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30 22:59:50

리쿠드

리쿠드당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50px><tablebordercolor=#fff> 파일:크네세트 로고.svg이스라엘 크네세트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6차 네타냐후 내각
(2022 ~ 현재)
연립여당
파일:리쿠드 로고.svg
'''[[리쿠드|리쿠드-국민자유운동
32석
]]'''
파일:국민종교당.svg 파일:오츠마 예후디.png 파일:새로운 희망(정당) 로고.svg
'''[[국민종교당-종교 시온주의|국민종교당-종교시온주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오츠마 예후디|유대인의 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새로운 희망(정당)|새로운 희망
4석
]]'''
신임과 공급
파일:샤스 로고.svg 파일:노암.svg
'''[[샤스|샤스
11석
]]'''
'''[[노암|노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야당
파일:예쉬 아티드 로고.png
'''[[예쉬 아티드|예쉬 아티드
24석
]]'''
파일:청백동맹 로고.svg 파일:유대교토라연합 로고.svg 파일:이스라엘 베이테이누 로고.svg
'''[[청과 백 이스라엘 회복당|청과 백
8석
]]'''
'''[[유대교 토라 연합|유대교 토라 연합
7석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이스라엘은 우리의 집
6석
]]'''
파일:연합아랍명단 로고.svg 파일:하다쉬.png 파일:Ta'al_party_logo.png 파일:민주당(이스라엘).png
'''[[연합 아랍 명단|연합 아랍 명단
5석
]]'''
'''하다쉬-[[타알(정당)|타알
5석
]]'''
'''[[민주당(이스라엘)|민주당
4석
]]'''
재적
120석
}}}}}}}}}
파일:리쿠드 로고.svg
הַלִּיכּוּד - תנועה לאומית ליברלית
<colcolor=#1959a6> 약칭 <colbgcolor=#fff,#010101>הַלִּיכּוּד
한국어 명칭 리쿠드-국민자유운동
통합-국민자유운동
대표 베냐민 네타냐후
창당일 1973년 9월 13일(정당연합)
1988년(통합정당)
이념 국민보수주의
보수주의
이스라엘 내셔널리즘
경제적 자유주의
우익대중주의
시오니즘

역사적 :
자유보수주의
수정 시오니즘
정치적 스펙트럼 우익[1]
역사적 :
중도우파
상징색
파란색 (#1959A6)
당원 수 116,048명(2019)[2]
당사 소재지 텔아비브 킹 조지 거리 38번지 메추다트 제프
국제 조직

청년 조직 청년 리쿠드
성소수자 조직 리쿠드 퍼레이드
유럽 정당 유럽 보수개혁연합
애국자들.eu,(옵저버),
당가 리쿠드의 노래(ג'ינגל הליכוד)
크네세트 의석 수
32석 / 120석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1. 개요2. 성향3. 역사
3.1. 2019년 이전3.2. 2019년 이후
4. 둘러보기

1. 개요

이스라엘보수우파 민족주의 정당.

당명은 흔히 리쿠드(הַלִּיכּוּד)로 줄여 부르며, 그 뜻은 통합이다. 정식 당명은 '리쿠드-국민자유운동'.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당대표를 맡고 있는 이스라엘의 집권여당이자 원내 제1당이다. 네타냐후 총리가 상당한 기간 동안 집권하면서 2005년부터 20년째 당을 이끌고 있는데, 좋은 쪽으로든 안 좋은 쪽으로든 네타냐후의 정치적 개인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2. 성향

경제, 사회, 문화, 안보 등 대부분 분야에서 보수우파 성향을 지닌다. 우선, 경제적으로는 신자유주의민영화를 선호한다. 다만, 이 과정에서 이스라엘 내의 독점 기업 구조를 해체하는 등 한국 기준에서는 진보좌파적으로 보일 만한 개혁을 한 역사도 지니고 있다. 노동조합과의 관계 역시 상당히 밀접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

안보 정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유대인 민족주의, 대 팔레스타인 강경대응 기조를 견지한다. 극우 국민종교당-종교 시온주의, 오츠마 예후디와는 주장 강도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웨스트 뱅크 내 유대인 정착촌 확장을 찬성하고, 이스라엘을 "유대인 국가"로 바라본다는 점에서 방향성은 크게 다르지 않다. 민족주의적 면모가 짙기 때문에 리쿠드가 집권하면 팔레스타인 및 주변국과의 무력충돌이 빈번히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적성국인 이란을 군사적, 외교적으로 견제하기 위해서는 국제적 공조가 필수적이기에 좁게는 미국, 넓게는 서구 우방국과 주변 아랍 국가의 반응을 의식하여 분쟁 확대를 자제하려는 행보를 일부 보이기도 한다. 외교적 고려를 사실상 전혀 하지 않는 극우 국민종교당-종교 시온주의, 오츠마 예후디와는 이 지점에서 차별화된다. 예를 들어, 오슬로 협정을 준수하기 위해, 정부가 군경을 동원하여 직접 웨스트뱅크 내 정착촌을 확대해나가지는 않는면도 있다. 동예루살렘 알 아크사 모스크의 현상 유지를 일단 지지하고,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와의 외교 채널 역시 단절하지 않고 유지한다.

유대교 교단 자체에 기반을 두지는 않은 세속 정당이지만, 이스라엘 사회의 종교적 색채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에 우호적이다. 리쿠드 자체의 핵심 의제라기 보다는 하레디 계열의 샤스, 유대교 토라 연합의 요구를 반영해 추진하는 경우가 많기는 하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이스라엘이 세속 국가로 이행하는 것에 부정적 인식을 견지한다.

3. 역사

3.1. 2019년 이전

1948년 건국을 주도하고 이후 30년간 이스라엘 정치를 이끌어온 것은 이스라엘 노동당 계열의 진보좌파 정당이었다. 1977년까지 다비드 벤구리온부터 골다 메이어, 이츠하크 라빈까지 모든 총리가 진보좌파에서 배출되었다. 그러다가 1973년 헤루트(Herut)를 비롯한 우익 정당들이 규합하며 정당연합의 형태로 처음 리쿠드가 결성되었고, 블루칼라 세파르딤의 지지를 바탕으로 1977년 이스라엘 노동당을 밀어내고 최초의 정권교체를 이룬다. 이 때부터 본격적으로 우파 진영이 이스라엘에서 자리를 잡게 되었고, 1988년에는 현재의 단일정당 형식을 갖추게 된다. 이후 선거를 거치며 리쿠드의 당세는 점차 강해졌고 메나헴 베긴, 이츠하크 샤미르, 베냐민 네타냐후(1996-1999), 아리엘 샤론 총리를 배출하게 된다.

2005년에는 아리엘 샤론 총리가 당내 온건파와 함께 카디마(Kadima)를 창당하며 탈당하였고, 이를 계기로 베냐민 네타냐후가 당대표로 복귀하게 된다. 4년 뒤인 2009년 리쿠드가 카디마를 밀어내고 정권교체에 성공하면서 베냐민 네타냐후는 다시 총리직에 오른다. 이후 장장 12년 동안 리쿠드와 베냐민 네타냐후는 연전연승하며 장기집권에 성공하였고, 자연스럽게 이스라엘 정치를 주도하게 된다.

3.2. 2019년 이후

리쿠드가 주도해온 보수연정의 장기 집권은 2019년 중대한 위기를 맞게 된다.

2019년 4월 총선에서는 범 보수우파가 전체 120석 중 65석을 기록하며 집권을 연장하는 듯 했다. 하지만 하레디 유대인의 병역 문제 정책을 놓고 보수우파 내 의견 대립을 조율하지 못했고, 결국 보수우파이면서도 세속주의를 강조하는 정당 이스라엘 베이테이누가 협상장에서 이탈하며 연립정부 구성에 실패했다. # 결국 이때부터 이스라엘 정치지형이 친네타냐후 진영과 반네타냐후 진영으로 양분되고, 양대 진영이 비슷한 세를 계속 유지하며 리쿠드는 이전과 달리 집권을 장담할 수 없게 된다.

2019년 9월 2차 총선과 2020년 3월 3차 총선에서도 친네타냐후, 반네타냐후 진영은 모두 과반 확보에 실패한다. 결국 리쿠드는 코로나19 비상시국을 명목으로 베니 간츠청백동맹을 비롯한 반네타냐후 진영 일부와 함께 대연정을 구성하였다.
하지만 대연정은 내부 갈등으로 붕괴되고 2021년 3월 4차 총선이 열렸다. 선거 과정에서 기드온 사르를 필두로 당 내 온건파가 탈당해 새로운 희망을 창당해 반네타냐후 진영에 가담하면서 내상이 있었다. 선거 결과, 또다시 친네타냐후 진영, 반네타냐후 진영 모두 과반에 실패했다. 리쿠드는 집권을 위해 중립지대에 있던 아랍계 정당 연합 아랍 명단에게까지 연정을 제안했으나 결국 불발되며 연립정부 구성에 실패했다. 결국 반네타냐후 진영을 중심으로 베네트-라피드 연정이 성공적으로 수립되며 2021년 6월 13일, 길었던 12년간의 여당 생활을 마무리하고 야당이 되었다.
하지만 2022년 베네트-라피드 연정이 내부 갈등으로 붕괴되며 다시 한번 조기 총선으로 5차 총선이 열렸다. 이 선거에서 친네타냐후 진영은 4년 동안 5차례 선거 중 처음으로 과반 확보에 성공했고 리쿠드는 1년여 만에 다시 여당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재집권 이후 극우 유대교 정당들을 포섭한 네타냐후 내각에 대한 다양한 논란들이 터졌고, 네타냐후가 반민주적 사법개혁을 추진하자 2023년 이스라엘 사법개혁 반대 시위가 발발하여 국제 사회에서 독재정당 취급을 받으며[3] 지지율이 하락하였다.

설상가상으로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이후에 하마스 기습에 대한 정보를 사전 파악하지 못했다는 책임론이 대두되며 비판을 받고 있다. 현재 전시 내각을 유지 중이지만, 다가오는 2026년 총선에서의 재집권 전망은 밝지 않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1959a6> 파일:베냐민_네타냐후.svg 베냐민 네타냐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1959a6><colcolor=#fff>생애<colbgcolor=#fff,#1f2023>생애 · 네타냐후 내각(27대 · 32대 · 33대 · 34대 · 35대 · 37대)
평가 평가
가족 요나탄 네타냐후
이념 시오니즘
소속 리쿠드
사건사고 가자 전쟁,2012년 · 2014년 · 2021년, · 시리아 공습 ·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위기 · 이스라엘 사법개혁 반대 시위 · 2023년 알아크사 분쟁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2024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이란 공습,4월 · 10월,) · 이스마일 하니예 암살 사건 · 예멘 공습 · 레바논 및 시리아 무전호출기 테러 · 레바논 공습 · 3차 레바논 전쟁 · 시리아 침공
역대 선거 제24대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 · 제25대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
관련 정치인 나프탈리 베네트 · 야이르 라피드 · 마흐무드 압바스 · 이스마일 하니예 · 야히야 신와르 · 하산 나스랄라 · 알리 하메네이 · 조 바이든 · 도널드 트럼프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

[1] 중도우파나 극우라는 평가도 있지만 우익이라는 평가가 주류다(다만 중도우파에서부터 극우까지 넓게 세력들을 포괄하는 우익 빅 텐트 정당으로 볼 때도 있다 #, #, #).[2] 2019년 리쿠드 대표 경선에서 당원 116,048명 중 49%가 투표에 참여했다고 밝힌 리쿠드측 발표에 따름.#[3] 사실 2기 내각 때도 민주주의 후퇴의 조짐이 보이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