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24 07:22:39

남구 제6선거구(울산)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제8대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3px"
중 1 중 2 중 3 중 4 남 1
권태호 김기환 이성룡 김종섭 안수일
남 2 남 3 남 4 남 5 남 6
이장걸 안대룡 방인섭 김동칠 이영해
동 1 동 2 동 3 북 1 북 2
김수종 홍유준 강대길 손근호 문석주
북 3 울주 1 울주 2 울주 3 비례
백현조 공진혁 홍성우 김종훈 천미경
비례 비례
권순용 손명희
* 북 1 정치락 사퇴 (2024.1.10.)
}}}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의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8c95><tablebgcolor=#008c95>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남구 제6선거구
대현동, 선암동
南區 第六選擧區
Nam District 6
}}}
파일:남구_제6선거구(울산)8.png
<colbgcolor=#008c95><colcolor=#ffffff> 선거인 수 36,336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 울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남구 일부
대현동, 선암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영해 (재선)


[clearfix]

1. 개요

울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울산광역시 남구의 동부에 위치한 대현동과 선암동 일대를 관할한다. 윗 지역구와 마찬가지로 공단 지역때문에 관할 구역이 굉장히 커 보인다.

석유화학 산업단지의 영향력이 강한데다 대현동의 재개발이 합쳐지며 남구 안에서 가장 보수성향이 약한 지역이다. 그리고 그 점이 맞물려 진보정당의 지지율도 남구에서 가장 강한 편이다. 하지만 전체적인 정당 지지율은 두 동 모두 대체로 국민의힘이 1등을 달리는 편이다. 그런고로 자유한국당이 처참히 박살난 7회 지선을 제외하면 모두 보수 성향 후보의 승리였다.

2. 역대 선거 결과[1]

대수 당선자 당적 임기 비고
남구 제4선거구
제2대 심규화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2]
제3대 2002년 7월 1일 ~ 2004년 2월 14일[3] [4][5]
박부환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4년 6월 6일 ~ 2006년 6월 30일
제4대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남구 제6선거구
제5대 김종무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0년 7월 1일 ~ 2014년 3월 26일[6] [7][8]
제6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7대 장윤호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제8대 이영해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구 제4선거구
야음1동, 야음2동, 선암동, 개운동, 장생포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심규화(沈揆華) 11,354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4.45% 당선
3 조현수(趙顯洙) 4,714 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8.45% 낙선
4 박영분(朴英分) 4,678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8.31% 낙선
5 장명수(張明洙) 4,797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8.78% 낙선
선거인 수 46,919 투표율
55.93%
투표 수 26,244
무효표 수 701

2.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구 제4선거구
야음1장생포동, 야음2동, 선암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심규화(沈揆華) 16,035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8.47% 당선
3 김만현(金萬賢) 7,382 2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31.52% 낙선
선거인 수 50,464 투표율
47.58%
투표 수 24,011
무효표 수 594

2.3.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구 제4선거구
야음1장생포동, 야음2동, 선암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동해(李東海) 4,809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18.72% 낙선
2 박부환(朴富煥) 15,556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0.56% 당선
4 박수일(朴受一) 4,703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18.31% 낙선
6 엄균용(嚴均鎔) 617 4위

파일:희망사회당 흰색 로고타입.svg
2.40% 낙선
선거인 수 52,453 투표율
49.57%
투표 수 26,003
무효표 수 318

2.4.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구 제6선거구
대현동, 선암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종무(金鍾武) 8,091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39.29% 당선
5 박수일(朴受一) 6,408 2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31.11% 낙선
7 허원현(許元現) 6,094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9.59% 낙선
선거인 수 37,356 투표율
56.00%
투표 수 20,922
무효표 수 329

2.5.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구 제6선거구
대현동, 선암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종무(金鍾武) 11,058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3.67% 당선
4 유진기(柳鎭基) 3,558 3위


파일:노동당(대한민국) 흰색 로고타입.svg
17.27% 낙선
5 이상기(李相起) 5,98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9.05% 낙선
선거인 수 37,316 투표율
56.87%
투표 수 21,222
무효표 수 620

2.6.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구 제6선거구
대현동, 선암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장윤호(張倫豪) 10,213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4.36% 당선
2 이상기(李相起) 9,399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0.82% 낙선
6 김만현(金萬賢) 3,408 3위


[[민중당(2017년)|
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14.80% 낙선
선거인 수 35,983 투표율
66.13%
투표 수 23,797
무효표 수 777

2.7.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구 제6선거구
대현동, 선암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성욱(崔盛旭) 6,854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7.66% 낙선
2 이영해(李英海) 11,343 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2.33% 당선
선거인 수 36,336 투표율
50.73%
투표 수 18,435
무효표 수 238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장윤호 시의원이 남구청장 선거를 준비 중이라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 [9] 최성욱 전 남구 을 지역위원회 사무국장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국민의힘에서는 민선5기 당시 비례대표를 지낸 이영해 전 시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이영해 후보가 후보가 넉넉한 격차로 8년 만에 시의회에 복귀했다. 동별로 보면 대현동에서 61.5% : 38.5%로 상대적으로 격차가 적었으며, 선암동에서 65.6% : 34.4%로 30%p 이상으로 벌려지면서 격차가 커졌다.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8.4% : 41.2%로 관내투표에 비해 최성욱 후보가 선전하였으나 결국은 37% 후반대를 얻는 데 그쳤다.

[1]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2] 야음1동, 야음2동, 선암동, 개운동, 장생포동[3] 17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직.[4] 야음1장생포동, 야음2동, 선암동[5] 1998년 10월 17일에 개운동과 장생포동에 속했던 용잠동이 선암동에 통합되었으며, 그 나머지 장생포동 나머지 부분과 야음1동는 야음1장생포동으로 통합되었다.[6] 6회 지선 남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7] 대현동, 선암동[8] 2007년 2월 26일에 야음2동이 대현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9] 막상 이미영 시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아 경선 기회조차 못 얻었고, 그 이미영 후보도 본선에서 두배 가까운 격차로 서동욱 구청장에게 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