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4 18:20:30

슬라임 랜쳐

슬라임 랜처에서 넘어옴

파일:슬라임랜처 로고.png
<colbgcolor=#22BACE,#22BACE> 슬라임 랜쳐 슬라임 · 자원 · 시설 · 지역 · 업그레이드 · 가젯 · 엔딩 · 모드
슬라임 랜쳐 2 슬라임 · 자원 · 시설 · 지역 · 업그레이드 · 가젯 · 날씨 · 슬라임 장난감

<colcolor=#fff,#fff> 슬라임 랜쳐
Slime Rancher
파일:external/e91856660c547b036968a1fd18ac0b8554aa4669911d35cb56ebcab4fb1c8700.jpg
<colbgcolor=#22BACE,#22BACE> 개발 Monomi Park
유통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macOS | Linux | PlayStation 4 | Xbox One | Nintendo Switch
ESD Steam | 에픽게임즈 스토어 | GOG.com | 험블 번들 | PlayStation Store | Microsoft Store[1] | 닌텐도 e숍
장르 시뮬레이션, 액션 어드벤처
출시 앞서 해보기
2016년 1월 15일
정식 출시
2017년 8월 2일
엔진 유니티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 전체 이용가
해외 등급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PEGI 3.svg PEGI 3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2]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레딧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 파일:스팀 아이콘.svg | 파일:에픽게임즈 스토어 로고.svg[3] | 파일:GOG.com 로고.svg | 파일:험블 번들 아이콘.svg |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 파일:Microsoft Store 라이트 테마 아이콘.svg파일:Microsoft Store 다크 테마 아이콘.svg | 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

1. 개요2. 시스템 요구 사항3. 특징4. 조작 키5. 등장인물
5.1. 플레이어
5.1.1. 베아트릭스 르뷰
5.2. 스토리 관련 인물
5.2.1. 케이시5.2.2. 홉슨 트윌거스
5.3. 목장거래 시스템 NPC
5.3.1. 토라 웨스트5.3.2. 빅터 험프리즈5.3.3. 오그덴 오티즈5.3.4. 모찌 마일스5.3.5. ㅂㅏㅂ
6. 슬라임7. 자원8. 시설9. 지역10. 업그레이드11. 가젯12. 도전 과제13. 엔딩14. 모드15. 평가16. 후속작17. 기타18. 외부 링크

1. 개요

슬라임 랜쳐는 젊고 용감한 랜쳐, 베아트릭스 르뷰가 지구에서 1,000광년 떨어진 '머나먼 평야'에서 슬라임들과 씨름하며 생계를 꾸려나가는 이야기입니다. 긍정적인 마인드와 강인한 의지로 베아트릭스는 진공팩을 사용하여 끊임없이 말랑말랑하게 굴러 나오는 슬라임들을 피하며 이름을 알리고, 부자가 되려 합니다.
Steam 상점 페이지에서의 게임 소개
Monomi Park에서 개발한 슬라임을 키우고, 슬라임에게 줄 먹이를 생산하여 돈을 벌고 목장을 발전시키는 게임이다.

==# 트레일러 #==
티저 트레일러[4]
v0.3.0 업데이트 트레일러
v0.4.0 업데이트 트레일러
v0.5.0 업데이트 트레일러
v0.6.0 업데이트 트레일러
정식 출시 트레일러
v1.1.0 업데이트 트레일러
v1.2.0 업데이트 트레일러
PlayStation 4 출시 예고 트레일러
v1.3.0 업데이트 트레일러
PlayStation 4 출시 예고 트레일러 2
PS4 DLC 출시 트레일러
Xbox One DLC 출시 트레일러
PlayStation 4 출시 트레일러
VR playground 출시 트레일러
v1.4.0 업데이트 트레일러
Deluxe Edition 출시 트레일러
Plortable Edition 출시 트레일러

2.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구분 최소 사양
<colbgcolor=#22BACE,#22BACE><colcolor=#fff,#fff> 운영체제 Windows 7 +
프로세서 2.2GHz Dual Core
메모리 4 GB RAM
그래픽 카드 512MB VRAM
API DirectX 11
저장 공간 1 GB

3. 특징

'진공팩(Vacpack)\'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슬라임을 포함한 여러 물체들을 흡수하고 발사하며, 일정량의 '뉴벅스(Newbucks)\'[5]를 내고 시설을 지어 슬라임들을 키우고, 슬라임들에게 먹이를 주면 얻을 수 있는 보석인 '플로트(Plort)\'를 팔아 뉴벅스를 벌어 시설 등을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게임이다.

사육이나 재배를 할 수 있는 목장 터가 있는 목장 지역이 있고, 목장 지역을 벗어나면 슬라임들과 닭, 작물 등이 자생하는 야생 지역이 있다. 야생 지역에서 슬라임을 비롯한 여러 자원들을 수집하여 목장 지역의 시설에서 키워낼 수도 있다.

좋아하는 먹이가 있는 슬라임의 경우 해당하는 먹이를 주면 2개의 플로트를 생산한다. 라르고 슬라임의 경우에는 두 종류의 슬라임 중에 하나가 좋아하는 먹이만 줘도 플로트를 각각 2개씩 생산한다.

플로트의 시세는 게임 시간으로 매일 자정을 기점으로 바뀐다. 플로트를 많이 팔수록 해당 플로트의 시세가 떨어진다. 팔지 않고 묵혀둔다고 해도 플로트가 기존 가격으로 올라가는 데는 상당히 긴 시간이 필요하다.

뉴벅스는 목장 시설을 짓거나, 시설과 진공팩을 업그레이드하거나, 다른 목장 지역들을 잠금 해제하거나, 가젯 설계도를 구입하거나, 7Zee 마일리지 클럽 레벨을 올리는 등의 활동에 사용된다.

목장이라는 이름답게 어느 정도 인프라가 갖춰지면 굳이 밖에 나가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돈을 뽑아낼 수 있지만 새로운 슬라임을 자체 생산해 낼 수는 없고, 슬라임 가젯 재료를 얻거나, 보물 포드를 찾으려면 다니려면 야생 지역을 꾸준히 탐사해야 하기 때문에 아예 밖에 나가지 않는 것은 힘들다.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게임 모드는 모험, 캐쥬얼, 질주로 총 3가지이다.
  • 슬라임 랜쳐의 삶을 시작합니다. 당신이 원하는 대로 머나먼 평야를 탐험하고, 목장에서 다양한 슬라임들을 키우세요!

    모험은 일반적인 슬라임 랜쳐 게임 모드이다.
  • 타르가 생성되지 않는 안전하고 편안한 모드입니다.

    캐쥬얼은 모험과 똑같으나 타르가 생성되지 않고, 야성 슬라임의 공격성도 순화된 게임 모드이다. 모험 게임 모드와 다르게 슬라임들이 한 번 라르고 슬라임이 되면 자신이 생성하지 않는 플로트를 먹지 않는다. 타르를 도감에 등록하지 못하기 때문에 타르가 처음부터 도감에 등록되어 있다.
  • 제한 시간 동안 최대한 많은 뉴벅스를 모으세요!

    질주는 게임 시간으로 5일 동안 플로트를 최대한 모으는 게임 모드로, 다른 두 게임 모드와 이질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 질주에서는 농장이 전부 열려있고 고대유적의 입구 또는 유리사막으로 가는 텔레포터가 전부 발동되어 있는 대신, 고르도 슬라임과 유리 사막의 조각상 퍼즐은 그대로 유지된다. 거래 시스템으로 황금 고르도를 터뜨릴 영광의 생강과 게임 시간을 늘려주는 보상을 주기는 하지만, 가끔 미개방 지역의 물품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열쇠를 주는 고르도 슬라임 위주로 터뜨려 다른 지역을 최대한 빨리 개방해야 한다. 또한, 농장을 짓느라 드는 비용은 최종 결산에서 제외되는 것을 고려하여 농장을 설계해야 한다. 플로트 25개마다 보너스를 주므로 다양한 플로트를 많이 파는 것이 중요하다.

4. 조작 키

기본 세팅으로 된 조작 키를 서술한다. 설정에서 조작 키를 바꿀 수 있다.
키보드
<colbgcolor=#22BACE,#22BACE><colcolor=#fff,#fff> W, A, S, D, 방향키 이동
마우스 좌클릭 발사
마우스 우클릭 빨아들이기
마우스 중앙클릭, Q 파동포 보유 시 파동파 사용
Space 점프 및 제트팩 사용
좌Shift 달리기
E 상호작용
T 가젯모드 on/off
F 손전등 on/off
R 레이더 on/off
M 지도 on/off
1~4 진공팩 슬롯 선택
5 물탱크 보유 시 물탱크 선택
스크롤 업 전 진공팩 슬롯 선택
스크롤 다운 다음 진공팩 슬롯 선택
F2 버그리포트
\\ 스크린샷
G 움짤 찍기
F1, / 슬라임 도감
게임패드
<colbgcolor=#22BACE,#22BACE><colcolor=#fff,#fff> 좌스틱 움직이기
우스틱 보기
RT 발사
LT 빨아들이기
B 파동포 보유 시 파동파 사용
A 점프 및 제트팩 사용
좌스틱 누르기 달리기
X 상호작용
십자키 아래 가젯모드 on/off
Y 손전등 on/off
우스틱 누르기 레이더 on/off
십자키 우 지도 on/off
LB 전 진공팩 슬롯 선택
RB 다음 진공팩 슬롯 선택
십자키 위 슬라임 도감
Start 일시정지

5. 등장인물

5.1. 플레이어

5.1.1. 베아트릭스 르뷰

베아트릭스 르뷰
Beatrix LeBeau
파일:Beatrix LeBeau.jpg

이 게임의 주인공으로, 청록색 계열의 머리카락을 가진 흑인 여성이다.

부자가 되고 자신의 이름을 널리 알리기 위해 지구에서 1000광년 떨어진 행성인 '머나먼 평야(Far, Far Range)\'에 1년 동안 우주선에서 수면 상태로 가게 된다.

게임적 허용인지는 알 수 없으나, 초인 수준의 체력을 보여준다. 높은 곳에서 떨어져도 멀쩡하질 않나,[6] 물속에서 오랫동안 잠수하고 있어도 익사는커녕 숨이 차지도 않고, 체력이 0이 되면 죽지 않고 기절한 정도로 끝나버리고 최대 하루 동안의 휴식으로 회복이 된다. 심지어 사람이 빠지면 안 된다는 슬라임 바다에 빠져도 멀쩡하고, 목장주도 먹어버린다는 타르에게도 먹히질 않는다.

5.2. 스토리 관련 인물

5.2.1. 케이시

케이시
Casey
(스포일러) 엔딩 크레딧에서 묘사되는 케이시의 모습
파일:CaseY.jpg

주인공의 애인으로, 현재는 스타메일로 대화를 주고받는다.

애완용으로 선인장을 하나 키우고 있으며, 상단의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엔딩의 보컬 곡을 부른 인물이라는 루머가 있었지만 슬라임 랜쳐가 인간 캐릭터 성우를 지원하지 않는 까닭에 아님이 밝혀졌다.

5.2.2. 홉슨 트윌거스

홉슨 트윌거스
Hobson Twillgers
파일:HobsonLogo.png

목장의 전 목장주이자 재력가로, 메마른 암초 지대를 망가진 상태로 만든 인물이다. 지역 곳곳에 'H\'라는 이름으로 주인공인 베아트릭스에게 메시지를 남겨 놓았다.

스포일러
유리사막의 끝에 도달하여 홉슨의 마지막 메시지를 확인한 후에 목장으로 돌아온 다음 엔딩을 보고 나면 금고에 대한 스타메일을 보내고 금고에 입장할 수 있게 해준다. 메시지의 내용을 보면 원래는 다른 세계로 모험을 떠나기 위해 워프 기계를 가동하려 했으나, 결국은 모험을 포기하고 토라 웨스트와 함께 하는 것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후속작에서 토라 웨스트와 함께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5.3. 목장거래 시스템 NPC

5.3.1. 토라 웨스트

토라 웨스트
Thora West
목장거래 시스템 아이콘 자리 표시자
요구 아이템슬라임, 플로트, 채소, 과일, 고기
파일:Thorafull.png
▲ 전신

스타메일 대사
>목장거래 시스템.
토라 웨스트

안녕, 베아트릭스! 내 이름은 토라 웨스트. 랜쳐지. 우리 모두 할 일이 있으니 인사는 대충 하겠네. 난 머나먼 평야에서 오랫동안 일해온 랜쳐이자 목장거래 시스템 환영회의 수장이라네.

목장거래 시스템은 그대와 같은 랜쳐들이 필요한 물품을 거래하는 네트워크지. 슬라임, 플로트, 음식 등등 뭐든지 교환할 수 있어. 그냥 매일 목장거래 기계를 확인하고, 거래를 받으면 24시간 내로 완료하면 돼.

네트워크에 더 많은 랜쳐들이 접속하면 아마 큰 환영 인사를 받을 테니 스타메일은 자주 확인하고.

우리 모두 슬라임을 돌보러 가야 하니 인사는 여기까지만 하지.

아디오스, 베아트릭스.

- 토라
스타메일에서의 첫인사

목장거래 시스템을 통해 등장하는 중년의 여성이다.

목장거래 시스템 NPC들 중 가장 먼저 만나게 되며, 목장거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해 준다.

진공팩에 담을 수 없는 슬라임, 영광의 생강, 쿠카도바, 수은 플로트, 황금 플로트, 병아링, 노계는 요구하지 않는다.

홉슨이 사랑하는 인물이며, 아마 나이로 봤을 때 둘이 결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5.3.2. 빅터 험프리즈

빅터 험프리즈
Viktor Humphries
목장거래 시스템 아이콘 자리 표시자
요구 아이템슬라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 전신

스타메일 대사
>인사드리죠, 베아트릭스 르뷰씨.
빅터 험프리즈

제 소개를 하죠. 전 빅터 험프리즈라고 합니다. 슬라임 랜쳐이며 슬라임학 전문학자이고, 취미로 음악을 연주한답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웨스트씨가 목장거래 시스템의 사용법을 알려드렸다고 하니, 부수적인 설명은 거르도록 하겠습니다.

그 대신, 제가 거래를 요청할 시 아마 요구할 물품을 미리 알려드리겠습니다. 슬라임 학자 및 슬라임 랜쳐로써 저는 이 넓은 땅을 공유하는 액체생물 군집에 많은 관심이 있지만, 연구 때문에 매일 밖에 나가긴 힘들죠. 제가 어느 한 종의 슬라임이 필요하면 그때 슬라임을 보충하려 이 거래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보상에 대해선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노력에 대한 대가는 넉넉히 드릴 테니까요.

르뷰씨, 당신의 모험에 행운을 빌겠습니다. 당신이 운영하는 전 트윌거스 목장이 생명으로 가득 찬 모습을 보고 싶네요.

빅터 험프리즈 올림.

P.S. - 옛날에 야성 폭발 슬라임에게서 도망치다 제가 아끼는 바이올린을 잃어버린 적이 있었습니다. 그렇게 비싼 악기는 아니지만, 추억이 가득한 물건입니다. 여행 중 그것을 찾으신다면 꼭 다시 한번 켜보고 싶네요.
스타메일에서의 첫인사
지원이 필요합니다.
빅터 험프리즈

베아트릭스 르뷰씨, 당신이 이 머나먼 목장에서 이루어 내신 업적에 대해 들었습니다. 빠른 사고로 유능하게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분인 것 같더군요. 당신은 제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필요한 인물이신 것 같습니다.

제 제안이 마음에 드신다면, 당신의 실험실에 제 바닷속 실험실로 통하는 텔레포터 하나를 제 실가동시켰습니다. 어서 뵙고 싶군요.

빅터 험프리즈 올림.

P.S. - 이 제안을 받아들이신다면, 조금 캐쥬얼한 방식으로 서로를 대하는 것은 어떻겠습니까? 대화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 올 때, 격식을 차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 테니까요. 다시 말해, 당신을 베아트릭스라고 불러도 될까요?
빅터의 작업장 입장 조건을 달성하고 나면 받게 되는 스타메일에서의 대사

목장거래 시스템을 통해 등장하는 남성 과학자이다.

토라 웨스트의 스타메일을 읽고, 그녀의 거래를 끝내면 스타메일을 보낸다.

진공팩에 담을 수 없는 슬라임은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 조건을 만족한 다음에 두 번째 거래를 하면 빅터의 작업장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슬라임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슬라이뮬레이션이라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음악에도 관심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예전에 바이올린을 잃어버렸다며 찾으면 알려달라고 하지만, 게임 내에서 바이올린을 찾을 수는 없다.

ㅂㅏㅂ과 아는 사이인 것으로 보인다.

5.3.3. 오그덴 오티즈

오그덴 오티즈
Ogden Ortiz
목장거래 시스템 아이콘 자리 표시자
요구 아이템채소, 과일
파일:Ogdenfull.png
▲ 전신

스타메일 대사
>안녕하신가, 베아트릭스!
오그덴 오티즈

내 이름은 오그덴 오티즈라네. 자네와 같은 슬라임 랜쳐지만, 난 밭일을 더 좋아한다네. 지구에서 했던 것처럼 밭을 일구고 손에 흙을 묻혀가며 과일과 채소를 재배하려 이 머나먼 평야에 왔다네.

자네, 당근이 눈을 밝아지게 해준다는 것을 알고 있었나? 진심일세! 난 랜쳐들이 왜 당근을 매일매일 먹지 않는지 이해를 못 하겠다니까? 어두운 밤에 길을 잃는 게 얼마나 위험한데...

흐음... 뭐, 잡담은 그만하고, 이제부턴 목장거래 시스템으로 연락을 하자고. 난 야채와 과일을 먹는 슬라임만 키우니까, 대충 그런 부류의 물품을 요구할 것이네.

같이 한번 열심히 일해보세!

O.O.

P.S. - 영광의 생강이라고 들어는 봤나? 전설의 황금 슬라임이 좋아하는 전설의 야채라는데, 둘 다 실존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다네!
스타메일에서의 첫인사
파트너쉽?
오그덴 오티즈

자네 일이 잘 돌아가는 것도 보았고, 자네의 방식이 마음에 드니 제안을 하나 하겠네. 자네, 내 곁에서 부업을 하나 하지 않겠나? 내 토지 외곽에서 갈 수 있는 야생 무리섬이라는 곳이 있다네. 거긴 내가 제일 좋아하는 희귀한 열매가 열리지만, 위험한 원시의 야생 슬라임들이 서식한다네.

더 자세한 설명은 여길 오면 해주겠네. 한번 도전할 마음이 들면 야생 무리섬 근처의 내 작은 휴양지에 오게나. 자네 농장과 연결되어 있는 텔레포터를 찾아 활성화해놓았으니 언제든 오시게.

기다리고 있겠네.

O.O.
오그덴의 휴양지 입장 조건을 달성하고 나면 받게 되는 스타메일에서의 대사

목장거래 시스템을 통해 등장하는 푸근하고 유쾌한 아저씨 타입의 남성 목장주이다.

빅터 험프리즈의 스타메일을 읽고, 그의 거래를 끝내면 스타메일을 보낸다.

영광의 생강, 쿠카도바는 요구하지 않는다. 쿠카도바는 오그덴의 휴양지에 있는 목장거래 시스템에서만 요구한다.

특정 조건을 만족한 다음에 두 번째 거래를 하면 오그덴의 휴양지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과거엔 유명 식품 회사의 CEO였지만 건강에 안 좋은 화학물질이 잔뜩 들어간 인공 재료와 조미료로 인스턴트 음식을 만드는 것에 죄책감을 느꼈고, 그래서 어떻게든 회사를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바꾸려고 시도했지만 이사회의 높으신 분들이 그를 쫓아내면서 실패한다. 결국 지구를 떠나 머나먼 평야로 이주, 농장을 가꾸며 잘 살아가고 있는 동시에 친환경 음식을 만든다는 것에 보람을 느낀다고 한다. 그때 만든 요리는 쿠카도바 파이와 설탕당근 파이, 쿠카도바 잼과 쿠카도바 오믈렛이며, 오그덴 왈, 쿠카도바 오믈렛에는 물감탉 계란이 들어간다고 한다.

5.3.4. 모찌 마일스

모찌 마일스
Mochi Miles
목장거래 시스템 아이콘 자리 표시자
요구 아이템플로트
파일:Mochifull.png
▲ 전신

스타메일 대사
>(제목 없음)
모찌 마일스

이거, 이거, 어리석은 초짜 랜쳐가 한 명 더 날아들었구나. 축하한다, 베아트릭스!

난 모찌 마일스. 억만장자 타츠야 마일스의 '마일스'지. 아빠를 위해 중요한 일을 하러 왔지만, 너희 같은 고인 물들을 깎아내리려 온 건 아니라구. 나처럼 플로트 마켓을 매일매일 좌지우지하는 사람은 없어.

내 아빠가 내부 거래 루트를 알려주니 내 이득을 위한 플로트 요청을 기대하라구.

그러니 행운을 빈다, 베아트릭스! 어쩌면 네가 2등이 될지도 모르잖아? 아니면, 적어도 네 친구들에게 이 위대한 모찌 마일스가 머나먼 평야를 지배하는 걸 도왔다고 자랑을 할 수도 있을 거라구!

나중에 봐.

1등급 랜쳐, 모찌 마일스
스타메일에서의 첫인사
(제목 없음)
모찌 마일스

랜쳐들이 모두 네 얘기만 하니 점점 거슬리니까, 네 실력을 좀 보자구.

물론 비즈니스 관계로써 말야. 네가 목장 확장지라 부르는 그 끔찍한 동굴 안에 있던 여분의 내 영지(다른 곳도 많다구)로 보내주는 텔레포터를 작동시켜놨어. 세부사항은 네가 오면 알려줄 거야.

날 기다리게 하지 마.

와서 보자구, 보자기.

1등급 랜쳐, 모찌 마일스
모찌의 장원 입장 조건을 달성하고 나면 받게 되는 스타메일에서의 대사

목장거래 시스템을 통해 등장하는 영국계 일본인 여성이다.

오그덴 오티즈의 스타메일을 읽고, 그의 거래를 끝내면 스타메일을 보낸다.

수은 플로트, 황금 플로트는 요구하지 않는다. 수은 플로트는 모찌의 장원에 있는 목장거래 시스템에서만 요구한다.

특정 조건을 만족한 다음에 두 번째 거래를 하면 모찌의 장원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거래 보상은 제일 후하다. 500~1000뉴벅스를 주고, 가끔 희귀한 실험실 자원도 준다. 게다가 목장에 슬라임 종류가 어느 정도 다양해졌다면, 모찌 마일스의 거래는 다른 거래들보다 쉽다.

억만장자 아버지의 뒤를 이어 사업을 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상당한 부자이다.

황금 슬라임까지 잡은 실력인 만큼 나르시스트 성격이 강하며, 스타메일이나 목장거래 시스템에서의 대사만 봐도 다른 이들을 까내리는 듯한 말을 자주 한다.

게임을 불러오는 중의 이야기에 따르면 아버지와 사이가 안 좋다고 하는데, 오죽하면 로딩 화면에서도 "소문에 따르면 모찌 마일즈는 몇 년 동안 아버지와 대화를 나눈 적이 없데요." 라고 할 정도이다.

해킹 실력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보이는데, 도감을 해킹해서 모찌의 장원 항목의 설명을 자기 마음대로 바꿔버리거나, 다양체 큐브의 제조법을 알아내기 위해 빅터 험프리즈의 자료 서버 해킹을 시도했던 전적이 있다.

이름인 '모찌(Mochi)\'는 일본의 찹쌀떡인 모찌에서 따온 것이다. 이를 토대로, 모찌 마일스는 일본계 혹은 일본 출신임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모찌의 아버지의 이름은 '타츠야 마일스\'다.

5.3.5. ㅂㅏㅂ

ㅂㅏㅂ
BOb
목장거래 시스템 아이콘 자리 표시자
요구 아이템고기
파일:Bobfull.png
▲ 전신

스타메일 대사
>ㅎㅏㅇ하ㅇㅣ
ㅂㅏㅂ

아ㄴㄴㅕㅇ,,
ㅇㅏㄴ녀ㅇㅎㅏ이……. ㅊㅣ키ㄴ.
ㅇ아ㄴㄴㅕㅇ칰ㅋㅣㄴ.
ㅊㅣㅋㅣㄴ.

ㅇㅏㄴㄴㅕㅇ,
ㅂㅏㅂ

PSs.-- chickKn

[ 해석 ]
하이 하이


안녕,
안녕 하이……. 치킨.
안녕 치킨.
치킨.

안녕,


P.S. - Chicken

스타메일에서의 첫인사

목장거래 시스템을 통해 등장하는 긴 재킷을 입고 모자와 목도리를 써서 인간처럼 변장한 분홍 슬라임들이다.[7]

모찌 마일스의 스타메일을 읽고, 그녀의 거래를 끝내면 스타메일을 보낸다.

병아링, 노계는 요구하지 않는다.

이를 보아 슬라임들도 어느 정도의 지능은 있는듯하고, 문법이나 철자를 틀리지만 간단한 말은 할 줄 아는 것으로 추정된다.

6. 슬라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슬라임 랜쳐/슬라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슬라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슬라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자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슬라임 랜쳐/자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자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자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시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슬라임 랜쳐/시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시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시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지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슬라임 랜쳐/지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지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지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업그레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슬라임 랜쳐/업그레이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업그레이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업그레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가젯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슬라임 랜쳐/가젯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가젯#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가젯#|]]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도전 과제

도전 과제 목록
등급 명칭 및 설명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플로트팔이 소녀
플로트 마켓에 100개의 플로트를 판매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트랜스플로터
플로트 마켓에 500개의 플로트를 판매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플로트 상인
플로트 마켓에 1000개의 플로트를 판매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플로트 도매상
플로트 마켓에 2500개의 플로트를 판매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금.png 플로트 타이쿤
플로트 마켓에 5000개의 플로트를 판매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꼬꼭 꿝ㅡ
목장에서 100마리의 닭을 슬라임에게 먹이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후르츠 칵테일
목장에서 한번에 3가지의 과일을 재배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샐러드바
목장에서 한번에 3가지의 채소를 재배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운좋은 랜쳐
5,000 뉴벅스를 모으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부유한 랜쳐
25,000 뉴벅스를 모으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금.png 최상위 랜쳐
100,000 뉴벅스를 모으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금.png 빠른 매출
하루만에 5,000 뉴벅스를 모으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밤을 새웠다
오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깨어있으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이불 밖은 위험해
오전 10시가 되기 전에 쓰러지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당신이 없는 동안...
24시간동안 목장밖에 있다 돌아오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잡식성입니다
10가지의 음식을 목장에 있는 분홍 슬라임에게 먹여주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나이스 캐치!
허공에 있는 슬라임에게 음식을 쏘아 먹여주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이 돌은 다 내꺼야
남빛 채석장을 발견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장벽 너머엔
이끼숲을 발견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금.png 연기와 불, 그리고 거울
유리사막을 발견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젤리가 폭발한다!
고르도 슬라임을 터뜨리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내가 명하노니, 열려라 참깨!
슬라임 게이트를 여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노계공격
늙은 닭을 소각로로 태우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마시쩡!
목장에 사는 50마리의 슬라임에게 좋아하는 음식을 먹여주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터지겠다
모든 업그레이드가 적용된 격납고의 각 칸에 50개 이상의 물건[8]을 넣으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준비 끝
목장의 슬라임 가두리와 닭 우리, 격납고의 모든 업그레이드를 적용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빠른 거래
목장거래 시스템의 교환신청을 2시간 내로 달성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창조경제
평야에서 하루에 50개의 플로트를 모으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금.png 햇 트릭
한마리의 황금 슬라임으로부터 3개 이상의 황글[오타] 플로트를 획득하세요.[10]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만화에서나 가능한 일
방사능 슬라임의 피폭범위에서 15초 동안 버티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금.png 그만 좀 물어...
15초동안 타르를 잡고 있으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에궁!
냥이 슬라임과 헤딩을 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폭죽놀이
폭발 슬라임 라르고가 터지기 전에 공중으로 쏘아 터뜨리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혼돈은 내가 제압한다!
평야에서 15마리 이상의 슬라임을 진공팩에 넣으세요.[오역]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식스팩
6가지 이상의 각각 다른 슬라임을 한 가두리에서 키우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위험한 상견례
3가지 이상의 각각 다른 라르고 슬라임을 같은 가두리에서 키우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슬영장 파티
5가지 이상의 각각 다른 슬라임들을 목장의 호수에서 함께 목욕시켜주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금.png 다양화
10가지 이상의 라르고를 목장에서 키우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말랑말랑 볼풀
40마리 이상의 슬라임이 있는 가두리에 뛰어드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이런... 괴물!
작고 귀여운 병아리를 불길에 휩싸이는 종말에 맞이하게 만드세요. 이제 당신도 그곳에서 종말을 맞게 되겠군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질주의 플로트 챌린저
질주모드에서 10,000 뉴벅스를 모으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질주의 플로트 챔피언
질주모드에서 35,000 뉴벅스를 모으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금.png 질주의 플로트 마스터
질주모드에서 75,000 뉴벅스를 모으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과거로
고대 유적을 발견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위대한 과학을 위하여!
처음으로 슬라임 가젯을 생산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베아더빌더
슬라임 가젯을 35번 생산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금.png 창작은 끊이지 않는다
슬라임 가젯을 100번 생산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위기사랑 넘버원
타르를 넘버원 슬라임 무대에 올리세요.[12]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금.png 왼손은 거들 뿐
슬라임볼 한판에 50점을 획득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한번에 한명씩
7Zee 마일리지 클럽에 가입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동.png 즐거운 색칠놀이
크로마팩을 사용해서 집과 진공팩, 건물의 색을 바꿔부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문방구
10가지 이상의 각각 다른 슬라임 장난감을 구입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금.png 인생의 문
홉슨의 여정의 종착점이자 새로운 출발점을 발견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전세역전
헌터 고르도를 가두세요.[13]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은.png 생명의 귀환
모래사막을 다시 살려내어주세요.[14]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금.png 모험은 계속됩니다!
모험모드를 끝마치고 모험의 다음장을 펼치세요.
파일:슬라임랜처_도전과제_금.png 프로 스타일
슬라임 도감을 완성하세요.[제외대상]

13. 엔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슬라임 랜쳐/엔딩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엔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엔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모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슬라임 랜쳐/모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모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모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https://www.metacritic.com/game/pc/slime-rancher|
81
]]


[[https://www.metacritic.com/game/pc/slime-rancher/user-reviews|
8.1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slime-rancher|
80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slime-rancher/user-reviews|
7.7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4/slime-rancher|
69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4/slime-rancher/user-reviews|
6.9
]]


[[https://www.metacritic.com/game/switch/slime-rancher|
tbd
]]


[[https://www.metacritic.com/game/switch/slime-rancher/user-reviews|
7.4
]]

기준일:
2025-10-24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오픈크리틱#s-2|
#!if (+average) >= 84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width=50px]]
#!if (+average) <= 83 && (+average) >= 75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width=50px]]
#!if (+average) <= 74 && (+average) >= 66
[[파일:오픈크리틱 fair-man.png|width=50px]]
#!if (+average) <= 65 && average != null &&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weak-man.png|width=50px]]
{{{#!if average == null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man.png}}}]]
[[https://opencritic.com/game/4688/slime-rancher|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6) * 1.8deg)), #fc430a 76%, #2e2e2e 7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6}}}}}}}}}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6) * 1.8deg)), #9e00b4 76%, #2e2e2e 7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6}}}}}}}}}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6) * 1.8deg)), #4aa1ce 76%, #2e2e2e 7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6}}}}}}}}}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6) * 1.8deg)), #80b06a 76%, #2e2e2e 7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6}}}}}}}}}
평론가 평점]]
[[https://opencritic.com/game/4688/slime-rancher|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65) * 1.8deg)), #fc430a, #fc430a, #ffd86f, #ffd86f, #ffd86f, #fc430a, #fc430a 65%, #2e2e2e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65%}}}}}}}}}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65) * 1.8deg)), #b370df, #e566b1, #e566b1, #ff6ec4, #a871e3, #7973f5, #706bdf 65%, #2e2e2e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65%}}}}}}}}}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65) * 1.8deg)), #478c77, #76c8ff 65%, #2e2e2e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65%}}}}}}}}}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65) * 1.8deg)), #6c9059, #627f50 65%, #2e2e2e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65%}}}}}}}}}
평론가 추천도]]
[[https://opencritic.com/game/4688/slime-rancher|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fc430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9e00b4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4aa1ce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80b06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유저 평점]]



기준일:
2025-10-24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433340/#app_reviews_hash|압도적으로 긍정적 (9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433340/#app_reviews_hash|압도적으로 긍정적 (9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제가 이때까지 해본 게임들 중, 가장 순수하고 귀여운 게임이었습니다. 슬라임 랜쳐에 만점을 주는데 한 점의 후회도 없었습니다.” 10 – CGM
“슬라임 랜쳐는 몇 시간 동안이라도 계속 하고 싶게 만드네요. 목장을 둘러볼 때마다 이때까지의 업적에 자부심을 느끼고, 더 많은 이상하고 신기한 것들을 찾아보려 야생으로 뛰쳐 나가곤 했어요.” 8.5 – Game Informer

게임 인포머 선정 2017년 최고의 시뮬레이션 게임 수상

16. 후속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슬라임 랜쳐 2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 2#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슬라임 랜쳐 2#|]]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 기타

  • 정식 출시하자마자 북미 엑스박스 골드 무료로 풀렸으며, 이후 10월에는 국내 엑스박스 골드 무료 게임으로 나왔던 바가 있다.
  • 로딩 화면에 등장하는 문구의 종류에는 크게 3가지가 있는데, 게임 진행에 관한 팁과 소문 등을 통한 게임 내의 자잘한 설정이나 스토리에 관한 문구, 개그성 문구 등이 있다.
  • 한국어 번역이 센스 있게 잘 되어있고, 특히 드립이 매우 찰지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보면, ㅂㅏㅂ의 이메일은 낱말 퍼즐 식으로 번역했고, 'Hen Hen\'은 한글로 풀이하면 '암탉 암탉\'인데 '여암탉\'으로, 'Roostro\'는 여암탉이랑 짝이 되게 '남수탉\'으로 번역되었다. 'Chickadoo\'는 'Chick'에 'adoo'를 붙인 것을 '병아리'에 'ㅇ'을 붙인 것으로 바꿔 '병아링\'으로 번역했으며, 가젯 중 하나인 'Potted Tactus\'는 선인장을 뜻하는 'Cactus'에서 앞 글자 'C'를 'T'로 바꾼 것을 'ㅅ'과 'ㅈ'의 위치를 바꿔 '전인상 화분\'으로 번역했다.
  • Slime Rancher: VR Playground라는 Steam에서 슬라임 랜쳐를 가지고 있으면 무료로 플레이할 수 있는 VR 게임이 있다.

18. 외부 링크


[1] Xbox Play Anywhere[2] 슬라임 랜쳐 도움말 센터[3] 해외 계정이 필요하다.[4] 현재 비공개된 티저 트레일러의 백업본으로, 해당 티저에 사용된 배경 음악은 Let's Go, Beatrix![5] 게임 내의 화폐로, 새 돈다발이라는 뜻이다.[6] 이는 게임 배경이 되는 행성 내의 중력 상태가 지구와는 다른 것으로 추정된다. 덩치가 꽤 큰 라르고 슬라임들도 다른 작은 슬라임들 못지않게 높이 튀어 오른다.[7] 후속작에서는 돌멩이 슬라임, 냥이 슬라임, 폭발 슬라임, 양자 슬라임 같은 여러 슬라임들도 같이 나오며, 그럴 때에도 머리 부분은 항상 분홍 슬라임이다.[8] 중복가능[오타] '황금'의 오타이다.[10] 황금 조준기 업그레이드가 있다면 쉽게 달성 가능하다. 드문 일이지만, 아주 빠르게 구석에 있는 황금 슬라임에게 음식을 연발하면 깨는 일도 있다.[오역] 번역이 잘못 되어 있다. 진공팩이 아니라 진공팩이 흡입시 일으키는 소용돌이 안에 15마리 이상의 슬라임이 동시에 있어야 획득 가능하다. 다수의 슬라임을 모아놓고 모든 칸에 다른 아이템으로 넣어둔 뒤 소용돌이를 일으키면 쉽게 획득가능하다.[12] 무대 위에서 라르고를 한마리 올려놓고 플로트를 먹여 타르를 만들어도 달성된다. 참고로 무대 위에 있는 타르는 가까이 가지 않으면 공격하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13] 고르도 덫으로 잡으면 된다.[14] 정화의 씨앗을 고대의 물로 키워주면 된다.[제외대상] 반짝이 슬라임과 파티 고르도같은 이벤트성 슬라임들은 제외된다.[주의] 이 게임 시리즈의 문서를 편집할 때 FANDOM 위키의 내용을 번역해서 나무위키에 갖다 붙이는 행위는 저작권 위반으로 제재 받을 수 있다.

FANDOM의 CCL은 CC BY-SA 3.0, 나무위키의 CCL은 CC BY-NC-SA 2.0 KR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