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13 20:21:02

랍테프해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바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제수로기구 S23 기준
[ 해도 펼치기 · 접기 ]
파일:S23_Ed3_Sheet_1_Small.jpg
파일:S23_Ed3_Sheet_2_Small.jpg
파일:S23_Ed3_Sheet_3_Small.jpg
<colbgcolor=#334455>태평양<colbgcolor=#eef,#002>남중국해 · 동인도제도(술루해 · 술라웨시해 · 몰루카해 · 토미니만 · 할마헤라해 · 세람해 · 반다해 · 아라푸라해 · 티모르해 · 플로레스해 · 보니만 · 발리해 · 마카사르 해협 · 자바해 · 사부해) · 동중국해 · 동해 · 말라카-싱카포르 해협(말라카 해협 · 싱가포르 해협) · 베링해 · 브리티시컬럼비아 연안 · 비스마르크해 · 산호해 · 세토내해 · 솔로몬해 · 알래스카만 · 오호츠크해 · 캘리포니아만 · 타이만 · 태즈먼해 · 태평양(동태평양 · 서태평양 · 남태평양 · 북태평양) · 필리핀해 · 황해(발해)
대서양기니만 · 대서양(남대서양 · 북대서양) · 라플라타 강 하류 · 마르마라해 · 멕시코만 · 발트해(보트니아만 · 핀란드만 · 리가만) · 북해 · 브리스틀 해협 · 비스케이만 · 세인트로렌스만 · 스카게라크 해협 · 스코틀랜드 연안 · 아일랜드해 · 영국 해협 · 지중해(지브롤터 해협 · 알보란해 · 발레아레스해 · 리구리아해 · 티레니아해 · 이오니아해 · 아드리아해 · 에게해) · 카리브해 · 켈트해 · 펀디만 · 흑해(아조프해)
인도양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 라카디브해 · 모잠비크 해협 · 배스 해협 · 버마해 · 벵골만 · 수에즈만 · 아덴만 · 아라비아해 · 아카바만 · 인도양 · 페르시아만 · 홍해
북극해그린란드해 · 노르웨이해 · 데이비스 해협 · 동시베리아해 · 라프테프해 · 래브라도해 · 링컨해 · 바렌츠해 · 배핀만 · 백해 · 보퍼트해 · 북극해 · 북서항로 · 축치해 · 카라해 · 허드슨만 · 허드슨 해협
남극해드레이크 해협
카스피해카라보가스골만}}}}}}}}}


1. 개요2. 지리적 특징3. 기후4. 해양 생태계5. 인간 활동

1. 개요

북극해의 일부로, 러시아 시베리아 북쪽 해안을 따라 위치한 바다이다. 서쪽으로는 세베르나야제믈랴 제도, 동쪽으로는 노보시비르스크 제도로 경계를 이루며, 면적은 약 672,000 km²에 달한다. 험난한 기후와 광활한 면적에도 불구하고, 랍테프해는 독특한 생태계와 지리적 중요성을 지닌 곳이다.

2. 지리적 특징

랍테프해는 얕은 대륙붕 위에 놓여 있으며, 평균 수심은 약 50m에 불과하다. 해안선은 복잡한 만과 삼각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레나 강, 야나 강, 하탕가 강 등 여러 주요 강들이 흘러들어 담수의 유입이 활발하다. 겨울철에는 대부분의 해역이 두꺼운 얼음으로 뒤덮이며, 여름철에도 해빙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해저 지형은 비교적 평탄하며, 퇴적물이 풍부하게 쌓여 있다.

3. 기후

랍테프해는 극지방의 혹독한 기후를 나타낸다. 겨울철에는 평균 기온이 -30℃ 이하로 떨어지며, 강한 북극풍과 눈보라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여름철은 짧고 서늘하며, 평균 기온은 0℃에서 10℃ 사이이다. 연중 대부분의 기간 동안 해빙으로 덮여 있으며, 해빙은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최근 몇 년 동안 랍테프해의 해빙 면적이 감소하는 추세가 관찰되고 있다.

4. 해양 생태계

랍테프해는 독특하고 다양한 해양 생태계를 지닌다. 플랑크톤, 갑각류, 어류, 해양 포유류 등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며, 특히 북극곰, 바다코끼리, 물범 등은 랍테프해를 대표하는 동물들이다. 랍테프해의 해양 생태계는 기후 변화와 인간 활동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생물 다양성 감소와 생태계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다.

5. 인간 활동

랍테프해는 역사적으로 러시아의 북극 탐험과 개발의 중요한 거점이었다. 17세기부터 러시아의 탐험가들이 랍테프해를 탐험했으며, 20세기에는 북극항로의 일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최근에는 랍테프해의 풍부한 천연자원, 특히 석유와 천연가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랍테프해의 개발은 환경 파괴와 생태계 교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