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22:57:06

대상제


[[일본 황실|
파일:일본 황실 금색.svg
일본 황실
관련 문서 · 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CA600,#8C003B><colcolor=#FFF> 신위 천황 (역대 천황 · · 계보) · 황후 () · 황태후 · 태황태후 · 상황 () · 상황후 · 섭정 () · 황사 [황태자 · 황태손] · 황사비 \황태자비 · 황태손비] · 친왕 · 친왕비 · 내친왕 · · 왕비 · 여왕
칭호 어칭호 · 미야고(궁호)
분가 미야케(궁가) () · 구황족 ( · 가계도 · 계보 上 · · ) · 세습친왕가 ()
가계도 천황 계보 · 황실 가계도 · 구황족 계보 \ · · ] · 구황족 가계도 · 내정 가계도 · 아키시노노미야 가계도 · 미카사노미야 가계도 · 다카마도노미야 가계도 · 지묘인통과 다이카쿠지통
상징 십육엽팔중표국 · 니시키노미하타
거주 일본의 어소 () \[황거 · 교토 어소] · 일본의 이궁 ()
능묘 모즈·후루이치 고분군 · 쓰키노와능 · 후카쿠사 북릉 · 후시미모모야마능 · 무사시 능묘지
신화 신대 (역대 신 틀) \[아마테라스 · 지신오대 · 히무카 삼대] · 아라히토가미 · 이세 신궁 · 천양무궁의 신칙
의식 · 행사 즉위의 예 · 대상제 · 가가쿠 · 일반참하 · 황기 2600년 봉축곡
보물 삼종신기 () · 정창원
축일 기원절 · 천황탄생일
기년법 연호 () · 황기
제도 황실전범 \구 황실전범] · 황적이탈 ()
조직 궁내청 (역대 장관 틀) · 내대신부 (역대 내대신 틀) · 추밀원 (역대 의장 틀) · 황궁경찰본부 \[황궁호위관] · 황실회의 (의원 틀)
역사 결사팔대 · 남북조정윤론 · 다이카쿠지통 (계보) · 만세일계 · 북조 천황 () · 인세이 · 지묘인통 (계보) · 추존 천황 ()
교육 가쿠슈인 \[가쿠슈인대학]
문제 여성 천황 · 후계자 대책 }}}}}}}}}}}}



1. 개요2. 신상제

1. 개요

대상제([ruby(大嘗祭, ruby=だいじょうさい)])는 천황이 새로 즉위한 뒤 처음 거행하는 신상제(新嘗祭)를 일컫는다. 대상제나 신상제나 요약하면 햇곡식을 신들에게 바치고, 자신도 그것을 먹는 의식이다.

따라서 대상제는 즉위하는 해에 한 번만 할 수 있다. 가장 최근의 대상제는 나루히토가 즉위한 해인 2019년 11월 14~15일에 열렸다.

절차는 대략 다음과 같다.
대상제는 추수감사의 일종으로, 새 천황이 조상신 아마테라스와 함께 일본 각지의 곡식을 먹는다는 의미이다. 대상제를 치러야만 새 천황이 천황으로서 '종교적(신성한) 권위'를 획득하기 때문에 국가적·종교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일본 황실에서 국비로 치르는 가장 중요한 행사로 꼽는다. 대상제는 일본의 중요한 국가제사로 규정되어 일본 정부가 관련예산을 국고로 전액 (무상)지원한다. 이에 일본 좌파 일각에서는 이를 제정분리 원칙 위배라고 항의하기도 한다.

2. 신상제

新嘗祭

매년 11월 23일에 거행한다.[2] 의미는 대상제와 비슷하다. 다만 대상제가 열리는 해에는 신상제는 거행하지 않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두번째 묘일(卯日). 원래 음력 11월에 거행했으나,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이후로는 양력으로 바꾸었다.[2] 이날은 일본에서 '근로감사의 날(勤労感謝の日)'이라는 공휴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