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전함을 뜻하는 일반적인 의미}}}에 대한 내용은 [[전함]]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전함#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전함#|]]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본 문서 1번 문단의 보드게임을 원작으로 하는 실사 영화}}}에 대한 내용은 [[배틀쉽(영화)]]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배틀쉽(영화)#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배틀쉽(영화)#|]]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전함을 뜻하는 일반적인 의미: }}}[[전함]]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전함#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전함#|]]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본 문서 1번 문단의 보드게임을 원작으로 하는 실사 영화: }}}[[배틀쉽(영화)]]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배틀쉽(영화)#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배틀쉽(영화)#|]]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보드게임
Battleship | |
밀튼 브래들리 버젼 1967년판 | |
디자이너 | 클리퍼드 본 위클러 (Clifford Von Wickler) |
발매사 | Milton Bradley[1] |
발매 연도 | 1931년 |
인원 | 2명 |
플레이 시간 | 30분 |
연령 | 8세 이상 (보드게임긱 : 6세 이상) |
장르 | 어린이 게임 |
테마 | 어린이 게임, 해양 |
시스템 | 추리, 유닛 정보 숨김 |
관련 사이트 | 보드게임긱 페이지 |
1.1. 개요
미국의 보드게임. 저작권[2]은 현재 해즈브로가 갖고 있다.1.2. 역사
원래 세계대전 당시 포로수용소 수감자들이 소일거리로 땅바닥에 그림을 그리거나 어떻게 얻은 종이에 눈금을 그려서 했던 게임이 원조이다. 빙고 게임과 비슷해서 실제로 미국의 빙고 게임장에서 공개적으로 이 게임을 전광판에 돌리는 경우도 있다. |
Sunk |
이렇게 원래는 종이와 연필로 하던 게임[4]을 대대적으로 고쳐서, 현재의 도시락통형 보드판과 거기에 꽂는 플라스틱 컴포넌트를 확립시킨 것이 밀튼 브래들리사의 1967년작 배틀쉽이다. 그리고 그 밀튼브래들리를 1984년 해즈브로가 인수하면서, 이후 배틀쉽은 해즈브로 소유가 되었다.[5]
한국에서는 80년대 여성잡지나 소년잡지 부록으로 야외에서 간단히 즐길 수 있는 게임 방법 모음 등에서 소개된 바 있다.
1.3. 게임 시스템
룰은 간단하게 각자 원하는 위치에 함선들을 배치하고 각자 상대편의 전함을 맞혀 모두 침몰 시키면 이기고 상대편의 함선이 있음직한 배의 위치를 행(숫자)과 열(알파벳)을 찍어서(!) 맞히면 된다. | |
1999년판 보드게임의 모습. |
1990년판의 함선 종류와 크기는 이러하다.
함선 종류 | 크기 |
항공모함 | 5칸 |
전함 | 4칸 |
순양함 | 3칸 |
잠수함 | 3칸 |
구축함 | 2칸 |
2002년 하스브로판에선 대체로 비슷하지만 명칭이 조금 바뀌었다.
함선 종류 | 크기 |
항공모함 | 5칸 |
전함 | 4칸 |
구축함 | 3칸 |
잠수함 | 3칸 |
경비정 | 2칸 |
1.4. 확장
배틀쉽 갤럭시라는 인간과 외계인간의 우주전을 배경으로 하는 것도 나왔는데 기존 배틀십보다 규칙이 약간 복잡하며 사각패널이 아니라 육각패널이고 각 종족의 기함은 약점이 따로 존재해서 맞은 곳에 따라 큰 피해를 입힐 수 있어 미니어쳐 게임을 하는 느낌을 준다.1.5. 바리에이션
상당히 인기가 있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버전으로도 포팅되었다. | |
1991년도에 나온 윈도우용 게임 Battle Sat. | |
| |
1991년도에 나온 도스용 게임 Battle Fleet. | 게임보이용 네이비블루. |
| |
패미컴용 네이비블루. |
신나는 Wi-Fi 게임전집 북미판 및 유럽판에도 'Grid Attack'이라는 이름으로 수록되었다.#
무작위의 상대 혹은 주소를 아는 친구와 대전 가능한 페이지도 있다.#
컴퓨터와 대전하는 플래시 게임 버전도 있다. #
1.6. 기타
상단에도 적혀 있지만, 게임룰은 퍼블릭 도메인이고, 상표명과 게임 디자인만 특허에 걸려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 그리고 이름으로 게임이 출시된다. 보드게임긱에 등록되어 있는 게임명은 언어별로 다르게 표기되는 것 포함해서 79개이다. 그런데 보면 알 수 있지만, 언어별 차이로 인한 표기 차이는 얼마 안되고 대부분은 애초에 다른 이름들이다. 몇개만 예를 들면, Air Battle, Aqua ¡Boom!, Battleboats, Broadside, Combat, Convoy, Normandie, Play Marine, Sea Battle, Sink the Battle Fleet, Tank Commander, Trafalgar, Travel Battleship, Travel Sea Battle, Two Worlds Collide, Warship 등이다.캐세이퍼시픽에서도 기내 안의 게임으로도 쓰기도 한다.
2015년 5월 31일자 런닝맨에서도 비슷한 게임이 나왔는데 전함 모형대신 짜장면을 놓아두고 주위에 짬뽕 4개, 나머지 칸을 홍초를 놓아 상대방의 짜장면을 선택하면 승리하는 게임이다.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이 퇴임하면서 스스로 촬영한 영화 'Bill Clinton - The Final Days'에서도 이 게임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퇴임직전 대통령의 처량한 신세를 볼 수 있는 단편영화로, 게임장면도 그런 상황을 보여주는 도구로 쓰인다. (영화 4분 25초부터)백악관 전쟁 상황실을 보여주고, 빌 클린턴이 대단히 심각하게 고민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알고보니 이 게임을 하고 있는 장면이다. 이때 클린턴의 상대역으로 나와서 "You sunk my battleship!(내 전함을 침몰시켰네요!)"이라는 대사를 날리는 인물은 휴 쉘턴(Hugh Shelton) 육군 대장으로 당시 합참의장.
영화 배틀쉽 개봉 기념으로 무비 에디션도 발매되었다.
차이점은 지구 진영과 외계 진영으로 나뉘어, 지구 진영은 오리지널과 마찬가지로 순양함, 항공모함, 구축함, 이지스함으로 등장하고 외계진영은 영화에서 등장한 호위함들과 배리어를 생성하는 모함이 등장한다. 또한 공격 모드 HUD도 지구 진영은 초록색 레이더 화면이고 외계 진영은 주황색 화면으로 나온다.
묘기전문 유튜브 채널인 Dude Perfect는 이 보드게임을 대형으로 제작하여 플레이하였다.
MrBeast가 이 보드게임을 현실에서 플레이하기도 했다.
토이 스토리(1995)에서도 등장하는데, 앤디의 생일선물 꾸러미 중
일본 애니메이션 미나미가에서도 미나미 카나와 미나미 치아키가 집안에서 하는 장면이 잠깐 나온다.
페이퍼 크래프트로 함대 컬렉션버전 배틀십 게임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샘 앤 맥스 시리즈 최초의 게임인 1993년작 'Sam & Max: Hit The Road'의 미니게임으로도 배틀십 게임이 있다. 한 버거집에서 돈 주고 사면 된다. 여기서는 게임 제목이 "Carbomb" [7] 여기서는 추가적으로 주변 3X3 칸을 폭파시키는 원자폭탄처럼 생긴 폭탄 두 개와,[8] 날라오는 공격을 상대방에게 반사시키는 트램펄린 두 개가 있다.
넷플릭스 예능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의 3번째 게임으로 등장한다.
2. 워크래프트 3의 유즈맵
한때 카오스와 더불어 최고의 인기를 자랑했던 맵이었다. 다른 워크래프트 3 유즈맵과 비슷하게 피닉스 파이어를 기반으로 한 아이템을 사용하며[9] 기본적으로 모든 공격이 무빙샷이 되지만 반대로 말하면 모든 공격이 타겟팅이 되지 않아서 점사가 쉽지 않고 시야가 밝혀져 있지않을 경우 속절없이 적의 공격에 노출된다. 따라서 시야가 굉장히 중요한 요소가 된다. 아이템의 경우 크게 공격아이템과 서포팅아이템으로 분랴가 되는데 공격아이템의 경우 사정거리가 작을수록 위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하며 사정거리가 멀어질수록 데미지가 크게 높지 않다. 또한 맵이 좁고 붙을수록 화력이 높은 무기들 때문에 이동속도가 굉장히 중요하며 특히 원거리 캐릭터들에게는 더더욱 중요하였다. 다행인건 파오캐 마냥 아무 캐릭터나 이속이 풀[10]이 될 수 없고 조건도 굉장이 한정적이라 이동속도가 높고 원거리 아이템을 끼고 짤짤이를 넣는 전법도 가능하다. 몸빵이 좋을수록 대개의 배들이 이동속도가 느리므로(배틀로얄과 블랙펄 같은 슈퍼배는 예외) 비록 허약하고 큰 데미지는 주지 못하지만 멀리서 안정적이게 지속 데미지를 주는 방식으로도 운용을 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3.75버전 때 한국에 무허가 번역맵이 떠돌면서 인지도를 얻었으며 이 때의 맵이 비록 밸런스는 그리 잘맞지 않더라도 굉장히 다양한 전술과 다양한 배, 그리고 다양한 아이템으로 굉장히 재밌는 게임을 낳았던 맵이다.3.75버전 때 가장 악랄했던 배는 잠수함으로 대부분 방에서는 잠수함 금지를 조건에 걸고 했지만 만약 그런 조건이 없을경우 일반 배들은 죽어나갔다. 물론 후반부에는 파훼법이 나오면서 그리 좋지 않은 배라는 인식도 생겼을 정도. 이후 패치로 원거리 암살 무기인 골든 스나이퍼 크루가 삭제되고 그냥 스나이퍼 크루는 초 근거리로 바꿔서 근거리 암살무기로 바뀌게 만들었으며 잠수함의 삭제, 크리세리함과 아라카쉽 등의 패치및 여러 아이템을 개편하고 삭제 하고 그냥 공격무기들에게도 특수효과를 부여하는등의 패치를 하였다. 그리고 꿀템 중에 꿀템인 골든헐과 고블린 돛, 블링크는 계속해서 너프를 받는다. 이후 패치들은 3.75버전이 지향하던바와 굉장히 달라지게 됐는데 3.75버전이 아무 유저나 들어와서 몇번 하다보면 적은 돈으로도 이 아이템 저 아이템 맞춰서 후반에 1인분을 할 수 있었던 반면 이 후버전에서는 제대로 모르면 돈 관리를 못해서 아이템 트리도 꼬이고 그냥 골드 공급원이 되어 버렸다. 물론 중복된 아이템 다수 삭제와 아이템에 특수효과 부여는 칭찬해줄만하며 그로 인하여 아이템 트리가 더욱 세분화돼서 적당한 스펙의 아이템들만 구매하여 근거리, 중거리, 원거리를 다 커버하는 하이브리드형 캐릭터들은 더더욱 볼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패치들로 점점 가격이 정신없이 올라가고 슈배나 1만골 이상의 템들은 장식품에 불과해지면서 초반에는 돈을 모으는 식으로 게임이 바뀌고 그로 인하여 적에게 골드를 안주면서 자신은 골드를 계속 수급하고 적을 손쉽게 죽일 수 있는 크루세이더가 인기가 끌게 된다. 과거에 인터셉터나 수리배로 게임을 풀어나가는 것은 이제 보기 힘들게 됐고 비쌀수록 아이템 효율이 매우 좋아지므로 그 아이템들로 중반을 버티고 후반에 1만골 짜리 배나 아이템을 뽑게 되면 혼자서 전장을 휩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중에 게임은 지독한 크루세이더 전을 보게 되었다...
도타 2로 리메이크 되었다. 상당히 완성도 높은 모습을 보여준다.http://todayhumor.com/?dota2_256
[1] 현행 형태 기준으로.[2] 저작권의 보호 기간이 95년이므로 2027년에 저작권 보호 기간이 끝난다.[3] 물론 현재의 배틀쉽은 법률의 보호를 받는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상표권과 게임 디자인이 등록되어 있다. 같이 해즈브로 소유인 모노폴리와 마찬가지 케이스로, 아래 출시된 게임들 제목이 배틀쉽이란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 이 때문이다.[4] 사실 지금도 종이에 프린트한 게임판과 연필이면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최근 초등,중학교에서 좌표평면등을 가르치면서 원조 종이와 연필식으로 하기도 한다.[5] 하지만 해즈브로는 보드게임계에서 이름이 높았던 밀튼 브래들리의 사명을 꽤 오랫동안 유지시키는 정책을 사용했다. 위자드 오브 코스트나 아발론 힐 역시 해즈브로에 인수된 이후에도 원래 사명으로 게임을 발매했다.[6] 위판과 아래판 모두 빗맞은 탄은 흰색으로 명중한 탄은 붉은색으로 표시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배에 탄이 명중한 것은 상대방에게 알려줘야 한다.[7] 앞서 언급했듯이 상표명에 특허가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드립성 대화가 있다. 샘의 "그나저나 왜 이 게임은 이름이 "Carbomb"인거야? (Why is this game called "Carbomb," anyway?)" 라는 질문에 맥스 왈, "저작권 고소로 바지 벗겨지는 걸 피하기 위함이지. (To avoid getting the pants sued off us.)" 그 후 샘 왈, "하지만 넌 바지를 안 입잖아. (But you don't wear any pants.)"[8] 가끔 맥스가 이 폭탄을 쓸 때 벅스 버니의 대사를 읇는다. 해당 대사는, "Of course you realize, this means war."[9] 이런 시스템이 처음 사용된 맵은 배틀탱크다.[10] 워크래프트는 이동속도 522가 상승 한계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