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E500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5007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2px" {{{#555555,#aaaaaa | 순위 | 명칭 | 위치 | 층수 | 높이 | 완공 | 비고 |
1위 | 해운대 엘시티 랜드마크타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 101층 | 412m | 2019년 | ||
2위 | 해운대 엘시티 더샵 레지던스 A | 85층 | 339m | 2019년 | |||
3위 | 해운대 엘시티 더샵 레지던스 B | 333m | 2019년 | ||||
4위 | 해운대 두산위브 더제니스 101동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 80층 | 301m | 2011년 | ||
5위 | 해운대 아이파크 TOWER 2 | 72층 | 292.1m | ||||
6위 | 부산국제금융센터 랜드마크 타워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 63층 | 289m | 2013년 | ||
7위 | 해운대 두산위브 더 제니스 102동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 75층 | 282 m | 2011년 | ||
8위 | 해운대 아이파크 TOWER 1 | 66층 | 273 m | 2012년 | |||
9위 | 해운대 두산위브 더 제니스 103동 | 70층 | 265 m | 2011년 | |||
10위 | W TOWER A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 69층 | 246.4 m | 2018년 | ||
W TOWER B | |||||||
W TOWER C | |||||||
W TOWER D | |||||||
11위 | 힐스테이트 이진베이시티 A동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 69층 | 226.6m | 2022년 5월 | ||
12위 | 더샵 센텀스타 B동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 60층 | 208.5 m | 2008년 | ||
13위 | 해운대 아이파크 TOWER 3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 46층 | 205 m | 2012년 | ||
14위 | 센텀 리더스마크 | 44층 | 200 m | 2008년 | |||
15위 | 협성마리나G7 A동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 61층 | 199.85m | 2021년 | ||
협성마리나G7 B동 | |||||||
16위 | 더샵 센트럴스타 A동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 58층 | 199.8 m | 2011년 | ||
17위 | 센텀 스카이비즈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 42층 | 192m | 2017년 | ||
18위 | 힐스테이트 이진베이시티 B동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 59층 | 188.8m | 2022년 5월 | ||
힐스테이트 이진베이시티 C동 | |||||||
19위 | BI CITY 오피스텔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 49층 | 187.75 m | 2011년 | ||
20위 | WBC 더 팰리스 101동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 51층 | 186.8 m | 2018년 | ||
WBC 더 팰리스 102동 | |||||||
21위 | 더샵 센텀스타 C동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52층 | 182.25 m | 2008년 | ||
22위 | 온천장 SK 허브스카이 | 부산광역시 동래구 | 49층 | 182 m | 2006년 | ||
23위 | 더샵 센텀스타 A동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51층 | 180.15 m | 2008년 | ||
24위 | 롯데호텔 부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43층 | 171.66 m | 1997년 | ||
25위 | 서면 삼한 골든뷰 센트럴파크 102동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전동 | 58층 | 169.2 m | 2019년 | ||
26위 | 서면 삼한 골든뷰 센트럴파크 101동 | 57층 | |||||
서면 삼한 골든뷰 센트럴파크 103동 | |||||||
27위 | 해운대 힐스테이트 위브 102동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 53층 | 167.5m | 2015년 2월 | ||
해운대 힐스테이트 위브 202동 | |||||||
28위 | BI CITY 호텔 & 오피스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 36층 | 165.2 m | 2018년 | ||
29위 | 더샵 센트럴스타 C동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 48층 | 165.11 m | 2011년 | ||
더샵 센트럴스타 D동 | |||||||
30위 | 해운대 롯데캐슬 스타 101동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 49층 | 163.2m | 2020년 9월 | ||
해운대 롯데캐슬 스타 102동 | |||||||
해운대 롯데캐슬 스타 103동 | |||||||
해운대 롯데캐슬 스타 104동 | |||||||
31위 | 벽산 아스타 101동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 52층 | 162.5 m | 2008년 | ||
계획 중 혹은 공사 중인 마천루 | |||||||
1위 | 남천2구역 재건축 LIGHT PEAKS 01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 99층 | 399m | 특별건축구역 지정 | 미정 | |
남천2구역 재건축 LIGHT PEAKS 02 | |||||||
2위 | 부산롯데타워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 67층 | 342m | - | 2028년 예정 | |
3위 | 글로벌 퀀텀 콤플렉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 74층 | 307.2m | - | 미정 | |
4위 | SKY.V 부산북항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 77층 | 2??m | 계획중 | 미정 | |
5위 | SKY.V 센텀시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 64층 | 279.40m | - | - | |
6위 | 블랑 써밋 74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 69층 | 263m | 공사중 | 2028년 11월 예정 | |
7위 | 남천2구역 재건축 SUN PEAKS 02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 75층 | 260m | 특별건축구역 지정 | 미정 | |
8위 | 오티에르 시티즌파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 69층 | 257.3m | 사업시행인가 | 미정 | |
9위 | IFC 자이 더 스카이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 67층 | 255m | 재개발 추진중 | 미정 | |
10위 | 촉진1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동 | 69층 | 253.2m | 사업시행인가 | 미정 | |
11위 | 르엘 리버파크 센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 67층 | 245.85m | 건축심의 통과 | 미정 | |
12위 | 인스페어 마린시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 53층 | 245.57m | - | 미정 | |
13위 | 남천2구역 재건축 SUN PEAKS 03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 60층 | 225m | 특별건축구역 지정 | 미정 | |
14위 | 롯데캐슬 드메르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 59층 | 213.35m | 공사중 | 2025년 | |
15위 | BIFC II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 45층 | 199.5m | 공사중 | 2025년 | |
16위 | 아크로 라로체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 60층 | 194.95m | 재개발 추진중 | 2030년 | |
17위 | 남천2구역 재건축 SUN PEAKS 04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 54층 | 190m | 특별건축구역 지정 | 미정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 서울특별시 | ||||
서초 푸르지오 써밋 | 용산 푸르지오 써밋 | 반포 써밋 | 대치 푸르지오 써밋 | ||
라체르보 푸르지오 써밋 | 써밋 더힐 | 써밋 더 트레시아 | 신길 푸르지오 써밋 | ||
서초 써밋 엘리제 | 써밋 비셀리움 | 써밋 르상트르 | 한남 써밋 | ||
써밋 듀 포레 | 써밋 더 블랙에디션 | 신반포 써밋 라피움 | 개포 써밋 187 | ||
영등포 써밋 드씨엘 | 써밋 이스티지 | ||||
<color#fff> 부산광역시 | |||||
더 비치 푸르지오 써밋 | 블랑 써밋 74 | 남천 써밋 | |||
경기도 | |||||
과천 푸르지오 써밋 | 과천 센트럴파크 푸르지오 써밋 | 써밋 마에스트로 |
|
<colbgcolor=#49352c><colcolor=white> 조감도 |
| ||
<colbgcolor=#49352c><colcolor=#fff> 명칭 | 블랑 써밋 74 | |
영문 명칭 | Blanc SUMMIT 74 | |
종류 | 주상복합 | |
브랜드 | 푸르지오 써밋 | |
주소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330-311 | |
입주 | 2028년 11월 예정 | |
동수 | 4개동 | |
층수 | 지하 5층, 지상 49~69층 | |
높이 | 최고 263m | |
세대수 | <colbgcolor=#818175><colcolor=white> 아파트 | 998세대 |
오피스텔 | 276실 | |
면적 | 아파트 | 94㎡, 116A㎡, 117A㎡, 117B㎡, 130㎡, 138㎡, 247㎡(복층) |
오피스텔 | ㎡ | |
주차대수 | 아파트 | 1,912대 (세대당 1.91대) |
오피스텔 | 523대 (세대당 1.89대) | |
시공사 | 대우건설 |
[clearfix]
1. 개요
홍보 영상 |
2023년 12월 1일 착공이 시작되었으며, 2028년 11월 완공 후 입주를 시작한다. 완공시 초량동의 협성마리나G7을 제치고 동구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된다.
블랑 써밋 74는 BLANC(순백의), SUMMIT(정점), 74(지하 포함 랜드마크 층수)의 합성어로 대우건설의 하이엔드 주거 브랜드인 '써밋'이 적용된다.[1]
2. 특징 및 시설
|
<colbgcolor=#49352c><colcolor=white> 블랑 써밋 74 |
단지 배치도 |
|
높이는 최고 69층에 263m로 이는 비슷한 층수대인 W, 힐스테이트 이진베이시티보다 더 높고 부산국제금융센터보다는 낮은 높이이며 또한 타워팰리스 3차 G동 건물과 층수와 높이가 같다. 또한 완공되면 부산에서 11번째로 높은 마천루가 된다.
전용 면적 | 평 | 방/화장실 | 세대 수 | 위치한 동 |
94㎡ | 37평 | 3/2 | 92세대 | 103동 (2, 5호) |
116A㎡ | 46평 | 4/2 | 92세대 | 103동 (1, 6호) |
117A㎡ | 47평 | 3/3 | 242세대 | 101, 102동 (1, 6호) |
117B㎡ | 47평 | 3/3 | 242세대 | 101, 102동 (2, 5호) |
130㎡ | 52평 | 4/2 | 92세대 | 103동 (3, 4호) |
138㎡ | 55평 | 3/3 | 237세대 | 101, 102동 (3, 4호) |
247㎡ (복층형 펜트하우스 세대) | 99평 | 3/3(하층),1/1(상층) | 4세대 | 101, 102동 (3, 4호) |
원안 설계 계획은 35평형, 45평형 2개의 평수로만 구성된 비교적 평범한 설계였으나, 최종 변경된 설계도 상에서는 대형 평형대가 대거 추가되었고, 전용면적 85㎡ 이하의 세대가 삭제되면서 중대형 평수 위주로만 구성된 설계로 변경되었는데, 유일한 중소형 평형대인 37평형(전용면적 94㎡) 세대도 단 92세대만 있고, 나머지 세대는 모두 46평 이상의 대형 평형대로 변경되었다. 인근 신축 아파트 단지들이 대부분 중소형 평수 위주인것과는 달리 이곳은 중대형 평수 위주 구성이라는 점이 차별점인 셈.
아파트 외관은 검은색 유리를 사용하여 커튼월룩으로 마감하며 이와 함께 하얀색 외장재(일부 페인트, 일부 세라믹 패널)를 사용하여 백색 동백꽃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이다. 아파트 옥상부에는 동백꽃을 형상화한 구조물을 설치하여 수려한 경관을 형성한다. 다만 용호동 W처럼 미디어파사드를 설치하지는 않으며 조명이 옥상부 구조물을 비추는 형식이다.
엘리베이터는 101동과 102동은 각각 9대씩 설치되고(101동의 경우 1대는 스카이 어메니티 전용), 103동에 6대, 오피스텔 동인 201동에 6대가 설치될 예정이다.
소음 관련 등급(공동주택성능표기준) |
경량충격음 차단성능 | ☆☆☆☆(1등급) |
중량충격음 차단성능 | ☆☆(3등급) |
세대간 경계벽의 차음성능 | ☆☆☆☆(1등급) |
교통소음(도로, 철도)에 대한 실내ㆍ외 소음도 | ☆(4등급) |
화장실 급배수 소음 | ☆(4등급) |
층간소음 관련하여 성능 평가는 3등급으로 대우의 특허 기술 스마트 3중 바닥이 적용된 타단지는 중량충격음 2등급인것으로 볼때(부산의 경우 적용된 곳은 대연 더 비치 푸르지오 써밋, 에코델타시티 푸르지오등 이 있다) 스마트 3중 바닥 시스템이 미적용 된 것으로 보인다. 특이점으로는 101동, 102동이 무량판 구조인것에 비해 103동은 벽식으로 지어지는 것을 감안하면 층간소음에 다소 주의가 필요하다. #
2.1. 단지 시설
Sky & Gated 어메니티 |
어메니티 시설 |
|
건물의 45층에도 45 스카이 어메니티[3]가 설치될 계획인데, 45 Water Stay라는 명칭의 입주민들을 위한 스카이 워터 스파 시설과 시그니처 게스트하우스, 범일 서재 라는 명칭의 독서실이 설치될 계획이다.
2.2. 상업시설
초고층 주상복합 답게 대규모 상가시설이 들어올 예정이다. 그러나 이하에서 언급하겠지만, 미55보급창으로 가로막혀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실질적인 상가로서의 기능을 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있다.
이외에도 도보로 복합 쇼핑몰인 커넥트현대 부산을 이용할 수 있으며, 조방앞 상권가도 도보 10분 정도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대형 마트의 경우 이마트 문현점이나 홈플러스 부산감만점을 이용할수 있다.
자차나 대중교통 이용시에는 서면과도 가까이 있다 보니 대형 백화점인 롯데백화점 부산본점을 이용하기 용이하며, 롯데백화점 광복점도 멀지 않다. 또한 번영로나 광안대교를 통해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을 이용할수도 있다.
2.3. 컨시어지 서비스
- 세탁서비스, 하우스키핑, 펫케어 서비스
- 아워홈 다이닝 서비스
- 입주민을 위한 건강검진,출장검진 등 종합 헬스케어 서비스
- 부동산 및 상속 전문 세무사를 통한 세무컨설팅 서비스
3. 주변 환경
단지 바로 앞쪽으로 북항재개발 2단계 구역과 함께 2030 엑스포 개최를 추진했었던 부지가 위치하고 있으며, 미군55보급창 이전후 공원화 할 예정이다.[4]
단지 인근으로는 두산위브 더제니스 하버시티, 오션브릿지, 두산위브 포세이돈 등 아파트 단지들과 도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접하고 있으며, 북쪽에 범일2동 행정복지센터와 부산진시장 등이 위치하고 있고 조방앞 상권과 오피스텔들이 밀집하여 있다.
3.1. 교통
지리적으로 부산의 중심부에 위치한 곳이라 자차 이용시 부산 어디로든 가기 용이한 편이다. 단지 주변으로 수정터널, 번영로, 동서고가로, 황령터널 등이 위치하고 있다.3.1.1. 대중교통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좌천역이 인근에 있다.3.2. 교육
학교는 성남초등학교가 근처에 있다.4. 기타
용호동 W, 브라이튼 여의도, 앙사나 레지던스 여의도 서울 등을 설계한 기안건축사무소가 블랑써밋의 건축설계를 하였다.대우건설은 블랑 써밋 74에 적용할 ‘푸르지오 에디션 2025’에 담기는 신규 상품 일부를 선보일 계획이다. ‘푸르지오 에디션 2025’에서는 ‘자연을 더 온전히 느낄 수 있는 주거’와 ‘격이 있는 자연과 자연스러움’을 콘셉트로 개발 중이며 자연에 둘러싸인 공간에서 사색과 휴식을 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선보일 계획이다.
대우건설은 단지명을 블랑 써밋 74로 결정하였고, 부산시는 블랑 써밋74가 북항의 랜드마크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최고층 263m에 달하는 마천루로 지을 것을 전제로 블랑 써밋74 아파트 건설사업을 승인하였다.#
5. 논란 및 사고
오염토 관련
해당 건설부지는 1960년경까지 55보급창의 소각 및 매립부지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이 2024년 10월 부산시 국정감사 과정에서 드러났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국토위 염태영 의원(수원무)을 시작으로 같은 당 행안위 이해식 의원, 이상식 의원 등이 55보급창 인접 부지에 1급 발암물질로 오염된 토양과 그로 인해 오염된 지하수를 타고 부산항으로 흐르거나 인접 부지로 흘러갈 수 있는바, 인접 지역 주민의 생명과 건강을 우려하며 부산시의 행정을 질타했다.
건설 과정에서 오염토가 실제로 발견되었고 일부 정화 작업이 진행되었으나 현재도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이다.
오염토를 경남 곳곳에 투기한 것이 해당 지자체들에 적발되어 원상복구 시정조치를 받은 상태이다.(관련 기사 참조)
오염토에서 나온 오염수가 상수원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는 정황이 포착되었다.(관련 기사 참조)
관련 기사
환경 오염 관련 | |||
제목 | 출처 | 일자 | 링크 |
오염토 매립 현장 가봤더니...최대 상수원 근처 | MBC경남 | 2025-2-5 | # |
부산 '오염토'..경남에 매립 | MBC경남 | 2025-02-03 | # |
국정감사 55보급창 및 인근부지 환경조사 철저히 해야 | 국정감사 | 2024-10-25 | # |
55보급창 인근 오염토..시민 안전은 뒷짐? | 부산 MBC | 2024-10-23 | # |
국정감사장 간 부산 마천루 '블랑써밋74' 토양오염 논란 | 시사저널 | 2024-10-15 | # |
55보급창 공원화 문제
아파트를 둘러싸고 있는 55보급창(미군부대)이 존재한다. 지금 탄핵심판을 받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과 당시 대결한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였던 이재명 현 더불어민주당 대표 모두 55보급창(8부두) 이전을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으나, 윤석열 대통령은 공약사항을 이행하지 않았다. 현 부산시장인박형준 역시도 55보급창 및 8부두 이전을 자신의 공약으로 내새웠으나 지금까지 이행하지 않고 있으며 각종 관계기관과 공조 조차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2023년 해양수산부 공식 답변 참조). 특히, 부산 박형준 시장은 2023년까지는 55보급창을 2030년까지 이전하고 등록엑스포 개최 후 시민공원화 하겠다고 발표하였으나, 블랑써밋74는 2024년 7월 분양을 하면서 2023년 부산시 55보급창 공원화 계획만을 만연히 인용하였고, 이에 55보급창이 곧 공원이 될 것이라고 믿은 사람들이 써밋이라는 하이엔드 브랜드인 대우건설을 믿고 분양을 받았으나, 2024년 12월 더불어민주당 염태영 의원의 55보급창 이전 계획 및 이전 이후의 역할을 따져 묻자 부산시는 공식적으로 2030 등록엑스포가 무산되면서 55보급창의 이전 동력을 잃었으며 사실상 이전 및 공원화 계획조차 백지화된 상태(부산시 공식 답변)라는 사실을 밝혔다.
이에 블랑써밋74 입주예정자 및 55보급창이 시민공원으로 될 것으로 기대하고 선제적으로 불편을 감수하고 입주한 주변 입주민들이 55보급창 이전 및 공원화를 적극 요청 중이다.
부산시의 새로운 계획은 공원 부지를 줄이고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와(예정) 일부 공원(아파트 건설 후 남는 부지)이 들어올 계획이다.
또한, 이곳은 동천 재생 및 개발과 맞물려 있다. 그런데 동천정화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염도 측정위치부터가 잘못되었다는 환경단체의 지적이 있으며, 동천 정화가 현재까지 제대로 되고 있지 않아 인근 주민들의 악취 등으로 인한 민원제기가 잇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 뉴스
55보급창 관련 |
제목 | 출처 | 일자 | 링크 |
55보급창 이전 관련 주민토론회 열려 | 부산 MBC | 2024-12-30 | # |
[단독] 美55보급창 공원화 '원점 검토'…엑스포 불발도 영향 | 시사저널 | 2024-12-27 | # |
부산 55보급창, 이전 논의 9년 째.. 언제 옮기나? | 부산 MBC | 2024-10-25 | # |
시민단체 “부산 55보급창을 공원으로 만들자” | 한겨례 | 2019-10-20 | # |
북항 재개발 수익으로 미군 55보급창 공원화하자 | 국제신문 | 2019-10-17 | # |
부산시, 시민공원~북항연계 도심재생 마스터플랜 주민설명회 개최 | 부산IN신문 | 2017-12-05 | # |
미55보급창 공원화 세부계획 | 네이버 블로그 | 2015-01-20 | # |
55보급창 화재 발생
2024년 10월 24일 아파트와 바로 인접한 미군 55 보급창에서 대형화재가 발생하였다. 사실 55보급창은 예전에도 대형 폭발화재가 발생한 곳으로, 각종생화학 폭발무기고로서 화재 발생 시 대량의 사상사고가 예상된다. 2028년 말 기준으로 인근에 2만 여 세대 입주가 예상되고, 2025년 2월 현재 20개 초중고교가 있음에도 부산시는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여러 차례 크고 작은 화재가 발생한 전적이 있어 안전상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관련 링크
55보급창 화재 관련 |
제목 | 출처 | 일자 | 링크 |
[현장영상] 부산서 미군 55보급창 화재…거대한 불길이 '활활' | 연합뉴스 | 2024-10-24 | # |
주한미군 55보급창 화재 | 나무위키 | N/A | # |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E5007F><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555555" | [[자치구|{{{#ffffff 자치구}}}]] | |||||||||||||||||||||||||||||
강서구 | 금정구 | 남구 | 동구 | 동래구 | ||||||||||||||||||||||||||
부산진구 | 북구 | 사상구 | 사하구 | 서구 | ||||||||||||||||||||||||||
수영구 | 연제구 | 영도구 | 중구 | 해운대구 | ||||||||||||||||||||||||||
자치군 | ||||||||||||||||||||||||||||||
기장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