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03:19:51

루카 브라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보스
비토 콜레오네 마이클 콜레오네 빈센트 콜레오네
언더보스
{{{#!wiki style="margin: -16px -11px" 소니 콜레오네 마이클 콜레오네 프레도 콜레오네 알버트 네리 }}}
콘실리에리
젠코 아반단도 톰 헤이건 코니 콜레오네
일원
살 테시오 피터 클레멘자 로코 람포네
프랭크 펜탄젤리 루카 브라씨 카를로 리치
* 문서가 있는 인물들만 작성. }}}}}}}}}
<colcolor=#fff><colbgcolor=#000> 대부 시리즈의 등장인물
루카 브라씨
Luca Brasi
<nopad> 파일:luca braci.png
출생 1894년 (51세)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국
소속 콜레오네 패밀리 (1930년대 초 ~ 1945년)[1]
직위 콜레오네 패밀리 인포서 (1930년대 초 ~ 1945년)
배우 레니 몬타나 (Lenny Montana)

1. 개요2. 상세3. 명대사4. 여담

1. 개요

대부의 등장인물.

비토 콜레오네의 부하로, 그를 위해 온갖 궂은 일을 처리하는 해결사 역할을 수행한 인물. 특히 청부 살인을 전문으로 하는 암살자로 악명이 자자하다. 원작 소설에선 그에 관해 상당히 자세히 묘사함과 동시에 역할도 이래저래 비중있는게 많지만, 영화판에선 축소 혹은 생략되었다.

잔인하기로 악명 높고 그에 걸맞게 인상도 대단히 험악하다는 설정. 대부 게임에서는 주인공과 함께 거리를 무단횡단하던 중 갑자기 길막당한 운전자가 빡쳤는지 경적을 울리는데, 이에 마찬가지로 짜증이 난 루카가 고개를 돌려 노려보자 루카인 걸 알아본 운전자가 겁에 질려 도망갈 정도.

2. 상세

영화판에서는 크게 부각되지 않지만 원작에선 알 네리와 더불어 대부 시리즈를 통틀어 개인의 무력으로는 최고 순위인 인물 중 하나로 묘사된다. 그 실력 덕분에 비토 콜레오네의 비밀 지령(암살)을 여러 번 수행한 적이 있는데 본인이 비토를 존경하는 터라 굉장히 열심히 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비토 쪽에서는 이른바 인포서(집행자)론 최고지만 딱히 개인적으로 친하고 싶지는 않은 정도의 감정인 듯 하다. 후술될 도끼 사건도 그렇고, 사이코패스 같은 성격에 어마어마한 무력을 지니고 있으니 당연한 일. 즉, 비토 특유의 신중함을 바탕으로 루카 같은 무력 최강자가 다른 마음 먹고 배신을 때리면 골치가 아파지니 일부러 거리를 두면서 경계 & 견제하는 것에 가깝다. 일단 패밀리를 위해 이래저래 더러운 일을 묵묵히 수행하고 있는 우정을 봐서 코니의 결혼식 초대장을 보내긴 했는데, 그가 진짜로 얼굴을 비추자 비토가 "그 녀석이 여기엔 뭐 하러 온 거지?"라며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인 게 개그.

본편에선 버질 솔로초의 뒤를 봐주고 있는 타탈리아 패밀리에 대한 정보를 캐오라는 비토의 지령을 받고 밀정 임무를 수행한다. 소설판에서 설명되는 방법에 따르면 타탈리아 패밀리의 매춘부랑 관계를 맺은 후 콜레오네 패밀리에서 받는 대접에 대해 불평한다. 매춘부는 브라씨에게서 받은 "정보"를 윗선에 보고하고, 타탈리아 패밀리는 브라씨를 끌어들이기 위해 접선한다. 이런 방식으로 타탈리아 패밀리의 내부 사정을 파악하려고 했던 것. 그런 밀정 임무 도중 솔로초와 브루노 타탈리아에게 어이없이 살해된다. 친분이 생긴 브루노가 "당신을 만나고 싶어하는 사람이 있다."라며 새벽에 자신이 운영하는 나이트클럽에 오라고 연락을 했다. 이에 루카는 티셔츠 위에 방탄복을 입고 장전한 권총까지 준비한 다음, 그 위에 정장을 갖춰 입고 브루노의 클럽으로 향한다.[2] 솔로초와 악수를 하다가 한 손을 붙잡히고 다른 한 손은 손등에 칼을 맞아 무력화된다. 그 후 뒤에서 달려든 타탈리아의 부하에게 낚싯줄로 교살당한다. 영화 내내 포커페이스를 유지하던 루카가 이 장면에서 만큼은 고통스러워하며 눈이 휘둥그레지는 등 표정이 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영화에서는 루카의 스토리가 너무 많이 짤려서 이 장면이 그저 불쌍해 보이지만 소설에서는 더 많은 내용이 나온다. 루카는 밑에 수하도 두지 않고 오로지 혼자 행동하며 비토 콜레오네의 명령만 듣는 인물이다. 본래 조직은 보스 아래 중간 보스, 그 아래로 조직원 순으로 내려가는 것이 정상이지만 그는 비토가 직속으로 별동대 비슷하게 굴리고 있었다. 즉 패밀리 간부들도 그의 존재는 알되 무엇을 하고 다니는지는 자세히 모르는 일종의 특수 요원 같은 사람이었다. 이 때문에 애초에 기습을 하지 않은 이유도 솔로초를 확인하고 바로 사살하려 한 것인데 솔로초는 비토에게 광적일 정도의 충성심을 갖고 있는 루카가 대접이 서운하다고 배반할 인물이 아님을 알았기에 오히려 역으로 기습을 가할 수 있었다.

워낙 리얼하게 촬영된 유명한 장면인 지라 영화 사상 '가장 괴롭게 사망한 캐릭터'를 꼽을 때 순위권에 랭크되기도 한다. 나중에 톰 헤이건이 솔로초에게 사로잡혔을 때 톰은 소니까진 설득할 수 있을진 몰라도 소니조차도 루카 브라씨는 설득할 수 없을 것이라고 하는데 솔로초는 방금 루카 브라씨를 물고기 밥으로 만들어 놓고 왔으니 속으로 웃었을 듯 하다. 해당 장면에서도 살짝 비웃음조의 미소를 지으면서 "그 일은 내가 알아서 처리하겠네."라고 무시해버린다.

언급된 대로 최고 간부들도 뭐하고 다니는지 자세히 모르는 사정이라 비토가 암살 시도를 받은 후 그의 행방이 묘연하다는 제보가 들어오자 배신자 유력 후보로 여기는 등 뒤숭숭했는데, 나중에 솔로초가 콜레오네 패밀리의 본거지에 루카의 방탄복으로 싼 생선을 보내며 살해당했다는 사실을 암시해준다. 생선을 옷가지에 싸서 보내는 건 시칠리아 마피아식 표현으로, "옷의 주인은 물고기들과 함께 잠들었다", 즉 수장되었다는 뜻. 주로 모욕적인 의미를 띈다고. 다른 방법으로 썩은 생선이 든 가방을 보내거나 시체 옆에 놓아두는 방법도 있다. 영화에서 나온 이 독특한 암시 방법이 나중에 유명해져 많은 코미디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 패러디되었다.

원작과 영화의 이미지가 상당히 다른 캐릭터. 영화에서의 그는 위협적으로 비대한 거구로 배우의 신장에 맞추면 6피트 6인치, 즉 198cm 정도나 되는 엄청난 거구이며 얼굴 또한 험상궂다. 코니 콜레오네의 결혼식 같은 예의를 차려야 할 자리에 초대되자 긴장해서 인사말을 연습하는 모습은 꽤 귀엽기까지 하다. 재미있게도 그렇게 연습해 놓고 정작 비토의 앞에서 버벅인다. 원작에서는 좀 더 심각하게 고민하는 모습으로 비춰지는데 사이코패스 같은 측면에 상상 이상의 무력을 지닌 인물이다 보니 인간관계나 사회생활이 서툴고 하지만 자신이 존경해 마지않는 비토에게 축하 인사를 건네야 하는 것은 반드시 해야 할 일이기 때문에 생기는 아이러니.

원작에서는 그의 과거에 관한 이야기가 좀 더 자세히 나오는데 솔로초 & 맥칼러스키 서장을 암살하고 시칠리아로 피신 간 마이클 콜레오네는 어느 노파로부터 루카와 마주쳤던 이야기를 듣는다. 미국에서 산파로 일하던 그녀는 루카의 아이를 밴 빨간머리 아일랜드 여자로부터 아이를 받아내고, 그의 협박 때문에 갓 태어난 아이를 화로에 던져넣어 살해한다. 갓 해산한 산모와 루카가 침대에서 얽히는 모습을 보고 노파는 도망친다. 며칠 뒤 아일랜드 여자의 시체가 발견되고, 루카는 그녀의 살인범으로 감옥에 갇힌다. 감옥에서 유리를 삼켜 자살을 기도했던 시점에서 비토 콜레오네를 만나고 그에게 구해진 뒤 충성을 맹세한 뒤 '창고에서의 도끼질'을 비롯한 악행으로 이름을 날린다.

이 사건 당시 콜레오네의 적대세력이 시카고알 카포네에게 지원을 요청하였고, 카포네는 총잡이 두 명을 보낸다. 그러자 콜레오네측은 루카로 하여금 이 둘을 대적하게 함으로써의 그의 잔인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하였다. 두 명을 잡아다 놓고 한 명은 도끼로 사지를 토막내서 죽이고 다른 한 명도 똑같이 하려고 보니 남은 하나는 입을 막고 있던 수건을 삼켜 질식사했다고.[3] 그 외에도 여러 전공이 소설속에서 묘사되는데 루카의 존재는 이른바 기습 선봉 및 요인 암살에 특화된 존재이다. 대부 마지막에 벌어지는 동시다발적인 학살을 혼자서 여러차례 수행하고 혼자서 기습을 감행하여 섬멸에 가까운 타격을 입히는 식의 묘사가 소설 속에 등장한다.

이에 대해 비토는 "그를 죽일 수 있는 사람도, 살릴 수 있는 사람도 너 뿐이라는 걸 기억하게 하라"는 비결을 마이클에게 전수한다.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세상에는 자기들더러 죽여 달라며 외치는 듯한 미친놈들이 있는데, 이를 우리 편으로 만드는 방법은 네가 죽지 않기를 원함을 표시하는 동시에 내가 널 죽일 수 있다는 두려움을 갖게 하라는 것이다. 요약하면 "널 언제든지 내칠 수 있지만 잃고 싶지는 않다"는 뜻. 그리고 마이클은 이후 비슷한 남자를 심복으로 두게 된다. 고문인 톰 헤이건"제 2의 루카 브라씨를 찾아냈군."이라고 평했을 정도.

비토 콜레오네에게 충견이 주인에게 바치는 수준의 충성을 보이는데, 비토는 그런 SM적인 루카의 충성심을 은근히 부담스러워하는 묘사도 있다. 이는 적들도 마찬가지라 솔로초와 타탈리아 패밀리가 비토 암살을 본격적으로 실행에 옮기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루카를 죽인 이유이기도 하다. 비토가 자신들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는 걸 알면 루카가 눈에 불을 켜고 자신들에게 잔인한 보복을 하러 달려들 게 뻔해 두려웠기 때문.

영화와는 달리 대부 게임에서는 비중이 상당히 높다. 코니의 결혼식 날에 인사하러 온 루카를 돌려보내기 전 주인공 알도를 찾으라 명령하고, 대부의 명령을 따라 루카는 거리에서 방황하는 알도를 발견, 그를 훈련시키게 된다. 그래서 게임 초반에는 루카가 사망하는 날까지 그를 보좌하면서 갈취, 폭행 등 여러 임무에 투입된다. 이때 주인공에게 "거봐 그렇게 어렵지 않지?", "그렇지! 그거야!"라면서 유창하게 독려하는 거 보면 여러모로 좀 깨기도 한다.

3. 명대사

"돈 콜레오네, 딸님의 결혼에 초대해 주셔서 영광입니다....아니, 따님의 결혼식에... 첫 아이는 아들이길 바랍니다. 떡두꺼비 같은 아들요. 영원히 충성을 바치겠습니다."

대부 1편의 초반 장면의 대사. 비토의 딸인 코니의 결혼식에 초대받은 후, 비토를 접견하며 축하멘트를 건내기 전 혼자서 이 대사를 열심히 외우며 연습한다. 평소에 무척 말수가 적은데다가 존경하는 비토의 딸의 결혼식 자리인지라 긴장한 탓인지 이런 간단한 멘트를 건네는 것도 버거워하는 등 조금 귀여운 모습을 보여준다.

4. 여담

  • 파일:external/a3-images.myspacecdn.com/300x300.jpg
    루카 역을 맡은 배우 레니 몬타나는 원래 프로레슬러 출신으로, 클럽 바운서와 같은 일을 전전하다 콜롬보 패밀리와 엮여 감옥에 간 경력이 있다. 즉, 레알 마피아 혹은 그쪽과 커넥션이 있는 인물인데, 캐스팅이 된 것도 이게 큰 지분을 차지한다.[4]
  • 2017년 5월 1일에 NBC 방송국에서 「대부 45주년 기념 토크 방송」을 진행했는데, 소니 콜레오네 역의 제임스 칸이 위의 루카 명장면 관련 뒷이야기를 풀었다. 촬영 초반엔 코폴라 감독이 레니 몬타나의 연기를 마음에 들어하지 않아 제임스 칸에게 "저 친구 좀 어떻게 해봐."라는 부탁을 했는데[5], 칸이 "혀에 테이플를 붙였다고 생각하고 일부러 어눌한 발음으로 대사를 해봐."라는 식으로 조언을 했다고 한다. 레니는 연기 초짜라 겁을 먹고 시키는 대로 잘 못할 거 같다며 안절부절 했는데, 칸이 겨우 달래서 촬영에 들어갔고 결과는 대성공. 그리고 3주 뒤에 루카의 다른씬을 찍을 땐 코폴라 감독이 촬영장 구석으로 레니를 불러다 연기 지도를 했다고 한다. 참고로 칸의 언급에 따르면 레니의 혀는 신발 상자 만큼 크다고.
  • 코니의 결혼식 장면 때 마이클과 함께 참가한 케이 아담스가 식장 한 구석에서 웬 수상하고 험상궃게 생긴 아저씨(=루카)가 혼자서 무언가를 조용히 중얼거리는 모습을 보고 기겁하며 무서워하는 개그 장면도 유명한다. 옆에 있던 마이클은 반응이 재미있다며 스윽 웃고는 루카 브라씨가 아버지에게 어떤 인물인지 설명해준다.


[1] 다만 다른 조직원들과는 다르게 독단적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아서 비정규 조직원에 가까웠다.[2] 루카가 클럽의 문을 열고 들어가 바(bar)로 향하는 장면에서 카메라는 루카를 따라가지 않고 문 옆에 멈춰선다. 이후 물고기와 해초가 장식되어있는 문 옆 유리창을 통해 클럽 내부로 걸어가고 있는 루카를 비추는데, 이는 그의 운명을 암시한다.[3] 여담으로 죠죠의 기묘한 모험 5부에서 소르베와 젤라토가 이렇게 죽는 것으로 패러디된다.[4] 당시 대부에 참여한 배우들 중 마피아와 커넥션이 있는 사람들이 꽤 많았다.[5] 코폴라 감독 입장에선 딱히 친하지도 않은 레니를 불러다 직접적으로 갈구기 어색해 그와 친분이 있는 칸에게 대신 연기 지도를 해 달라는 식으로 간접적인 부탁을 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