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18:26:17

발루치 연맹

파키스탄의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더스 문명 상고대 외세 지배기 마가다 그리스 헬레니즘 - 스키타이 - 파르티아 대월지
P 금석병용기 <colbgcolor=#daa520> 아리아 인의 침입 - 철기 도입 <colbgcolor=#daa520> 간다라 다리우스 -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간다라 <colbgcolor=#5f97a3> 마케도니아 - 알렉산더 ox 마우리야 제국 - 아소카 대왕 마우리야 왕조 인도 - 그리스 왕국 탁실라 메난데르 대왕 탁슬라 인도 쿠샨 제국 <colbgcolor=#9932cc> 쿠샨 제국 - 카드피세스
T T
J 카슈미르 포루스 판찬난다 사칼라 북 사트라프
L 드라비다 인 <colbgcolor=#daa520> 모헨조다로 코트 - 디지 하라파 카케이 포루스 판찬난다 북 사트라프
H 아라코시아
M 파우라바 페이톤 아라코시아 인도 - 파르티아 인도 - 파르 파르
C(인더스 중류)
MJ 암리날 수드라 난다 제국 <colbgcolor=#daa520> 살라바 서사트라프
S 압히라 압히라 스키타이
K 원주민 페르시아 제국 왕조 원주민 제국 시빌티오스 셀레우코스 인도 - 스키타이
M 마크란 인 제국 티아 티아 인 - 파
Q 게드로시아
B
쿠샨 제국 사산 / 굽타 / 후나 제국 분열기 이슬람 도래 이란계 왕조들 가즈니 제국
K 장중 왕국 얄룽 왕국 토번 제국 야르칸드 / 라다크 왕국
P 쿠샨 제국 - 카니슈카 대왕 쿠샨 제국 카슈미르 후나 후나 - 에프탈 후나 - 에프탈 제국 카불 샤시 <colbgcolor=#daa520> 카슈미르 가즈니 가즈니 - 마흐무드 가즈니 제국
T 카슈미르
J 타까 불 샤시 샤시들 샤시들
L
H 사산 쿠샨 샤 쿠샨 샤
M 카이카난 자불 사파르
C 사산 굽타 제국 굽타 굽타 제국 신드 <colbgcolor=#daa520> 신드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신드
MJ 신드
S 압히라 신드 구자라 <colbgcolor=#daa520> 숨라
K
M 쿠샨 사산 제국 사산 왕조 페르시아 (이란 제국) 사파르 왕조 사만 <colbgcolor=#9c2542> 제국
Q G
B 쿠프 <colbgcolor=#006400> U
12세기 13세기 : 몽골 14세기 15세기 16세기 : 무굴 제국 17세기 아프샤르 왕조
K 야르칸드 / 라다크 왕국 <colbgcolor=#015197> 몽골 <colbgcolor=#015197> 차가타이 칸국 <colbgcolor=#015197> 동차가타이 티무르 제국 라다크 - 남걀 왕조 준가르
R 가즈니 왕조 카슈미르 라호르 호라즘 티무르 바부르 무굴 제국 수르 제국 무굴 제국 무굴 제국 무굴
제국
호타키 왕조 아프샤르 왕조 - 나디르 샤
P 일 칸국 카르트
J 가즈니 <colbgcolor=#20b2aa> 구르 제국 맘루크 왕조 델리술탄 - 킬지 델리 술탄 왕조

투글루크 왕조
사이드 왕조 로디 왕조 미슬
L G L
H 구르 제국 델리 맘루크 왕조
M 구르 왕조 가즈니 물탄
C(인더스 중류)
M

제국
제국 일 칸국 미라반 왕조 무자파르 왕조

헤라트
카불 무굴
Q 호타키
B 호라즘 사파비 왕조 사파비 왕조
M
S 숨라 숨라 왕조 숨라 아르군 무굴 신드
K
근대 현대
K 두라니 제국 시크 왕국 잠무 카슈미르 왕국 영국
인도 제국
파키스탄 자치령(서파키스탄) 파키스탄 이슬람 공화국
R
P
J
L 영국 동인도 회사
H
C(인더스 중류)
M
Q 무굴 제국칼라트 칸국
신드국
B
M
S
K
※ K는 카슈미르 또는 카라치, P는 페샤와르, L은 라호르, M은 물탄, C는 인더스 중류(펀자브), P는 펀자브 남부, S는 신드 지방, Q는 퀘타, B는 발루치스탄(발루치인들은 5세기부터 본격적으로 발루치스탄에 이주), M은 마크란 *번외:발루치스탄과 마크란 일대에는 준국가로서 발루치 연맹이 12세기, 15세기~16세기에 각각 등장
}}}}}}}}} ||

영어: Baloch confederacy

1. 개요2. 역사
2.1. 1차 발루치 연맹(12세기)2.2. 2차 발루치 연맹(15세기~16세기)
3. 영역과 정치

1. 개요

중세, 근세시대 서아시아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남부 사이에 세워진 발루치인들의 연맹 세력 및 국가.

2. 역사

2.1. 1차 발루치 연맹(12세기)

발루치 연맹
Baloch confederacy
12세기
성립 이전 멸망 이후
부족들 분열
종교 이슬람 수니파
수도 없음(사실상 마크란의 케츠 지구)
언어 발루치어
정치 족장(부족 연맹체제)
현재 국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발루치인|]](
)
발루치인의 전설적 군주이자 사르다르[1]인 미르 잘랄 칸(Mir Jalal Khan)[2][3]은 44개의 부족들을 이끌고 페르시아을 탈출하여 자긴(Jagin)[4]을 경유한 후 발루치스탄 남부 해안 및 인근의 마크란까지 이주했다. #

전설에 의하면 잘랄 칸은 마크란의 케치라는 곳에서 라샤리(Lashari), 린드(Rind), 호스(Hoth), 코라이(Korai) 등 네 명의 아들들을 남기고 죽었으며, 잘랄 칸에 이어 미르 린드가 발루치인의 족장이 되었다. 이곳에 정착한 발루치인들은 12세기에 통합을 시도했으며 결국 발루치인 역사상 처음으로 통합에 성공했다. 이후 발루치인들은 자신들의 독자적인 세력을 이루었는데 이 세력이 첫 발루치 연맹이 되었다.

그러나 통합은 길지 못했고 결국 다시 여러 부족들로 나뉘어졌다. 그럼에도 이 때부터 각자 많은 발루치인 족장들이 대부분의 발루치스탄 일대들을 오랫동안 길게 통치할 수 있었다.

2.2. 2차 발루치 연맹(15세기~16세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르 차카르 린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발루치 연맹
Baloch confederacy
1487년–1512년[5]
성립 이전 멸망 이후
부족들 분열(마크란국, 도다이 연맹, 칼라트 연맹)
종교 이슬람 수니파
수도 없음(사실상 마크란의 케츠 지구)
언어 발루치어
정치 족장(부족 연맹체제)
현재 국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발루치인|]](
)

15세기 후기에서 16세기 중기까지 주변 국가들과 동맹국, 라샤리 부족의 미르 그와람 칸 라샤리 등 여러 부족들 사이에서 경제적 이유로 인해 여러 분쟁들이 나타나기도 했으나 린드 부족의 족장이었던 미르 차카르 린드 통치 하의 발루치 연맹은 주변 지역들을 점령해서 크고 강력했다.

3. 영역과 정치

지금의 파키스탄 서북부와 이란 동남부 사이인 발루치스탄의 마크란 일대를 중심으로 세워졌으며, 전성기 때는 케르만에서 펀자브, 신드인더스강에 이르는 영역을 지배했다. #

정치는 두 차례의 발루치 연맹 모두 부족 연맹체제로 운영되었다.


[1] سردار. 페르시아어로 왕족 및 귀족, 족장을 나타내는 칭호이다.[2] 발루치어: جلال خان.[3] 지금도 많은 발루치인들은 잘랄 칸을 리더쉽과 단결의 상징으로 여기고 있다.[4] 케르만에서 큰 마을이다.[5] 1512년 초에 끝났다는 주장도 있으나 그 이후에도 미르 차카르 린드는 물탄으로 정착한 후에도 계속 발루치인들을 이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