jpg 브라이언 싱어 리런치[3]
대개 슈퍼맨의 실사 영화하면 가장 많이 알려진 시리즈로, 침체기인 3편과 4편을 제외하고는(1편, 2편, 2편 감독판(2006) 등) 평론가들과 관객들의 평가도 지금까지의 프렌차이즈 역사 중 제일 좋다. 물가 상승률을 적용하면 1, 2편 둘 다 8억 7천만 달러의 흥행을 기록한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보다도 흥행에 성공했고, 1편은 그 중에서도 초대박을 쳤다.

2.4. DC 확장 유니버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5px; min-width: 30%;"
{{{#!folding [ 영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
파일:Justice League wide logo.png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 저스티스 리그
(비정사)
잭 스나이더의 저스티스 리그
파일:Suicide Squad Title.png 수어사이드 스쿼드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
파일:원더우먼 화이트 로고.png 원더우먼 원더우먼 1984
파일:Aquaman Title v2.png 아쿠아맨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파일:샤잠 로고.png 샤잠! 블랙 아담 샤잠! 신들의 분노
기타 영화 맨 오브 스틸 버즈 오브 프레이
(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
플래시 블루비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5px; min-width: 30%;"
{{{#fff {{{#!folding [ 드라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HBO Max 로고.svg파일:HBO 맥스 로고 화이트.svg 피스메이커
시즌 1
}}}}}}}}}}}} ||
<rowcolor=#fff> 연도 제목 감독 비고
2013 맨 오브 스틸
Man of Steel
파일:맨오브스틸_해외.jpg 잭 스나이더 시리즈 리부트
<rowcolor=#fff> 크로스오버
<rowcolor=#fff> 연도 제목 감독 비고
2016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
Batman v Superman: Dawn of Justice
잭 스나이더 크로스오버
2017 저스티스 리그
Justice League
잭 스나이더[4] 크로스오버
2019 샤잠!
Shazam!
데이비드 F. 샌드버그 카메오 출연
2021 잭 스나이더의 저스티스 리그
Zack Snyder's Justice League
잭 스나이더 크로스오버
2022 피스메이커 시즌 1
Peacemaker
제임스 건 카메오 출연
2022 블랙 아담
Black Adam
자움 콜렛 세라 카메오 출연
2023 플래시
The Flash
앤디 무시에티 카메오 출연
2013년에 《맨 오브 스틸》이 개봉되었고, 2016년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과 2017년 《저스티스 리그》가 개봉했다.

헨리 카빌이 연기해 훌륭한 비주얼로 호평을 받았지만, 캐릭터성에 대한 논란과 더불어 솔로 영화 단 한편으로 마무리된 세계관 때문에 비운의 슈퍼맨이 되었다.

2.5. DC 유니버스 《슈퍼맨 사가》


<colcolor=#fff>
회색 배경
: 일정 미공개
기울임체 : 예정된 작품
파일:DC 코믹스 로고 화이트 2024.png
DC UNIVERSE
{{{#!wiki style="word-break: keep-all; 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5px; min-width: 30%;"
{{{#!folding [ 영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 슈퍼맨 사가 슈퍼맨 슈퍼걸 맨 오브 투모로우
기타 영화 클레이페이스 원더우먼 (가제) 브레이브 앤 볼드
서전트 록 틴 타이탄즈 (가제) 스웜프 씽
어소리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5px; min-width: 30%;"
{{{#fff {{{#!folding [ HBO 맥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1040D,#01040D><colcolor=#fff>
파일:HBO Max 화이트 로고.png
드라마
시즌 1 ·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5px; min-width: 30%;"
{{{#fff {{{#!folding [ 기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376f2,#0376f2><colcolor=#fff> DCEU
연계 작품
}}}}}}}}}}}} ||
<rowcolor=#fff> 연도 제목 감독 비고
2025 슈퍼맨
Superman
파일:Superman_2025_Poster_2.jpg 제임스 건 시리즈 리부트
크립토가 세상을 구한다
Krypto Saves the Day
파일:Krypto_Saves_the_Day.webp 라이언 크레이머 스핀오프
2026 슈퍼걸
Supergirl
파일:SuperGirl-2026_Promo Poster.jpg 크레이그 길레스피
2027 맨 오브 투모로우
Man of Tomorrow
2편
《슈퍼맨 사가》 라는 부제가 있다.

3. 드라마

3.1. 슈퍼맨의 모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슈퍼맨의 모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퍼맨의 모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퍼맨의 모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슈퍼보이

#
1988년작. 1기에는 존 헤임스 뉴튼이, 2기부터는 제라드 크리스토퍼가 클락 역을, 스테이시 헤이덕이 라나 랭을 맡았다. 스몰빌의 삼촌뻘 되는 작품.

3.3. 로이스 앤 클락: 뉴 어드벤처 오브 슈퍼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ois & Clark: The New Adventures of Superman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ois & Clark: The New Adventures of Superman#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ois & Clark: The New Adventures of Superman#|]]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스몰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몰빌(드라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몰빌(드라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몰빌(드라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크립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립톤(드라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크립톤(드라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크립톤(드라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슈퍼맨과 로이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슈퍼맨과 로이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퍼맨과 로이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퍼맨과 로이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무산된 작품

4.1. 슈퍼맨 리브즈


파일:Flash-Cast-Superman-01-061923-71251c38dcb647509b04cf052037342a.jpg
슈퍼맨 리브즈 (미제작)

배트맨 모던 에이지 시리즈의 후속작으로 기획된 슈퍼맨 영화.[5]

90년대 원작 코믹스에서 슈퍼맨이 둠스데이와의 싸움으로 죽는 이슈는 문화적으로 큰 파장을 불러왔다. 이를 본 워너브라더스가 이를 소재로 한 새로운 슈퍼맨 영화를 원해서 팀 버튼 배트맨의 제작자인 존 피터스를 데려와 영화를 제작하려 한다. 제목은 슈퍼맨 리본. 다만 영화는 각본 단계에서 워너에 의해 기각된다.[6]

슈퍼맨 리본이 퇴짜를 맞은 후 새로운 각본이 등장하는데 바로 브레이니악이 둠스데이를 만들고, 캐드머스라는 외계인이 죽은 슈퍼맨을 부활시켜 맞서 싸우는 내용이었다고 한다. 이 각본을 마음에 들었던 워너는 각본가 케빈 스미스(영화감독)를 합류시켜 각본을 수정하며, 제목은 슈퍼맨 리브스로 잠정적으로 확정 짓는다.

제작자로 참여한 존 피터스는 각본가 케빈 스미스에게 특이한 것들을 요구했는데 비행 능력의 삭제와 3막에서 거대 거미와의 사투, 브레이니악과 북극곰의 대결, 그리고 스타워즈 시리즈처럼 장난감 판매용 캐릭터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7] 이런 터무니없는 요구에도 케빈 스미스는 각본을 완성했다. 수정된 각본은 브레이니악이 둠스데이를 통해 슈퍼맨을 죽이고 렉스 루터와 동맹을 맺으며, 원작처럼 이래디케이터를 통해 슈퍼맨이 부활하고 마지막엔 이래티케이터를 슈트처럼 장착하고 싸운다는 내용이었다. 또한 그는 감독으로 배트맨 시리즈를 성공시킨 팀 버튼 감독을 요구한다.

팀 버튼이 감독직을 수락하고 그는 슈퍼맨으로 니콜라스 케이지를 캐스팅한다. 버튼 감독은 이런 캐스팅이라면 관객들조차도 클락 켄트가 슈퍼맨이라는 걸 알아채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고. 각본도 그의 입맛에 맞춰 수정을 가하는데 이 내용이 참으로 팀 버튼스럽다. 슈퍼맨은 지구로부터 이질감과 소외감을 느끼는 이방인이며, 루터와 브레이니악이 '렉시악'이라는 존재로 합쳐지고, 죽은 슈퍼맨은 크립톤의 영혼을 상징하는 자연적인 힘 'K'에 의해 부활한다는 다소 판타지스러운 내용이었다. 어느 정도 작업은 진전되었으나 결국 제작비가 비약적으로 증가했던 탓에 영화는 워너브라더스의 반대에 부딪혀 제작이 취소된다.[8]

팀 버튼이라는 슈퍼히어로물의 대히트 감독과 니콜라스 케이지라는 코믹스 덕후 겸 당시 전성기를 구가하던 배우가 캐스팅되었고, 취소된 영화들 중에서 유일하게 슈트를 입은 모습도 남아있어서 나오지도 못한 영화였음에도 꽤 유명했다. 2015년에는 이 영화의 무산을 그린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었다.

비록 실사화엔 실패했지만, "니콜라스 케이지 슈퍼맨"은 밈화되어 살아남아 여러 서브컬쳐 작품에서 등장하고는 한다. 니콜라스 케이지 본인도 많이 아쉬웠는지, 틴 타이탄 GO! 투 더 무비스에 슈퍼맨 성우로 출연하기도 했다.

DC 확장 유니버스의 영화 플래시에 멀티버스 속 슈퍼맨 중 한 명으로 카메오로 등장했다. 슈퍼맨은 거대 거미 괴수를 쓰러뜨린 후, 다크 플래시로 인해 일어난 멀티버스 붕괴가 일어나는 걸 지켜본다. 미제작된 영화에서는 배트맨 모던 에이지 시리즈와 동일한 유니버스의 슈퍼맨으로 기획되었지만 플래시에서는 모던 에이지 세계관과는 별개의 유니버스로 나왔다. 해당 장면은 실제 니콜라스 케이지를 불러서 촬영했지만 삭제되고 CG 장면으로 대체되었다.#

5. 기타

5.1. 난점

'슈퍼맨'이라는 단어 자체가 '초인'의 보통명사가 될 정도로 범세계적인 인지도를 보유한 캐릭터지만 21세기에 슈퍼맨의 실사영화는 좀처럼 부활하지 못 하고 있다. 여전히 인기리에 제작되고 있는 배트맨 실사영화 시리즈스파이더맨 실사영화 시리즈와는 대조적.

심지어 슈퍼히어로 영화가 할리우드의 중심이었던 2010년대에서도 슈퍼맨은 실사화가 어려웠던 걸로 유명했던 그 원더우먼 실사영화 시리즈에 비해서도 난항을 겪고 있다. 뒤늦은 전성기를 맞이한 아이언맨 실사영화 시리즈는 말할 것도 없고 그보다 인기가 훨씬 떨어지던 다른 히어로들[9]보다도 유독 슈퍼맨 만큼은 실사영화로 성공하지 못 하고 있다.
  • 조스 웨던은 자신이 실사화 작업에서 가장 난항을 겪은 히어로가 슈퍼맨이라고 말했다. 지나치게 완벽한 캐릭터이기 때문이라고. 그래서인지 그의 손을 탄 저스티스 리그(영화)에선 슈퍼맨이 지나친 먼치킨이 되어서 영화의 톤을 망가뜨렸다는 비판도 있었다.
  • 루소 형제는 과거 인터뷰중에 "강하고 완벽할수록 영화화가 어렵다"고 한 적이 있는데, 예시로 정확하게 슈퍼맨을 골랐다. 자신들이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작업할 때는 히어로의 약점과 고뇌에 초점을 맞추어서 이야기를 쓰는데, 슈퍼맨은 너무 강하고 완벽해서 어렵다는 늬앙스의 말을 했다.
  • 21세기에 들어 영웅주의가 옅어짐과 동시에 개인주의의 확산에 따른 트랜드 변화가 원인이라는 분석이 있다. 과거에는 슈퍼맨처럼 완벽초인을 표방한 영웅들을 꿈꿔온 사람들이 많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기에 슈퍼맨과 원더우먼같은 영웅들은 더 이상 대중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가설이다.
  • 21세기의 슈퍼히어로 영화는 영웅을 적인 존재가 아니라 인간적인 고뇌와 약점을 지닌 캐릭터로 묘사하는 것이 트랜드가 되었다.[10] 하지만 완벽초인이라고 부르는 슈퍼맨은 시대와는 맞지 않는 캐릭터라는 가설이 있으며 이에 대한 분석이 많다. ##2
  • 이 너무 강력하여 다루기 어렵다는 가설이 있다. 개인의 힘도 강하지 않고 인간적인 고뇌를 넘어서 정신병자에 가까운 표현이 가능한 배트맨과 정확히 반대되는 사례. 실제로 다크나이트의 영향을 받은 맨 오브 스틸에서 슈퍼맨은 완벽초인과는 거리가 먼 모습을 보였는데 이에 대해 "슈퍼맨이 배트맨을 흉내낸다"며 비판받았다. 반대로 슈퍼맨의 초인적인 강함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저스티스 리그는 오히려 슈퍼맨만 너무 쎄서 비판을 받았듯이(...)[11] 실사화가 굉장히 어려운 캐릭터임에는 틀림이 없다.
  • 슈퍼맨의 원초적인 디자인도 원인으로 뽑힌다. 빨강과 파랑의 조합에 더해 빨간 팬티 등이 현시대의 영화에 나오기에는 다소 거부감이 들 수 있다는 가설. 그래서 잭 스나이더는 슈트의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완전히 갈아치웠으며 성공적이었기에 이는 어느 정도 보완된 사항이 되었다.

물론 슈퍼맨을 21세기에 맞게 영리하게 사용할 줄만 안다면 명작이 탄생할 수도 있다. 당장 슈퍼맨의 완벽함과 규격 외의 강력함 때문에 깊이있는 연출이 힘들다는 이야기는 올스타 슈퍼맨이나 킹덤 컴 같은 그래픽노블 등을 참고하면 해결될 일이며, 다크 나이트 리턴즈도 슈퍼맨을 그리는 태도는 비판받을지언정 슈퍼맨에게 내포된 상징적 의미들은 굉장히 깊게 잘 전달된 편이다. 슈퍼맨의 영원한 숙적인 렉스 루터만 봐도 평범한 인간이지만 특유의 캐릭터성으로 슈퍼맨을 여러번 궁지에 몰아넣으며 좋은 이야기들을 많이 보여주었다.[16]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DC든 마블이든 히어로영화 제작자로 명성이 자자한 제임스 건슈퍼맨이 개봉하여 좋은 평가를 받고있다.
[1] 리처드 도너가 촬영 도중 강판되고 리차드 레스터가 연출을 맡았다.[2] 앞선 슈퍼맨 2의 리처드 도너 편집본.[3] 리부트가 아닌 크리스토퍼 리브 슈퍼맨 시리즈의 후속작이다. 스토리상 슈퍼맨 2의 다음 내용으로 이어지며 공식 분류에서도 슈퍼맨 리턴즈는 기존 슈퍼맨 시리즈에 속한다.[4] 조스 웨던은 공식적으로 감독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대신 각본에는 올라가 있다.[5] 마이클 키튼배트맨이 카메오로 출연하여 모던 에이지 세계관과 동일 세계관으로 설정할 예정이었다고 한다.#[6] 슈퍼맨과 로이스의 관계가 악화되었을 때 둠스데이가 나타나 슈퍼맨을 죽이고 죽어가는 동안 슈퍼맨이 로이스에게 고백하는데, 이때 그의 생명력이 로이스에게로 가 그녀를 임신시킨다. 출산 3주 뒤 성인이 된 아이는 사실 상 슈퍼맨의 환생이나 다름 없었고, 이 슈퍼맨이 세상을 구하는 내용이었다고 한다.[7] 결국 세상에 나오지 못한 이 영화를 대신해 와일드 와일드 웨스트의 제작에 참여한 존 피터스는 극중 거대 타란튤라 로봇을 등장시키며 거미 욕구를 해소한다.[8] 이때 렉스 루터 역으로 마이클 루커가 고려되었다는 후문.[9] 토르 실사영화 시리즈, 캡틴 아메리카 실사영화 시리즈[10]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가 흥행에 성공한 이유 중 일부도 이 점이다. 히어로들을 완벽한 이상향이 아닌 극히 개인적인 약점을 가진 불안한 인간으로 표현하면서 관객들에게 공감을 이끌어냈다.[11] 다만 잭 스나이더의 저스티스 리그에서도 슈퍼맨에 활약상에는 변함이 없음에도 슈퍼맨 원맨쇼라는 비판을 받지 않았음을 고려해보면 슈퍼맨의 강함에 문제라기 보다는 조스 웨던에 연출 문제로 봐야할 여지도 있다.[다크나이트] 2005년 당시에는 배트맨과 로빈의 대실패로 인해 상황이 좋지 않았다. 이후 개봉된 놀란의 배트맨 비긴즈도 흥행에서 성공했다고 얘기하긴 어려웠지만 다크 나이트가 흥행대박이 나면서 배트맨영화가 제대로 부활할 수 있었다.[조커] 당시의 DC영화들은 하나같이 죽만 쑤던 최악의 상황이었는데 토드 필립스가 배급사를 여러번 찾아가면서 겨우 설득 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R등급의 영화는 흥행이 어려우니 제작비를 5,000만 달러만 쓴다는 약속을 얻어냈고 그마저도 리스크가 두려워서 제작비를 다른 회사와 나눠 내면서 만들 정도로 압박이 심한 프로젝트였다. 정작 개봉 이후에는 뜻밖에도 엄청난 대흥행을 이뤄내면서 분위기가 반전된 것이다. 제작비 나눠서 낸 워너만 땅치고 후회[스파이디] 일단 스파이더맨은 영상화 권한에 관련되어 굉장히 복잡한 문제점을 태생적으로 갖고 있다. 그마저도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실사영화 시리즈가 엎어지면서(...) MCU와의 콜라보를 통한 리부트가 결정되고 그와중에 디즈니와 소니의 계속된 이권다툼 속에서 어렵게 3부작을 완결되어 험난하게 부활할 수 있었다. 그야말로 어른들의 사정의 대표적인 사례로 스파이더맨 실사영화 시리즈로 뽑히는 이유이다. 실제로 중간에 회사들끼리 얘기가 잘 안되어서 여러번 엎어질 뻔했다.[15] 원더우먼이 오랫동안 실사영화를 개봉시키지 못한 외적인 불운들과 비슷.[16] 반대로 말하면 이제까지 슈퍼맨 영화에서는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렉스 루터의 모습을 제대로 그려낸 영화가 없었다. 클래식 슈퍼맨과 슈퍼맨 리턴즈에서의 렉스 루터는 현대식으로 재해석되기 전의 매드 사이언티스트였고 배대슈에서 등장한 렉스 루터는 완전히 조커 짝퉁에 불과했고 당당하게 슈퍼맨을 인류의 적으로 몰아붙이는, 어떤 의미에서는 배트맨이나 캡틴 아메리카처럼 인간 능력의 끝을 달리는 모습이 전혀 묘사되지 않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