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경기도 남부, 동남부에 위치한 수원시, 용인시, 성남시를 가리키는 신조어.2. 상세
이 세 지역은 수원, 용인, 성남 순서로 경기도 남부, 동남부에서 각각 인구 순위 1, 2, 4위를 차지하고 있다. 화성시가 성남시의 인구를 추월하면서 수용성화라는 말도 종종 쓰이고 있다. 경기도 북쪽에 위치한 고양시는 인구가 100만을 넘어서 성남시보다 많고, 용인시와 비슷할 정도지만 수원, 용인, 성남과는 잘 묶이지 않는데 이는 경기도 북쪽에 있다는 위치의 차이가 있다.2019년 12.16 부동산 규제 이후 수원시, 용인시, 성남시 지역에 외지인(주소가 해당 지역이 아닌 사람)들의 아파트 거래 건수가 차례대로 증가하면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 이 단어는 주로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비판 여론에서 사용되었다. 수원, 용인, 성남 지역은 각각 순서대로 서울의 수요자들이 몰리면서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고, 패닉바잉(공황구매) 흐름이 가세하여 부동산 거래량이 늘긴 했지만 가격은 강보합세 수준이었다. 그러다가 2020년 임대차보호법이 개정된 8월 이후에는 전셋값이 오르면서 집값도 본격적인 상승세를 탔었다. 경기도 남부에 있는 수원을 비롯해 경기도 동남부 용인, 성남 등 수도권 주거지역에서 이러한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이들 지역에서는 서울과는 다르게 신축 아파트들도 꾸준히 공급되었다. 여기에 기존 아파트들도 준신축들이 많은 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 도시는 서울특별시로부터 젊은층 30~40대 경제활동 인구가 많이 내려왔다.
그래서 21대 총선까지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세가 강했다.[1] 하지만 20대 대선에서 부동산 문제가 부각되면서 경기도에서 비교적 집값이 비싼 부촌들이 속해있는 수원, 용인, 성남 지역의 민주당 지지층 중 고소득자들의 상당수가 보수정당 지지로 선회하면서 보수정당과 민주당의 경합지역으로 바뀌었다. 오히려 화성시, 오산시, 평택시나 광주시, 여주시, 이천시 같은 수원, 용인, 성남 외곽에 있는 지역들의 민주당세가 비교적 강해지고 있다.
수원시는 삼성전자 본사, 삼성전기, 용인시는 삼성전자 기흥사업장, 성남시는 판교테크노밸리로 대표되는 대규모 업무지구가 있어서 산업시설들을 갖추고 있다. 특히 경기도청이 있는 수원시는 경기도 수부도시로서 일찌감치 체계적인 도시화가 진행되어 광역시 수준의 자족기능, 문화, 행정, 산업의 규모를 가지고 있다. 성남시와 달리 수원시, 용인시는 인구 100만명을 넘어 특례시 혜택을 받고 있다.
세 도시는 경부고속도로가 지나는 지역이기도 한데[2] 그만큼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등 남부 지방과의 교통이 편리하기 때문에 인구, 경제 측면에서 현재와 같이 크게 발전할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경기도 내에서 화성시, 평택시까지 묶어서 '경부라인'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경부라인은 반도체, IT 등 첨단산업이 발전해 있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