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2:14:33

국제 수화

인공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212529,#e0e0e0> 공학 언어 수식 · 화학식 · 명제 논리 · 술어 논리 · 프로그래밍 언어 · 로지반 · 링코스 · 이쓰쿠일 · 도기 보나 · 보아보무
국제 보조어 솔레솔 · 볼라퓌크 · 에스페란토 · 이도 · 인테르​링구에 · 베이식 잉글리시 · 인테르링구아 · 국제 수화 · 코타바 · 노시로어 · 링구아 프랑카 노바
예술어/가공의 언어 에녹어 · 앵글리시 · 퀘냐 · 신다린 · 암흑어 · 클링온어 · 발리리아어 · 아브어 · 칼라니어 · 나비어 · 킬리키어
기타 모스 부호 }}}}}}}}}


1. 개요

국제 수화(International Sign)는 서로 다른 수어를 사용하는 청각 장애인 간의 정기적인 만남에 의해 발생한 수어의 피진이다.

2. 역사

수어는 나라마다 다르기 때문에 1924년 개최된 세계 농아 경기 대회 등의 각종 행사에서는 의사소통을 위해 간단한 소통 체계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었다.

청각 장애인 간의 국제적 교류가 늘어남에 따라 이후 1951년에 설립된 세계 농아인 연맹(World Federation of the Deaf, WFD)이 주최한 제1회 세계 농아인 회의(World Deaf Congress)에서 각국의 청각 장애인들과 소통을 위한 '국제 수화'의 정비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1973년 WFD 위원회에 의해 표준 수어 사전이 출판되었다. 학습의 용이를 위해 '자연스럽고 쉬운 기호'가 주로 선택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