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법원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대법원 | |
| 법원행정처 · 사법연수원 · 사법정책연구원 · 법원공무원교육원 · 법원도서관 · 양형위원회 | ||
| 서울고등법원 | ||
| 서울중앙지방법원 · 서울동부지방법원 · 서울남부지방법원 · 서울북부지방법원 · 서울서부지방법원 · 서울가정법원 · 서울행정법원 · 서울회생법원 ·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 남양주지원) | ||
| 인천원외재판부※ | <colbgcolor=#fff,#1c1d1f>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 | |
| 춘천원외재판부 |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 속초지원 · 원주지원 · 영월지원) | |
| 대구고등법원 | ||
| 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 · 안동지원 · 경주지원 · 영덕지원 · 상주지원 · 의성지원 · 포항지원 · 김천지원) · 대구가정법원 (경주지원 · 김천지원 · 상주지원 · 안동지원 · 영덕지원 · 의성지원 · 포항지원) · | ||
| 광주고등법원 | ||
|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 장흥지원 · 순천지원 · 해남지원) · 광주가정법원 (목포지원 · 순천지원 · 장흥지원 · 해남지원) · | ||
| 전주원외재판부 |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원 · 정읍지원 · 남원지원) | |
| 제주원외재판부 | 제주지방법원 | |
| 부산고등법원 | ||
|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 서부지원) · 부산가정법원 · 부산회생법원 | ||
| 울산원외재판부 | 울산지방법원 · 울산가정법원 | |
| 창원원외재판부 |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 진주지원 · 밀양지원 · 통영지원 · 거창지원) · | |
| 대전고등법원 | ||
| 대전지방법원 (홍성지원 · 공주지원 · 논산지원 · 서산지원 · 천안지원) · 대전가정법원 (논산지원 · 서산지원 · 천안지원 · 홍성지원) · | ||
| 청주원외재판부 | 청주지방법원 (충주지원 · 영동지원 · 제천지원) | |
| 수원고등법원 | ||
|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 안양지원 · 안산지원 · 평택지원 · 여주지원) · 수원가정법원 (성남지원 · 안산지원 · 안양지원 · 여주지원 · 평택지원) · 수원회생법원 | ||
| | ||
| 특허법원 | ||
| 국방부 관할 | ||
| 군사법원 | 중앙지역군사법원 · 제1지역군사법원 · 제2지역군사법원 · 제3지역군사법원 · 제4지역군사법원 | |
| 대한민국 검찰청 관련 틀 |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 서울동부지방법원 서울東部地方法院 Seoul Eastern District Court | }}} | ||
| <colbgcolor=#005496><colcolor=#fff> 설립일 | 1971년 9월 1일 서울민·형사지방법원 성동지원[1] 2004년 2월 1일 서울동부지방법원[2] | ||||
| 법원장 | 16대 박범석 (사법연수원 26기) | ||||
| 수석부장판사 | 김정민 (사법연수원 29기) | ||||
| 소재지 | 서울동부지방법원청사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101 (문정동) | ||||
| 법원 보관금 취급 은행 | 신한은행 | ||||
| 웹사이트 | | ||||
1. 개요
| |
| 서울동부지방법원 조감도 |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101 (문정동)에 있는 지방법원이다. 서울고등법원 산하에 있다.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진구, 강동구, 송파구 4개 구를 관할하고 있는 법원이다. 서울동부지방검찰청과 함께 문정 법조타운을 이루고 있는 시설 중 하나다.
2. 역사
- 1971년 9월 1일: 서울민사지방법원, 서울형사지방법원 성동지원 개원
- 1976년 1월 1일: 서울지방법원 성동지원 개칭[3]
- 1979년 9월 1일 : 성남시와 광주군을 수원지방법원에 이관[4]
- 1981년 2월 1일: 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 개칭
- 1989년: 서초구와 강남구를 서울지방법원 본원(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이관 (서울지법 본원 서초동 이전)
- 2004년 2월 1일: 서울동부지방법원 승격
- 2017년 3월 2일: 현재 청사로 이전
3. 관할 구역
4. 역대 법원장
| 서울동부지방법원장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
| 초대 안성회 | 제2대 오세빈 | 제3대 송진현 | 제4대 이인재 | 제5대 김진권 | |
| 제6대 심상철 | 제7대 이성보 | 제8대 심상철 | 제9대 이대경 | 제10대 황한식 | |
| 제11대 민중기 | 제12대 이승영 | 제13대 최규홍 | 제14대 윤태식 | 제15대 심태규 | |
| <rowcolor=#fff> 대법원장 | 대수 | 이름 | 임기 |
| 최종영 | 초대 | 안성회 (安聖會) | 2004년 2월 11일~2005년 11월 3일 |
| 이용훈 | 2대 | 오세빈 (吳世彬) | 2005년 11월 4일 ~ 2006년 8월 23일 |
| 3대 | 송진현 (宋鎭賢) | 2006년 8월 24일 ~ 2008년 2월 12일 | |
| 4대 | 이인재 (李仁宰) | 2008년 2월 13일 ~ 2009년 2월 8일 | |
| 5대 | 김진권 (金鎭權) | 2009년 2월 9일 ~ 2010년 2월 10일 | |
| 6대 | 길기봉 (吉基鳳) | 2010년 2월 11일 ~ 2010년 7월 30일 | |
| 7대 | 이성보 (李晟補) | 2010년 8월 11일 ~ 2012년 2월 16일 | |
| 양승태 | 8대 | 심상철 (沈相哲) | 2012년 2월 16일 ~ 2013년 2월 14일 |
| 9대 | 이대경 (李大敬) | 2013년 2월 14일 ~ 2014년 2월 13일 | |
| 10대 | 황한식 (黃漢式) | 2014년 2월 13일 ~ 2015년 2월 12일 | |
| 11대 | 민중기 (閔中基) | 2015년 2월 12일 ~ 2017년 2월 9일 | |
| 12대 | 이승영 (李承寧) | 2017년 2월 9일 ~ 2018년 2월 13일 | |
| 김명수 | 13대 | 최규홍 (崔圭弘) | 2018년 2월 13일 ~ 2020년 2월 13일 |
| 14대 | 윤태식 (尹泰植) | 2020년 2월 13일 ~ 2022년 2월 21일 | |
| 15대 | 심태규 (沈泰圭) | 2022년 2월 21일 ~ 2024년 2월 5일 | |
| 조희대 | 16대 | 박범석 (朴範錫) | 2024년 2월 5일 ~ 현재 |
5. 여담
- 문정동으로 이전하기 전에는 청사가 구의역 3번 출구 쪽에 있었다. 이 때의 서울동부지법을 배경으로 한 구의역 3번 출구라는 단편영화(2019년 작품, 감독: 김창민)가 있다.
6.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714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7147>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행정 | | |
| | |||
| 보건 | | ||
| 사법 | | | |
| 교육 | | | |
| 소방 | | ||
| 치안 | | ||
| 교정 | | ||
| 우정 | | ||
| 세무 | | | |
| 시청 소속기관 | | ||
| 기타 국가기관 | | | |
| | | ||
| | | ||
| 파일:해양환경공단 심볼.svg 해양환경공단 | }}}}}} | ||
[1] 법률 제2253호(1970.12.31.)[2] 법률 제7082호(2004. 01. 20.)[3] 이때 양주군 일부와 가평군(현 의정부지방법원 남양주지원 관할구역)을 성북지원(현 서울북부지방법원)으로 이관하였다.[4] 이들 지역은 훗날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으로 독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