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7 14:49:42

마스토돈

맘무트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마스토돈(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마스토돈(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마스토돈(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양서류}}}에 대한 내용은 [[마스토돈사우루스]]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마스토돈사우루스#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마스토돈사우루스#|]]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음이의어: }}}[[마스토돈(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마스토돈(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마스토돈(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양서류: }}}[[마스토돈사우루스]]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마스토돈사우루스#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마스토돈사우루스#|]]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마스토돈(맘무트)
Mastodon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mmut_americanum.jpg
학명 Mammut
Blumenbach, 1799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장비목Proboscidea
†마스토돈과Mammutidae
마스토돈속Mammut
  • †아메리카마스토돈(M. americanum)모식종
    Kerr, 1792
  • †마스토돈 마트테위(M. matthewi)
    Osborn, 1921
  • †마스토돈 벡실아리우스(M. vexillarius)
    Matthew, 1930
  • †마스토돈 라키(M. raki)
    Frick, 1933
  • †마스토돈 네바다눔(M. nevadanum)
    Stock, 1936
  • †마스토돈 코스오인시스(M. cosoensis)
    Schultz, 1937
  • †마스토돈 퍼롱기?(M furlongi?)
    Shotwell & Russell, 1963
  • †태평양마스토돈(M. pacificus)
    Dooley et al., 2019
  • †보르손마스토돈(M. borsoni)
    Hays, 1834
  • †마스토돈 오블리퀼로푸스(M. obliquelophus)
    Mucha, 1980
  • †마스토돈 루푸젠시스(M. lufugense)
    Zhang, 1982
  • †마스토돈 주펭엔시스(M. zhupengensis)
    Zhang et. al., 199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mmut_americanum_Sergiodlarosa.jpg
모식종 복원도

1. 개요2. 속명3. 특징4. 진화사5. 매체에서의 등장6. 관련 문서

1. 개요

플라이오세부터 홀로세 극초기까지 생존했던 장비목 마스토돈과 포유류들의 총칭.

2. 속명

속명은 그리스어로 "유두 이빨"이라는 뜻이다. 이빨의 크라운이 여성의 유두와 똑같이 생겨서 이런 이름을 붙인 것.

마스토돈이 아니라 맘무트가 속명이다. 원래 아메리카 대륙에서 발견되었을 당시 아시아코끼리속에 속하는 것으로 착각해 엘레파스 아메리카눔(Elephas americanum)이란 학명을 부여했는데, 다른 종류임이 밝혀져 다시 맘무트속으로 바뀌고, 이후 프랑스의 박물학자 조르주 퀴비에가 마스토돈이란 속명을 부여했으나, 학명의 선취권 우선 규정에 의해 맘무트로 고정되었다.

다만 퀴비에가 붙인 마스토돈이라는 이름은 유명세 때문인지 아직도 일반 명사로 잘 쓰이고 있다. 굳이 따지자면 오토두스속의 메갈로돈과 비슷한 사례로 볼 수 있다.

3. 특징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mmothVsMastodon.jpg
매머드와의 비교
파일:external/2.bp.blogspot.com/SNAG-15051718563700.png
매머드와 아프리카코끼리와의 비교

생김새는 코끼리, 매머드와 비슷해보이지만 코끼리과에 속하는 이들과는 달리 마스토돈은 더 원시적 계통에 속하는 장비목 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모식종인 아메리카마스토돈의 생김새는 대부분 원시적이었다. 매머드보다 다리가 더 짧았으며, 몸통은 길고 매머드보다 근육은 매우 다부진 땅딸막한 쳬형이었다. 암컷은 현생 코끼리들처럼 수컷보다 덩치가 작았다. 길고 휘어진 엄니가 달린 낮고 길다란 두개골을 가지고 있다. 어깨나 머리 위에 혹이 있었던 매머드와 달리 등이 길고 평평했다. 대개 한쪽 엄니가 닳아서 다른 쪽 엄니보다 길이가 짧았는데, 이는 먹이를 먹거나 행동을 할 때 마스토돈마다 주로 사용했던 엄니가 있었던 것을 암시한다. 엄니는 나무껍질을 벗길 때나 나뭇가지를 들어올리거나 부러뜨릴 때 이용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매머드 정도는 아니지만. 인간의 어금니처럼 이빨이 교두 모양으로 나 있어 매머드와 현생 코끼리와는 다른 점을 보이고 있다.

역사상 가장 큰 장비목 속 중 하나였으며, 특히 보르손마스토돈의 경우 수컷의 평균 체중이 16t로 추정되어 아시아곧은엄니코끼리와 비견될 정도였다. 모식종인 아메리카마스토돈 또한 보르손마스토돈에 비해선 훨씬 작았지만, 평균 어깨 높이가 2.9m, 평균 체중이 8t으로 추정되어 현대 코끼리들의 평균 체중을 능가했다.

마스토돈은 해안가의 울창한 가문비나무 숲이나 계곡 안쪽에 저지대나 습지대에 주로 살면서 다양한 구과식물, 나뭇잎, 풀, 습지식물, 이끼 따위를 먹었다.[1] 미라화된 표본의 위를 통해 확인되었다. 식성은 주로 키 작은 나무나 덤불에서 잎을 뜯어먹었을 것이라고 하며 평원이 아닌 숲에서 서식하는 종이었을 거라고 한다. 또한 마스토돈의 골격이 늪지대에서 대거 화석화되었기에 반수생동물이었다는 설도 나온다.

종종 털매머드처럼 마스토돈도 복슬복슬한 털을 가진 걸로 복원되는데, 마스토돈의 털 몇 가닥이 남은 두개골이 있긴 하지만, 털매머드처럼 수북하게 덮여 있었는지에 대해선 아직까지도 논란이 많다. 매머드의 경우 털이 수북한 털매머드와 반대로 털이 거의 없는 컬럼비아매머드가 있는 것처럼 마스토돈도 종마다 차이가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4. 진화사

장비목의 다른 주 계통처럼 마스토돈류 역시 아프리카에서 처음 진화했고, 장비목의 주 계통 중에 가장 먼저 분기되어 나왔다. 마이오세가 시작되며 아프리카가 유라시아와 연결되자, 마스토돈과 동물들은 더 이후에 분기되어 나온 곰포테리움류[2]와 함께 유라시아로 진출했고, 이후 북아메리카 및 중앙아메리카로 진출해 마스토돈으로 진화했다.

그러나 마스토돈과 동물들은 전부 숲에서 나뭇가지나 잎을 먹는 데에 특화되었기 때문에 마이오세 후기부터 플라이스토세 후기의 빙기-간빙기 주기까지 지속된 지구의 냉한화와 건조화에 취약했고, 플라이스토세 후기에 와서는 마스토돈과의 다른 동물들은 전부 멸종되고, 마스토돈 중에서도 흔히 생각하는 아메리카마스토돈과 태평양마스토돈 2종만이 남아 있었다. 이 둘은 플라이스토세 후기 동안 온도가 다시 올라가고 숲이 확장되는 간빙기마다 번성했었고, 오히려 흔히 생각하는 “빙하기”(빙기)에서는 크게 쇠퇴하는 추세를 보였다.[3]

마지막 빙기가 끝나고 현재 진행 중인 간빙기가 시작되며 아메리카마스토돈과 태평양마스토돈은 다시 번성할 기회가 왔지만, 이때는 현생인류가 아메리카에 정착한 시점이었고, 결국 이 둘은 서식지는 오히려 늘어나고 있는 와중에 멸종되게 되었다.

이는 플라이스토세 말기부터 지속된 대형 동물들의 멸종이 간빙기의 시작과 같은 자연적 원인으로서는 일어났을 수 없다는 주장을 강하게 지지하기도 한다. 물론 이전에도 여러 간빙기들을 살아남은 동물들이 이번 간빙기에는 못 버텼다는 주장 자체가 미심쪅지만, 마스토돈이나 스밀로돈과 같이 아예 간빙기와 온난한 숲 생태계에 더 특화되어 있었다는 동물들이 자신들의 서식지가 자연적인 변화로 감소는커녕 증가하던 도중에 멸종되었다는 것은, 서식지 증가라는 호재를 상쇠하고도 훨씬 남는 진짜 주범이 따로 있어야 말이 되기 때문이다. 다만 정작 인류가 처음 등장한 아프리카에서는 아프리카코끼리를 비롯하여 여러 거대 동물들과 맹수 대부분이 현대까지 살아남은 탓에 단순히 인간의 사냥만 멸종 원인으로 단정 지을 수는 없다는 의견도 있다.

5. 매체에서의 등장

도미네이션즈에서 워 마스토돈으로 인간과 마스토돈이 싸움을 끝내고 힘을 결속했다는 설정으로 등장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워 마스토돈(도미네이션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워 마스토돈(도미네이션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워 마스토돈(도미네이션즈)#|]][[워 마스토돈(도미네이션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Howdytoons에서 등장했으나 주인공은 매머드고 마스토돈은 특별출연에 가깝다.

2003년에 방영한 영국 BBC 다큐멘터리 Wild New World에 등장했고 10년 후 같은 방송사에서 방영한 빙하시대의 거대동물들 3부에 나왔다.

2010년에 방영한 디스커버리 채널 Prehistoric의 3부에 등장했다.

2014년에 SKY 3D에서 방영된 영국의 영화 다큐멘터리 영화 David Attenborough's Natural History Museum Alive에서는 발견 당시 화석이 잘못 복원되었다가 리처드 오언에 의해 고쳐진 일화가 소개되었다. 해당 다큐멘터리에서 데이비드 애튼버러가 해설 및 진행을 맡았다.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도 사육 가능한 생물로 나온다.

마이티 모핀 파워레인저의 블랙 레인저의 상징 동물이다.[4]

매직 더 개더링에도 마스토돈 카드가 여럿 등장한다. 그 중 공성 마스토돈이 코어세트 2020에 등장하여 가장 유명하다.

쿵푸팬더: 용의 기사에 고대 마스터 마스터돈 사부도 마스토돈이다.

역대급 영지 설계사에서도 등장한다.

6. 관련 문서


[1] 빙하기에는 초원이 확산되고 숲과 습지가 줄어들기 때문에 마스토돈은 오히려 매 빙기마다 감소했었고, 대신 더 건조한 기후에 의존하난 매머드들이 확산되었다. 반대로 더 따뜻해질 때에는 숲이 다시 늘어나면서 매머드들이 감소하고 마스토돈이 번성했다.[2] 곰포테리움을 포함한 일부 장비목 동물들이 포함된 장비목 하위 분류군.[3] 코끼리에 포함되는 매머드와는 정반대인데, 매머드들은 건조한 초원 생태계에 의존했기 때문에 빙기에 증가하고 간빙기에 감소하기를 반복했다.[4] 참고로 원작인 공룡전대 쥬레인저의 고우시는 마스토돈이 아니라 매머드가 상징 동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