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20:11:01

마리(스컬걸즈 모바일)


파일:Skullgirls Logo.png
스컬걸즈 모바일의 캐릭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플레이어블 캐릭터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애니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베오울프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빅밴드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블랙달리아.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세레벨라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더블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일라이자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필리아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푸쿠아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마리.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미스포춘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페인휠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파라소울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피콕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로보포춘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스퀴글리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엄브렐러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밸런타인2.png
게스트 스타 캐릭터
파일:미네트.png
파일:브레인드레인.png


}}}}}} ||

파일:SG_Lineup_Marie.png
1. 개요2. 출시 전 정보3. 스펙
3.1. 능력치3.2. 캐릭터 능력3.3. 궁극능력3.4. 일류능력3.5. 기술
3.5.1. 특수기3.5.2. 블록버스터
4. 플레이 스타일
4.1. 공격4.2. 방어
5. 평가
5.1. 장점5.2. 단점
6. 총평7. 플레이 팁8. 스킨
8.1. 다이아몬드
8.1.1. 냉혹8.1.2. 메갈로매니아8.1.3. 매드 맬리스
8.2. 골드
8.2.1. 옥토플라즘8.2.2. 무덤지기8.2.3. 유령 사냥꾼8.2.4. 다크호스8.2.5. 웃음의 사신8.2.6. 마법광
8.3. 실버
8.3.1. 목장 담당자8.3.2. 뱀장수8.3.3. 궁녀8.3.4. 할로윈 유령
8.4. 브론즈
8.4.1. 맨 뼈8.4.2. 변덕쟁이

1. 개요

대전 액션게임 스컬걸즈의 모바일 버전인 스컬걸즈 모바일의 플레이어블 예정 캐릭터로, 스컬걸즈의 개발 전권이 랩 제로에서 히든 배리어블로 변경된 뒤 출시되는 네 번째 캐릭터이다.

PC버전 기준으로 출시 초기부터 보스 캐릭터로 존재하였지만 PC버전으로는 장장 11년동안 셀렉 불가 캐릭터였으며, 모바일 버전으로는 끝내 보스 버전조차도 이식되지 못하였던 마리의 첫 스컬걸즈 IP 플레이어블 참전인 만큼 여러모로 기대를 받았던 캐릭터.

2. 출시 전 정보

2023년 9월 6일 트위터를 통하여 9월 중 출시가 확정되었으며, 이후 9월 11일부터 9월 26일까지 캐릭터 능력부터 시작해서 모든 스킨들의 티저 영상이 공개되었다.

출시일은 9월 27일.

3. 스펙

3.1. 능력치

체력 공격력
★★★★☆ ★★☆☆☆

스퀴글리와 동일한 체력 4점 공격력 2점 캐릭터.
전체적으로 기술들의 계수도 높지 않은 마리인 만큼, 최하위권의 공격력은 마리의 가장 큰 약점 중 하나다.

피해량을 보정받는 냉혹, 다크호스 같은 캐릭터들은 그나마 상황이 낫지만 나머지 캐릭터들의 발목을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요소.

그나마 체력은 상위권인 만큼 안정성이 우수한 것은 큰 장점

3.2. 캐릭터 능력

  • 캐릭터 능력 (죽음과 부활): 죽음과 부활 버튼을 길게 누르면 안치소 공격이 충전됩니다. 충전을 마치면 쓰러진 아군 근처에서 부활 버튼을 누르거나 쓰러진 상대 시체에서 소각 버튼을 누르세요!

6초 동안의 차징 후, 쓰러진 아군을 되살리거나 쓰러진 상대방의 시체를 불태워 범위 피해를 입히고 부활할 수 없는 상태로 만드는 능력. 설명은 따로 없지만 시체 위에서는 차징 시간이 2초 감소한다. 아군을 부활시킬 경우 해당 아군은 25%의 체력으로 부활하며, 시체 소각 공격의 경우 상대가 폭발에 적중당할 경우, 150%의 피해를 입는다.

기본적으로 아군 부활은 방어자가, 시체 소각은 공격자가 활용하게 되는 능력. 시체 소각은 공격자에게는 상황에 따라서 굉장히 큰 메리트를 주지만 방어자에게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미 아군이 누워버린 순간 게임은 망해버린 것과 다를 바 없는게 시체가 소각된다고 더 큰 손해를 보는 것은 아니기 때문.

아군 부활은 초반 유저들이 현상금이나 스토리에서 유용하게 써 먹을 수는 있지만, 리프트 전투에서는 아군이 이미 한 번 죽은 순간 그 판은 이미 망해버린것과 다를 바 없다. 반대로 방어자로써 마리가 이미 죽은 아군을 부활시킨다면 공격자 입장에서는 타격이 굉장히 크다.

시체 소각은 적중 시 상대를 벽바운드 시킨다. 대부분의 캐릭터를 이후 대쉬 1타로 건져낼 수 있으며 시체 두개를 겹쳐서 터트리면 피해량도 두 번 적용되므로 한번에 큰 폭딜을 넣을 수도 있다. 가드당하거나 쓰러진 상대가 공격을 맞지 않을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블록버스터 처럼 화면을 정지시키고 상대방의 현재 위치에 터트리는 판정인 만큼 콤보 중에 사용하면 반드시 적중하며, 가드에 막힌 경우에도 이후 가드 압박으로 이어나갈 수 있다.

공격자를 기준으로, 기본적으로 마리의 딜사이클이 연구된 현 시점에서 아주 높은 확률로 무한콤보를 굴리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스택만 채운다면 시체가 비슷한 위치에 모이는 경향이 크다. 덕분에 충전만 잘 해 준다면 마지막 상대가 나올 때 무난하게 2개의 시체를 모두 제거할 수 있다. 아군을 부활시키는 킬호순, 데스위시, 시체 위에서 차단막과 가시를 얻는 찌르는 듯한 추위, 리프트 바람 및 빛주간 보스방의 효과를 씹을 수 있게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굉장히 유용한 기술이긴 하지만 활용이 한정된다는 점이 약간 아쉽다는 의견이 많다. 심지어 게임 당 한두번밖에 사용이 안되는 점도 단점.

또한 전반적인 충전의 조작감이 매우 나쁘다. 스퀴글리의 충전보다 선후딜레이가 모두 길기 때문에 이 딜레이에 익숙해져서 적절한 타이밍에 먼저 끊는 연습을 해 두지 않으면 번번히 상대방의 공격을 허용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약 0.3초의 딜레이가 있는 만큼, 다운 된 상대방이 땅을 짚고 일어나려는 타이밍에 바로 충전을 끊도록 하자.

3.3. 궁극능력

  • 강화 소각 : 시체를 소각할 때 블록버스터 게이지 25% 와 분노를 얻습니다.
  • 강화 부활 : 마리가 살아있을 때 팀원이 부활하면 방어막을 영구적으로 얻으며 25% 추가 체력을 얻습니다.

캐릭터 능력을 강화시킨다.

강화 소각의 경우 기본적으로 공격자는 시체를 소각할 일이 게임 내 두 번뿐이기 때문에 발동 횟수가 극단적으로 적다. 덕분에 평가가 매우 좋지 못한 편.

강화 부활의 경우 텍스트 설명이 애매해서 마리가 방어막을 획득하는 것으로 착각하기 쉬운데, 부활한 아군이 영구방어막을 획득한다. 이 궁극능력은 생체퇴마사나 마지막 희망의 자체 부활은 물론, 축복효과로 인한 부활에도 적용되기에 적당히 조건이 맞는다면 유용하게 쓸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공/방 양쪽에서 활용이 힘든 편.

3.4. 일류능력

  • 마리는 태그 난입한 상태에서 어느 쪽이든 이로운 효과나 해로운 효과가 만료될 때마다 이 능력을 충전합니다.
    충전률: 이로운 효과나 해로운 효과가 만료할 때마다 14%
    사용 효과: 능력을 사용하면 마리는 안치소 공격을 사용할 때마다 10 초 동안 죽음을 부여합니다.

안치소 공격은 캐릭터 능력의 아군부활/적 시체 불태우기를 의미한다. 사용빈도가 높지 않으므로 없는 기술이라 생각하면 더 편하다.

3.5. 기술

3.5.1. 특수기

흡입방해(Suction Obstruction)
파일:Suction_Obstruction.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횟수 3타
마리가 청소기로 상대방을 빨아들인 뒤 바닥에 두번 패대기친다.
특수판정 잡기
부가효과 없음
첫 번째 타격에는 피해량이 없다
정확성 효과를 가진 경우 1타는 정확성 효과를 소모하지 않지만, 정확성 효과를 적용 받는다.[1]
공격 일라이자의 아누비스의 추와 거의 비슷한 기술. 확정적으로 선타를 잡을 수 있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반드시 채용하는 필수스킬에 해당된다.
방어 선딜레이가 없는 즉발기이며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빠져나갈 방법이 전혀 없는 기술이기 때문에 이 기술을 채용하는 경우 마리와 근접하는 것 부터 매우 부담스러워진다. 다만 사용만 한다면 결과물이 파멸적이긴 해도, 객관적으로 AI가 이 기술을 사용하는 빈도 자체는 많지 않다는 점이 단점.
서둘러!(Hop On It)
파일:Hop_To_It.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횟수 7타
마리가 청소기에서 해골 수하 '더스트 버니'를 뿜어낸다. 더스트 버니는 바닥에 착지하면, 주변을 살피며 상대방을 포착한 뒤, 상대방에게 달겨들어 마구 할퀸다.
특수판정 해골, 투사체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공격 적중 시, 15 % 확률로 상대에게 5 초 동안 대량 출혈 효과를 부여합니다.
레벨 9 공격 적중 시, 20 % 확률로 상대에게 5 초 동안 대량 출혈 효과를 부여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 적중 시, 25 % 확률로 상대에게 5 초 동안 대량 출혈 효과를 부여합니다.
마리가 공격당할 경우 더스트버니는 즉시 사라진다.
필드에 더스트버니가 남아있을 경우 활성화 된 서둘러 기술이 있더라도 사용할 수 없다.
공격 일라이자의 오시리스의 소용돌이와 비슷한 도트딜링기. 다만 대량출혈의 지속시간 자체가 5초로 매우 짧기 때문에 일라이자의 오시리스의 소용돌이처럼 메인딜러용 주력기라기보단 정말 말 그대로 떨어지는 피해량을 어느정도 보충하는 선에서 끝난다. 마리의 플레이스타일이 흡입방해를 통해 강제로 콤보를 시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흡입방해라는 기술 자체가 이 기술 외에는 연계가 불가능한 기술이기 때문에 흡입방해를 채용했다면 성능과는 별개로 이 기술을 세트로 채용하게 된다.[사용팁]
방어 선딜레이가 꽤 존재는 하지만, 소환수인 더스트버니가 맵에 꽤 오래 남아있기 때문에 조작에 상당한 제약이 생긴다. 사실상 5초 이상 가드만 올리게 되는 만큼 일단 사용한다면 매우 위협적인 기술
힐가드의 강펀치(Hilgard's Haymaker)
파일:Hilgard%27s_Haymaker (1).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횟수 2타
마리의 후원자였던 거인족 '힐가드'의 망령이 나타나 전방에 강한 펀치를 날린다.
특수판정 해골, 투사체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공격 적중 시, 상대에게 5 초 동안 죽음 효과를 부여합니다.
레벨 9 공격 적중 시, 상대에게 7 초 동안 죽음 효과를 부여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 적중 시, 상대에게 10 초 동안 죽음 효과를 부여합니다.
적중 시 상대방은 벽에 튕기며, 피해량이 없는 두 번째 공격이 들어간다.[3]
마리가 공격당할 경우 힐가드는 즉시 사라진다.
필드에 힐가드가 남아있을 경우 활성화 된 힐가드의 강펀치 기술이 있더라도 사용할 수 없다.
공격 깔끔한 판정과 더불어 마리의 모든 특수기를 통틀어 가장 높은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굳이 부가효과가 아니더라도 채용하는 일이 상당히 많다. 유틸적인 측면에서는 죽음효과를 확정적으로 입힐 수 있다는 점에서 메리트가 크다. 다만 화력을 조절해야할 경우 이 기술을 버스트로 교체하기도 한다.
방어 사실상 맵 전체가 범위에 들어가며 근거리에서도 대처하기 까다로울 정도로 선딜레이가 짧기에 중~원거리에서는 캔슬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며, 적중하면 반드시 사망, 가드를 올리더라도 가드 피해가 상당히 아픈 편이기에 어느쪽으로든 대처가 까다롭다. 가드하더라도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가 활성화 되어있다면 거의 100% 확률로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가 날아오기에 어느 쪽이든 골 때리는 필수 채용 기술.
바람통 폭파(Bellows Burst)
파일:Bellows_Blast.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횟수 3타
마리가 풀무질을 하여 나온 연기로 상대방을 공격한다.
특수판정 투사체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적중 시, 자신의 디버프 1 개를 50 % 확률로 상대방에게 전이시킵니다.
레벨 9 적중 시, 자신의 디버프 1 개를 75 % 확률로 상대방에게 전이시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적중 시, 자신의 디버프 1 개를 100 % 확률로 상대방에게 전이시킵니다.
상대방이 공격을 가드하여도 디버프를 전이시킨다.
각각의 타격에 디버프 전이가 모두 적용된다.
공격 일라이자의 카오스 배니쉬에 대응하는, 죽음 디버프보다도 훨씬 중요한 마리의 핵심 유틸 스킬. 최대 3개의 디버프를 상대방에게 전이시킨다. 쉽게 말해서, 이 기술 한 방에 자신의 디버프를 최대 3개 까지 제거할 수 있다.[4] 콤보에 사용 시 어지간한 콤보에 마지막 타격으로 무난하게 들어가며, 에어본 된 상대를 약간 띄우는 판정을 지니고 있기에 이 기술이 들어간다면 대다수의 블록버스터와도 연계가 가능하니 활용 역시 간편하다.
방어 판정상으로는 가드하는 것이 어렵지는 않아서 힐가드의 강펀치나 마리 고 라운드 처럼 플레이어의 명줄을 직접적으로 쥐고 흔드는 기술은 아니지만, 디버프의 전이로 인하여 플레이어의 운영을 망칠 수 있기에 성가신 편이다.
마리 고 라운드(Marie Go Round)
파일:Marie_Go_%27Round.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횟수 1타
마리가 상대방의 품 속으로 파고들어 날카로운 갈비뼈로 들이받아 피해를 준다.[5]
레벨 1 공격 적중 시, 상대에게 4 초 동안 방어막 파괴 효과를 부여합니다.
레벨 9 공격 적중 시, 상대에게 8 초 동안 방어막 파괴 효과를 부여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 적중 시, 상대에게 12 초 동안 방어막 파괴 효과를 부여합니다.
시전 중 불굴 판정
스탠딩 상태에서 적중 시 상대방을 스태거 상태에 빠뜨린다
공격 부가효과는 애매하다. 화력 자체는 무난하긴 하지만, 바람통 폭파나 힐가드의 강펀치를 포기하고 들 정도로 보기는 애매하기에 채용률이 유의미하진 않다. 다만 시전 중 불굴판정 덕분에 서둘러를 스탠딩 상태로 맞는 적에게는 버스트를 씹는 플레이가 가능하기에 블록버스터로 떼 빼고 뻥 차기를 채용한 경우에는 채용을 고려해볼 만 하다.
방어 불굴 판정 덕분에 프레임 트랩 방지용으로 탁월하며, Ai가 캐릭터 능력 충전 중에 플레이어가 전방으로 접근했을 때 이 기술을 카운터로 내지르도록 설계되어있기에 이 것을 염두에 두지 않고 마리에게 접근할 경우 이 기술 한 방에 죽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만큼, 굉장히 위협적인 기술로 평가받는다. 특히 대쉬 1타의 시전 입력 사거리가 긴 애니같은 캐릭터는 보고도 못 막는 억울한 사태가 벌어지기도. 사실상 방어자로써는 필수 스킬.
형식적 도전(Formal Challenge)
파일:Formal_Challenge.webp 유형 강제태그
손의 가죽을 장갑처럼 벗겨낸 뒤, 상대방의 뺨을 후려쳐 멀리 날려버린다.
상대방을 강제로 태그아웃 시키며 모든 이로운 효과를 제거합니다.
-
모든 캐릭터에게 존재하는 강제 태그기. 좌우 판정은 무난하지만 상하 판정이 상당히 좁다. 다만 흡입방해로 시작하는 마리의 콤보 특성 상 콤보 중에 시전할 경우 안맞는 게 더 힘들기 때문에 작은 판정이 문제가 되는 일은 거의 없다.
순식간(In a Moment)
파일:A_Moment%27s_Time.webp 유형 도발
마리가 커트시[6] 포즈를 취하면, 마리가 예전에 거주하였던 '힐가드 고아원'의 동료들과 거주민들의 유령이 나타난다.
레벨1 10 초 동안 무작위 이로운 효과를 획득합니다. 캐릭터 능력이 완충된 상태에서는 상대방에게 10초 동안 쇠퇴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레벨 6 12 초 동안 무작위 이로운 효과를 획득합니다. 캐릭터 능력이 완충된 상태에서는 상대방에게 10초 동안 쇠퇴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15 초 동안 무작위 이로운 효과를 획득합니다. 캐릭터 능력이 완충된 상태에서는 상대방에게 10초 동안 쇠퇴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공격 더블의 도발과 동일한 폐기물 스킬. 절대 채용하지 말자. 캐릭터 능력 완충 시 적에게 적용시키는 쇠퇴 효과는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어차피 마리가 무한 콤보 캐릭터기에 쇠퇴의 메리트가 크지 않다.
방어 괜한 빈틈만 만들어내는 자살용 스킬. 절대 채용하지 말자.
버스트
파일:Marie_Burst.webp 유형 버스트
마리가 스컬하트의 파편에서 힘을 뿜어내어 상대방을 밀쳐낸다
레벨1 적중 시 상대에게 5초 동안 죽음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레벨 6 적중 시 상대에게 7초 동안 죽음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적중 시 상대에게 10초 동안 동안 죽음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공격 일반적으로는 힐가드의 강펀치의 하위호환 기술이지만, 리프트에서 블록버스터 게이지 마무리를 위해 적당히 화력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 처럼 힐가드의 강펀치 대신 이 기술을 채용해야 할 일이 종종 생긴다.
방어 방어 캐릭터에게는 최고의 기술. 죽음 효과는 상대방의 밸런타인 서포터 혹은 어찌어찌 획득한 배수진 효과를 씹고 플레이어를 죽여버릴 수 있기에 꽤나 위협적이다.

3.5.2. 블록버스터

떼 빼고 뻥 차기(Scrub and Smash)
파일:Scrub_27_Smash.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횟수 2 타
마리가 전방으로 손걸레질을 하며 돌진하여 상대방을 띄운 뒤, 진공 청소기로 강타한다.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공격 적중 시, 25% 확률로 상대방의 모든 이로운 효과를 제거합니다
레벨 9 공격 적중 시, 50% 확률로 상대방의 모든 이로운 효과를 제거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 적중 시, 75% 확률로 상대방의 모든 이로운 효과를 제거합니다.
상대방이 일정 높이 이하에 있을 경우 2타가 적중하지 않을 수 있다.
상대방이 1타에 사망할 경우 2타는 캔슬된다.
풀히트 시 버프 제거 확률은 44%, 75%, 94%
공격 매우 강력한 버프 제어 스킬. 버프 제거 확률은 15레벨 기준으로 모든 버프제거 블록버스터 중 필리아의 미즈드릴러와 함께 최상급이며, 블록버스터 게이지 획득속도가 미친듯이 빠른 마리이기에 사실상 매 콤보마다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까지 있다. 타 캐릭터였으면 반드시 채용되었겠지만, 마리의 경우 버프제거 블록버스터의 주 사용처인 배수진 버프를 죽음으로 씹을 수 있기 때문에 입지가 조금 애매한 편이다. 낮은 화력과 긴 시전시간 역시 단점. 물론 면역등의 효과로 인하여 죽음 버프가 통하지 않거나, 블록버스터 사용 시 모든 디버프를 지우는 부식 특화 요원같은 적을 상대로는 이 기술을 채용해야 한다.
방어 돌진속도가 굉장히 느리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이 기술이 들어올 경우 정말 무난하게 가드가 가능하다. 차라리 원거리에서 사용하는 것 보다 콤보 연계로 당할 때 더 위협적인 편.
손목강타(Carpal Pummel)
파일:Carpal_Pummel.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횟수 1타
마리가 하늘에서 거대한 해골 팔을 소환하여 상대방을 강타한다.[7]
특수판정 해골, 투사체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공격 적중 시 20 % 확률로 상대를 3 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상대에게 죽음 효과가 적용된 상태에서 이 공격은 방어할 수 없습니다.
레벨 9 공격 적중 시 20 % 확률로 상대를 4 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상대에게 죽음 효과가 적용된 상태에서 이 공격은 방어할 수 없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 적중 시 35 % 확률로 상대를 4 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상대에게 죽음 효과가 적용된 상태에서 이 공격은 방어할 수 없습니다.
공격 피해량도 그저 그렇고, 부가효과인 기절은 딱히 마리에게 필요한 효과가 아니다. 그래도 마리의 모든 블록버스터들 중 가장 선후딜레이가 짧기에 DPS적으로는 생각보다 나쁘지 않으며, 죽음 효과 적용 시 가드불가라는 효과 덕분에 블록버스터 마무리도 매우 편하기에 채용률 자체는 그럭저럭 괜찮은 편.
방어 버스트에 맞아 죽음 디버프가 걸린 상태에서 서로 가드 위를 주고 받다가 이 기술이 날아오면 거의 무조건 한 방에 사망한다.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를 제외하고는 채용률이 높지 않은 타 블록버스터와 비교해 볼 때 그나마 채용률이 높은 편.
힐가드의 울음(Hilgard's Howl)
파일:Hilgard%27s_Howl.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횟수 최대 10타
마리의 옛 후견인 힐가드가 나타나 포효를 내지른다. 힐가드의 표효를 따라 지면에 폭발이 일어난다.
특수판정 해골, 투사체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공격 적중 시, 35% 확률로 상대에게 10 초 동안 죽음 효과를 부여합니다.
레벨 9 공격 적중 시, 35% 확률로 상대에게 12 초 동안 죽음 효과를 부여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 적중 시, 35% 확률로 상대에게 15 초 동안 죽음 효과를 부여합니다.
시전 위치에 따라 공격 횟수가 달라진다.[8][9]
공격 실질적인 피해량은 심각하게 낮다. 그나마 활용해보기 위해서는 힐가드의 강타를 적중시킨 뒤 백대쉬 후 이 기술을 사용해야 하는데, 정작 그렇게 해도 특수기 하나보다 약하기에 사용할 이유가 없다. 부가효과인 죽음 역시 힐가드의 강타나 버스트로 쉽게 걸 수 있기에 더더욱 가치가 떨어진다.
방어 마리를 향해 대쉬할 때 마리가 이 기술을 시전하는 경우 가드하기가 꽤나 까다롭다. 다만 이런 용도로는 힐가드의 강펀치쪽이 몇배는 위협적인지라 평가 자체는 영 별로.
흡입 기동(Hoover Maneuver)
파일:Hoover_Maneuver.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횟수 7 타
마리가 상대방을 띄워올린 뒤 공중에서 청소기로 빨아들인 뒤 뱉어낸다.
특수판정 첫 타격을 제외하고는 잡기 판정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준 피해량의 25 % 를 체력으로 회복합니다.
레벨 9 준 피해량의 35 % 를 체력으로 회복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준 피해량의 50 % 를 체력으로 회복합니다.
6번째 타격은 상대방을 뱉어내며 벽 바운드를 시킨다
벽에 튕긴 적은 피해량이 없는 7번째 타격을 받는다
[버그]5타 이내에 상대가 사망할 경우 상대방의 부활 고유능력을 무시하고 상대방을 즉시 처치한다
공격 체력관리 능력을 가지고 있는 블록버스터. 마리의 공격력 자체가 높지 않고, 계수마저 높지 않은 관계로 저레벨에서는 효율이 많이 나쁜 편에 들어간다. 선술한 버그로 인하여 특정 방어 캐릭터 상대로도 상당히 효과적이며, 그런 용도가 아니더라도 유일한 체력관리 블록버스터인 관계로 채용률이 꽤 높은 편에 들어간다.
방어 준 피해량의 일정 비율을 회복하는 방식인지라 방어자로는 회복 효율이 매우 나쁘다. 차라리 특수기 쪽이 더 위협적이라 채용률이 높지는 않다.
우리 의지의 무게(Weight of our Will)
파일:Weight_of_our_Will.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횟수 최대 26타
마리가 망자들의 의지를 모아 기공파를 발사한다.
특수판정 투사체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공격이 적중할 때마다 상대의 전체 캐릭터에게서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2 % 만큼 감소시킵니다.
레벨 9 공격이 적중할 때마다 상대의 전체 캐릭터에게서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3 % 만큼 감소시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이 적중할 때마다 상대의 전체 캐릭터에게서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4 % 만큼 감소시킵니다.
시전 고도에 따라 공격 횟수가 달라진다. [11]
공격 블록버스터 게이지 조절 능력을 가진 블록버스터. 다단히트 + 적은 수치만큼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감소시키는 기술 특성 상 표기 된 것의 절반도 채 효율이 나오지 않는다. 심지어 무한콤보 플레이 시 타수마저 낮기에 무한콤보를 포기해야 의미가 있어지는 블록버스터. 다만 어차피 무한콤보 플레이 시 상대방의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신경 쓸 필요가 없는 마리 특성 상, 그냥 이 기술을 내다 버리고 무한콤보를 쓰는 것이 이득이다.
방어 긴 시전시간 + 느린 투사체 속도로 인해 가드하기 매우 쉽다. Ai도 이 기술을 그냥 원거리에서 뜬금없이 시전하는 일이 많기에 사실상 위협적이진 않은 기술. 다만 가드 외에는 대처가 불가능한 기술이기에, 투사체가 마리가 바닥에 착지하고도 꽤 시간이 지나야지 완전히 떨어져서 폭발하는 특성 상 마리에게 반격을 할 수 없다는 점은 꽤나 귀찮은 점.
반복성 골절 충격(Repetitive Skeleton Impact)
파일:Repetitive_Skeleton_Impact.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공격횟수 6 타
마리가 뼈로 이루어진 거대한 손을 소환하여 상대방을 붙잡은 뒤, 벽과 바닥에 마구 내려찍는다.
특수판정 해골, 잡기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상대방에게 10 초 동안 상극성 효과를 부여합니다. 캐릭터 능력이 완충된 상태에서는 피해량이 50% 증가합니다.
레벨 9 상대방에게 12 초 동안 상극성 효과를 부여합니다. 캐릭터 능력이 완충된 상태에서는 피해량이 50% 증가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상대방에게 15 초 동안 상극성 효과를 부여합니다. 캐릭터 능력이 완충된 상태에서는 피해량이 50% 증가합니다.
공격 마리의 모든 기술 중 독보적으로 높은 피해량을 자랑하지만, 사용빈도가 너무 낮기에 쓸 일이 없다.
방어 가드불가 블록버스터인 만큼 필수 채용스킬

4. 플레이 스타일

4.1. 공격

쉬운 조작난이도와 더불어 막강한 유틸리티를 지니고 있지만, 낮은 딜량이 끝까지 발목을 잡는 무한 콤보 캐릭터.
의도한 플레이는 중근거리 특화 딜러, 그리고 소환사 캐릭터다.

기본기의 경우 특이사항으로는 지상 1타의 발동 속도가 게임 내에서 가장 빠른 축에 들어가는 동시에, 범위 또한 최상위권이라는 점이다. 이로 인하여 빅밴드 캐릭터를 상대하는 경우 시작 직후 기본공격을 빠르게 광클하는 방식으로 개전 즉시 공격권을 가져 올 수 있으며, 상당히 많은 캐릭터들을 상대로 같은 방식을 통하여 확정적으로 가드를 굳히게 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또한 시전 즉시 상대방을 스태거 상태에 빠뜨리며 강제로 바닥에 눕히는 지상 잡기 판정의 특수기 '흡입방해' 의 존재로 인하여 사실상 게임 시작부터 끝까지 공격권을 내주지 않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일라이자, 세레벨라와 궤를 갇이 두는 무한콤보 캐릭터인 셈이다.

소환사 컨셉에 걸맞게 마리와는 별개로 움직이는 두 개체의 소환물을 돌진시키는 깔아두기 플레이가 가능하다. 다만 공격자 마리의 경우 이 소환수들의 원거리 견제력은 상당히 애매한 편인데, 선딜레이가 상당히 크며 한 소환수를 두 개체 이상 깔아둘 수 없다는 특성 탓에 난사가 불가능하다는 점이 치명적이다.

기본기의 경우 지상 1타의 매우 우수한 판정 덕분에 가까이에 있는 적을 상대하기 좋지만, 느린 전방 대쉬 능력과 선딜레이가 굉장히 큰 대쉬 1타로 인하여 멀리 떨어진 적을 상대하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결과적으로 마리는 상대방과의 거리를 유지하다가, 상대방이 실수하면 즉시 거리를 좁히고 들어가 인터셉트를 해야 하는 필리아, 파라소울같은 플레이는 상당히 부적합하다.

소환수들의 경우 각자 흡입 방해와 콤보 연계가 가능하기에, 전반적으로 마리의 플레이 스타일은 기본기로 가드를 유도하고, 흡입 방해로 콤보를 시작하며, 소환수들로 콤보를 추가로 연계하는 방식의 무한콤보로 운영하게 된다. 가장 비슷한 방식의 플레이 스타일을 가진 캐릭터는 세레벨라와 일라이자.

본인의 출시와 함께 등장한 시그니쳐 효과는 '죽음(Quietus)' 디버프로 지속시간 동안 상대방의 저항을 0으로 만들며, 배수진과 축복을 무시하는 효과. 저항 무시의 경우 상당히 파격적인 옵션인 것은 맞지만[12], 마리의 경우 확률적으로 발동되는 고유능력을 가진 캐릭터가 거의 존재하지 않기에, 마리의 입장에서 죽음 효과는 전반적으로 디버프 제거 효과의 하위호환이라고 평가받는다.

물론 죽음 효과를 제외하고 보더라도 자신의 디버프 전이, 버프 제거, 방어막 파괴, 체력 회복, 상극성, 부활 금지 등 여러 가지 유틸리티 효과를 많이 지니고 있기에 전반적으로 플레이 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수를 차단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화력이 보장된다는 가정 하에, 마리로 상대가 불가능한 방어조합은 리프트 전투의 무의미한 저항 촉매 같은 특이케이스를 제외한다면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다만 그 화력이 부족하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 전반적으로 특수기와 블록버스터의 공격력 비례 계수가 처참하다. 문제는 마리의 경우 스퀴글리, 밸런타인, 빅밴드와 함께 스컬걸즈 모바일에서 가장 낮은 공격력을 지닌 캐릭터라는 점이다. 이러니 평딜과 순간 폭딜 모두 최하위권에 위치해 있는 것.

그나마 특수기 서둘러! 의 대량출혈이 어느 정도 최소 화력을 보장해주며, 무한콤보의 존재로 인하여 낮은 피해량이 어느 정도는 보정을 받기는 하지만, 대량출혈이 통하지 않는 상대가 체력까지 보정받는 상황에서는 타임아웃 여부를 걱정해야 할 정도로 낮은 화력을 지니고 있다.

4.2. 방어

원거리에서 특히나 위험하며, 근거리에서도 방심할 수 없는 요주의 캐릭터.

스탯 보정을 받는 일이 많은 방어자 특성 상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낮은 화력이라는 단점은 딱히 체감되지 않는다. 특히나 원거리 압박기인 힐가드의 강타와 서둘러!가 이러한 스탯 보너스로 인하여 굉장히 위협적인 기술이 된다.

AI가 전반적으로 시도때도 없이 캐릭터 능력을 충전하다가 압박기를 넣는 일이 많으며, 이 압박기를 가드하는 것 만으로도 상당한 체력 손실이 강요되기에, 상당히 많은 AI들을 상대할 때 처럼 처음부터 마리에게 거리를 내어주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미 거리를 내주었다면 최대한 빠르게 거리를 좁혀서 압박기를 봉인해야한다.

문제는 거리를 좁히는 과정에서도, 거리를 좁히고 나서도 상당히 많은 변수를 가지고 있다는 점. 특히나 가장 무서운 점은 플레이어가 거리를 좁히려고 대쉬하는 것을 인식하는 순간 저 압박기나 마리 고 라운드같은 특수기들이 날아온다.

이 마리 고 라운드의 경우 유사 불굴판정과 지상 피격 시 스태거 판정으로 인하여 원거리 압박기들 이상으로 까다로운 특수기로, 사실상 한 번 이 기술에 낚인 순간 캐릭터 하나는 죽었다고 봐도 좋은 수준. 특히 거리를 좁히고 나서도 프레임 트랩을 시도할 때 이 기술을 사용하거나, AI가 일부러 기본기에 빈틈을 만들어 냈다가 이 기술로 낚시를 거는 악랄한 활용을 보여준다.

거리를 좁히고 나서도 가드나 회피가 불가능한 특수잡기인 흡입 방해로 플레이어를 낚아 채버리는 선택지도 있기 때문에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아예 역으로 무한콤보를 걸거나, 선타를 한 번 잡는 경우 한 번에 확실하게 보내버리는 방식으로 상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5. 평가

5.1. 장점

  • 우월한 공격 선제권
    대쉬공격을 제외한 기본기 판정이 매우 우수하기에 인터셉트가 굉장히 쉽다. 또한 특수기를 이용한 프레임트랩, 불굴을 이용한 강제 인터셉트, 투사체 블록버스터와 특수기를 이용한 AI 낚시를 모두 할 수 있는 캐릭터이며, 무엇보다 한 번 걸리면 절대 풀 방법이 없는 즉발 행동불능 잡기 특수기의 존재로 인하여 스컬걸즈 모바일 내에서 압도적인 공격 선제권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다. 덕분에 전투 시간 전체를 딜타임으로 만들 수 있는 만큼, 낮은 피해량이라는 단점은 어느 정도 보완이 되는 편.
  • 매우 우수한 유틸리티
    6.1 버전 기준으로는 죽음 디버프를 걸 수 있는 유일한 캐릭터이며, 이 죽음 효과도 배수진과 축복 효과를 무시하는 효과이기에 상당히 유용한 편이다. 이외에도 상대방의 시체를 파괴하여 부활의 여지조차 주지 않을 수 있으며, 버프제거, 자신의 디버프 전이, 체력회복 등 자체 유틸이 일라이자에 필적할 정도로 우수하다. 특히 이 자신의 디버프 전이의 경우 6.2 패치 이후 더더욱 극대화된 장점으로, 너프를 먹기는 했지만 여전히 0티어 촉매인 전격 무력화를 확정적으로 씹을 수 있다. 디버프 제거 서포터 없이 안정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점 자체가 엄청난 메리트가 되어버린 현 메타에서는 그야말로 최고의 장점인 셈.
  • 우수한 변수 차단 능력
    위 두 장점이 서로 시너지를 일으켜서 만들어지는 장점. 마리의 변수 차단능력은 일라이자와 동급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우수하다. 상대방에게 공격의 기회조차 주지 않고 공격을 몰아치면서 자신의 디버프를 상대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피해를 상쇄하며, 상대방의 버프를 지우거나 무효화시켜서 전투중에 발생하는 변수를 사전에 차단하거나 차단하지 못하였더라도 틀어막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 무한콤보로 인한 매우 쉬운 조작, 운영 난이도
    모든 기술 레벨 12 이상 기준으로 특수기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옵션을 36% 까지 맞출 경우 서둘러 - 흡입방해 - 힐가드의 강펀치 - 바람통 폭발 무한콤보가 가능해진다. 상황에 따라서 여러 기술을 챙겨야 하는 일라이자와는 다르게 마리는 블록버스터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특수기의 채용은 거기서 거기인 만큼 콤보도 획일화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상대방의 무게에 따라 달라지는 특수기 기술 입력 타이밍만 숙지하면 된다.
  • 높은 타수로 인한 높은 리프트 전투 한계치
    높은 타수는 일반적으로 리프트에서는 단점이 되기 쉽지만, 자신의 디버프와 상대방의 버프를 제거할 수 있는 마리에게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대충 콤보를 쳐도 20타는 넘어가기 때문에 콤보점수를 확보하기 좋다. 느린 클리어타임으로 인한 약점을 어느 정도 보완해줄 수 있는 장점.
  • 매우 빠른 블록버스터와 게스트 스타 충전속도
    마리의 블록버스터 게이지 충전 속도는 모든 캐릭터들 중 단연코 독보적이다.[13] 물론 이 점은 마리의 블록버스터 성능이 전체적으로 높지 않다는 점으로 인하여 어느정도 묻히는 편이지만, 블록버스터와 충전 수치가 동일한 게스트 스타를 고려할 경우 이야기가 달라진다. 마리는 게스트 스타를 독보적으로 빠른 속도로 충전 할 수 있는 캐릭터로, 두 콤보마다 1단계 게스트 스타가 풀충전되는 유일한 무한콤보 딜러다. 게스트 스타에는 마리에게 도움이 될 만한 각종 유틸리티가 많기 때문에[14] 여러모로 활용도가 높다.

5.2. 단점

  • 처참한 공격 피해량
    무한콤보와 각종 유틸리티를 가진 대가로 마리의 기본 피해량은 모든 캐릭터들 중 최하위권에 들어간다. 기본기와 기술들의 계수, 스킬 딜레이만 놓고 본다면 마리의 DPS 계수는 일라이자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기본 공격력이 일라이자보다 낮기 때문에 기본 피해량은 일라이자보다도 낮은편이다. 사실상 대량출혈을 입히는 서둘러! 가 필수스킬 취급을 받기에 대량출혈을 매 콤보마다 걸기는 하지만 그걸 고려해도 일라이자와 클리어 타임이 비슷하거나 오히려 밀리기까지 한다. 당장에 천상계에서 일라이자는 유틸리티가 끝내주지만 클리어타임을 느리게 만드는 원흉 취급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그보다 더 화력이 낮은 마리는 사실상 별도의 화력 보정 능력이 없다면 메인딜러로는 부적합하며 서브딜러로도 할 일만 빠르게 끝내고 금방 빼야하는 캐릭터 취급을 받을 수밖에 없다.
  • 무게와 공격 판정에 따라서 갈리는 콤보 능력
    서둘러 - 흡입 방해 콤보의 경우 상대의 무게와 공격판정에 따라서 상대를 다운상태로 만들기도 하고, 스탠딩 상태로 만들기도 한다. 다운 상태로 만들 경우 특수기 재사용 대기시간 스탯이 낮을 경우 콤보가 뚝뚝 끊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하며, 스탠딩 상태로 만드는 경우 서둘러! 타격 중 버스트나 불굴, 자동방어가 터지는 사태로 인하여 제대로 역관광 당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마리 자체가 안정성 하나만 보고 써야하는 캐릭터임에도 특정 상대의 경우 오히려 안정성이 불안정해지는 요소가 내포되어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 매우 높은 특수기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옵션 의존도
    위에 서술하였듯 마리는 사실상 안정성이 최고 강점인 캐릭터인데, 이러한 마리의 높은 안정성의 절반 이상은 반드시 상대방으로부터 공격 선제권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작된다. 그렇기 때문에 특수기 흡입방해에 대한 의존도가 굉장히 높으며, 매 콤보마다 이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특수기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옵션이 상당히 높은 수치로 필요할 수밖에 없다.

6. 총평

화력만 극복할 수 있다면 상당한 고성능을 보여주는 캐릭터.
사실상 기본 성능만 놓고 본다면 필리아, 블랙 달리아와 함께 스컬걸즈 모바일에서 가장 저점이 낮은 캐릭터에 들어간다. 평균적으로 가장 강력한 딜러라는 것.

최신캐릭터 답게 자체 유틸리티가 매우 뛰어나다. 자신에게 걸리는 디버프를 제거할 수 있으며, 상대방의 버프를 제거할 수 있다. 선타는 확정으로 잡을 수 있는데 체력회복도 효율이 좋다고는 못하지만 일단은 가능하다. 각 캐릭터들의 고유능력 성능이 심각하게 떨어지는 편도 아니며, 기본 성능의 후광으로 하나같이 유틸리티는 뛰어난데, 조작 난이도까지 매우 낮기 때문에 기술작을 통하여 특수기 재사용 대기시간만 어느 정도 맞추어 준다면 저스펙 구간에서도 무난하게 굴리는 게 가능하다.

자신의 디버프 관리가 안되는 일라이자와 비교해 볼 경우 오히려 상위호환이라고 봐도 될 정도이지만, 의외로 천상계를 기준으로 삼을 경우 일라이자보다 한참 아래급 평가를 피하지 못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버프관리라는 면 하나만큼은 게임 내에서 최정상급인 일라이자와는 다르게, 마리의 디버프 관리 능력은 일부 면역 캐릭터나 자체적으로 면역 버프를 가지고 있는 파라소울, 피콕과 비교할 경우 우월하다고 이야기하기 힘들다. 특히나 특수기 제한 디버프나 기절에 걸릴 경우 무력하게 디버프 제거 유틸이 봉인되어버린다.

또한 유틸리티가 기술 하나하나에 쪼개져있기에 모든 유틸리티를 활용하기에는 기술칸이 부족하다. 기본적으로 마리라는 캐릭터 자체가 무한콤보 플레이를 위하여 흡입방해, 서둘러! 두 개의 기술이 필수적으로 강요된다. 남은 세 자리 중에는 화력을 위해 힐가드의 강펀치, 디버프 관리를 위해 바람 통 폭발이 들어가는 경우가 매우 많다. 이렇게 될 경우 사실상 비는 자리가 하나뿐인데, 이렇게 될 경우 체력회복[15], 버프제거[16] 둘 중 하나, 혹은 둘을 모두 포기해야하는 사태가 벌어진다. 하필이면 두 유틸리티형 블록버스터 모두 화력이 매우 낮으며 흡입기동의 경우 전체적으로 활성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회전율이 낮다는 단점까지 존재한다.

무엇보다, 마리가 가진 유틸리티는 다른 캐릭터들이 대체할 수 있다. 디버프 관리 능력의 경우 자체적으로 면역을 가지는 캐릭터들이나 면역관련 고유능력을 지닌 캐릭터, 아군에게 면역을 제공하는 서포터들이 존재하며, 버프 관리 능력의 경우 블록버스터에 의존해야하는 마리보다 더욱 발동 빈도가 높은 캐릭터들이 널려있다.[17]

이러한 점에서 버프 관리 능력이 게임 내에서 독보적인 일라이자와 당연히 비교될 수밖에 없지만 더더욱 치명적인 단점이 하나 더 있는데, 여차하면 기점만 마련해주고 도망칠 수 있는 일라이자와는 달리 마리의 경우 태그 플레이에 적합한 요소가 전혀 없다는 점이다.

경쟁자인 일라이자는 아군에게도 유리한 기점을 만들어줄 수 있는 재앙과 버프제거 유틸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대방을 높게 던져버리는 아누비스의 추, 최대 6초동안 기절까지 걸어주는 어퍼카트로 인하여 안전한 태그 인까지 보장해준다. 심지어 본인의 태그인 공격도 상대방의 머리 위로 즉시 떨어지는 공격이라 비교적 상대방의 공격을 반격하면서 들어오기 쉽다.

그에 반해 마리의 유틸은 철저히 자신의 디버프 제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콤보 특성 상 저고도에서 콤보를 넣게 되어 극히 일부 아군을 제외한다면 안전한 태그가 보장되지 못하며, 자신의 태그 인 모션도 맵 끝에서 대놓고 돌진해오는 모션인지라 반격당하기 쉽다. 특히나 마리의 가장 큰 자랑거리인 디버프 관리 능력은 현 시점 약 5년째 최고의 서포터로 평가받으며 태그 플레이 메타를 선두중인 피콕의 낙서 캐릭터가 태그인 하는 모든 캐릭터에게 제공해주는 능력이라는 것도 치명적이다.

결국 이러한 상황에서 마리에게 남는 장점은 이들보다 컨트롤 하기가 훨씬 쉽다는 점 정도인데, 이마저도 게임에 숙련된 유저들 입장에서는 크게 메리트를 가지기 힘든 셈이다. 요약하면 모든 장점은 다른 캐릭터나 조합을 짜 가는 방식으로 대체가 가능한데, 마리의 낮은 딜은 극복하기 힘들다. 이 점이 가장 치명적인 단점인 셈.

물론 이 점은 어디까지나 천상계에 한정되는 단점이며, 이러한 조합을 짜 가기 어려운 저스펙 구간이나 컨트롤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들 입장에서는 상당히 무난한 육각형 딜러에 해당된다. 다른 캐릭터로 조합을 짜 가는 방식으로 대체가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이걸 역으로 말해보자면 마리 메인딜러 하나가 많은 역할을 혼자 수행할 수 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특히 스컬걸즈 모바일에서 안정성이라는 요소는 굉장히 중요한 사항이기도 한데, 블록버스터 관리 능력이 전무하면서 공격 선제권조차 가지고 있지 않은 페인휠, 피콕, 더블 등의 캐릭터는 아무리 화력이 강해도 상대방이 조금이라도 스탯 보정을 받는다면 사실상 혼자서 클리어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운 수준이라는 걸 생각해보자. 심지어 블록버스터 관리 능력을 가지고 있는 빅 밴드, 스퀴글리, 블랙 달리아 같은 캐릭터도 Ai의 기복에 따라 운영 난이도가 요동치는데, 무한콤보 캐릭터인 마리는 Ai의 기복을 신경 쓸 이유가 없다는 점에서 메리트가 상당히 크다.

안정성 뿐만이 아니라 비슷한 저화력 무한 콤보 캐릭터인 세레벨라의 경우 마리와 비교해 볼 때 화력이 특출나게 강하지 않으면서도 유틸리티는 한참 아래에 있으며, 저화력 유틸 딜러인 스퀴글리의 경우 공격 선제권이 전무하기에 이론상의 화력은 마리보다 압도적이라지만, 역으로 마리보다도 빠르게 클리어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

결론적으로 마리 자체가 고점이 높지는 않기에 천상계에서 선호받는 픽은 아닐지언정, 그 밑 구간에서는 상당히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는 올라운드 딜러 포지션에 위치한다. 특히나 캐릭터의 고유능력도 상당히 여러 포지션으로 딜을 제외하고는 꽤나 고성능인 만큼, 고득점에 목숨을 걸어야 하는 천상계 구간이 아니라면 현상금과 리프트 양쪽에서 상당히 편하게 굴려먹을 수 있는 캐릭터인 셈이다.

7. 플레이 팁

공격자의 경우 능력치 배분은 공격력 %, 관통, 정확도, 특수기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옵션으로 맞추어주면 된다.

마리의 경우 특수기 흡입 방해를 통하여 상대방의 가드를 강제로 해제하고 콤보를 집어넣는 캐릭터이지만, 콤보의 길이가 굉장히 짧기 때문에 매우 높은 특수기 쿨타임 감소 능력치를 요구한다. 일반적으로는 스킬 레벨 9 이상, 특수기 쿨타임 감소 33% 정도로도 어느 정도 사이클이 돌아가지만, 맨뼈같은 특이케이스의 경우 모든 스킬 레벨 12 이상, 특수기 쿨타임 50%로도 굉장히 빡빡하게 돌아간다.

8. 스킨

8.1. 다이아몬드

8.1.1. 냉혹

냉혹 파일:스걸모어둠속성.png
파일:Heartless.png
카드
파일:SG_mar_color16.png
인게임
티저
"모든 하트는 어둠으로 돌아가는 법!"
고유 능력
대참사
해골 공격들의 피해량이 50% 상승합니다. 상대 체력이 50% 이하거나 해로운 효과가 최소 3개 적용된 상태에서는 해골 공격에 방어 불가 효과가 적용됩니다.[18]
마리가 살아있는 동안, 마지막으로 남은 상대가 태그 난입하면 20 초 동안 저주, 대량 출혈, 죽음 효과를 부여합니다.
능력치 유형 : 공격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617 11847 3753 72058
컬러 모티브는 킹덤하츠 시리즈안셈.

마지막 상대에게 모든 캐릭터들 중 가장 긴 지속시간의 저주와 죽음 효과를 적용시켜 약화시키는 딜링형 서포터 캐릭터. 참고로 능력의 발동이 맵에 난입하는 것이기에 1인방에서는 능력이 발동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자. 이론상의 화력은 모든 마리 캐릭터들 중 3위에 해당하는데, 냉혹보다 강한 화력을 가진 마리 캐릭터 둘은 꽤나 긴 예열을 요구하기 때문에 서포터임에도 실질적으로 화력이 가장 강력한 마리 캐릭터다.

마리의 기본 성능이 매우 뛰어나며, 냉혹은 그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실질 화력을 자랑하지만 결국 마리라는 태생을 넘어서지는 못한다. 사실 화력 증가 효과 역시 해골공격에 한해서 50% 피해증가이기에 타 캐릭터들의 누커 캐릭터들과 비교하면 초라한 수준이기도 하다. 딜러로써의 객관적인 성능이 나쁘진 않지만 결국 이 화력 때문에 작은 육각형 캐릭터로 취급받는 만큼, 티어가 올라갈 수록 메인딜러보다는 서포터로 활용된다.

저주 효과는 고유능력을 차단하는, 스컬걸즈 모바일에 존재하는 모든 디버프들 중 가장 치명적인 디버프로, 현존하는 모든 방어 캐릭터들은 저주 효과가 걸리는 순간 자체 내구도 외에는 아무것도 없는 허수아비로 전락한다. 또한 냉혹이 서포터로 활약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이 저주 효과는 본인이 필드에 나와있지 않아도 적용된다는 점이 결정적이다.

다만 저주효과를 활용할 수 있는 캐릭터들 중 저주 효과의 발동 빈도가 가장 낮다는 점이 결정적인 단점. 지속시간 자체는 길지만, 상대방 셋 중 단 한 명한테만 저주를 걸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현상금 전투나 3인방에서는 마지막 타자 데스위시나 메갈로마니아를 처리하는 용도 이외로는 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심지어 이 들이 저주를 받을 수 있도록 강제 태그로 처치 순서를 조정해야 하는데, 강제 태그 시스템 상 이 점이 오로지 운빨이라는 점이 매우 치명적인 단점이다.

심지어 20초 안에 상대를 처치하지 못한다면 저주를 다시 걸 방법마저 없다. 조금이라도 운영이 꼬이거나 장기전으로 흘러갈 경우, 즉 전투가 고난이도로 갈 수록 아이러니하게도 저주 딜러/저주 서포터로써의 입지를 상실해버리는 모순을 지니고 있다.

그래도 상대방의 내구도가 높지 않은 리프트 전투 2인방 환경에서는 독보적인 입지를 자랑한다. 방어 캐릭터가 단 둘 뿐이기에 실질적으로 첫 방어자 하나만 때려잡는다면 다음 타자가 반드시 저주에 걸린다. 원하는 방어자에게 저주를 거는 운영도 매우 쉬우며, 상대방의 내구도가 낮기에 20초 안에 때려잡기도 편하다. 최악의 빈도를 가진 저주가 2인방에 한해서 점유율 50% 이상의 비중을 가지도록 변화하는 만큼 입지가 탄탄할 수 밖에 없다. 요약하자면 리프트 2인방 국밥 필수 육성 서포터.

리프트에서의 입지가 이렇게 단단한데, 현상금 역시 딱히 모난곳은 없는 균형잡힌 성능을 보여주기에 전체적으로 태생 다이아몬드 공격자들 중에서도 육성 우선순위가 꽤 높은 편이다.

다만 2인방 메타 촉매인 바람 속으로 촉매의 경우 저주까지 제거하므로 타이머를 잘 체크해 보도록 하자.

여담이지만 리프트의 자동면역 효과를 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버프가 1개[전용]2개[공용] 이상일 때 디버프를 받으면 모든 디버프를 제거하는 판정인데, 냉혹의 고유능력은 디버프가 0개 일 때 3개의 디버프를 적용시키는 판정이라서 자동면역의 트리거를 발동시키지 않는 것. 다만 이 상태에서 디버프를 입히는 기술들을 적중시킬 경우, 대량출혈/죽음 효과 같이 이미 상대방에게 걸려있는 디버프라고 해도 자동면역이 발동되므로 주의하자.

8.1.2. 메갈로매니아

메갈로매니아 파일:스걸모 물속성.png
파일:Megalomaniac.png
카드
파일:SG_mar_color30.png
인게임
티저[21]
"끔찍한 시간을 보내게 될 거야."
고유 능력
심판의 날
마리가 살아있을 때, 모든 팀원들이 체력을 30% 잃을 때마다, 영구적인 방어막 효과와 10초 동안 지속되는 회피 효과를 얻습니다. 상대방이 블록버스터를 사용하면 방어막 효과가 1 중첩 씩 제거됩니다.
마리가 필드에 있을 때, 어떠한 종류의 방어막이든 3 중첩 이상 적용받고 있다면 매 15초 마다 상대방을 4초 동안 기절시키고, 매 5초마다 10 % 의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흡수합니다.
능력치 유형: 방어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457 8775 4586 88052
컬러 모티브는 언더테일샌즈. 전체적으로 이름이 매우 길며 두 글자로 줄일 경우 어감이 몹시 좋지 못한 관계로 대부분 샌즈라고 부르고있다.얘한테 엿먹은 유저들은 극대노하며 메갈이라고 부르긴 한다

아군이나 자신이 피해를 입을 때 마다 방어막을 획득하고, 방어막이 일정 수치 이상 증가할 경우 주기적으로 상대방을 기절시키는 방식의 기믹형 방어자. 냉기 방어막, 방어막 등급 등의 촉매효과나 전투효과 등을 통해 획득하는 방어막을 통해서도 기절이 걸리며, 방어막이 3중첩이 걸린 상태에서 15초 뒤에 기절을 거는 구조가 아니라, 전투 시간이 15초 흐를 때[22] 메갈로매니아의 방어막이 3스택 이상이면 기절이 걸리는 구조이기 때문에 방어막 3스택이라면 플레이어에게 기절이 걸리기 까지 남은 시간은 표기된 수치보다 훨씬 촉박하다.

심지어 고유능력으로 영구 방어막을 획득하는 방식 조차 자신을 포함한 아군의 체력이 70%, 40%, 10% 이하로 떨어질 때 마다 회피와 영구 방어막이 적용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만조 효과를 통한 독기나, 다크 마이트, 와인 양조업자 같은 캐릭터들의 체력 회복 효과로 해당 체력 구간을 여러번 오고 간 경우 오고 간 횟수만큼 방어막과 회피가 쌓인다.

그렇기에 샌즈 조합을 안전하게 처리하고 싶다면 반드시 샌즈를 제일 먼저 끄집어내어 처치해야만 한다. 적을 하나라도 잡고 끄집어내는 경우 3개 이상의 회피 스택과 3개 이상의 보호막을 들고 난입하여 첫 타임 기절을 피하는 것 부터 쉽지 않으며, 마리의 매우 공격적인 AI로 인하여 긴 콤보를 얻어맞고 죽거나, 죽지 않고 간신히 살아남는다 해도 5 초정도 뒤에 또 다른 기절에 걸리게 된다.

문제는 샌즈 자체의 내구도 자체도 만만치 않으며 마리 특유의 악랄한 Ai와 회피 효과로 인해 정작 샌즈를 먼저 끄집어냈더라고 해도 딱이 유리하지는 않다는 것. 특히 회피 효과가 여러가지 변수를 많이 만들어내기에 재앙 효과를 가진 캐릭터가 반드시 필요하다. 애초에 다음 상대가 랜덤하게 정해지는 강제태그 시스템 특성 상 샌즈를 먼저 끄집어내는 것 부터 쉽지 않다.

즉 체급이 낮은 다른 기믹형 방어자들과는 다르게 체급부터 우월하며, 기믹 파훼법을 알아도 운에 의존해야 하는 만큼 뉴비절단기를 넘어서 그냥 유저 절단기 방어자. 2025년 시점으로 로보포춘의 리이미지, 블랙 달리아의 와인 양조업자와 함께 그 어떠한 컨텐츠에서도 악랄한 성능을 자랑하는 최강의 적폐 방어자. 자체 성능도 악랄한데 궁극능력의 부활 시 체력 증가 + 영구방어막 효과로 인하여 바람주간에서는 말 그대로 필수 방어 캐릭터 취급받는다.

조합 방식도 무궁무진한데, 부활 효과 덕분에 리이미지와도 좋은 궁합을 보여주는데, 선술한 매커니즘으로 인해 재생형 방어자인 지 아이 재즈와 와인 양조업자같은 메타 메인탱커들은 물론 다른 기믹형 방어자인 다크 마이트, 데스위시 같은 캐릭터와 조합시킬 경우 어느 쪽을 먼저 끄집어내도 손해만 보는 사태가 벌어지는 악랄한 시너지를 자랑한다. 즉 자체 체급도 무식하게 높은데 메타 방어자들과의 시너지 역시 악랄하기에 플레이어는 샌즈가 조합에 끼어있는 것 만으로도 복잡하고 어려운 운영을 강요받는다.

[역사]
출시 이후 가장 빠르게 상향된 캐릭터다. 출시 초기 고유능력은 다음과 같다.
심판의 날
마리가 살아있을 때, 모든 팀원들이 체력을 30% 잃을 때마다, 영구적인 방어막 효과를 얻습니다. 자신과 상대방 어느쪽이라도 블록버스터를 사용하면 이 방어막 효과를 1 중첩 제거됩니다.
마리가 필드에 있을 때, 어떠한 종류의 방어막이든 3 중첩 이상 적용받고 있다면 매 15초 마다 상대방을 4초 동안 기절시키고, 공격력의 100% 만큼의 피해를 입힙니다.

초기에는 회피 효과가 없었고 메갈로매니아의 블록버스터로도 방어막이 사라졌었다. 또한 블록버스터 감소 효과도 존재하지 않았다. 다만 기절에 걸릴 때 공격력의 100%에 해당하는 피해를 추가로 입혔기 때문에 현상금 고연승 구간에서는 기절에 걸리는 것과 동시에 플레이어가 사망하는 황당한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었다.

당시 메타는 재앙 캐릭터들이 특히나 유리했던 메타였던 만큼, 상당히 애매하다는 평을 받았다. 물론 샌즈라는 모티브를 좋아하지 않아서 성능을 내려치는 유저들도 꽤 많았지만, 결국 먼저 끄집어내기만 하면 메타 서포터였던 낙서가 자동적으로 재앙을 걸여줬던 만큼 입지가 꽤나 애매했던 것도 사실이긴 했다. 덕분에 6.1 패치로 상향을 받게 되어 메타 방어자에 오르는 데 성공했다.

8.1.3. 매드 맬리스

매드 맬리스 파일:스걸모 빛속성.png
파일:Mad_Malice_29.webp
카드
파일:SG_mar_color29.png
인게임
"우린 전부 미쳤어."
고유 능력
목을 쳐라!
매드 맬리스가 살아있을 때, 매드 맬리스를 제외한 팀원이 치명타 공격을 적중시키면, 해당 팀원은 25% 확률로 15초 동안 분노 효과를 획득합니다.
아군 또는 적이 체력을 30% 잃을 때마다 매드 맬리스는 영구적인 분노를 획득합니다. 이 분노가 5중첩 이상일 때, 영구적인 정확성 효과를 획득합니다.
능력치 유형 : 공격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617 11847 3753 72058
[특전 일러스트]
파일:25 may malice in wonderland.webp
2025년 5월 백스테이지 패스 태생 다이아몬드 캐릭터.[23] 백스테이지 패스 다이아몬드 캐릭터 답게 등 뒤에서 타오르는 스컬하트의 불길이 무지개 색으로 계속 변화하는 특수 이펙트를 지니고 있다.

이론상의 화력이 모든 마리 캐릭터들 중 가장 강력한 캐릭터. 분노 서포터 겸 서브딜러로 활용하라는 의도로 설계된 캐릭터지만, 실질적으론 분노 이외의 서포팅 요소가 없으며 이 분노 효과 역시 적용받을 수 있는 딜러들이 한정되어 있다는 점으로 인해 서포터로써의 성능은 천사군인의 압도적인 하위호환에 해당한다.

다만 아군 혹은 적군의 체력이 30% 감소할 때 마다 영구분노를 획득하며, 영구 분노가 5 중첩이 된다면 영구 정확성 효과를 획득한다는 점 덕분에 실질적으로는 서포터가 아니라 메인 딜러의 역할을 수행하는 캐릭터다. 기술작으로 추가되는 치명타 피해량이 0% 여도 분노 효과가 5중첩이 되는 순간 실질 피해 상승 수치는 무려 170%이나 되는 만큼 매드 맬리스 혹은 아군이 재대로 예열을 수행해 준다면 어지간한 누커들과 동급의 화력을 보여준다.

다만 결정적인 단점은 바로 이 예열에 있는데, 상대방이 일정 피해를 받을 때 마다 분노가 적용되는 특성 상 정확성이 필요한 딜러를 상대로는 상대를 하나 잡고 다음 타자를 반 피 이상 깎아야 정확성을 획득할 수 있기에 재 때 정확성을 사용하기 어렵다. 반대로 정확성을 신경 안쓰고 화력만을 위해 매드 맬리스를 채용한다 해도 문제가 많다. 정확성과 분노 효과가 모두 없는 매드 맬리스의 기본 성능은 냉혹과 다크호스의 철저한 하위호환에 불과하다.

결국 예열 시간이 중요한 캐릭터라는 의미인데, 매드 맬리스를 메인딜러로 설정할 경우 서브딜러가 충분한 화력을 안정적으로 발휘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딜과 안정성이 부족한 조합으로 편성하여 예열이 느린 경우, 그 만큼 매드 맬리스가 재 성능을 발휘하는 속도가 느려져 장기간 시간을 낭비해야 한다. 문제는 딜이 충분한 조합으로 편성하여 예열이 빠른 경우, 애초부터 매드 맬리스가 딱히 필요하지 않았던 조합이라는 의미이기에 이 것 역시 뭔가 찜찜하다.

즉 구조 자체가 정확성 딜러로도, 메인 딜러로도, 서포터로도 미묘하게 모순된 요소가 존재하는 캐릭터. 자체 성능의 후광으로 인해 객관적으로 성능이 구리다고 단언하긴 어렵지만 그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하든 활용처를 찾기 어렵다.

여담이지만, 7.3 패치가 정식으로 이루어지기 전이었던 4월 25일, 클라이언트에만 먼저 업데이트 되었다. 당시 고유능력 1에는 매드맬리스 본인 역시 치명타 공격 시 일정확률로 분노 효과를 획득할 수 있었다.

정식으로 7.3 패치가 이루어질 땐 본인은 고유능력 1을 적용받지 못하도록 조정되었는데, 이는 고유능력 2가 발동되면 상시 치명타가 터지니 고유능력 1의 발동 빈도도 잦아져 사실상 10중첩 분노라는 전무후무한 피해증가를 받을 수 있었기에[24] 개발진들이 서포터 치고는 화력이 너무 강하다는 생각이 들었던 듯 하다. 저스펙 구간의 유저들은 합리적인 너프라는 의견이 많지만 고스펙 유저들은 그정도는 되어야 메인딜러로 쓸 만한 가치가 나왔을 것이라며 안타까워 하는 의견이 대다수.

8.2. 골드

8.2.1. 옥토플라즘

옥토플라즘 파일:스걸모 물속성.png
파일:Octoplasm.webp
카드
파일:SG_mar_color17.png
인게임
티저[25]
"크라켄 머리뼈를 찾아서."
고유 능력
허우적허우적
마리가 태그로 난입하거나 나갈 경우, 물 속성 팀원이 15 초 동안 2 재생 중첩을 획득합니다. 또한 블록버스터 게이지가 15% 증가합니다.
마리가 살아있을 때, 재생 효과를 유지 중인 물 속성 팀원이 공격 시 25% 확률로 15 초 동안 출혈, 점액 또는 죽음을 유발합니다.
능력치 유형 : 방어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392 7527 3931 75476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18 3532 2184 35381
모티브는 스플래툰 2이이다. 힐가드를 비롯한 해골병사들은 히메의 컬러링이다.

물 속성 캐릭터 전용 태그 서포터. 물 속성 아군에 한하여 상당한 화력 증가와 동시에 재생 유틸까지 제공한다. 다만 화력 증가 효과가 공격 시 확률적으로 디버프를 적용하는 매커니즘이기에 아군의 타수에 따라 효율이 크게 달라진다. 심지어 이 효과는 오직 재생 버프를 받고 있을 때 적용되기 때문에 난입 이후 15초 동안 최대한 많은 공격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까지 붙는 만큼 선제권 유틸리티와 타수를 모두 챙기는 딜러가 필요하다.

상대방이 면역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않다면 옥토플라즘의 화력 증가 효과 자체는 매우 강력하다. 애초에 이 효과를 옥토플라즘 역시 적용 받기 때문에 현상금에서 활용할 경우 재생 효과를 유지하는 한 교복 머리 부럽지 않은 도트딜링을 보여줄 정도. 다만 효과가 강력하다 해도 태그 플레이와 어울리면서 타수가 많고, 옥토플라즘이 제공하는 디버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도, 공격 선제권 싸움에서도 강한 공격자 캐릭터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다.[26]

그나마 골라보자면 잘 어울리는 딜러는 일라이자 디 나일과 호화 보석, 엄브렐러 엔젤 메이커, 빅 밴드 헤비메탈 정도가 끝인데 디 나일의 경우 처참한 화력이, 호화 보석과 헤비메탈은 처참한 유틸리티가 발목을 잡는다. 결국 엔젤 메이커를 제외하면 어울리는 딜러가 없다. 덕분에 평가 자체는 상당히 애매하다.

물론 어텀 게임즈가 스컬걸즈 모바일의 개발 전권을 끌고가기 시작한 2025년 4월 이후로는 달마다 밸런스 패치를 진행하고 있으며, 밸런스 패치를 할 때 마다 기존 방어자로 쓰이던 물 속성 공격자들을 공격에서 크게 상향시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관계로 미래가 영 어둡지는 않은 편이다. 당장에 호화 보석이 상향받아 메이저 공격자가 되거나 괜찮은 고유 능력을 가진 물 속성 일라이자 캐릭터가 출시되는 순간 옥토플라즘 역시 메이저 서포터가 될 것이라는 예측이 많은 편.

[역사]
출시 당시 고유능력은 아래와 같다.
고유 능력
허우적허우적
마리가 살아있을 때, 기절을 제외한 상대 해로운 효과의 지속시간이 5 초 증가합니다. 물 속성 캐릭터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캐릭터 능력 사용 시, 모든 상대 이로운 효과를 제거하고 35 초 동안 죽음 효과를 부여합니다. 또한 모든 물 속성 팀원에게 대량 재생 효과를 영구적으로 부여합니다.
초기 컨셉 자체는 적의 디버프 시간을 증가시키며 아군에게 대량 재생 효과를 부여하는 서포터 겸 서브딜러. 고유능력 2의 경우 본인이 메인딜러가 아니라면 활용하기 힘든 유틸리티므로 사실상 없는 능력이었다. 사실상 디버프 5초 증가 능력이 존재 이유였던 셈이다. 일단 스컬걸즈 모바일에서 디버프 지속 시간 증가라는 유틸리티를 가진 캐릭터는 옥토플라즘과 아이스크림 전도사 둘 뿐이기에 평가와는 별개로 해당 유틸리티를 사용하고 싶다면 대체제가 거의없는 케이스이기는 하다.

물론 전체적인 평가는 수요 없는 공급. 출시 당시에는 물 속성 방어자들이 메타를 쥐고있던 지라 존재 가치가 사라져버린 탓에 태생 골드 이상의 마리 캐릭터들 중 유일한 쓰레기 캐릭터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6.1 패치 이후에 사실상 물 속성 방덱이 많이 위축되어버리며 활용 여지가 생기기도 했었다. 특히 6.3 패치로 상향을 받은 툼 앤 글룸과 상당히 시너지가 잘 맞았기에 저티어 리프트에서는 툼 앤 글룸과 함께 사용되는 일도 있었다.

물론 툼 앤 글룸 역시 간혹 가다가 꺼내는 픽 위치를 넘지는 못했기에 전반적인 평가가 많이 개선된 것이었냐면 그건 딱히... 그마저도 메타가 정립되며 쇠퇴예보, 바람 속으로, 자동면역 등의 촉매가 메이저해지자 툼 앤 글룸도 메타에서 배제되기 시작했으며 자연스럽게 옥토플라즘 역시 잊혀졌다.

이후 패치로 고유 능력이 현재와 같이 변경되어 물 속성 딜러를 보조하는 서포터로서 활용될 여지를 가지게 되었다. 다만 현재 물 속성 딜러가 부족한 상황이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는 않으나, 앞으로 패치 방향성에 따라 미래가 결정될 캐릭터.

8.2.2. 무덤지기

무덤지기 파일:스걸모 빛속성.png
파일:sgmGravedigger.png
카드
파일:SG_mar_color15.png
인게임
티저
"다른 사람 허락 따윈 필요 없어. 난 내가 누군지 잘 알아."
고유 능력
현실적인 사람[27]
상대방이 넉다운 되면, 15 초 동안 면역과 불굴 효과를 얻습니다.
면역과 불굴을 모두 보유한 상태에서는 2 초마다 정확성 효과를 1 중첩 획득합니다.
능력치 유형: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461 8852 3573 68602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256 4148 1985 32157
모티브는 아바타 아앙의 전설 시리즈의 토프.

디버프 관리 능력을 극대화한 스킨. 상대를 쓰러뜨리기만 해도 면역과 불굴을 얻는데, 마리는 가드를 무시하고 상대를 붙잡아 바닥에 내려찍는 잡기 특수기인 '흡입 방해'가 존재한다. 사실상 원하는 타이밍에 즉시 발동시킬 수 있는 면역 효과를 가진 것과 다를 바 없는 것.

물론 마리에게는 사실상 모든 디버프를 상대방에게 전이시키는 바람통 폭파가 있기는 하지만, 무덤지기의 경우 면역과 바람통 폭파까지 가지고 있기에 다른 마리보다도 디버프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다.[28] 특히 6.1 패치 이후로 리프트의 촉매 메타가 디버프 위주로 돌아가기 때문에 더더욱 부각되는 장점이다.

다만 공격력이 객관적으로 매우 낮기 때문에 그 놈의 화력 문제로 3인방까지는 잘 들어가지 못하는 편이다. 초기에는 3인방까지 사용하는 유저들이 존재하였으나, 메타가 정립되어가면서 조금 컨트롤이 더 까다로울지라도 더 화력이 좋은 캐릭터를 사용하는 것이 고득점에 유리하다는 결론이 나온 뒤로는 1, 2인방에 한정하여 사용되는 경향이 크다.

심지어 2인방의 경우에도 무덤지기 입장에서는 꽤나 불리한 상대가 자주 나오고 있는 상황인지라[29] 사실상 1인방 전용 캐릭터로 밀려난 상태다. 다만 1인방에 한해서 어새신 그리드 정도를 제외하면 역상성이 적으며, 특히나 로보 포츈의 블루 스크린과 리이미지[30] 상대로 매우 강력하기에 입지 자체는 꽤 좋은 편.

8.2.3. 유령 사냥꾼

유령 사냥꾼 파일:스걸모 바람속성.png
파일:Gust_Buster.png
카드
파일:SG_mar_color13.png
인게임
티저
"잘 자."
고유 능력
무서운 멘션
해골 소환 기술의 피해량이 35% 상승하며, 적중 시 상대방의 이로운 효과 최대 3 개를 자신에게 전이합니다.
충전 상태에서 모으기 공격 적중 시, 자신에게 적용된 모든 전투 효과를 35 초 동안 유지되는 차단막, 독기, 분노로 전환합니다.
능력치 유형 :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461 8852[31] 3573 68602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256 4148 1985 32157
현상금 보상 캐릭터
모티브는 루이지 맨션루이지

상대방의 버프 관리에 특화되어 있는 공격자 캐릭터. 고유능력 1의 존재로 인하여 사실상 상대방이 획득하는 모든 버프를 빼앗아 갈 수 있다. 특히 특수기 서둘러! 가 무려 7타로 이루어진 덕분에 영구버프만 아니라면 모든 버프를 뜯어올 수 있는 수준. 마리의 기본 성능이 디버프를 거의 완벽하게 대처할 수 있는 만큼, 유령사냥꾼은 버프와 디버프를 모두 관리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최상급 유틸 캐릭터에 해당한다.

물론 이러한 유틸캐릭터들이 다 그렇듯, 화력이 심각하게 딸린다. 고유능력 1에 해골 공격 추가피해 35%로 인하여 위에 서술된 무덤지기보다는 훨씬 안정된 화력이 나오기는 하지만, 그걸 고려하더라도 3인방에 집어넣을만한 화력은 나오지 않는다. 유틸리티 자체도 상당히 우수한 편이기는 하지만, 이미 자신의 디버프와 상대방의 버프를 모두 제거할 수 있는 캐릭터로는 밸런타인의 사일런트 킬이 존재하며, 체력관리 면에서는 사일런트 킬 쪽이 훨씬 안정적이기 때문에 리프트에서의 입지도 상당히 애매한 편.

더욱이, 무덤지기에서 설명하였듯 6.3 패치 이후 2인방의 전반적인 메타부터 마리 캐릭터에게 딱히 유리하지 않기에 활용처 자체가 많지 않은 것이 치명적이다. 이런 적은 활용처에서도 경쟁 캐릭터인 무덤지기와 사일런트 킬의 경우 메이저 1인방 방어 캐릭터인 블루 스크린을 잡는데 최적화된 캐릭터이며, 특히 무덤지기의 경우 부식 특화 요원과 리이미지까지 쉽게 처리할 수 있어 유령사냥꾼과 차별화가 가능하기에, 경쟁 캐릭터들과 차별화가 가능한 요소가 없다시피 한 유령사냥꾼은 기본적인 성능은 우수할지 몰라도 육성 가치가 별로 높지 않다.

그나마 2025년 9월 이후로는 바람 속으로 방덱을 상대할 때 푸쿠아의 거친 복사본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꽤 늘어났다. 가뜩이나 빠르게 블록버스터를 채우는 마리의 입장에서 거친 복사본의 영구신속까지 받으면 바람 속으로의 블록버스터 게이지 리셋을 사실상 무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

물론 이러한 플레이 자체도 같은 마리 캐릭터인 다크호스가 존재하기에 입지 경쟁을 해야한다는 점이 단점이긴 하다. 이 쪽은 예열이 5초 더 긴 대신, 화력부터 유령 사냥꾼보다 훨씬 강하기도 하고.

8.2.4. 다크호스

다크호스 파일:스걸모어둠속성.png
파일:Dark_Horse.png
카드
파일:SG_mar_color12.png
인게임
티저
"이 밤은 영원히 계속되리라!"
고유 능력
불길한 달
자신과 상대 모두 교체 없이 전투할 경우 매 10초마다 상대에게 재앙 효과를 부여하고, 자신은 영구 신속 효과를 받습니다.
다크 호스가 생존한 상태에서 신속 효과를 적용받고 있다면, 모든 어둠 속성 팀원들은 피해량이 50% 증가합니다.
능력치 유형 : 공격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529 10157[32] 3217 61767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94 4763 1787 28950
컬러 모티브는 마이 리틀 포니루나 공주.

10초의 예열이 필요하지만, 예열이 완료된다면 모든 마리 캐릭터들 중 두 번째로 강력한 피해량과 가장 빠른 블록버스터 회전률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메인딜러 공격자 캐릭터.

사실 다크 호스의 고유능력을 처음 보는 사람들은 다크 호스를 재앙 효과를 지닌 어둠속성 피해증가 서포터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재앙 효과의 경우 지속시간이 없는 반영구 디버프이긴 하지만, 태그나 디버프 제거 효과가 워낙 많이 보급되어버린 관계로 존재감이 꽤나 희미한 편이다.

또한 피해증가 효과의 경우 일종의 딜레마를 가지고 있는데, 이 피해증가 효과는 다크호스 본인 역시 적용받기 때문에 피해증가 효과와 신속까지 같이 적용받는 다크호스는 무난한 화력과 뛰어난 유틸리티를 모두 갖춘 육각형 딜러에 해당한다. 덕분에 다크호스를 서포터로 굴린다는 의미는 피해증가 버프를 받은 다크호스 이상의 성능을 내는 캐릭터를 딜러로 활용한다는 의미인데 보통 그런 캐릭터들은 이미 충분한 화력을 가지고 있는지라 피해증가 효과를 딱히 필요로 하지 않는다.[33]

반대로 화력이 약한데 유틸리티가 강력한 어둠속성 딜러를 메인딜러로 굴릴 경우, 마리의 탄탄한 기본 성능 때문에(...) 유틸리티가 다크호스보다 강력한 경우가 거의 없다. 결국 그냥 본인이 직접 싸우는게 더 이득이다.

실질적으로는 10초의 예열 이후 획득하는 신속과 피해증가 효과를 통해 빠르게 전투를 마무리하는 유형의 캐릭터. 신속효과로 인하여 무한콤보를 굴려도 매 콤보마다 1레벨 블록버스터를 박을 수 있기 때문에 평딜 DPS부터 타 마리 캐릭터들보다 강력하며[34], 약간의 평딜을 포기하고 2레벨 블록버스터 흡입 기동을 채용하더라도 압도적인 사용 빈도로 인하여 유지력 면에서 타 마리 캐릭터들과 큰 차별화가 이루어진다.

자체 화력은 태생 다이아몬드 캐릭터인 데스위시와 와인 양조업자 등과 비교하더라도 크게 밀리지 않을 만큼, 무난한 피해량이 뽑혀 나오지만 아무래도 다단히트 기술이 꽤 포진되어있는 마리 특성 상 무의미한 저항 같은 메타 촉매에 큰 피해를 입으며 재앙과 죽음 효과 역시 자동면역에 무력화당하는 일이 많기에 상대방이 특정 조합이 아니라면[35] 3인방까지 가는 일은 드믈고, 어지간해선 2인방 바람 속으로 혹은 1인방 파멸장치 리이미지 조합을 상대하는 용도로 활용된다.[36]

8.2.5. 웃음의 사신

웃음의 사신 파일:스걸모 바람속성.png
파일:Grin_Reaper.webp
카드
파일:SG_mar_color18.png
인게임
"난 죽은 자를 되살릴 수 있어! 잘 봐, 잘 보라고!"
고유 능력
숨 넘어갈 듯
자신과 상대방 어느쪽이든 블록버스터를 사용하면, 웃음의 사신은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15% 충전하고, 상대방에게 15 초 동안 상극성 효과를 부여합니다.
상대를 처치하면 캐릭터 능력을 즉시 완충하고 12초 동안 독기 효과를 2 중첩 획득합니다.
능력치 유형 : 공격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529 10157 3217 61767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94 4763 1787 28950
[특전 일러스트]
파일:May_2024.webp
마리의 첫 백스테이지 패스 태생 골드 캐릭터.[37] 컬러 모티브는 멕시코의 유명 시트콤 차보 데 로쵸의 주연인 칠린드리나.[38] 5월 월간 현상금 테마가 멕시코의 독립기념일인 싱코 데 마요라는 것을 감안하면 나름대로 테마와 굉장히 잘 어울리는 캐릭터. 다만 해당 캐릭터가 유명하지 않은 다른 문화권에서는 도대체 왜 태생 브론즈가 아니냐는 비아냥을 들을 정도로 컬러링에 대한 악평이 많았다.

블록버스터 스패밍 캐릭터로 오해하기 쉽지만, 특수기 흡입 방해를 통한 무한콤보의 이점이 너무 크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고유능력 2의 캐릭터 능력 완충 효과만 보고 시체 제거 + 부활금지 요원으로 사용하는 유틸형 딜러다. 이 유틸리티 하나만으로 준필수급 공격자로 취급받는다.

사실 현상금에서는 이 유틸리티를 활용할 일이 별로 없지만, 마리라는 캐릭터의 높은 저점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구릴 수가 없는 성능이며, 마리가 워낙 블록버스터 자체가 빠르게 돌아가는 캐릭터인지라 굳이 고유능력 1의 블록버스터 게이지 충전을 활용하지 않아도 상극성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그리고 이 상극성 효과로 인해 현상금에서도 자주 보이는 방어자인 와인 양조업자, 어새신 그리드도 쉽게 처치할 수 있으니 사실 현상금에서도 성능 자체는 무난한 편이다.

애시당초에 시체제거 유틸 역시 현상금에서 자주 보이는 데스위시를 재대로 저격하는 만큼 상성을 잘 보고 투입할 경우에는 구릴 수가 없는 스펙이기는 하다. 무엇보다 이 두 유틸리티가 평행세계의 무자비 난이도[39], 특히 보스방에서[40] 매우 유용한 효과인지라 리프트가 아니더라도 바람속성에서 바람맞은 머리 바로 다음 육성을 추천할 정도로 스펙 무관하게 무난한 활약이 가능하다. 다만 부식 특화 요원에게는 구조적으로 상극성을 절대 걸 수 없다는 점이 약간 아쉽긴 하다.

어찌되었든, 리프트를 본격적으로 파고들 정도의 수준이 된다면, 상극성 딜러로써의 가치는 소멸한다. 상극성 효과에 카운터 당하는 재생형 방어자들 중 부식 특화 요원은 현상금에서도 그렇지만 구조적으로 웃음의 사신이 상극성을 걸 수 없는 캐릭터다. 와인 양조업자의 경우 상극성 효과를 보겠다고 재앙을 바람통 폭파로 넘기지 않는 경우 웃음의 사신 역시 체력이 다는 것을 막을 수 없으며, 재앙을 넘겨버릴 경우 상극성 효과가 의미가 없어진다. 어새신 그리드의 경우 웃음의 사신이 역으로 피해를 크게 입는 덕에, 상극성 걸겠다고 어새신 그리드에게 블록버스터를 쓰는 행위 자체가 체력점수를 포기해버리는 트롤링에 가깝다.

대신 이 때 부터 시체 제거 유틸리티가 빛을 발하는데, 리프트 바람주간 보스방[41], 빛주간 보스방[42], 빛주간 상단 3인방[43]에서는 웃음의 사신을 제외한 선택지가 많지 않기에 사실상 준필수급 핵심 서브딜러로 활약한다. 비슷한 유틸리티를 페인휠의 찌르는 듯한 추위와 필리아의 순수한 힘도 가지고 있지만, 캐릭터 기본 성능의 차이로 인하여 운영/조작 난이도 차이가 크기에 채용률은 웃음의 사신쪽이 높다.

8.2.6. 마법광

마법광 파일:스걸모 빛속성.png
파일:Spell-Bent.webp
카드
인게임
"지금부터 개과천선하더라도, 과연 트리니티께서 널 용서하실지 모르겠네."
고유 능력
마나 마니아
해골 소환 기술 사용 시 마법광은 15 초 동안 재생 또는 차단막을 획득합니다.
마법광이 재생과 차단막 효과를 모두 적용 받고 있다면, 해골 소환수의 공격이 적중 할 때 마다 상대방의 최대 체력의 2% 만큼 추가 피해를 주며,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3% 흡수합니다.
능력치 유형: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461 8852 3573 68602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256 4148 1985 32157
[특전 일러스트]
파일:October_2024.webp
마리의 두번째 백스페이지 패스 태생 골드 캐릭터.[44] 컬러링 모티브는 장송의 프리렌의 주인공 프리렌. 컬러링이 상당히 예쁘게 잘 뽑혔다는 평가가 많으며 특히나 카드 아트에 대한 반응이 폭발적이었다.[45]

마리 캐릭터들 중 체력관리에 중점이 맞추어진 캐릭터. 지속시간이 없는 반영구 차단막과 더불어 재생을 획득하기에 그놈의 랜덤 획득을 고려해도 안정성이 마리 딜러들 중에서도 가장 독보적이며, 차단막을 획득하는 특성 덕분에 별빛 장미, 고귀한 거물 등의 캐릭터들과 시너지도 상당하다.

화력 역시 나쁘진 않은 편인데, 특히 재생과 차단막을 모두 획득할 경우 서둘러! 한 번으로 상대방의 최대 체력의 14%에 달하는 피해를 입히며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20% 가량 획득하기에 피해량도 어느 정도 보장되는 편.

단점은 그놈의 낮은 고점. 마법광에게 아무리 화력 보정을 해주어도, 체력관리와 면역 서포터와 조합한 깡딜러 이상의 화력이 나오지는 않는다. 덕분에 무난하게 사용할 수는 있어도 구태여 키울 이유는 없다는 애매한 평가를 피하지 못하고 있다. 유령사냥꾼과 비슷하게 딜, 유틸이 모두 무난한 육각형 캐릭터지만, 결국 그냥 무난한 성능에서 끝나기 때문에 더더욱 사용할 가치가 없다.

8.3. 실버

8.3.1. 목장 담당자

목장 담당자 파일:스걸모 불 아이콘.png
파일:Phantom_Wrangler.webp
카드
파일:SG_mar_color11.png
인게임
"얌전히 먼지통으로 들어가."
고유 능력
방목
해골 소환 기술 적중 시, 30%의 추가피해를 주며, 50% 확률로 15초 동안 점액 효과를 부여합니다.
점액 효과가 적용된 상대에게 블록버스터를 사용하면 15초 동안 죽음 효과를 부여합니다.
능력치 유형 : 공격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454 8717 2757 52935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52 4083 1532 24819
실버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140 1848 851 11234
모티브는 슬라임 랜처의 주인공 비어트릭스 르뷰.

고유능력 2의 경우 마리의 필수 스킬 중 하나인 힐가드의 강펀치가 죽음 효과를 부여하기 때문에 전혀 의미가 없다. 다만 죽음 디버프의 추가효과 중 하나인 상대방의 저항 수치를 무시하는 효과로 인하여 정확도 50% 기준 고유능력 1의 점액 발동 효과가 75%까지 증가하기 때문에 점액 효과를 가진 캐릭터들 중에서는 가장 빠르게 점액 스택을 쌓을 수 있다.

다만 태생 실버라는 미천한 태생으로 인하여 전반적인 화력이 좋은 캐릭터는 아니다. 점액 효과는 버프 제어 수단이 존재하는 캐릭터한테 더욱 유용한 버프이긴 하지만, 그 점도 기초적인 화력이 보장된다는 가정 하에 성립된다. 목장 담당자의 경우 그 기초적인 화력조차 보장되지 않기에 문제인 것.

물론 현상금을 기준으로 한다면 특정 방캐들을 상대로는 나름대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긴 하지만, 리프트 전투에서는 시간/체력 점수면에서 더 나은 공격자들이 지천에 깔려있다. 현상금 역시 상성이 잘 맞아야 무난한 성능이 발휘된다는 점에서 현상금만 보고 육성가치가 생기는 캐릭터도 아닌 셈.

8.3.2. 뱀장수

뱀장수 파일:스걸모 바람속성.png
카드
인게임
티저
"직업 만족도 최상!"
고유 능력
지옥의 은혜
캐릭터 능력이 50% 이상 충전된 상태에서 특수기를 사용하면 각 10 초 동안 이동불가를 부여하고 블록버스터를 제한합니다.
캐릭터 능력 발동 시, 모든 팀원이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50% 충전하며 분노를 영구적으로 얻습니다.
능력치 유형 :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395 7584 3062 58791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20 3564 1701 27557
실버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122 1611 945 12474
모티브는 인디 게임 Hades의 등장인물인 두사.

블랙 달리아의 데임 슬레이어와 같은 라인의 컨셉 플레이용 캐릭터. 고유능력 1의 경우 어차피 무한콤보를 사용하는 마리 입장에서는 그냥 없는 효과로 봐도 무방하다. 다만 아군을 되살리거나 상대방의 시체를 터트리면 모든 팀원들에게 제공되는 분노 효과로 인해 분노 효과를 트리거로 하는 죽은자의 화염, 메가소닉 등의 캐릭터와 궁합이 좋다.

물론 어디까지나 컨셉 플레이용 캐릭터인 만큼 재미를 제외하고 실전을 고려한다면 정신나간 예열시간과 화력을 제외하면 전혀 도움이 안되는 효과로 인하여 쓸 이유가 전혀 없다. 유튜버들이 영상감 용으로 사용하는 캐릭터 이상도 이하도 아닌 셈. 초보 유저라면 그냥 진화재료로 사용하자.

8.3.3. 궁녀

궁녀 파일:스걸모 빛속성.png
파일:Maid_of_Honor.webp
카드
파일:SG_mar_color14.png
인게임
티저
"내가 늘 곁에 있을게."
고유 능력
용감무쌍
궁녀가 살아있을 때, 모든 팀원들은 공격을 방어하면 50% 확률로 해로운 효과 1개를 차단막으로 전환합니다.
궁녀가 살아있을 때, 모든 팀원은 차단막 효과를 보유한 상태에서 1초마다 체력을 2% 회복합니다.
능력치 유형 : 방어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337 6471 3370 64704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187 3030 1872 30327
실버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104 1373 1040 13728
모티브는 원신노엘.

낮은 등급임에도 걸출한 성능을 보여주는 디버프 제거 및 아군 체력 회복형 서포터. 확률이 꽤나 높기 때문에 디버프가 덕지덕지 붙어있어도 지상 콤보를 한 번 가드하면 모든 디버프가 싹 제거되는 걸출한 성능을 보여준다.

특히나 메타 방어자인 와인 양조업자와 데스위시를 재대로 카운터 칠 수 있는 캐릭터인 만큼, 단순히 실버 캐릭터 치고 좋은 수준을 넘어서 스컬걸즈 모바일 내의 모든 서포터 캐릭터들 중에서도 최상위권 성능을 지닌 탈실버급 캐릭터로 대접받는다. 보통 태생 다이아몬드등급인 애니의 별빛장미와 동급으로 취급받는다. 심지어 단순 서포팅 능력 자체는 궁녀가 훨씬 우위로 평가받는다. 랜덤발동이기는 해도 별빛장미보다 능력 발동 난이도가 훨씬 낮기에 별빛장미의 적시 가드를 활용하기 힘든 유저라면 궁녀쪽이 체감 성능이 월등하다고 느끼기 쉽다.[46][47]

8.3.4. 할로윈 유령

할로윈 유령 파일:스걸모어둠속성.png
카드
인게임
"사탕들 좀 싸악 훔쳐볼까!"
고유 능력
트릭 오어 트릿!
어느 쪽이든 특수기 사용 시, 10/12/15초 동안 무작위로 이로운 효과를 얻습니다.
어느 쪽이든 블록버스터 사용 시, 10/12/15초 동안 상대에게 무작위 해로운 효과 3개를 부여합니다.
능력치 유형 : 공격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454 8717 2757 52935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52 4083 1532 24819
실버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140 1848 851 11234

8.4. 브론즈

8.4.1. 맨 뼈

맨 뼈 파일:스걸모어둠속성.png
파일:Bare_Bones.webp
카드
파일:SG_mar_color1.png
인게임
티저
"어딜 도망가?"
고유 능력
살을 주고 뼈를 취하기
특수기 사용 시, 12 초 동안 가시 효과를 얻습니다.
가시가 3 중첩이 되면 가시를 모두 제거하고 15 초 동안 독기 효과를 얻습니다.
능력치 유형 :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338 6490 2624 50381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188 3046 1458 23620
실버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104 1373 810 10692
브론즈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58 592 450 4590
디폴트 스킨.

특수기를 난사하여 독기를 획득하는 공격 캐릭터. 출시 초기에는 그저 그런 전형적인 태생 브론즈 캐릭터 취급을 받았지만, 마리 출시 후 얼마 안가서 평가가 대반전되어 태생 브론즈는 물론이고 마리 딜러들중에서도 상당히 강력한 것을 넘어서 스컬걸즈 모바일 전체에서도 순위권에 드는 독기 딜러로 평가받고 있다.

일반적인 방식의 마리 딜사이클로는 3개까지의 독기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록의 악을 서포터로 사용할 경우 4개까지는 쉽게 유지가 가능하며 가끔 5개가 쌓이는 광경도 볼 수 있다. 맨뼈는 독기를 쌓을 수 있는 캐릭터들 중 유일하게 대량출혈을 걸 수 있는 캐릭터이기도 하기에 대량출혈이 통하는 적 상대로는 정신나간 수준의 도트 딜링을 보여주는 편.

독기딜러의 취급이 특히 괜찮은 현상금은 물론이고 리프트를 기준으로도 체력관리가 가능하며 블록버스터가 빠르게 도는 마리 딜러라는 특성으로 인해 작정하고 굴려먹으면 꽤 높은 티어까지는 실전 활용이 가능하다. 현 시점에서는 천상계에서는 굳이 쓸 이유가 없다는 평을 받고는 있지만, 6.1 촉매 대개편 패치 당시에는 전격무력화에 사실상 면역이라는 특성 덕분에 모든 마리 공격자들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기까지 하는 어이없는 상황까지 나오기도 했다.

결론적으로 초반에 키우기 괜찮은 가성비 공격자. 특수기 쿨타임 감소 옵션이 높게 갖춰지지 않은 초반 유저들 입장에서도 서둘러, 흡입방해를 두 세트만 마련해두면 저스펙에서도 정말 무난하게 무한콤보가 가능하며, 필리아 부럽지 않은 도트 딜링 능력까지 보여주기에 더욱 유용하다.

다만 어느정도 스펙이 오른다면 태생 골드 등급의 마리 캐릭터 중 맨뼈의 성능을 넘어서는 딜러들이 즐비하기 때문에[48] 해당 캐릭터들을 얻게 되는 시점까지만 육성하도록 하자.

8.4.2. 변덕쟁이

변덕쟁이 파일:스걸모 불 아이콘.png
파일:Moody_Magus.webp
카드
파일:SG_mar_color9.png
인게임
티저
"내가 찾던 재료가 너구나..."
고유 능력
섞기
상대를 처치하거나 캐릭터 능력을 사용하면 30 초 동안 무작위로 이로운 효과 1개를 얻습니다.
이로운 효과를 보유한 상태에서는 1 초마다 블록버스터 게이지가 2% 충전됩니다.
능력치 유형 : 공격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426 8180 2601 49940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37 3840 1445 23409
실버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131 1730 803 10600
브론즈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73 745 446 4550
모티브는 와리오 시리즈의 애슐리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는 전형적인 하위권 브론즈 캐릭터. 화력과 블록버스터 게이지 수급 양쪽에서 맨뼈에게 처절하게 밀린다.
사실상 마리의 기본성능 하나만 가지고 있는 캐릭터인데, 고유능력이 없어도 불안정할 뿐 특정 컨텐츠에서는 어느정도 성능이 나오는 마리, 필리아와는 달리 마리는 무난한 성능은 지니고 있을지언정, 고유능력이 없어도 실전성이 나오는 캐릭터는 아니기 때문에 현상금/리프트/평행세계 할 것 없이 폐기물 캐릭터로 취급받는다.
[1] 리이미지의 고유능력을 발동시키지 않는다.[사용팁] 상대방이 가드를 올리면 그 위로 서둘러를 먼저 날린 뒤 즉시 흡입방해를 사용하자.[3] 즉 1타에 168%의 피해가, 2타에 0%의 피해가 들어간다. 데스위시 등 콤보 트리거 캐릭터들의 고유능력을 발동시키며, 무의미한 저항 촉매의 반사피해 효과같은 것 역시 적용 받기 때문에 주의하자.[4] 어지간해선 공격자가 3개 이상의 디버프를 받을 일이 없다는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이 기술 한 방에 모든 디버프를 해제할 수 있다.[5] 철산고는 등으로 상대를 가격하지만, 이 기술은 등이 아니라 갈비뼈로 찌른다는 차이가 있다. 그 때문인지 철산고와는 팔 드는 방향이 정 반대.[6] 서구권의 무릎인사[7] 시전 대사인 "Here comes the Giant's Fist!" 는 스폰지밥의 Mermaid Man and Barnacle Boy IV 에피소드의 한 장면에서 파생된 밈의 패러디이다.[8] 계수표는 10 타 기준으로 작성되었는데, 10타를 적중시키기 위해선 화면 좌측 끝에서 이 기술을 적중시킨 뒤, 넉백당하는 적을 따라서 쭉 대쉬해야 캐릭터의 피격 판정에 따라서 9타 혹은 10타가 찍힌다. 일반적인 마리의 플레이스타일은 절대 아니며, 다른 마리 공격 캐릭터처럼 무한콤보로 운영할 경우 2타가 한계다.[9] 2타 기준 피해량은 29/32/35/38%[버그] [11] 계수표는 공중 공격이 끝나고 시전한 20타를 기준으로 작성. 지상에서 사용 시 6타, 어퍼 이후 공중공격을 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26타가 들어간다.[12] 저항 자체도 방어자의 핵심 스탯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공격자도 정확도 스탯을 올려서 상쇄시킨다. 죽음 효과는 저항을 0으로 만들어버리기 때문에 이 효과가 적용되는 순간부터 저항과 상쇄되었던 정확도 스탯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고유능력의 발동 확률을 올려주는 것이 바로 이 죽음 효과의 핵심적인 효과인 셈이다.[13] 지상평타 -> 어퍼 -> 대쉬 1타 -> 지상평타만으로 게이지 충전에 투자를 전혀 하지 않아도 1레벨 블록버스터가 모조리 충전되며, 여기에 특수기들까지도 블록버스터 게이지 충전량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타 캐릭터들 대비 매우 빠른 속도로 주요 블록버스터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14] 부족한 화력을 보충해줄 수 있는 크라켄 크더라 - 잔챙이와 머리 트라우마 - 심리전, 유지력을 늘려줄 수 있는 쩝쩝 - 창창한 삼지창 등...[15] 흡입기동[16] 때 빼고 뻥 차기[17] 대표적으로 특수기만으로 모든 버프 관리가 가능한 빅 밴드와 일라이자.[18] 한글 번역은 상대 체력이 50% 이하거나 해로운 효과가 최소 3개 적용된 상태에서 해골 소환 적중 시, 50% 추가 피해를 주며 이 피해는 방어할 수 없습니다 로 되어있는데, 원문이랑 비교해 볼 때 틀린 번역은 아니다. 원문부터 이중해석의 여지가 있는 케이스기 때문. 일단 인게임상으로는 해골 소환 적중 시 추가피해 효과는 상시 적용되고 있다.[전용] [공용] [21] 상향 이전의 영상이므로 유의[22] 즉 남은 시간이 초 단위로 00초, 15초, 30초, 45초 일 때.[23] 2025년 5월 이벤트 현상금인 '축제'의 1억 5000만점 달성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마리아치 다이아몬드 유물에서 20% 확률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었고, 이후 2025년 8월에 상점에서 조각 교환 시스템을 통하여 다이아몬드 유물 4개를 지불하여 확정적으로 획득이 가능했다. 2025년 9월에 일반 유물에 추가되었다.[24] 10중첩 분노 + 정확성 기준 피해증가 수치는 최소 305%[25] 상향 이전 영상이므로 유의[26] 물 속성 필리아 공격자인 사악한 프로스티, 전광석화, 아이돌의 습격은 기본적으로 출혈 효과를 지니고 있기에 옥토플라즘이 필요하지 않다.[27] 원문은 Down to Earth로, 현실적인 사람이라는 의미가 존재하긴 하지만, 컬러 모티브가 어스 벤더라는 점에서 넣은 말장난에 가까웠다.[28] 일라이자의 기본성능과 흡혈영웅의 고유능력 시너지를 생각해보자.[29] 2025년 중순 이후 2인방 메타는 주로 바람 속으로 2인방/유언 2인방/빅 밴드 2인방/페인휠 2인방/사망섬유 2인방 등등 클리어는 쉬워도 고득점은 어려운 조합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바람 속으로 조합에 자주 나오는 암드포스/식충식물, 유언 2인방에 나오는 필리아 레이지, 빅 밴드 조합의 필수 촉매인 무의미한 저항, 사망섬유 2인방 조합의 필수 촉매인 분노의 회피 등 메타 2인방 조합에는 오히려 역상성이 더 많다.[30] 흡입방해의 버그로 인하여 사실상 리이미지의 디버프 전환을 완전히 씹는 게 가능하다.[31] 노크리 기준 8380[32] 노크리 기준 9615[33] 어둠속성에서 다크호스 이상의 화력을 가진 메이저~준메이저 공격자 캐릭터는 데스위시, 팔방미인, 와인 양조업자, 그림자 인형, 금관악기 악당, 교복머리, 뉴로멘서 정도다. 여기서 화력이 문제가 되는 케이스는 데스위시, 뉴로멘서가 끝인데, 이 두 캐릭터들 역시 화력증가보다는 면역/체력관리 쪽이 더 취약하기 때문에 딱히 다크호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34] 매드 맬리스는 2분노를 획득하기 전 까지 냉혹의 DPS를 따라잡지 못하는데, 1레벨 블록버스터를 채용한 다크호스는 그 냉혹과 비교해도 평딜 DPS가 더 강력하다.[35] 대표적으로 뉴로멘서 - 양조업자 - 데스위시 조합. 노크리를 가는 마리 특성 상 뉴로멘서의 반사딜을 씹으면서 딜을 넣을 수 있으며, 재앙을 넘겨버리는 특성 덕분에 양조업자의 재앙 + 피흡을 씹을 수 있다. 더욱이 캐릭터 능력으로 시체를 터트릴수도 있기에 데스위시의 아군부활 역시 무력화당한다. 2025년 기준으로는 꽤나 한 물 간 조합이긴 하지만 여전히 다이아몬드 4 ~ 1티어 구간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조합이다.[36] 리이미지의 경우 신속 효과로 인해 흡입 기동의 버그를 가장 빠르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크다.[37] 2024년 5월 축제 현상금 이벤트 유물에서 낮은 확률로, 혹은 5월 프리미엄 백스테이지 패스 최종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었으며, 2024년 12월 말에 일반 유물에 추가 되었다.[38] 라틴 문화권 바깥에서는 전혀 인지도가 없는 캐릭터지만, 라틴 문화권에 한해서 한국의 뽀로로 같은 포지션의 캐릭터다.[39] 모든 출혈 효과를 재생으로 바꾼다. 상극성 효과가 걸려있을 경우 사실상 대량출혈의 초당 2% 피해보다 높은 피해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40] 1층 보스방의 경우 상대방의 시체 위에서 적을 처치한 경우 해당 시체가 부활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3층 보스방의 경우 리프트 빛주간 3인방처럼 시체 위에서 가시효과를 획득한다.[41] 대전마다 한 번, 방어자는 사망 후 15초 뒤에 20%의 체력으로 부활[42] 대전마다 한 번, 빛 속성 방어자는 사망 후 30초 뒤에 50% 체력으로 부활[43] 방어자는 아군의 시체 위에서 피격 시 10초 동안 가시 효과 획득[44] 2024년 9월에 이루어진 6.5 패치로 추가되었으며, 10월 백스테이지 패스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매드맬리스/폭군 이전의 백스테이지 패스 캐릭터들처럼 추가 이후 6개월 뒤인, 2025년 3월부터 일반 유물에 추가되었다.[45] 2024년 7월 이후에 출시된 캐릭터들은 카드 일러스트를 외주를 맡겨서 그린다. 마법광의 카드 아티스트는 마리의 열성팬으로 유명한 쿠로이로즈키라는 일러스트레이터.[46] 가드하더라도 50%의 확률을 가지고 있기에 가드 위로 한 콤보를 전부 가드하더라도 고유능력이 안터지는 억까를 당할 수 있는 궁녀와는 달리 별빛장미는 적시 가드 시 확정적으로 3개의 디버프를 제거하기 때문에 컨트롤만 완벽하다면 훨씬 직관적인 서포팅 성능을 보여준다. 덕분에 고점 자체는 별빛장미가 더 높다.[47] 물론 그 적시가드를 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 문제. 이 미쳐버린 컨트롤 난이도로 인해 별빛장미는 고점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단순 서포팅이 아니라 리프트 기준 동스펙 와인 양조업자를 한 콤보로 저승길로 사출시켜버릴 수 있는 메인딜러 이상의 정신나간 누킹 능력까지 갖추고 있다는 점까지 고려해줘야 궁녀와 동급으로 취급받는다.[48] 독기 획득형 딜러중에서는 웃음의 사신, 같은 속성중에서는 다크 호스가 이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