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0:54:21

베가비스

베가비스
Vegavis
파일:베가비스.jpg
학명 Vegavis iaai
Clarke et al., 2005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상목 닭기러기상목Galloanserae
기러기목Anseriformes
†베가비스과Vegaviidae
베가비스속Vegavis
파일:베가비스 복원도.jpg
명관이 묘사된 베가비스의 복원도[1]

1. 개요2. 연구사3.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약 6920~6840만년 전, 중생대백악기 후기에 지금의 남극 지역에서 살았던 기러기목 조류의 일종. 속명은 '베가 섬(Vega Island)의 새'라는 뜻으로, 모식표본이 발견된 남극의 섬 이름을 따온 것이다. 종명은 아르헨티나의 남극 연구소인 'IAA(Instituto Antártico Argentino)'에서 유래했다.

2. 연구사

1993년 남극의 베가 섬에서 최초로 발견된 화석 표본인 'MLP 93-I-3-1'은 단단한 암석 속에 파묻혀 있었는데, 조류 화석의 특성상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었기 때문에 표본 손상을 막기 위해 CT 촬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등 연구진들이 갖은 공을 들였다고 한다. 지금과 같은 학명을 얻어 공식적으로 학계에 알려진 것은 2005년에 와서야 이뤄졌다고 한다.

2016년에는 모식표본 근처에서 발견된 두 번째 화석 표본을 가지고 CT 촬영을 진행한 결과 명관이 보존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현생 조류가 적어도 백악기 후반부터 명관을 발달시켰음을 밝히는 중요한 근거 중 하나로, 이 기관 덕분에 베가비스는 명관이 없는 것으로 추정되는 비조류 수각류나 다른 원시 조류들과는 달리 현생 오리나 기러기와 비슷하게 소리를 낼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 논문

현생 오리기러기를 연상시키는 생김새 때문에 초기에는 기러기목 조류로 분류되었지만, 발견된 표본들이 단편적이라서 정확한 분류에 대해선 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갈렸다. 현생 조류가 아니라는 의견도 있었고, 현생 조류가 맞더라도 기러기목 또는 닭기러기상목과 관련이 없다고 여겨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2025년에 보고된 완전한 두개골 표본을 통해 베가비스가 확실히 현생 조류이며, 현생 오리와 가까운 관계의 기러기목에 속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

3. 대중매체


2023년에 NHK의 공룡 다큐멘터리 공룡초세계2(恐竜超世界2)에 출연하였다. 극중 K-Pg 대멸종을 피해 남극으로 도망쳐온 푸에르타사우루스 위에 앉다가 날아가는 모습이 나온다.[2]


[1] 아래의 수각류는 임페로바토르이다.[2] 다만 푸에르타사우루스와 베가비스는 각각 K-Pg 대멸종보다는 약간 더 이전의 시기의 지층에서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