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인공어|인공어 {{{#!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serif; display: inline"]]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5f5f5,#2d2f34> 공학 언어 | 로지반 · 링코스 · 이쓰쿠일 · 도기 보나 · 보아보무 |
| 국제 보조어 | 솔레솔 · 볼라퓌크 · 에스페란토 · 이도 · 인테르링구에 · 베이식 잉글리시 · 인테르링구아 · 인터슬라빅 · 코타바 · 노시로어 · 링구아 프랑카 노바 |
| 예술어 | 가밀라스어 · 그론기어 · 나비어 · 도트락어 · 린트어 · 마토란 언어 · 발리리아어 · 신어 · 에녹어 · 앵글리시 · 요정어(퀘냐 · 신다린) · 클링온어 · 상헬리어 · 킬리키어 · 칼라니어 · 우리어 |
| 로지반 la .lojban. lojban | ||
| 로지반 화자들의 위치[1] | ||
| <colcolor=#000,#fff><colbgcolor=#0000ff> 유형 | 고립어 | |
| 어순 | 주어-목적어-동사 (SOV) | |
| 서자방향 | 좌횡서 | |
| 문자 | 로마자 | |
| 점자 | 없음 | |
| 주요 사용 지역 | 없음[2] | |
| 원어민 | 알 수 없음[3] | |
| 계통 | 인공어 로지반 | |
| 언어 코드 | <colcolor=#fff> ISO 639-1 | - |
| ISO 639-2 | jbo | |
| ISO 639-3 | jbo | |
| 글로톨로그 | lojb1234 | |
1. 개요
| <nopad> |
| 공식 로지반 상징 로고 |
la namu,uiki. .i le selju'o tricu poi rodo ca'o kurji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커뮤니티에 의해 설계된 실험적 인공어. 사피어-워프 가설을 확인하는 학문적 용도로 만들어진 언어인 로글란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만들어진 언어다.
술어 논리를 사용해 체계적으로 논리를 쌓아 만든 언어이기 때문에 문법적으로 깔끔하고 간단하다. 문법적 성이라든지 단/복수, 시제 등 많은 자연어들이 가진 복잡한 규칙이 없다. 또한 모호한 표현이 없도록 만들어졌다. 다만 명사가 없고 어원이 특정 문화권에 치중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언어들과는 많이 다르다. 따라서 처음 배울 때 생소한 부분이 많을 것이다.
발음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도록 언어학자들이 고려했기 때문에 어렵지는 않다. 예를 들어 로지반의 r는 영어식으로 읽든, 프랑스어식으로 읽든, 스페인어식으로 읽든, 이탈리아어식으로 읽든 상관없다. 또한 음성학적으로 구분이 가능한 쉽도록 음소를 설정했기에 음성인식이 잘 될 것이다. 다만 모음 사이가 아닌 곳에 성문 파열음을 넣는 것(예: .lojban. [ʔloʒbanʔ])은 어려울 수 있다.
2. 예문
| 로지반 | 한국어 |
| coi | 안녕하세요 |
| coi rodo | 모두들 안녕하세요 |
| mi'e la ~ | 내 이름은 ~입니다 |
| co'o | 잘가요 |
| pe'u | 제발 |
| ki'e | 감사합니다 |
| go'i | 네 |
| nago'i | 아니오 |
| mi na jimpe | 이해가 안 돼요 |
| xu do se jbobau | 당신은 로지반을 할 수 있습니까 |
3. 들어보기
4. 여담
- xkcd에서 언급된 적도 있으며, "이상한 나라의 언어씨 이야기"라는 책에서도 간단히 다뤄진다.
- 문화적 중립성을 위해 남북한의 국호를 각자 수용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남한은 xanguk(한국), 북한은 tcosyn(조선)이라고 하고 있으며 로지반 위키에서는 각 항목명이 snanu zei .xanguk.(남한), berti zei .tcosyn.(북조선)으로 되어있다. 영어 Korea처럼 한반도의 두 정권을 통칭하는 단어가 없기 때문. 만일 "북한"이라는 뜻으로 표현하고 싶다면 berti zei .xanguk.이라고 하면 된다. 반대로 "남조선"은 snanu zei .tcosyn.이다.
- 로지반에서는 질문에 대한 대답 중 특이한 것으로 'na'i'(나히)라는 어휘가 있다. "당신의 물음은 언어적으로 미흡하게 구성되었거나, 잘못된 가정에 기반한 질문이므로 대답할 수 없다"라는 뜻이다. 이러한 사유는 선불교의 무(無)자 화두가 표현하는 바를 연상하게도 한다.
- 위키독스에 한국어 교재가 있다.#
5. 타 언어로 표기
| 로지반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 Lojban |
| 에스페란토 | Loĵbano |
| 러시아어 | Ложбан |
| 아랍어 | لوجبان |
| 중국어 | 邏輯語번체, 逻辑语간체 |
| 일본어 | ロジバン |
6. 관련 링크
[1] 물론 색칠된 나라의 국민의 대부분이 로지반을 유창하게 구사 하는 건 아니고 색칠된 국가들은 로지반 학습자의 존재가 확인된 국가들이다.[2] 화자가 전 세계에 흩어져 있다.[3] 수준급의 구사자는 약 10명 내외로 추정[4] 국내 유일의 로지반 온라인 커뮤니티다. 다만 글 리젠은 매우 적은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