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BPP 대학교 | 그리니치 대학교 | 런던 대학교 | 런던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 런던 사우스뱅크 대학교 | 런던 예술대학교 | 레이븐스번 대학교 |
로햄튼 대학교 | 리전츠 대학교 | 리치먼드 런던 미국 국제 대학교 | 미들섹스 대학교 | 법 대학교 | 브루넬 대학교 | 세인트 메리 대학교 | |
왕립예술대학 | 왕립음악대학 | 웨스트 런던 대학교 | 웨스트민스터 대학교 | 이스트 런던 대학교 |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 킹스턴 대학교 | |
※ 골다공증 유니버시티 칼리지, 길드홀 음악 연극 학교, 런던 필름 스쿨, 로즈 브루포드 대학, 왕립연극학교, 영국 건축협회 건축학교, 트리니티 라반 음악 및 춤 학교 등은 대학(University)이 아님 | |||||||
영국의 대학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 런던 컬리지 오브 패션 | 런던 컬리지 오브 커뮤니케이션 | |
캠버웰 컬리지 오브 아츠 | 첼시 컬리지 오브 아츠 | 윔블던 컬리지 오브 아츠 |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런던 예술대학교 | |||||
대학 정보 | |||||
<colbgcolor=#000000><colcolor=white> 모토 | <colbgcolor=#000000><colcolor=white> 라틴어 | Primus inter artifices | |||
영어 | First among artists | ||||
한국어 | 장인 중 최고 | ||||
역사 | 설립 | 1986년: 런던학원 2004년: 런던 예술대학교로 변경 | |||
개교 | 1986년 ([age(1986-01-01)]주년) | ||||
국가 |
| ||||
소재지 |
런던 | ||||
재단 | 규모 | 3억 8,010만 파운드 (2021/22) | |||
발전기금 | 6,200만 파운드 (2022) | ||||
총장 | 그레이슨 페리 경 CBE RA (Sir Grayson Perry) | ||||
부총장 | 제임스 퍼넬 (James Purnell) | ||||
재학생 | 총원 | 21,092명 (2022/23) | |||
학부 | 16,161명 (2022/23) | ||||
대학원 | 4,931명 (2022/23) | ||||
교직원 | 2,559명 (2017) | ||||
합격률 | 비공개[1] | ||||
언어별 명칭 | |||||
{{{#000,#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11px" | <colbgcolor=#000000><colcolor=white> 프랑스어 | <colbgcolor=white,#1f2023> Université des arts de Londres | |||
독일어 | Universität der Künste London | ||||
스페인어 | Universidad de las Artes de Londres | ||||
포르투갈어 | Universidade das Artes de Londres | ||||
이탈리아어 | Università delle Arti di Londra | ||||
아랍어 | جامعة لندن للفنون | ||||
일본어 | ロンドン芸術大学 | ||||
중국어 | 伦敦艺术大学 |
링크 | ||||
{{{#000000,#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000><colcolor=white> 웹사이트 | |||
소셜 미디어 | <colbgcolor=white,#1f2023> | |||
학생회 |
교표 | ||
|
1. 개요
<nopad> | ||
대학 소개 영상 |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opad> |
Primus inter artifices
장인 중 최고
런던 예술대학교(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약칭 UAL)는 영국 런던에 위치한 유럽 최대 규모의 종합 예술대학으로, 미술, 디자인, 패션, 공연 예술에 중점을 두고 있다.장인 중 최고
학부 중심 대학교(Collegiate University)의 형태로 총 6개의 칼리지와 1개의 연구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금 모금, 복지, 학위 수여 등에서 런던 예술대학교 단위로 관장하는 중앙화된 학료제 대학교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각 칼리지마다 교육 및 시설 운영 등은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완전히 일체화되어 있다기보다는 오히려 분할된 성격이 강하다.
왕립예술대학과 더불어 영국 최고의 미술 디자인 학교 중 하나로 꼽히며 QS 세계 대학 랭킹 미술 디자인 부문에서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명실상부 세계적인 명성을 가지고 있다.[2]
영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현대 미술상인 터너상 수상자의 절반 이상이 UAL 출신이며, 영국 디자이너 상 수상자의 3분의 2가 동문이다.
또한, 10명의 동문이 오스카상을 수상했으며, 30명 이상이 BAFTA 시상식에 이름을 올렸다.
1.1. 대학 로고
|
▲ 런던 예술대학교의 로고 |
2. 역사
런던 예술대학교의 역사는 1986년에 설립된 런던 인스티튜트에서 시작된다. 당시 런던 인스티튜트는 세인트 마틴 미술학교, 센트럴 미술 디자인 학교, 첼시 미술학교, 캠버웰 예술 공예 학교, 유통업 대학, 런던 인쇄 대학, 그리고 런던 컬리지 오브 패션, 이렇게 총 7개의 완전히 독립된 대학들이 소속된 느슨한 형태의 연합체였다.그러나 1988년 교육 개정 법안이 발효됨으로써 런던 인스티튜트는 독립적인 대학들로 구성된 연합체에서 행정 및 재정적으로 통합된 단일 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89년, 새로운 부총장[3]으로 존 매켄지가 취임했다. 이때부터 소속 대학들이 저마다 개편을 했는데, 세인트 마틴 미술학교와 센트럴 미술 디자인 학교는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고, 캠버웰 예술 공예 학교는 캠버웰 컬리지 오브 아츠로, 첼시 미술학교는 첼시 미술 디자인 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했으며, 이듬해 1990년에는 런던 인쇄 대학과 유통업 대학이 런던 컬리지 오브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1993년 런던 인스티튜트는 영국 추밀원으로부터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고, 1996년 존 매켄지의 뒤를 이어 윌리엄 스텁스 경이 부총장이 되었다. 2000년 데니스 스티븐슨 코든험 남작이 초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2001년 윌리엄 스텁스 경이 자리에서 물러나자, 마이클 비처드 경이 새 부총장으로 취임했고, 그는 첫 공식 업무로서 런던 인스티튜트가 대학 지위를 인가받도록 추진했다. 이로 인해 2003년 런던 인스티튜트는 추밀원으로부터 정식 대학 지위를 승인받았고, 2004년 학교명이 런던 예술대학교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2006년 윔블던 미술학교가 런던 예술대학교 소속의 여섯 번째 칼리지가 됨으로써 현재의 대학이 탄생했다.
3. 출신 인물
주요 동문[4] | |||||
알렉산더 맥퀸 | 폴 스미스 | 존 갈리아노 | 지미 추 | 스텔라 매카트니 | 킴 존스 |
[[알란 릭맨|]] | [[존 허트| | ||||
피어스 브로스넌 | 콜린 퍼스 | 톰 하디 | 레이프 파인스 | 알란 릭맨 | 존 허트 |
더글라스 스캇[5] | 해리 벡[6] | 제임스 다이슨[7] | 퀸틴 블레이크 | 샤데이 아두 | 자비스 코커 |
4. 칼리지 및 부속시설
4.1. 구성
4.2. 도서관
▲ 런던 예술대학교 도서관 소개 영상 |
<rowcolor=white> 칼리지 | 평일 사용 시간 | 주말 사용 시간 |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 월 9am~금 10pm 화~목 24시간 운영 | 토, 일 10am~8pm |
런던 컬리지 오브 패션 | 월~금 9am~10pm | 토, 일 10am~8pm |
런던 컬리지 오브 커뮤니케이션 | 월~금 9am~10pm | 토, 일 10am~8pm |
캠버웰 컬리지 오브 아츠 | 월~금 9am~10pm | 토 10am~8pm 일 휴무 |
첼시 컬리지 오브 아츠 | 월~금 9am~10pm | 토 10am~8pm 일 휴무 |
윔블던 컬리지 오브 아츠 | 월~금 9am~10pm | 토 10am~8pm 일 휴무 |
4.3. 콰이어트 스페이스
런던 예술대학교의 각 칼리지마다 설치되어 있는 학생 전용 공간으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공간 내부 분위기가 조용하고 차분하다. 학생들은 사람들로 북적이는 바깥으로부터 벗어나 이곳에서 건강 문제로 인한 휴식, 명상, 종교 의식으로서의 기도, 수유 등을 할 수 있다.<rowcolor=white> 칼리지 | 위치 |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 King's Cross 'Quiet Capsule' – first-floor middle bridge, between block E and J (Core Entrance 171) |
Main Building, Elthorne Road Quiet Space – The front of the Cafetorium | |
런던 컬리지 오브 패션 | Lime Grove – Room B016, located on the ground floor of B Block |
Mare Street – Ground Floor, access via Café Bar (A001A) | |
Curtain Road – Room G03a | |
Golden Lane – Main Building, Room 209 | |
High Holborn - Student Services Reception, 1st Floor Room 125 and Lower Ground Floor, near the open access (LG09) | |
John Princes Street - First Floor, through the Student Hub (1021) | |
런던 컬리지 오브 커뮤니케이션 | LCC Rest, Maternity and Health – Room W102 |
LCC Multi-faith Quiet Space – Room TG12 | |
캠버웰 컬리지 오브 아츠 | Camberwell Peckham Road – Room A102, first floor |
Camberwell Wilson Road – Room G23 | |
첼시 컬리지 오브 아츠 | CLG23 (Door Code: C2684X) |
윔블던 컬리지 오브 아츠 | Ground Floor, Room 14A opposite Room 25 |
4.4. 기숙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런던 예술대학교/기숙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런던 예술대학교/기숙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학사 제도
5.1. 학기
<rowcolor=white> 학기 | 학기 명칭(학기 시작 시기) |
1학기 | Autumn Term(9월 말) |
2학기 | Spring Term(1월 초) |
3학기 | Summer Term(4월 초) |
1년 3학기제이므로 1년에 약 6개월이 학기 기간이고 나머지 6개월 정도가 방학이다. 여름 방학이 3개월을 넘어 길기 때문에 학생들은 충분히 휴식을 취하거나 아르바이트 및 인턴 활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매 학기마다 약 11주라는 그리 길지 않은 기간 내에 상당히 많은 학업량이 요구된다. 그래서 1학기와 2학기 사이, 그리고 2학기와 3학기 사이에 약 3~4주간의 막간 방학이 있음에도 계속 학업 및 과제를 수행하는 학생들도 많다. 여름 방학도 공부해야 하는 기간이지만, 시기가 길기 때문에 휴식을 겸하는 데는 어려움이 적은 편이다.
모든 학사과정 학생들은 Autumn Term(9월 말)에 입학을 한다. 단, 석사과정 중에서 일부 전공은 그 특성과 방침에 따라 Spring Term(1월 초)에 입학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전공의 1년 과정은 1월에 시작해서 12월에 끝난다.
5.2. 학비
진학하고자 하는 칼리지에 학비를 납부한다. 학부 기준, 칼리지와 전공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동일하며 2024년에는 영국인은 1년에 9,250파운드[8], 유학생은 28,570파운드[9] 정도로 대한민국 대학에 비해서는 비싸지만, 다른 주요 영미권 대학과 비교하면 비슷하거나 약간 저렴한 편이다.학비는 대부분의 영미권 대학과 마찬가지로 영국인(Home Student)인지, 유학생(International Student)인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영국인 판단 조건은 다음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 영국 시민권 또는 영국 영주권 소유자 (예 : 영국 영주권이 있는 한국인)
- 대학에 입학하기 직전, 9월 1일 기준[10] 영국, 아일랜드, 영국 해외 영토 및 왕실령에서 3년 이상 살았을 것
5.2.1. 장학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런던 예술대학교/장학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런던 예술대학교/장학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2.2. 파운데이션
영국 중등교육과정과 다른 우리나라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영국과 국내의 학제 차이로 영국대학교 1학년으로 바로 지원이 불가능합니다.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12년제의 교육과정을 따르는 우리나라와 다르게 영국의 중등교육과정은 고등학교까지 13년제이기 때문에 영국 대학과정 진학을 위해서는 1년의 학제 차이를 보완해야 합니다.
대신 영국 학부과정은 3년으로, 대학 예비과정인 파운데이션(Foundation)을 포함해도 한국 혹은 미국보다 졸업이 늦어지지 않습니다.
6. 생활 및 문화
6.1. 학생회
▲ 런던 예술대학교 학생회 소개 영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