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4 11:31:27

루이스 데 라 푸엔테

루이스 데라푸엔테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데 라 푸엔테 에스파냐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df1919><tablebgcolor=#df1919>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유럽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1868D6,#2878e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이반
요바노비치

파일: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로날드
쿠만

파일: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스톨레
솔바켄

파일: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브리안
리머

파일: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율리안
나겔스만

파일: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올로
니콜라토

파일:Latvia_national_team_logo.png
발레리
카르핀

파일: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미르체아
루체스쿠

파일: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제프
스트라서

파일:Luxembourg FLF.png
에드가라스
얀카우스카스

파일: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콘라트
퓐프슈튀크

파일: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미르코
부치니치

파일: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릴리안
포페스쿠

파일: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에밀리오
데레오

파일: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png
뤼디
가르시아

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카를로스
알로스

파일: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세르게이
바르바레즈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블라고야
밀레프스키

파일: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이클
오닐

파일: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알렉산다르
디미트로프

파일: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로베르토
체볼리

파일: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벨코
파우노비치

파일: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무라트
야킨

파일: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그레이엄
포터

파일: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스티브
클라크

파일: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루이스
데 라 푸엔테

파일: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프란체스코
칼초나

파일: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티아시
케크

파일: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르나르
군라우그손

파일:Iceland_national_football_team_logo.png
헤이미르
하들그림손

파일: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예기시
멜리키안

파일: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이칸
아바소프

(대행)
파일: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콜도
알바레즈

파일: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시우비뉴

파일: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위르겐

파일: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랄프
랑닉

파일: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세르히
레브로프

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크레이그
벨라미

파일: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란 벤
시몬

파일: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젠나로
가투소

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토마스
투헬

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윌리
사뇰

파일: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스콧
와이즈먼

파일:지브롤터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야로슬라프
쾨스틀

(대행)
파일: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탈가트
바이수피노프

(대행)
파일: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프랑코
포다

파일: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즐라트코
달리치

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소프로니스
아브구스티

파일: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빈첸조
몬텔라

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에우둔
클라크스타

파일: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로베르토
마르티네스

파일: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우르반

파일:폴란드 국장.svg
디디에
데샹

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원정).svg
야콥
프리스

파일: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르코
로시

파일: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카리브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루이스 데 라 푸엔테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펼치기 · 접기 ]
파일: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wiki style="margin: 0 -10px"
{{{#ffec4b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92년 ~ 현재
41대
클레멘테
파일:스페인 국기.svg

42대
카마초
파일:스페인 국기.svg

43대
사에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44대
아라고네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45대
델 보스케
파일:스페인 국기.svg
46대
로페테기
파일:스페인 국기.svg
47대
이에로
파일:스페인 국기.svg
48대
엔리케
(엔리케 에스파냐)
파일:스페인 국기.svg
49대
모레노
(엔리케 에스파냐)
파일:스페인 국기.svg
50대
엔리케
(엔리케 에스파냐)
파일:스페인 국기.svg
51대
데 라 푸엔테
(데라푸엔테 에스파냐)
파일:스페인 국기.svg
◀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초대~40대)
}}}}}}}}}}}}}}} ||
Selección de fútbol de España
파일:루이스_데라푸엔테(유로_우승).jpg
<colbgcolor=#E1002A><colcolor=#FFEC4B> 이름 루이스 데 라 푸엔테
Luis de la Fuente
본명 루이스 데 라 푸엔테 카스티요
Luis de la Fuente Castillo
출생 1961년 6월 21일 ([age(1961-06-21)]세)
스페인국 아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페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2cm / 체중 79kg
직업 축구 선수 (레프트백 / 은퇴)
축구 감독
경력 <colbgcolor=#E1002A><colcolor=#FFEC4B> 선수 빌바오 아틀레틱 (1978~1982)
아틀레틱 클루브 (1981~1987)
세비야 FC (1987~1991)
아틀레틱 클루브 (1991~1993)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1993~1994)
감독 클루브 포르투갈레테 (1999~2000)
CD 아우레라 (2000~2001)
빌바오 아틀레틱 (2006~2007)
빌바오 아틀레틱 (2009~2011)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2011)
스페인 U-19 대표팀 (2013~2018)
스페인 U-21 대표팀 (2018~2022)
스페인 U-23 대표팀 (2021)
스페인 대표팀 (2022~ )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전술 스타일
4.1. 비판
5. 기록
5.1. 선수
5.1.1. 대회 기록
5.2. 감독
5.2.1. 대회 기록5.2.2. 개인 수상
6. 여담7. 같이 보기

1. 개요

스페인축구 선수 출신 감독. 현재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직을 맡고 있다.

2. 선수 경력

빌바오 유스 클럽에서 뛰었고 리저브팀인 빌바오 아틀레틱에서 뛰다가 1982년 여름 1군팀 아틀레틱 클루브로 승격되었다. 1987년 세비야로 이적했다. 어린 시절 선수로 뛴 빌바오 아틀레틱에서 감독 경력도 보낸다. 현역 시절 레프트백이었고 한 시즌 데포르티보 알라베스에서 지낸 이후 33세의 나이로 은퇴한다.

3. 지도자 경력

2011년 6월 13일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감독으로 선임되었으나 4개월 만에 경질되었다.

2013년부터 스페인 19세 이하 대표팀을 맡아 2015 UEFA U-19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였으며, 2018년부터는 21세 이하 대표팀으로 영전하여 2019 UEFA U-21 챔피언십을 거머쥐었다.

2021년 개최된 2020 도쿄 올림픽 축구에서도 23세 이하 대표팀을 이끌고 결승까지 진출하였으나 브라질에 석패하여 은메달에 만족해야 했다.

3.1.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데 라 푸엔테 에스파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데 라 푸엔테 에스파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데 라 푸엔테 에스파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전술 스타일

기본적으로 4백을 기반으로 하며, 스페인 축구답게 점유율을 바탕에 둔 공격축구를 구사한다.

데 라 푸엔테의 가장 큰 업적은 티키타카의 흥망성쇠와 함께 전성기를 누린 후 영 힘을 쓰지 못하던 스페인을 본인들의 팀컬러를 살리면서도 빠른 템포, 압박, 창의성 등 현대 축구에 필요한 요소들을 적절히 배합해 스페인을 다시 세계 정상급 팀으로 탈바꿈시킨 것이다. 스페인이 메이저 대회 3연패의 전성기를 누린 이후, 높은 점유율을 바탕으로 경기를 주도했던 티키타카가 의미없이 볼만 돌리는 구식 전술로 퇴보하는 평가를 받는 동시에 스페인 대표팀의 메이저 대회 성적도 영 좋지 못했으나, 데 라 푸엔테 체제에서 스페인은 높은 점유율을 바탕으로 강력한 공격 축구를 시전하는 팀으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미드필더진의 압박과 창의적인 패스 길 창조, 윙어들의 높은 자유도와 파괴력을 주요 무기로 사용하며, 또한 동시에 로드리, 페드리, 파비안 루이스, 니코 윌리암스, 라민 야말 등 이 축구를 구현하기에 최적인 각 포지션에서 세계 정상급의 선수들이 스페인에 모인 점도 한몫 했다[1]

4.1. 비판

그러나 국내외 불문 상당한 비판을 받는 부문이 있으니, 바로 특정 선수를 부상 이슈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무리하게 갈아넣는다는 것, 물론 주축 선수에 의존하는 감독은 축구계에 차고 넘치긴 하지만, 데 라 푸엔테는 그 정도가 심한 편이고, 가장 큰 문제는 특히 스페인 대표팀의 어린 주축 선수들이 대표팀에서 갈려나간 탓에 향후 커리어에 치명적인 타격이 될 수 있는 장기 부상을 끊는 경우로 이어진다는 것. 실제로 FC 바르셀로나는 대표팀에서 무리하게 갈려나간 탓에 부상으로 가비라민 야말을 잃는 등 특히나 곤욕을 치른 바 있다.[2]

5. 기록

5.1. 선수

5.1.1. 대회 기록

5.2. 감독

5.2.1. 대회 기록

5.2.2. 개인 수상

6. 여담

  • 예순이 넘은 고령의 나이에도 근육질의 몸매를 가졌으며, 평소 웨이트 트레이닝을 꾸준히 하고 있다고 한다. 백문이 불여일견, 직접 감상해보자. 오히려 선수 시절 때보다 몸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 같이 보기

파일:UEFA 유로 2024 로고(가로형).svg
UEFA 유로 2024 참가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colbgcolor=#1DBB5F> A조 파일:UEFA EURO GER.png
율리안
나겔스만

파일:UEFA EURO SCO.png
스티브
클라크
파일:UEFA EURO HUN.png
마르코
로시

파일:UEFA EURO SUI.png
무라트
야킨

B조 파일:UEFA EURO ESP.png
루이스
데 라 푸엔테

파일:UEFA EURO CRO.png
즐라트코
달리치
파일:UEFA EURO ITA.png
루치아노
스팔레티
파일:UEFA EURO ALB.png
시우비뉴

C조 파일:UEFA EURO SVN.png
마티아시
케크
파일:UEFA EURO DEN.png
카스페르
히울만
파일:UEFA EURO SRB.png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파일:UEFA EURO ENG.png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D조 파일:UEFA EURO POL.png
미하우
프로비에시
파일:UEFA EURO NED.png
로날드
쿠만

파일:UEFA EURO AUT.png
랄프
랑닉

파일:UEFA EURO FRA.png
디디에
데샹

E조 파일:UEFA EURO BEL.png
도메니코
테데스코
파일:UEFA EURO SVK.png
프란체스코
칼초나
파일:UEFA EURO ROU.png
에두아르드
이오르더네스쿠
파일:UEFA EURO UKR.png
세르히
레브로프
F조 파일:UEFA EURO TUR.png
빈첸조
몬텔라
파일:UEFA EURO GEO.png
윌리
사뇰
파일:UEFA EURO POR.png
로베르토
마르티네스
파일:UEFA EURO CZE.png
이반
하셰크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6019641968197219761980
198419881992199620002004
20082012201620202024
}}}}}}}}}}}} ||




[1] 특히 미드필더진이 압도적이다. 발롱도르 위너 로드리, 바르셀로나의 본체라고 불리는 페드리, 스페인의 유로 우승과 PSG의 트레블의 핵심 멤버 중 하나인 파비안까지. 서브 멤버들도 마르틴 수비멘디, 미켈 메리노, 파블로 가비, 다니 올모, 알렉스 바에나 등 출중하다[2] 유로 2024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후에도 조지아와의 경기에서 가비를 혹사시켜 장기부상을 유발했기 때문에 정작 유로 2024 본선에선 가비가 출전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