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구광역시 북구와 동구의 도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북로(대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북로(대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경상남도 김해시의 도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북로(김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북로(김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조선 시대의 주요 간선도로 중 하나
↖의주로 (관서대로·연행로) | 경흥로↗ (관북대로·동북로) | ||||||||||
←강화로 (강화대로) | 평해로→ (관동대로) | ||||||||||
↙수원로 | 봉화로↘ | ||||||||||
↙충청수영로 | ↓제주로 (삼남대로) | 통영로 ↘ | 동래로↘ (영남대로) | ||||||||
한양과 경흥를 잇는 길이며 정식명칭은 경흥로 또는 경흥대로이며 동북로는 별칭이다. 그외 관북대로, 동북대로, 동북경흥대로, 통북대로(通北大路), 북관대로(北關大路) 등의 이름도 있다.※ 신경준 『도로고』에 따른 명칭은 경성동북저경흥로제이(京城東北抵慶興路第二). 한성-흥인지문[1]-수유리-누원-축석령-송우점-파발막-만세교-양문역-김화-금성-창도역-회양-철령-고산역-안변-함흥-북청-길주-명천-회령-온성-경원-경흥-서수라를 지나며, 『여지고(輿地考)』에 따른 총 거리는 2,429리이다. 물론 대표적인 통로 지형인 추가령 구조곡을 거친다.[A] 물론 위의 1번, 2번 항목은 1도 상관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