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2 19:08:43

동북로


1. 대구광역시 북구동구의 도로2. 경상남도 김해시의 도로3. 조선 시대의 주요 간선도로 중 하나
3.1. 중요성3.2. 현재의 활용3.3. 재발굴

1. 대구광역시 북구동구의 도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북로(대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북로(대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북로(대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경상남도 김해시의 도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북로(김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북로(김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북로(김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조선 시대의 주요 간선도로 중 하나

↖의주로
(관서대로·연행로)
경흥로↗
(관북대로·동북로)
←강화로
(강화대로)
평해로→
(관동대로)
↙수원로
봉화로↘
↙충청수영로
↓제주로
(삼남대로)
통영로
동래로↘
(영남대로)


한양경흥를 잇는 길이며 정식명칭은 경흥로 또는 경흥대로이며 동북로는 별칭이다. 그외 관북대로, 동북대로, 동북경흥대로, 통북대로(通北大路), 북관대로(北關大路) 등의 이름도 있다. 신경준도로고』에 따른 명칭은 경성동북저경흥로제이(京城東北抵慶興路第二). 한성-흥인지문[1]-수유리-누원-축석령-송우점-파발막-만세교-양문역-김화-금성-창도역-회양-철령-고산역-안변-함흥-북청-길주-명천-회령-온성-경원-경흥-서수라를 지나며, 『여지고(輿地考)』에 따른 총 거리는 2,429리이다. 물론 대표적인 통로 지형인 추가령 구조곡을 거친다.[A] 물론 위의 1번, 2번 항목은 1도 상관없다.

3.1. 중요성

동해안의 덕원에서 얻은 해산물, 수산물이 따라 한양까지 이동했다. 언급한 누원에 누원점(樓院店)이라는 상점이 있었는데, 이곳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상인들은 동북지방에서 오는 수산물매점매석하여, 어물전에 넘기지 않고 직접 행상인에게 판매해 많은 이익을 남겼다. 또, 함경도 지사에 해당하는 함경감사는 함경도를 순회할 때에 함경도가 워낙 험준해서 이곳 외에는 쓰지 못하고 거의 그대로 따라갔다고 한다. [A]

3.2. 현재의 활용

현재 남한 한정 호국로(43번 국도의 일부), 세종포천고속도로 일부가 비슷한 루트를 탄다. 철도는 휴전선 이북의 경원선, 함경선(북한 기준 강원선, 평라선, 함북선)이 지형 때문에 거의 비슷하게 따르고, 남한 구간 경원선은 안 따르는 대신 공사중인 서울 지하철 7호선/연장 일부구간(도봉산포천선)가 지날 예정이다.

3.3. 재발굴

둘레길 중 경기옛길 경흥길이 이를 따른다. 문서 참조.
[1] 문서에 경흥로 출발지라 한다.[A]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