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1 02:24:39

루이스 슬로틴

<colbgcolor=#000><colcolor=#fff> 루이스 슬로틴
Louis Slotin
파일:Slotin_Los_Alamos.jpg
성명 루이스 알렉산더 슬로틴
Louis Alexander Slotin
국적
[[캐나다|]][[틀:국기|]][[틀:국기|]]
출생 1910년 12월 1일
캐나다 자치령 매니토바 주 위니펙
사망 1946년 5월 30일 (향년 35세)
미국 뉴멕시코 주 로스 앨러모스
직업 물리학자, 화학자
신장 169cm[1]
학력 매니토바 대학교
(물리학 / B.Sc.) (1932년)
매니토바 대학교 대학원
(물리학 / M.Sc.) (1933년)
킹스 칼리지 런던 대학원
(생화학 / Ph.D.) (1936년)

1. 개요2. 생애3. 로스 앨러모스 핵실험 사고
3.1. 실험에 참여했던 다른 동료들3.2. 사후
4. 기타

[clearfix]

1. 개요

캐나다물리학자화학자.

2. 생애

러시아 제국의 박해를 피해 캐나다 매니토바주 위니펙으로 이민한 유대인 출신이다. 삼남매 중 맏이로 태어나 어렸을 때부터 공부에 재능을 보였는데 만 16세가 되던 해 매니토바 대학교에 입학했으며 동 대학에서 1932년과 1933년에 각각 물리학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영국 런던으로 건너가 1936년에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생화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미국 시카고 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사이클로트론에 관련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그 공로로 1942년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게 되었다.

여기까지만 보면 그냥 어렸을 때부터 공부 잘 한 여느 과학자와 다를 것 하나 없지만 나무위키에 별도로 항목이 있는 이유는 이 사람이 겪은 사고 때문이다. 이 사고로 인해 그는 역사상 가장 심한 피폭을 받은 과학자 중 하나가 되었다.[2]

3. 로스 앨러모스 핵실험 사고

사고가 난 곳은 로스 앨러모스에 있는 로스 앨러모스 국립연구소로 원자력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던 바로 그곳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lotin_criticality_drawing.jpg

의사가 과학자들의 피폭량을 알아보기 위해 증언에 따라 사고상황을 재현한 그림이다.

1946년 5월 21일 그와 동료 일곱 명은 중성자 반사재인 베릴륨으로 만들어진 두 개의 반구로 각각 플루토늄 코어를 감싸 중성자 반사재가 얼마큼 닿아야 연쇄 반응이 시작되는지 예측하는 실험을 하고 있었다. 원래대로라면 가운데의 플루토늄-갈륨 합금은 약 5% 정도로 임계질량에 미치지 못하지만 두 중성자 반사재가 붙을 경우 밖으로 튀는 중성자를 가운데로 모아 임계질량 이하에서도 연쇄반응이 일어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중에 이 플루토늄은 핵실험에 사용될 예정이었으므로 이런 확인이 필요했다.

임계에 이르지 않은 플루토늄 덩어리 자체는 체내로 들어가지 않는 한 치명적으로 위험하지는 않다. 자연상태의 플루토늄은 알파붕괴를 해서 알파입자(헬륨 원자핵)을 방출하는데 이 입자는 피부 각질도 관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리처드 파인만은 조그만 플루토늄 덩어리를 가리키며 손으로 만지면 은근히 따뜻한 정도라고 한 적도 있다. 물론 어느 정도의 방사능 차폐를 위해 도금을 한 상태일 때의 얘기다. 문제는 이 알파입자의 에너지가 베타, 감마선보다 월등히 커서 체내에 들어가면 큰 피해를 입힌다는 점이었다.

그는 엄지를 위쪽 구멍에 넣어서 왼손으로 위쪽 반구를 붙잡고 오른손으로는 스크류 드라이버를 밀어넣어 반구의 높이를 조절하고 있었다. 이렇게 스크류 드라이버를 쓰는 것은 지침에 규정된 정식 방법이 아니었다. 원래는 엄지만을 이용해 높낮이를 조절하고 가운데에는 사고를 막기 위해 쐐기를 끼워 놓았어야 했다.

사실 크고 작은 원자력 사고들은 대개 규정 위반으로 발생한다.[3] 그는 해당 실험을 많은 사람들 앞에서 여러 번 시연한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자만에 사로잡혀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쐐기 없이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인 청바지와 카우보이 부츠를 신은 상태로 참여했다고 한다.[4] 소문에 따르면 이러한 행위를 지켜보던 엔리코 페르미시연을 이런 식으로 하면 1년도 못 살고 죽을 것이라고 경고했고 리처드 파인만잠자는 용의 꼬리를 간질이는 행위(tickling the tail of a sleeping dragon)라며 못마땅해했다.

원래대로라면 두 개를 붙인 뒤 측정이 끝나면 떼어내는 것인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ickling_the_Dragons_Tail.jpg

갑자기 드라이버가 미끄러지면서 위쪽에 있던 반구가 덜컥 떨어지는 사고가 벌어졌다. 두 중성자 반사재는 완전히 닫혔고 임계량을 초과한 플루토늄은 핵분열 연쇄반응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곧바로 푸른 빛과 열파가 방을 휩쓸기 시작했고 그는 입 안에서 시큼한 맛과 왼손에서 작열감을 느꼈다.[5]

이때 그가 재빨리 위쪽 반구를 왼손으로 직접 들어내[6] 바닥에 던지자 두 개의 덩어리가 분리되면서 연쇄반응은 중지되었다. 만약 그가 이렇게 하지 않았다면 핵분열 반응의 열로 인해 구체는 건드리지도 못할 정도로 뜨겁게 달궈졌을 것이고 거기서 더 갔다면 국립연구소 뿐만 아니라 그 마을 전체가 잿더미가 됐을 것이다.

그는 연쇄반응이 일어난 곳 바로 앞에 있었기 때문에 한순간에 무려 21시버트라는 어마어마한 방사능 피폭을 당했다.[7] 치료를 맡은 의사들은 그저 그의 통증을 덜어 주는 데 집중했으며 실제로 모르핀 주사를 놓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치료가 없었다. 추가로 첨언하자면 일반인이 한 해 동안 받는 인공방사선의 총량은 1밀리시버트가 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8] 즉, 일반인들이 21,000년 동안 받을 방사선의 총량을 그는 한 번에 받은 것이다.

그는 건물에서 나오자마자 방사능 피폭의 영향으로 구토를 하기 시작했고 곧바로 동료들과 함께 병원으로 실려갔다. 동료들은 모두 살아났지만 그는 살아날 수 없었고 집중치료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의 상태는 점점 악화되었으며 아흐레 뒤에 숨을 거두었다. 사실 마지막 이틀은 그저 모르핀 주사로 고통만 가라앉히는 게 다였지만...[9]


1989년 영화 "멸망의 창조(Fat Man And Little Boy)[10]"에서 그려진 사고 장면. 사고 경위가 잘 나타나 있다. 여기서 슬로틴 역할을 맡은 배우는 존 쿠삭. 젊은 시절의 쿠삭의 모습과 슬로틴의 생전 모습이 많이 닮아 있다. 이 영화에서 배역 이름은 마이클 메리맨(Michael Merriman)으로 설정되어 있다.

3.1. 실험에 참여했던 다른 동료들

당시 이 실험에는 루이스 슬로틴 외에 라이머 에드거 슈라이버, 앨빈 쿠시먼 그레이브스, 스탠리 앨런 클라인, 매리언 에드워드 시에슬리키, 드와이트 스미스 영, 시어도어 펄먼과 패트릭 J. 클리어리 등이 참여하고 있었다.

이 사건에서 동료들의 피폭량은 각각 3.6시버트, 2.5시버트, 1.6시버트, 1.1시버트, 0.65시버트, 0.47시버트, 0.37시버트다. 위에 열거한 이름 순은 아니다.

대부분 회복했지만 그의 바로 뒤에 서 있었던 앨빈 C. 그레이브스[11]과 슬로틴을 마주보며 가까이 서 있었던 드와이트 영[12]은 급성 방사능 증후군을 보였고 그레이브스는 몇 주 동안 입원치료를 받아야만 했다. 그레이브스는 이 사고로 만성적인 신경질환과 시력문제를 얻게 되었고 이 사고로부터 20년 뒤 54세의 나이에 이 사고의 영향이 컸을 것이라고 추정되는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다소 씁쓸한 것은 그레이브스는 이 사고의 피해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낙진 피해에 대한 우려를 꾀병부리는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하는 등 방사능의 위험성을 간과하는 발언을 많이 남겼다는 점이다.

시에슬리키는 이 사고로부터 19년 뒤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42살에 사망했으며 영은 27년 뒤 재생불량성 빈혈과 세균성감염으로 83살에 사망했다.

로스 앨러모스 핵실험 사고가 그들의 직접적인 사인이 아니라고 보는 의견도 있으나 이 사고로 인해 건강이 나빠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3.2. 사후

이 사건은 처음에는 군 시설에서 일어난 일이라 기밀로 취급되었지만 그의 부모에게만은 사건 직후 아들의 예정된 죽음이 통보되어 임종을 함께했다. 얼마 안 가 세상에 알려졌으며 사람들은 그를 영웅으로 칭송하게 되었다.

아래는 Thomas P. Ashlock가 로스 앨러모스 타임즈에 기고한 시인데 제목은 "Slotin - A Tribute"이다.
May God receive you, great-souled scientist!
While you were with us, even strangers knew
The breadth and lofty stature of your mind
Twas only in the crucible of death
We saw at last your noble heart revealed.

신께서 그대를 받아주실 것이오. 위대한 혼을 지닌 과학자여!
그대가 우리와 함께 있을 때, 이방인들조차 알고 있었소
그대의 마음의 관용과 고결함을
죽음의 시련이 닥친 후에야
우리는 그대의 숭고함을 알게 되었소.

해리 K. 더그힐란 2세의 사고[13] 등 몇 차례의 사고에 이 사고가 결정타가 되어 미국은 이 사건을 마지막으로 방사능 관련 실험에 전면적으로 기계를 도입하게 되었다.

13년 뒤 이 로스 앨러모스에서 원자력 기술자로 일하던 세실 켈리가 불의의 원자력 사고로 공식적으로 가장 많은 120 시버트의 피폭을 당해 서른다섯 시간만에 사망했다.

이 사건 이후 그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는 원자력 사고를 다루는 소설이나 TV 드라마에 종종 나오게 되었다.

그를 주인공으로 하는 연극도 있다. "루이스 슬로틴 소나타"라는 작품으로, 사고부터 죽음까지의 아흐레를 다루고 있다. 한국에서는 보기 힘든 작품이지만 대본은 아마존닷컴 등에서 입수할 수 있으니 흥미가 있다면 읽어보자.

그를 죽음에 이르게 한 플루토늄은 "데몬 코어"라는 별명이 붙었고 오퍼레이션 크로스로드에서 세 번째 폭탄인 찰리에 탑재되었다가 찰리 실험이 취소되고 회수되어서 다른 코어 제작에 쓰이기 위해서 분해되고 결국 비키니 섬 핵실험의 첫 번째 핵무기인 Able에 사용되는 것으로 최후를 맞았다. 사실 일본이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로도 항복을 안 했다면 이 플루토늄 코어가 일본에 떨어졌을 것이라고 한다. 한참 제작 중이다가 일본이 항복하자 당장은 실전용으로 안 쓰고 실험용으로 돌려져서 실험에 쓰이다가 전술한 사고들(해리 K. 더그힐란 2세 피폭사고, 루이스 슬로틴 피폭사고)을 일으켰다.

2002년에 그의 이름을 딴 소행성이 생겼다. 1995년에 발견된 소행성이 12423 Slotin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 것이다.

더 자세한 정보는 영어 위키백과 루이스 슬로틴 항목에 가면 볼 수 있다.

4. 기타


Qxir라는 유튜버가 데몬 코어에 관한 설명하는 영상을 계기로 입소문을 타면서 밈이 된 적이 있는데 각종 캐릭터가 데몬 코어 실험을 하는 짤방을 트위터에 올린 걸 계기로 각종 밈짤이 나오기도 했다.

주로 위의 からめる의 영상처럼 광선이 발사되어서 다 소멸된다는 식으로 나오는데 이 부분은 만화라서 그런 것으로 피폭량이 상당한 것은 맞지만 몇 미터 밖의 사람도 데몬코어 광선에 한 번 노출되었다고 통째로 소멸되는 물건은 아니다. 아니면 데몬코어의 폭발로 주변인물들이 다른 모습으로 변하는 변형 요소도 있다.#


[1] 머그샷을 보면 그의 키가 5'6"(168cm)와 5'7"(170cm) 사이에 놓여 있다.[2] 전체적으로 확장하면 로스 앨러모스 핵 시설 직원으로서 1958년 12월 30일에 급작스런 사고로 상반신에 120시버트라는 현존 최다의 피폭을 당하고 서른다섯 시간 만에 사망한 세실 켈리가 있다.[3] 그 유명한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역시 여러 가지 안전 수칙과 안전 장치, 그리고 연구원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당시 물리학자이자 부소장인 아나톨리 댜틀로프가 독단적으로 실험을 강행하여 발생했다.[4] 이미 고인이 된 슬로틴을 생각해서였는지 이 사실은 오랫동안 일반인들에게 알려지지 않았으며 그동안 루이스 슬로틴에 대한 일반의 인식은 "과학의 발전을 위해 희생한 과학자" 정도로 좋은 편이었다. 그의 이야기를 그린 연극 작품이 있을 정도다. 그러나 이러한 행실이 드러나면서 그에 대한 호의적 시각은 거의 사라졌다.[5] 흔히 체렌코프 현상이라 불리는 푸른 빛을 쐬게 되면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었다. 따라서 슬로틴이 느낀 증상은 피폭 증상이다. 금속 맛과 작열감을 느끼는 증상은 10시버트 이상의 매우 높은 방사선에 피폭당했을 때 나타나기 때문에 슬로틴이 이 증상을 느꼈을 때부터 이미 죽은 거나 마찬가지였다.[6] 루이스 슬로틴이 손으로 직접 잡은 것은 플루토늄 합금이 아니라 베릴륨 반사재였다. 플루토늄 코어는 두 베릴륨 반구 안에 들어있기 때문이다. 애초에 반사재이기 때문에 덜 피폭되었으면 덜 피폭되었지, 손으로 반사재를 잡은 것이 피폭사의 원인은 아니다. 베릴륨 반구 위에는 엄지손가락을 넣고 움직이라고 작은 구멍까지 나있었다.[7] 잘 안 와닿은 사람들을 위해 이게 얼마나 많은 양인지 설명하자면 도카이 촌 방사능 누출사고에서 어마어마한 피폭을 당해 83일 동안 집중치료를 받다 끔찍한 몰골이 되고 극한의 고통에 시달리다 사망한 오우치 히사시(大内 久)가 입은 피폭량이 18시버트,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당시 수석 연구원으로서 폭발 이후 냉각수 밸브를 열어 냉각을 시켜야 한다는 판단으로 피폭을 무릅쓰고 장시간 작업하다가 돌이킬 수 없는 피폭을 당해 끔찍한 몰골이 되어 고통 속에 사망한 알렉산드르 아키모프(Alexander Akimov)의 피폭량이 15시버트다. 즉, 이들보다 각각 3, 6시버트 이상의 피폭을 당했다. 실제로 세실 켈리 등을 제외하면 슬로틴보다 더 많은 피폭을 당한 사람은 없다.[8] 1시버트는 1000밀리시버트이다.[9] 저런 수치의 피폭은 염색체와 유전자를 전부 부수는 수준이라 세포가 복구되지 못한다. 현대 의학 기술로도 살릴 방도 자체가 없음은 물론 미래에도 언제 치료법이 나올 지 기약도 없다. 그와 맞먹는 피폭을 당한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의 희생자인 알렉산드르 아키모프, 바실리 이그나텐코 & 이 사건이 발생한 후 의학기술이 조금 더 발전한 시기에 일어난 도카이 촌 방사능 누출사고의 오우치 히사시 등이 어떤 최후를 맞이했는지 보면 답이 나온다.[10] 미션, 킬링필드 감독으로 한때 유명했으나 2000년대 와서 잊힌 감독 롤랑 죠페 감독 영화. 주인공으로 폴 뉴먼이 실존인물 레슬리 그로브스를 맡았고 A특공대에서 머독을 맡은 드와이트 슐츠가 역시 실존인물 로버트 오펜하이머를 연기했다. 원제목을 봐도 알겠지만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에 쓰인 원폭인 팻맨과 리틀보이, 즉 이것을 만들고 쏘는 여러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1989년 당시 한국 영화월간지 로드쇼에선 "뚱보와 꼬마"라는 직역으로 제목표기해 신작으로 소개했다. 멸망의 창조는 CIC 비디오로 나온 제목이다.[11] 3.6시버트 피폭. 도카이 촌 방사능 누출사고에서 요코가와 유타카가 이 정도의 방사능에 피폭되었다.[12] 2.5시버트 피폭.[13] 이 사고에서도 루이스 슬로틴이 취급하다가 사고를 낸 바로 그 코어가 원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