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서울시설공단 | 부산시설공단 | 서울터널주식회사 | |
| | ||
용마터널주식회사 | 서서울도시고속도로주식회사 | 강남순환도로주식회사 | |
| | ||
우면산인프라웨이주식회사 | 수원순환도로주식회사 | 화성도시고속도로주식회사 | |
| | | |
남양주도시고속도로주식회사 | 일산대교주식회사 | 경기남부도로주식회사 | |
| | | |
제삼경인고속도로주식회사 | 덕송내각고속화도로주식회사 | 문학개발주식회사 | |
| |||
천마개발주식회사 | 만월산터널주식회사 | 미시령동서관통도로주식회사 | |
| | | |
대전천변도시고속화도로주식회사 | 북항아이브리지주식회사 | 을숙도대교주식회사 | |
파일:external/www.gklink.com/ci.png | | | |
GK해상도로주식회사 | 백양터널유한회사 | 수정산터널주식회사 | |
| | | |
부산산성터널주식회사 | 울산하버브릿지주식회사 | 마창대교주식회사 | |
| | ||
경남하이웨이주식회사 | 대구동부순환도로주식회사 | 대구남부순환도로주식회사 | |
| | | |
광주순환주식회사 | 광주순환도로투자주식회사 | 광주제2순환도로주식회사 | |
| |||
지개남산도시고속화도로주식회사 | |||
관련 틀: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운영기관 | }}}}}}}}} |
서울시설공단 관련 틀 | |||||||||||||||||||
|
<colbgcolor=#008ace><colcolor=#fff> 서울시설공단 Seoul Facilities Corporation | |
| |
정식 명칭 | 서울시설공단 |
한자 명칭 | 서울施設公團 |
영문 명칭 | Seoul Facilities Corporation |
국가 |
|
설립일 | 1983년 9월 1일[1] |
설립 목적 | 서울특별시장이 지정하는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함으로써 시민의 복리증진에 기여 서울특별시 서울시설공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
업종명 | 사업시설 유지관리 서비스업 |
전신 | 서울시설관리공단 (1983년 9월 1일 ~ 1993년 1월 25일)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 (1993년 1월 26일 ~ 2017년 4월 26일) |
대표자 | 한국영 |
주무 기관 | 서울특별시 |
주요 주주 | 서울특별시: 100% |
기업 분류 | 지방공기업 |
상장 여부 | 비상장 기업 |
직원 수 | 4075명(2020년 12월 31일 기준) |
자본금 | 264억 3,516만 390원(2023년 기준) |
매출액 | 3,945억 7,314만 6,217원(2023년 기준) |
영업 이익 | -62억 3,690만 7,501원(2023년 기준) |
순이익 | 해당 사항 없음(2023년 기준) |
자산 총액 | 2,747억 4,917만 7,737원(2023년 기준) |
부채 총액 | 2,456억 6,108만 9,109원(2023년 기준) |
미션 | 사람과 도시, 공간과 문화, 참여와 소통이 공존하는 더 나은 서울 만들기 |
비전 | 시민중심의 도시기반 서비스를 창출하는 혁신 공기업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청계천로 540 (마장동) |
링크 |
1. 개요
▲ 서울시설공단 공식 홍보 영상 |
|
▲ 서울특별시 성동구 청계천로 540 (마장동)에 위치한 서울시설공단 본사 사옥 |
1983년, 대한민국 첫 지방공단으로 출범하여, 초창기에는 지하도상가, 공영주차장 등을 모태사업으로 관리하였다. 이후 서울어린이대공원(1986), 추모시설(1987), 도시고속도로(1994), 서울월드컵경기장(2001), 청계천(2005) 등을 인수하였으며, 최근에는 동대문주차장지상상가(2016), 수도계량기검침 및 교체(2016), 공공자전거(2016) 등을 인수하는 등 사업 영역이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
교통시설, 체육시설, 추모시설, 상가시설 등 서울시 소유 대규모 시설물을 중심으로 책임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서울시 장애인 콜택시, 서울시 수도계량기 검침 및 교체 등의 사업도 수행하고 있다.
2. 연혁
- 1983년 9월 1일: '서울시설관리공단' 창립
- 1983년 10월 1일: 을지로 지하도상가 인수
- 1986년 1월 1일: 서울어린이대공원 관리업무 인수
- 1987년 1월 1일: 시립승화원 및 시립묘지 관리업무 인수
- 1993년 1월 26일: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으로 기관명 변경
- 1993년 11월 11일: 혼잡통행료 징수업무 인수
- 1994년 10월 1일: 도시고속도로 순찰점검업무 인수
- 1995년 1월 1일
- 공동구 관리업무 인수
- 도시고속도로 유지보수(가로등, 지하차도 포함) 업무 인수
- 1997년 7월 1일: 도시고속도로 청소, 녹지업무 인수
- 2000년 9월 1일: 도심지공사 감독업무 인수
- 2001년 11월 9일: 서울월드컵경기장 관리업무 인수
- 2003년 1월 1일: 장애인콜택시 운영업무 인수
- 2003년 4월 1일: 상수도공사 감독업무 인수
- 2005년 10월 1일: 복원된 청계천 관리업무 인수
- 2006년 10월 4일: 서울어린이대공원 무료개방
- 2011년 12월 14일: 서울추모공원 인수
- 2012년 11월 1일: 서울상상나라 관리업무 인수
- 2013년 1월 25일: 서울글로벌센터 인수
- 2014년 12월 5일: 장충체육관 관리업무 인수
- 2015년 1월 1일: 도시고속도로 도로시설물 관리업무 인수
- 2015년 7월 31일: 고척 스카이돔 관리업무 인수
- 2016년 3월 1일: 공공자전거(따릉이) 운영·관리 신규 인수
- 2016년 7월 14일: 수도계량기 교체 업무 대행
- 2016년 7월 22일: 수도계량기 점검 등 업무 대행
- 2016년 9월 2일: 동대문주차장 지상상가 운영·관리
- 2017년 4월 27일: '서울시설공단'으로 기관명 변경
3. 사업
- 지하도상가: 총 25개소 2,788개 점포 / 면적(156,934㎡)
- 서울글로벌센터: 지하 4층, 지상 15층 / 연면적(11,751,65㎡)
- 묘소 관리
- 장애인콜택시: 장애인 이동편의 지원(차량운행 및 운전원 배치), 콜센터 운영
- 체육 시설 관리
- 서울월드컵경기장: 주경기장(6만 6704석), 보조경기장(1000석), 풋살구장, 수익ㆍ부대시설 (K리그 FC 서울 홈구장)
- 장충체육관: 체육관(4507석), 보조체육관, 부대시설(수익시설, 소규모체육시설) (V리그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 GS칼텍스 서울 KIXX 홈구장)
- 고척 스카이돔: 경기장관람석(1만 6813석), 풋살구장, 축구장, 수영장 등 기타수익 부대시설 (KBO리그 키움 히어로즈 홈구장)
- 공원 관리
- 서울어린이대공원: 동물사, 숲속의 무대, 놀이동산[4] 등 / 면적(536.088㎡)
- 서울상상나라[5]: 체험관, 교육실, 공연장 등 / 면적(19,679㎡)
- 청계천: 태평로 입구(시점부) ~ 중량천 합류부(8.12㎞), 시설 및 녹지·조경, 생태학습프로그램
- 교통 관리
- 자동차전용도로: 올림픽대로 등 11개 노선(165㎞), 녹지대(1784천㎡)
- 교통정보제공: 자동차전용도로 8개 노선 및 남산권 등 총 368.4km
- 도심지 공사감독: 200억원 미만의 서울시 및 자치구 발주공사(市費(시비))
- 공동구: 8개 지역(여의도, 목동, 가락, 개포, 상계, 상암, 은평, 마곡)
- 교통시설: 공영주차장(직영 47개소, 위탁 91개소), 공영차고지(31개소), 혼잡통행료 징수(남산 1·3호), 체납자동차세 징수지원(25개 자치구)
- 공공자전거(따릉이): 25개 자치구, 2510개 대여소, 자전거 3만 7500여대(2021년 8월 기준)
- 생활 시설 관리
- 수도계량기 검침 및 교체: 8개 수도사업소(1개 자재센터), 2061천개 수전
- 동대문주차장 지상상가: 지상 5층(1만 6343.7㎡), 344개 점포 운영관리
4. 역대 이사장
- 초대-2대 이재희 (1983~1989)
- 3대 이재환 (1989)
- 4-5대 이균범 (1989~1992)
- 6대 배문환 (1993~1995)
- 7대 김치운 (1995~1998)
- 8-9대 이호조 (1998~2004)
- 10대 최재범 (2004)
- 11대 김순직 (2004~2007)
- 12대 우시언 (2007~2010)
- 13대 이용선 (2010~2013)
- 14대 오성규 (2013~2016)
- 15대 이지윤 (2016~2019)
- 16대 조성일[6] (2019~2022)[7]
- 17대 한국영 (2023~ )
5. 채용
1년에 두 번 상, 하반기에 채용을 진행한다. 과정은 서류- 필기- 면접- 신체 검사다. 채용은 블라인드 채용을 지키고 있으며 필기시험은 NCS + 직무전공 필기시험, 온라인 인성검사 그리고 면접을 거친다. 면접 전형의 경쟁률은 1:5로 필기합격 이후 안심하고 있으면 안된다.자기소개서는 적부판정이므로 면접에서 잘 먹힐 수 있는 소재를 쓰는 것이 좋다. 2021년 하반기 기준 7급 사무직렬의 경쟁률은 750:1의 수준으로 매우 높은 경쟁률을 나타내고 있다. 기술직렬 또한 7급은 세자리 수 경쟁률, 7급보 또한 약 100:1의 경쟁률로 매우 높은 경쟁률을 양상하고 있다.
6. 직장 생활
전반적으로 공무원이나 타 공공기관에 비해 수평적이고 자유로운 조직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는 평이다. 그렇지만 전체 직원 중 장애인콜택시 운전원, 공공자전거 배송직원, 상수도 검침원 등 현장직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70% 이상으로, 이들과 사무, 기술 등 상위 직급 직원과의 이해관계 충돌 및 노노갈등 등은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다. 또한 서울특별시의 다양한 사업을 부서별로 대행하는 기관 특성상, 서울시 주무과의 시어머니 노릇(...)을 감당해야 하는 점도 주요 고충으로 지목된다.현장 사업소 근무인 경우 대개 5조 2교대(사업소마다 상이) 근무로 뛰어난 워라밸을 자랑한다.
7. 여담
- 스포츠단으로 여자 볼링단을 운영하고 있다. 여자 실업 볼링단 중 유일한 지방 공기업 소속이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서울시설공단 | 부산시설공단 | 서울터널주식회사 | |
| | ||
용마터널주식회사 | 서서울도시고속도로주식회사 | 강남순환도로주식회사 | |
| | ||
우면산인프라웨이주식회사 | 수원순환도로주식회사 | 화성도시고속도로주식회사 | |
| | | |
남양주도시고속도로주식회사 | 일산대교주식회사 | 경기남부도로주식회사 | |
| | | |
제삼경인고속도로주식회사 | 덕송내각고속화도로주식회사 | 문학개발주식회사 | |
| |||
천마개발주식회사 | 만월산터널주식회사 | 미시령동서관통도로주식회사 | |
| | | |
대전천변도시고속화도로주식회사 | 북항아이브리지주식회사 | 을숙도대교주식회사 | |
파일:external/www.gklink.com/ci.png | | | |
GK해상도로주식회사 | 백양터널유한회사 | 수정산터널주식회사 | |
| | | |
부산산성터널주식회사 | 울산하버브릿지주식회사 | 마창대교주식회사 | |
| | ||
경남하이웨이주식회사 | 대구동부순환도로주식회사 | 대구남부순환도로주식회사 | |
| | | |
광주순환주식회사 | 광주순환도로투자주식회사 | 광주제2순환도로주식회사 | |
| |||
지개남산도시고속화도로주식회사 | |||
관련 틀: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운영기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