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27 13:35:21

명관


1. 名官2. 名貫3. 命官4. 明官5. 冥官6. 鳴管7. 진흥왕 때의 승려

1. 名官

이름이 난 관리.

2. 名貫

성명과 본(本)을 아울러 이르는 말.

3. 命官

조선시대에, 전시(殿試)를 주재하도록 임금이 친히 임명하던 시험관.

봉건왕조시절 중국에서 명관은 황제가 임명한 공무원을 뜻했다.

4. 明官

일에 밝은 벼슬아치란 뜻으로, 고을을 잘 다스리던 현명한 관리.

5. 冥官

불교용어: 지옥에서 중생의 죄를 재판하는 관리.

6. 鳴管

Syrinx

곤충, 에 있는 발성 기관. 물론 새의 발성 기관과 곤충의 발성 기관은 서로 구조적으로 굉장히 다르지만,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새의 경우 포유류의 성대와도 같은 기능을 한다. 원래는 없었다가 늦어도 백악기 후기쯤에 진화해 존재하던 기관이라 하며,[1] 이 때문에 대다수 새가 아닌 공룡들은 큰 포효소리를 내지 못했을 것이라고 하며, 악어처럼 목근육을 떨어 낮게 우는 소리를 냈을 거라고 추정할 뿐이었지만 2018년 곡룡류에 속한 피나코사우루스의 화석을 분석한 결과, 명관 다음으로 발성에 중요한 기관 중 하나인 후두골이 발견되었다. 명관 자체가 보존된 것은 아니기에 후두골에서 자체적으로 소리를 내었다고 확답할 수는 없으나, 새의 후두골처럼 소리에 변형을 주는 역할(sound modifier)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7. 진흥왕 때의 승려

明觀
신라시대에 중국에 유학한 두 번째 승려이다. 565년에 불경을 신라 땅에 가져왔다.
[1] 기존 설명에선 K-Pg 멸종 이후 생겼다고 했으나, 베가비스의 발견으로 그 이전부터 있던 기관이라는 것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