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03 08:14:06

마인크래프트/외전 시리즈/평가


해당 평가는 외전 시리즈 전체에 대한 평가이며 외전 게임들에 대한 평가는 아래 링크 참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스토리 모드의 평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평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평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던전스의 평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마인크래프트 던전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인크래프트 던전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인크래프트 던전스#평가|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레전드의 평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마인크래프트 레전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인크래프트 레전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인크래프트 레전드#평가|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긍정적 평가
2.1. 낮은 진입 장벽2.2. 세계관 확장2.3. 오리지널 캐릭터의 등장
3. 부정적 평가
3.1.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퀄리티3.2. 장르의 이해도 및 대처 부족3.3. IP 믿고 만들기
4. 총평 및 전망

1. 개요

마인크래프트 외전 시리즈의 전체적인 평가
마인크래프트 기반으로 만드는 시리즈이지만 부정적 평가가 거의 압도적인 이유로 평가 받는다.

2. 긍정적 평가

2.1. 낮은 진입 장벽

대체적으로 사전에 배워야 할 스토리가 없다.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는 이름답게 배경 지식들을 인게임에서 직접 보여주며, 마인크래프트 던전스, 마인크래프트 레전드는 공식 프리퀄 소설을 읽으면 된다. 진입장벽이 매우 낮아서 남녀노소 누구나 하기 쉽고 원작 게임 유입도 잘 들어오는 편이다.[1]

2.2. 세계관 확장

마인크래프트 던전스마인크래프트 레전드 같이 마인크래프트와 세계관을 공유하는 게임들은 마인크래프트 세계관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나 이걸 매우 잘 활용한 작품이 마인크래프트 레전드로 마인크래프트프리퀄 작품이고 마인크래프트의 현재 몹들 일부 탄생 과정이 있다보니 세계관 확장에 많이 신경쓰 모습을 보였다.[2]

2.3. 오리지널 캐릭터의 등장

외전작들의 특히 두드려지는 장점으로 캐릭터들 하나 같이 매력적인 경우가 많다. 서사가 하거나 목표가 상당한 규모라든지 하나는 못해도 하나는 잘하는 캐릭터들이 많다.

특히나 마인크래프트 무비피글린 군단의 등장으로 이 캐릭터들의 평가는 더욱더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다.

3. 부정적 평가

3.1.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퀄리티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평가 문서에서도 알수있듯이 잠시간 흑역사로 칭하던 졸작이었으나 이후 마인크래프트 레전드의 등장으로 흑역사에서 조금 벗어난 평을 듣는 등 새로운 외전이 출시될수록 퀼리티가 왔다갔다한다는 평이 많다. 이 평가의 대표는 앞서 상술한 스토리 모드 뿐만 아니라 마인크래프트 던전스도 해당되는데 던전스는 출시 당시 콘텐츠 부족, 버그랑 렉 등이 매우 큰 문제점으로 잡혀 졸작으로 평가를 받았다가 이후 업데이트로 인한 개선을 통해 어느 정도 괜찮아진 평작 정도로 평이 상승했다가 마인크래프트 레전드 출시 이후 재평가를 받아 범작 이상으로 평을 받을 정도가 되었다.
레전드가 이전작이 재평가를 받을 정도로 얼마나 심각하냐면 최적화는 물론이요 마인크래프트의 네모는 유지한 호불호 갈리는 모델링, 여전한 번역 퀄리티 등등 매우 많다.

3.2. 장르의 이해도 및 대처 부족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 이후 모드가 아닌 자체적으로 마인크래프트의 IP에 새로운 장르를 많이 시도했으나 문제는 해당 장르에 대한 이해도 및 대처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일단 마인크래프트 어스의 경우 증강현실 게임으로 만들어졌지만 문제는 출시하고 다음해코로나 19가 대유행을 해 와출이 자제되 주변을 돌아다니는 AR 게임의 꽃이 죽은 것이다. 이상황에서 포켓몬 고는 밖에 나가지 않아도 레이드는 참여할수있는 아이템이 만들어지는 등 대처가 철저했지만 어스는 그러질 못해 결국 2021년 6월 25일 서비스 종료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마인크래프트 던전스액션 어드벤처, 던전 탐사라는 장르와는 다르게 깊이가 얕다는 평을 들었고 RPG처럼 한 직업만 하기 힘들다는 평도 들었다.

마인크래프트 레전드는 액션 전략 게임 장르인데 정작 다양한 몹들을 소환하고 싸우기엔 최대 소환수가 20마리로 이정도는 보스전이 아니여도 전부 전멸할 수준이라 그냥 한종류만 믿고 때려 부수는게 더 나을 정도이다. 정작 전략은 대포나 스폰위치 저장,건축말고는 쓰지 않는게 팩트

3.3. IP 믿고 만들기

모든 시리즈의 부정적 평가로 마인크래프트 처럼 네모 네모하게 만들고 작품성은 개나 줬다는 의견이 기본으로 달려있다.

이런 평가가 나온 이유는 마인크래프트의 타이틀인 가장 많이 팔린 비디오 게임[3] 이라는 타이틀 때문에 작품성은 버리는 선택한걸로 보이지만 정작 판매량이 알려진 던전스는 23년 9월 기준 2300만장만 팔렸다.[4]

4. 총평 및 전망

마인크래프트 외전 시리즈의 문제점 관련 영상
떡진밥

총평
좋게 말하면 모장의 새로운 시도고 나쁘게 말하면 마인크래프트의 업데이트 퀄리티 하락의 주요 원인 근데 과언이 아닌 것이 실제로 외전이 서비스 되던 2021 ~ 2023년 나온 업대이트가 1.16보다 낮은 퀄리티로 욕을 먹었지만 모두 개발이 중단 되고 나온 1.21버전 업데이트 이후엔 앞서 설명한 버전들 보다 높은 퀄리티와 여러 시도를 하는 모습을 보였다.[5]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 이후 2024년까지 총 3개의 게임이 출시되었지만 이로인해 인력 감소 및 적자를 보게 되었다. 그동안 여러 장르를 도전했지만 정작 모장은 이 외전 시리즈를 손절치는 시기가 빨라지고 있다.[6]

이런 기이한 행보에도 모장은 외전 시리즈를 밀어주고 있지만 정작 마인크래프트 팬덤의 절반 이상이 자바인데다 현재 까지의 행보로 인해 외전 시리즈를 기대하는 팬덤도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외전작들의 전체적인 평들도 평균적으로 졸작 ~ 범작으로 수작 정도라는 수준은 아니다.

이런 평들에 비해 캐릭터 하나는 잘만드는 만큼 캐릭터만 왁벽한 시리즈가 되었다.

유일하게 살아는 있는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은 목적 자체가 교육용이고 유저들도 대부분 성향이 어드벤처 게임이 주인 유저들과 업데이트 마저 2년에 한번 할까 말까일 정도의 개발진들 포함 관심이 가장 없는 외전이다.
전망
현재까지 보여준 모습을 보면 이후 남은 개발 게임 2개도 전작들을 뛰어넘는 작품성을 보여주지 않는 이상 영원한 망작 ~ 졸작 시리즈가 될것으로 보인다.

거기가 흥행 수익도 점점 줄어들고 있으니 나머지 2개를 끝으로 시리즈가 끝날수있다.
[1] 대표적으로 쉐어마인크래프트 던전스로 유입한 후에 마인크래프트를 시작했다.[2] 하지만 1년도 못넘기고 업데이트 종료한것이 아쉬운 점[3] 실제로 비디오 게임,게임,샌드박스 문서엔 메인으로 마인크래프트가 있고 비디오 게임게임 문서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게임이란 타이틀로 마인크래프트가 있다.[4] 물론 이는 나쁜건 아닌데 비슷한 시기에 나오고 업데이트를 중단한 마블 어벤져스는 1000만장도 안팔린걸로 추정되고 있으니 성공한 편이다. 물론 마인크래프트의 위상을 생각하면 아쉬운게 맞다.[5] 대표적으로 선명한 비주얼 업데이트[6] 어스의 경우 1년,던전스는 2주년도 맞이한거에 비해 레전드는 1년도 넘기지 못하고 업데이트 종료를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