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의 게임}}}에 대한 내용은 [[보팔래빗(게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보팔래빗(게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보팔래빗(게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의 게임: }}}[[보팔래빗(게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보팔래빗(게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보팔래빗(게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1. 개요
살인 토끼(Killer Rabbit of Caerbannog)는 아서왕 전설을 패러디한 블랙 코미디 영화 몬티 파이튼의 성배에 등장하는 괴물 토끼이자, 본 영화의 씬스틸러이다.2. 행태
동굴에 살면서 근처의 사람과 짐승들을 닥치는대로 목을 공격해 숨통을 끊고 잡아먹는 무시무시한 괴물이다.
그 외형은 일반적인 토끼와 다르지 않아[1], 그 겉모습에 얕보고 덤벼든 원탁의 기사들은 목이 잘리거나, 사지가 뜯겨나가는 등 대참사를 당하고 도망치는[2] 수난을 겪었다. 마지막에는 안티오크의 성스러운 수류탄에 폭사한다.
3. 이름
영문 위키에선 작중에서 등장한 동굴 이름을 따 카이르바노그의 토끼라고 지칭하고 있으며[3], Caerbannog라는 이름은 웨일즈어로 "망루가 달린 성"(caer bannog, turreted castle)을 의미한다. 전형적인 웨일즈식 지명 명명법에 따른 이름이다.유튜브 등에서는 살인 토끼(Killer Rabbit/Bunny)로 더 많이 쓰이지만 국내에서는 보팔 버니(래빗) 혹은 후술할 '만렙 토끼'같은 명칭으로 더 유명하다.
이름의 유래는 재버워키에서 등장하는 보팔 소드인데 D&D에선 목이 있는 몬스터의 목을 베면 즉사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매직 아이템 보팔 웨폰이 존재하는 것처럼 이 영화에서 나온 토끼를 흔히 보팔 소드 + 토끼(래빗, 버니)로 보팔 래빗이라고 부른다. PC RPG 위저드리 시리즈에서는 이를 다시 패러디하여 '보팔버니'가 등장한다.
4. 현실의 비슷한 사례
아랍 전승의 진 중에 알 미라즈라는 비슷한 존재가 있는데, 노란 몸체에 검은뿔 하나가 머리에 돋아있는 토끼로 크기는 작지만 보기만해도 모든 야수가 도망칠 정도로 흉포하다고 한다. 사실 이는 당시 중동 토착종교의 주술사들이 이슬람교의 확장에 의해 세력이 약해지자, 피부병(정확히는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걸려 이마에 뿔모양의 종양이 나고, 성질이 포악해진 토끼를 알 미라즈라고 속여 이것들을 막아주겠다고 사람들에게 돈을 뜯어내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유럽의 볼퍼팅어와 미국의 재칼로프도 같은 증상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상상의 동물.참고로 실제 중세 시대의 문헌들 가운데서는 칼을 들고 사람을 썰어버리거나 서로 전쟁을 벌이는 등 잔인하고 난폭한 토끼들을 묘사한 삽화들이 많이 존재한다. 중세를 배경으로 한 만큼 몬티 파이튼에서의 토끼 역시 이를 참고로 했을 가능성이 크다. 보러 가기 이 중에는 중무장한 기사가 토끼, 달팽이 등의 작은 동물과 싸우는 삽화도 있는데, 이는 중세 삽화가들 나름의 우스개였다고 한다.
5. 패러디
이 토끼의 악명은 많은 매체에서 패러디되기도 했으며, 심지어 메가데스의 노래인 Chosen Ones는 이 살인 토끼와 싸우는 기사들을 얘기하는 노래. 스페셜 인카운터/폴아웃2의 보팔랫도 이 놈 패러디. 모탈 컴뱃: 샤오린 몽크스의 쿵 라오의 페이탈리티중에는 이 토끼를 상대한테 줘서 토끼가 머리를 뜯어 죽이거나 토끼를 거부한 상대방을 토끼로 때려 죽이는 2가지 페이탈리티가 있다.이 밖에도 일반인 한정으로 만렙토끼라는 이름으로 더욱 친숙하다. 이후 여러 매체에서 나오게 되는 만렙토끼, 각종 만렙동물들의 기원이라 할 수 있을듯하다.
5.1. 영화 및 드라마
- 드래곤 퀘스트 패러디 드라마인 용사 요시히코와 마왕의 성에서도 등장한다. 주인공 파티가 귀여움에 속아 접근하자 본색을 드러내고 주인공 파티를 학살한다. 이건 시즌 2인 용사 요시히코와 악령의 열쇠에서도 나온다.
5.2. 만화 및 애니메이션
- 던전밥의 미궁토끼. 평범한 토끼처럼 보이다가 뒷발에서 칼날을 꺼내 순식간에 목을 그어버린다. 쟁쟁한 실력자들을 줄줄이 패퇴시킨 무시무시한 마물로, 라이오스의 목 보호대도 이 마물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구비해둔 것이다. 실제로 보호대를 낀 마르실을 제외한 전 파티원이 미궁토끼에게 전멸했다.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에선 등장하는 3대 마수들 중 하나인 대토는 아예 대놓고 패러디 했다. 성인 남성의 팔을 한번에 물어뜯는 토끼 수만 마리가 몰려다닌다.
- 미국 웹코믹 Sluggy Freelance의 마스코트이자 주역인 토끼 번번(Bun-Bun) 역시 초강력 토끼인데, 훠어어얼씬 업그레이드 된 만렙토끼다. 몸집은 작고 귀여운 미니롭 토끼에 불과하지만 어디선가 스위치블레이드나 글록 권총을 꺼내 드는 능력이 있고, 엄청난 괴력과 스피드, 인간 이상의 지능과 지식과 교활함과 탐욕, 그리고 무엇보다 작중 최악의 성깔머리를 갖고 있어 주인공 일행을 심심하면 두들겨 패고 텔레마케터 등 수틀리는 인간들은 잔인한 고문을 한 뒤 죽여버리는 등 주역들에게 공포의 존재로 군림하고 있다.
- 미궁 개좆같다에선 보팔 래빗으로 나온다.
- 샹그릴라 프론티어에 '치명토끼'라는 종족으로 등장한다. 마스코트처럼 생겼지만 이름대로 체술과 크리티컬이 특기인 종족이다. 이들에게는 '보팔(치명)의 혼'이 무엇보다 중요한 덕목인 듯.
- 입시명문 사립 정글고등학교에서도 등장하는데 무려 살인토끼가 한국에서 만렙토끼라고 불리게 된 계기를 만들어준 만화. 정안봉이사장이 학교에 동물원을 만들고 약육강식을 보여주겠다며 육식동물 사이에 토끼를 풀어놨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각종 위험한 동물들을 구해온 마사이아 선생이 토끼도 위험하기 짝이 없는 만렙토끼를 가져왔고 이 만렙토끼가 다른 육식동물들을 박살 내놓아 이사장이 할 말이 없는 모습을 보여준다.[4]
- 오우마가도키 동물원의 원장 시이나도 토끼의 모습을 하고있는데 동물원을 습격한 강도단을 혼자서 박살을 내버리거나 사자를 싸대기 한방으로 리타이어 시키는 등 만렙토끼 포스를 철철 풍긴다.
- 이세계 유유자적 농가의 주인공 가족이 사는 큰나무 마을 부근에 출몰하는 킬러 래빗이라는 토끼가 나오는데 해당 배경인 죽음의 숲에서는 최하위 개체이지만 이 한 마리가 일반적인 10개 이상의 군대가 출동하지 않으면 감당이 안되는 악질 맹수라고 한다.
이런 악독한 토끼 한 마리를 혼자서 때려잡아야 마을 일원으로 인정하는 큰나무 마을의 파워 밸런스가 미친 거다
- 죠죠의 기묘한 모험 2부에서 카즈가 완전생물이 되고나서 잠깐이지만 자신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무장된 독일군들을 죽이는 다람쥐를 만들었다. 다만 패러디라기보다는 그냥 기믹이 비슷한 경우일 가능성이 높다. 해당 장면은 굉장히 진지한 데다 웃기기보다는 기괴한 분위기이다.[5]
- 흔해빠진 직업으로 세계최강에선 하우리아족이라는 토끼인간족이 있는데 나구모 하지메를 만나기 전에는 평화를 사랑하고 이리저리 쫓겨 박해받고 최약체인 종족이었으나 10일간의 정신개조 훈련 이후로는 한 국가의 황제를 제압할 정도로 무시무시한 무적의 만렙토끼 아인족이 되었다. 나중에는 아인족 집단의 페어베르겐 내에서 여러 가지로 유명하게 돼서 참수토끼라는 이명을 토인족이 받게 되었다. 그러다가 플라워나이트 설립 전까지는[6] 작품 내 조직중에 파워밸런스 상위권을 차지하는 중이다.
- 은둔형 외톨이 영애는 말이 통하는 성수 돌보미에는 아트라라는 성수가 등장하는데 토끼 모습인데다 작중 최강의 성수라는 점에서 이 캐릭터를 참고한 걸로 보인다.
5.3. 게임
- The King of Gockgang-E의 스테이지 2 보스로 등장하며, 첫 등장시 근육남을 인질로 잡고 있다. 이후 후속작으로 The God of Gockgang-E를 중반 난입 잡몹으로 등장하지만, 역시 성능은 그때 보스. 게다가 그 잡혔던 근육남이 키우고 싶다고 잡아달라고 퀘스트까지 준다. The Legend of Gockgang-E에서도 등장 전작에 비해서 많이 너프되었고 조븐 평야에서 가끔 등장하거나 토끼굴에서 발견할수 있다.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이벤트 지역 다크문 유랑단에서 출연 한다. 적의 목을 물어뜯어 즉사시키는 기술을 보유. 보상으로 토끼 펫을 하나 주는데 애완동물 대전에서 꽤나 우수한 성능을 자랑한다. 하스스톤에서도 광기의 다크문 축제 때 특급 카드로 등장했다. 용군단에서도 평온의 꿈 온천에서 아기라는 이름의 귀여운 강아지가 나오는데 원시술사 3명의 목을 순식간에 물어죽이는 게 딱 살인 토끼 패러디다.
- 위저드리에서는 초반부인 2층에서 등장. 크리티컬 히트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공격하여 대미지를 입혔을 경우 일정 확률로 *(캐릭터 이름)의 목이 날라갔다! 라는 메세지와 함께 파티 일원의 목을 잘라 즉사시켜 버린다. 그야말로 위저드리 시리즈를 상징하는 몬스터. 팬들에게 굉장히 인상적인 모습으로 각인되었는지, 2023년 발표된 1편 리메이크의 발표 트레일러에서도 후반부에 한 마리가 깜짝 등장해 크리티컬 히트를 날린다.
- 길드워 2에서는 "미분류 프랙탈"(Uncategorized Fractal)의 중간보스로 등장한다. 인간 폭탄마와 차르 샤먼, 오우거와 함께 출현하는데 이 토끼는 파티원들을 한 방에 쓰러뜨리는 발차기 스킬을 10초마다 사용하기 때문에 최우선적으로 잡아야만 한다.
- 일본의 바닐라웨어에서 제작한 게임 드래곤즈 크라운에서도 던전 중 하나인 '미궁의 숲' B루트로 진입하면 '킬러 래빗'이라는 이름의 보스로 등장.
두개골을 아작내는 즉사기를 연속으로 쓰고 상당한 크기의 회오리바람을 만들어내는 등 상당한 강적이지만 화속성에 매우 약하다. 일정 시간 내에 잡지 못하면 기사들이 증원으로 오고 화면 오른쪽에 준비된 폭탄을 던질 수 있는데, 폭탄으로 주는 대미지가 쏠쏠해서 금방 죽일 수 있다. 다만 이 때는 보상을 얻을 수 없으니 주의.
- 도미네이션즈의 이벤트 지상 병력 중 불을 뿜는 토끼로 패러디되었다.
- 워락: 마스터 오브 더 아케인에도 등장한다. Cruel Creature라는 이름의 고용 가능한 영웅으로 등장하는데[7] , 다른 영웅의 고용비가 150골드인데 이 녀석은 700골드나 한다. 생긴 것은 그냥 평범한 토끼에 불과하지만 당연히 미친 성능을 자랑한다. 능력치 자체는 낮은 편이지만 근접 공격 면역, 원거리 공격 면역, 죽음, 원소 마법 저항 50 효과가 있는 '지옥에서 온 토끼'(Rabbit from Hell)라는 흠좀무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마법이 아니면 죽일 수 없다. 저항 마법 몇개만 걸어주면 혼자서 국가 하나를 멸망시킬 수 있다.
- 포 아너의 처형 중 하나로도 등장했다. 처형 대상의 앞에서 느닷없이 흰 토끼 한 마리를 꺼내고 대상이 안심하는 순간 토끼가 잽싸게 달려들어 처형 대상의 목을 살벌하게 물어뜯고 이후 발버둥 치던 기사의 머리가 분리된다.
- 마인크래프트에선 살인 토끼(The Killer Rabbit)라는 특수 토끼가 낮은 확률로 출현했다가 summon 명령어로만 소환할 수 있도록 수정되었다. 공격력이 굉장히 높고 플레이어를 선공하는 몹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 월드 오브 워쉽의 역사웹툰 폭풍의 바다에선 리지 테일러가 아서왕이 낚시로 낚은 만렙토끼를 이리급 포함의 150mm 고폭탄으로 때려잡는다. 워쉽 게임 내에서는 '토끼!' 라는 깃발과 함께 내가 경고했소! 로 시작하는 마법사의 대사가 쓰여 있다.
- 던전앤파이터에선 과거 조안 페레로의 항해 던전 중 하나 인 '내성'던전에서 랜덤으로 토끼 뽀뽀라는 네임드가 나왔는데 나오는 맵에 보물이 가득하고 유저에게 달려드는 모습을 보면 어느 정도 염두에 둔 듯하다. 쓰러뜨리면 레전더리 소울을 하나 드랍했다.
- 위쳐 3에선 돌아다니다 보면 한 동굴 앞에 해골들이 널려있고 그 앞에는 흰 토끼 한 마리가 있는데, 이 토끼는 폭탄 외의 어느 방법으로도(이그니라던가) 죽지 않는다.
- 블루 아카이브의 메인 스토리 Vol.4인 카르바노그의 토끼 편의 제목으로 차용되어 RABBIT 소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2장에서 이들이 열압력탄[8]을 사용한 테러를 저지하는 작전의 이름 또한 카르바노그의 토끼기도 하다.
- 슈퍼 오토 펫에선 펫에게 '부활절 달걀' 먹이를 사용하면 그 펫이 기절할 경우 '몬티'라는 몽둥이를 든 토끼가 소환된다. 꼼수를 통해 몬티를 상점에 올리거나 3레벨을 달성해 스티커를 얻으면 소환 시 재생되는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는데, 공포영화에서나 나올법한 소름끼치는 멜로디가 울음소리로 출력된다. 이름부터 울음소리까지 누가봐도 살인 토끼의 패러디.
5.4. 기타
- SCP 재단에도 SCP-524라는 비슷한 녀석이 하나 있다. 그런데 위협적이거나 공격적인건 아니고 단지 못 먹는 게 없는 데다 눈에 보이는 건 뭐든지 갉아 먹어서 문제다. 심지어는 그 위험하기로 유명한 SCP-682도 도망가게 만든 전적이 있다.
- 누군가가 만화로 만든 것도 존재한다살인 토끼 소녀 원작자 트위터 (번역)[9]
- 유즈키 유카리의 노래중 하나인 외도동물원에 어서오세요에서는 외도토끼라는 토끼가 등장하는데 동물원 동물중 가장 사납다고 하며 곤봉을 들고 덤벼든다고 한다. 덤벼들 시 지갑을 던져주면 덮치는 걸 그만둔다고 하는데 지갑에 최소 1만엔 이상 없을시 86%의 확률로 죽는다고 한다.
- 새끼 표범 vs 만렙 토끼라는 제목의 기사도 나왔다.
파일:새끼 표범 vs 만렙 토끼.jpg
5.4.1. TYPE-MOON/세계관
초창기 작품인 공의 경계에서부터 언급된다. 코쿠토 미키야가 친구인 가쿠토에게 료우기 시키를 토끼 같다고 표현하자 그 말을 들은 가쿠토가 시키는 고양잇과나 맹금류라고 반박하다가 생각해보니 토끼도 맞는 것 같다며 운이 나쁘면 단박에 목을 날려버리는 토끼를 언급한다. 엉터리 토끼라며 어이없어하는 미키야와 게임 이야기니 당연히 엉터리라고 받아치는 가쿠토가 압권.Fate 시리즈와 몬티 파이튼의 성배가 똑같은 전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기도 하고, 상술했듯이 한 번 언급되기도 했다 보니 TYPE-MOON 관련 2차 창작에서는 살인 토끼가 꽤 빈번하게 등장한다.
이후 2013년 만우절 이벤트에서 목 따는 버니 히로인으로 시키가 등장하며 공식화, Fate/Grand Order에서는 전술한 참수 버니 시키가 예장으로 나온 것을 시작으로 트리스탄의 막간의 이야기에서도 다시 언급되는데 차기 원탁 멤버인 보르스를 일격에 쓰러트리고 낮의 3배 상태의 가웨인이 간신히 붙잡고 멀린의 왕의 이야기를 연속으로 발동하면서 모드레드가 다이나믹하게 걷어차고 랜슬롯이 막타를 쳐서 겨우겨우 잡았다나 뭐라나. 약간 각색했다는 말을 들어보면 진짜 토끼는 아니더라도 이에 준하는 괴수를 잡은 적이 있기는 한 듯. 다른 세계의 존재인 프밥도 싸워본 적이 있는지 바니복을 보고 정색한다.
다만 룰밥은 생전에 싸워 본 적이 없는지, 바니걸 옷을 거리낌없이 입고 토끼를 귀여운 동물이라 칭한다. "당신은 토끼라는 존재에 대해 분명 착각하고 있다."라는 프밥의 코멘트는 덤. 원탁의 기사들은 수영복 사자왕을 보고 왕에게 오래 전에 퇴치했던 공포의 짐승이 빙의했다고 기겁했다. 덤으로 서번트 서머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여름 이벤트마다 고정출연 잡몹으로 봉황의 깃털을 드랍하는 '보팔 치킨'이라는 야생 닭들이 나온다. 참고로 이 녀석의 필살기는 무려 확률 즉사다. 2023년 후속 이벤트에서는 원탁 특공을 달고 나오기도 했다.
[1] 위의 영상에 달린 자막에는 '너비가 1마일에 달하는 사악한 줄무늬를 가지고 있다'고 되어있는데, 이는 원어 표현인 "That rabbit's got a vicious streak a mile wide."를 문맥을 고려하지 않고 단어 하나하나를 그대로 직역하면서 생겨난 오역이다. streak는 '줄무늬'라는 뜻도 있지만, 주로 안좋은 의미로 대상이 지속적으로 가지는 어떠한 특성이나 성격을 가리키는 말으로도 쓰이며, 'vicious streak'라고 하면 '사악한 성질머리'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여기에 '너비가 1마일(a mile wide)'이라는 건 streak의 다른 의미인 줄무늬에 빗대어 그만큼 엄청나다는 언어유희적인 표현으로, 성깔이 매우 더러워서 미쳐 날뛴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심술보가 태산만하다' 정도 어감을 가진 대사인데 실제로 있는 장기인 것 같이 번역한 것이다.[2] 기사들과 후퇴하면서 아서 왕이 던지는 소리도 'retreat!'이나 'fall back!'같은 흔히 나오는 퇴각이라는 단어가 아니라 'run away!'라는 진짜 그냥 도망가라는 뜻의 매우 꼴사나운 소리인 게 포인트. 기사들을 토끼굴까지 안내한 길잡이 노인도 그 모습을 보고 기사들을 조롱하면서 아주 자지러지게 웃는다.[3] Caerbannog의 실제 발음은 북부 웨일스어 기준 [kɑːɨrˈbanɔɡ\], 남부 웨일스어 기준 [kɑi̯rˈbanɔɡ\]이므로 '카이르바노그'로 쓰는 것이 더 올바르다고 할 수 있다.[4] 나중엔 만렙토끼가 표범을 빵셔틀을 시킨다. 표팔이도. 이를 본 불사조는 표범에게 한소리 하고 만렙토끼에게 따지는데 만렙토끼의 말빨에 넘어가 불사조도 표를 판다.[5] 아라키 히로히코가 영화광이니 가능성은 있지만 주로 액션물, 공포물쪽에서 조예가 깊으니.[6] 그래도 1명정도는 치열하게 경쟁해서 단원으로 들어가게 되었다[7] 영웅 설명이 '몬티 파이튼의 성배'라는 고대의 책을 번역한 것으로 되어있다.[8] 이 열압력탄의 이름도 A.N.T.I.O.C.H.이다.[9] 여기 설정에선 결국 자신을 잡으려던 흑기사와 결혼했는데,그렇게 태어난 새끼 중에 귀가 접히면 수컷이고 흑색으로 나오면 아버지의 불사 속성까지 물려받는다고,그리고 최소 42마리까지 낳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