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기주택도시공사 | 경기관광공사 | 경기평택항만공사 | 경기교통공사 | 가평군시설관리공단 |
군포도시공사 | 구리도시공사 | 구리농수산물공사 | 과천도시공사 | 광명도시공사 | |
광주도시관리공사 | 김포도시관리공사 | 고양도시관리공사 | 남양주도시공사 | 동두천시시설관리공단 | |
부천도시공사 | 성남도시개발공사 | 수원도시공사 | 시흥도시공사 | 이천시시설관리공단 | |
양주도시공사 | 안성시시설관리공단 | 오산시시설관리공단 | 의왕도시공사 | 의정부도시공사 | |
양평공사 | 연천군시설관리공단 | 여주도시공사 | 용인도시공사 | 안산도시공사 | |
안양도시공사 | 평택도시공사 | 파주도시관광공사 | 포천도시공사 | 화성도시공사 | |
하남도시공사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9e803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지방자치 | | |
|
<colcolor=#fff> 김포도시관리공사 金浦都市管理公社 Gimpo Urban Management Corporation | |
| |
<colbgcolor=#1e4fa2> 설립일 | 2020년 9월 28일 |
설립목적 | 김포시의 발전과 주민의 복리증진에 기여 김포도시관리공사 설립 및 운영 조례 |
업종 | 기타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 |
전신 | 김포시시설관리공단 (2001년 9월 29일~2011년 3월 3일) |
김포도시개발공사 (2007년 2월 21일~2011년 3월 3일) | |
김포도시공사 (2011년 3월 4일~2020년 8월 31일) | |
김포시시설관리공단 (2017년 6월 1일~2020년 8월 31일) | |
대표자 | 이형록 |
주무부처 | 김포시청 |
주요 주주 | 김포시: 100% (2024년 12월 31일 기준) |
기업구분 | 지방공기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직원 수 | 513명(2024년 12월 31일 기준)[1] |
자본금 | 1,682억 9,237만 8,750원(2023년 기준) |
매출액 | 864억 2,042만 3,110원(2023년 기준) |
영업이익 | 21억 6,195만 2,113원(2023년 기준) |
순이익 | 27억 2,441만 775원(2023년 기준) |
자산총액 | 1,879억 8,301만 3,379원(2023년 기준) |
부채총액 | 168억 109만 511원(2023년 기준) |
부채비율 | 9.81%(2023년 기준) |
미션 | 시민과 함께 김포의 미래로 通하는 공사 |
비전 | 김포의 미래를 설계하는 시민행복 혁신공기업 |
소재지 | 경기도 김포시 유현로 233, 2층 (풍무동, 풍무역파크트루엘) |
홈페이지 | |
SNS | |
전화번호 | 031-980-8500 |
1. 개요
김포도시관리공사 설립 및 운영 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지방공기업법」 제49조의 규정에 의하여 설립된 김포도시관리공사의 설립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법인격) 김포도시관리공사(이하 “공사”라 한다)는 김포도시공사가 김포시시설관리공단을 합병하여 설립된 법인으로 한다. |
본사는 경기도 김포시 유현로 233(지번 풍무동 888) 풍무역파크트루엘 2층에 있다.
2. 연혁
- 2001년 9월 29일: 김포시시설관리공단 설립
- 2007년 2월 21일: 김포도시개발공사 설립
- 2011년 3월 4일: 김포도시공사 설립
- 2017년 6월 1일: 김포시시설관리공단 분리
- 2020년 9월 28일: 김포도시관리공사 설립
3. 역대 임원
3.1. 김포시시설관리공단 이사장
- 초대 이규수 (2001~2004)
- 2대 강경구 (2004~2006)
- 3대 홍덕호 (2006~2008)
- 4대 신명철 (2009~2011)
3.2. 김포도시개발공사 사장
- 초대 김종영 (2007~2011)
3.3. 김포도시공사 사장
- 초대 이강인 (2011~2012)
- 2대 정옥균 (2013~2015)
- 3대 박상환 (2015~2017)
- 4대 원광섭 (2017~2019)
3.4. 김포시시설관리공단 이사장
- 초대 조성범 (2017~2018)
- 2대 차동국 (2019~2020)
3.5. 김포도시관리공사 사장
4. 사업
김포도시관리공사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사업을 할 수 있다(김포도시관리공사 설립 및 운영 조례 제10조).- 토지개발 등을 위한 토지의 취득ㆍ비축ㆍ개발 및 공급ㆍ임대관리
- 주택 및 일반건축물의 건설ㆍ개량ㆍ공급ㆍ임대 및 관리
- 관광지ㆍ리조트 등 위락단지, 산업단지 조성 및 관리
- 도로ㆍ도시철도 등 교통관련시설의 건설 및 유지관리
- 건설자재의 생산 및 공급
- 체육시설의 조성 및 관리
- 김포시가 설치한 각종시설 및 시설물 위탁관리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대행 또는 위탁한 업무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출자된 자산의 임대 및 관리
- 김포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대행한 사업의 추진 및 관리
- 제1호부터 제6호까지의 업무에 부수되는 설계용역 및 감리 등의 업무
- 그 밖의 지방공기업법 제2조와 관련되는 공공성과 수익성이 있는 경영수익사업
4.1. 도시개발
- 감정4지구 도시개발사업
- 김포전호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조성사업
- 걸포4지구 도시개발사업
- 김포고촌지구 복합개발사업
- 풍무역세권개발사업
4.1.1. 완료사업
4.2. 산업단지개발
4.2.1. 완료사업
4.3. 주택사업
4.3.1. 완료사업
- 김포한강신도시 Ac-07aBL (삼호 e편한세상)
- 신곡7지구 도시개발사업 공동주택 (한양 수자인)
- 김포한강신도시 Ab-05BL (계룡 리슈빌)
- 김포한강신도시 Ac-11BL (대림 e편한세상)
- 김포한강신도시 Ab-14BL (쌍용 예가)
4.4. 건축사업
4.4.1. 완료사업
- 풍무역 파크 트루엘 신축사업
- 고촌 노을주차장 신축사업
- 고촌문화복지센터
- 성동1리 메주간장 마을가공시설
- 위치: 김포시 월곶면 성동2리 241, 245
- 대지면적: 982㎡
- 사업기간: 2016년
- 고촌읍 임시청사
- 성동2리 소득기반시설
- 아트홀 건립공사
- 외국인 주민지원센터
- 양곡도서관
- 대곶면 주민자치센터
- 장애인복지관 건립공사 (설계)
- 하성면 복지문화센터
- 청소년수련관
- 종합사회복지관
4.5. 토목사업
4.5.1. 완료사업
- 김포시 추모공원 진입로 개설공사
- 김포시 생태탐방로 조성사업(1단계)
- 신곡 토지구획 정리사업
- 김포학운(2)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
4.6. 체육사업
- 김포종합운동장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돌문로15번길 20
- 부지면적: 32,573㎡
- 풍무국민체육센터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양도로56번길 101
- 연면적: 4,294.94㎡
- 걸포다목적체육시설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걸포1로 60-42
- 연면적: 2,019.57㎡
- 김포생활체육관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8로 198-3
- 연면적: 9,998.7㎡
- 통진문화회관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통진읍 김포대로 2110-30
- 연면적: 3,459.74㎡
- 농어민문화체육센터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통진읍 율마로384번길 17
- 부지면적: 8,900㎡
- 김포한강스포츠센터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4로 419-37
- 연면적: 5,479.06㎡
- 노을체육관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고촌읍 신곡로3번길 34-15
- 연면적: 1,854.34㎡
- 마산다목적구장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마산동 618-5 (청라에너지건물 뒤)
- 구래다목적구장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구래동 6875-8
- 고촌도담수영장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고촌읍 신곡로 106 (고촌중학교 내 도담관 지하1층)
- 연면적: 1,071.31㎡
- 양곡문화체육센터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양촌읍 양곡2로30번길 30
- 연면적: 4,271.89㎡
- 양곡족구장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양촌읍 양곡리 488-2
4.7. 공원사업
- 태산패밀리파크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하성면 하성로 585
- 부지면적: 88,136㎡
- 문수산산림욕장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월곶면 문수산로 102-38
- 하동천생태탐방로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양촌면 누산리 1065-1번지 일대(하동천)
- 면적: 97,686㎡
- 김포함상공원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대곶면 대명항1로 110-36
- 대지면적: 11,821㎡
- 대명항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대곶면 대명항1로 109 일원
- 연면적: 4,667.77㎡
- 덕포진사적지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대곶면 덕포진로103번길 130
- 면적: 48,794㎡
- 금빛수로 수상레저시설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2로 42, 김포시 장기동 2001-1
- 연면적: 293.02㎡
4.8. 교통사업
- 공영 주차장 관리·운영
- 고촌
- 위치: 김포시 은행영사정로 10
- 총 58면
- 고촌23
- 위치: 김포시 고촌읍 신곡리 1066번지
- 총 16면
- 고촌노을
- 위치: 김포시 은행영사정로23번길 52-5
- 총 165면
- 고촌보름
- 위치: 김포시 고촌읍 신곡리 1273
- 총 108면
- 고촌신곡
- 위치: 김포시 고송로 7
- 총 9면
- 구래1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9로75번길 143
- 총 45면
- 구래상업지역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9로 85
- 총 105면
- 김포2
- 위치: 김포시 북변중로 18
- 총 39면
- 마산1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8로194번길 64
- 총 54면
- 마산2
- 위치: 김포시 영터길 63
- 총 32면
- 북변공영
- 위치: 김포시 김포대로 955
- 총 157면
- 북변자주
- 위치: 김포시 봉화로182번길 18
- 총 70면
- 사우2
- 위치: 김포시 돌문로 16
- 총 94면
- 사우노외1
- 위치: 김포시 돌문로86번길 11-2
- 총 57면
- 사우노외2
- 위치: 김포시 돌문로62번길 49
- 총 38면
- 사우노외3
- 위치: 김포시 돌문로86번길 12-20
- 총 32면
- 사우노외4
- 위치: 김포시 돌문로 50-5
- 총 23면
- 사우노외5
- 위치: 김포시 돌문로 50-18
- 총 20면
- 사우노외7
- 위치: 김포시 사우중로74번길 19
- 총 19면
- 사우노외8
- 위치: 김포시 사우중로73번길 46
- 총 21면
- 사우자주
- 위치: 김포시 돌문로 32
- 총 163면
- 사우중앙
- 위치: 김포시 사우중로 96
- 총 177면
- 양곡1
- 위치: 김포시 양곡1로68번길 35
- 총 44면
- 양곡근린공원
- 위치: 김포시 양곡2로30번길 46
- 총 35면
- 운양역환승센터A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1로 242 A동
- 총 424면
- 운양역환승센터B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1로 242 B동
- 총 424면
- 장기1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1로 77-15
- 총 76면
- 장기2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1로 77-9
- 총 50면
- 장기3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1로78번길 61-5
- 총 82면
- 장기5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2로23번길 76
- 총 104면
- 장기6
- 위치: 김포시 태장로 820-8
- 총 54면
- 장기7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3로 293
- 총 309면
- 통진
- 위치: 김포시 서암로 98
- 총 196면
- 풍무2지구
- 위치: 김포시 풍무동 933번지
- 총 42면
- 학운1
- 위치: 김포시 학운산단3로25번길 5
- 총 91면
- 한강중앙공원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2로 42
- 총 205면
- 버스승차대기소 관리·운영
- 총 1,112개소
- 월곶공영차고지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로 2600
- 대지면적: 35,808.5㎡
- 총 155면
- 운양지하차도 관리·운영
- 관리동 위치: 김포시 생태공원길 7
- 면적: 731㎡
- 장기지하차도 관리·운영
- 관리동 위치: 김포시 김포대로 1284
- 면적: 510㎡
4.9. 환경사업
- 김포한강신도시 자원화센터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4로 419-37
- 대지면적: 24,250㎡
- 김포시재활용수집소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금포로 1119
- 대지면적: 9,338㎡
- 종량제 봉투 판매
- 위치: 김포시 감암로 123
- 지정판매소 약 1,186개소
4.10. 복지사업
- 김포시민회관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사우중로 26
- 부지면적: 14,525㎡
- 사우문화체육광장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사우동 261
- 무지개 뜨는 언덕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4로 419-39
- 연면적: 2,911㎡
- 김포시 추모공원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통진읍 애기봉로571번길 165
- 연면적: 32,357㎡
- 김포시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관리·운영
- 위치: 김포시 김포한강1로 242, 운양역환승센터 공영주차장 A동 5층
- 특별교통수단: 기아 카니발 40대(슬로프 차량)
- 대체수단: 임차택시 3대, 교통약자전용차량 3대
5. 노동조합 현황
2024년 12월 기준- 김포도시관리공사노동조합(제1노조): 전국지방공기업노동조합연맹 소속, 교섭대표노조.
- 김포도시관리공사한울타리노동조합(제2노조): 한국노총 전국공공노동조합연맹 소속.
- 김포도시공사노동조합(제3노조): 한국노총 전국공공노동조합연맹 소속.
6. 여담
2021년 정하영 당시 김포시장이 도시철도 직영을 추진하면서 2024년 9월 서울교통공사의 위탁운영이 종료되는 김포 골드라인의 차기 운영사로 검토된 적이 있다. 도시철도를 감당할 정도의 규모 있는 김포시 산하 지방공기업은 도시관리공사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진접선의 역무를 맡은 남양주도시공사의 선례도 있다.2022년 연구용역 결과 별도의 공단을 설립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결론이 나오면서 도시관리공사 운영안이 엎어지고 김포도시철도공단 설립이 확정된 듯 보였으나(#), 2023년 4월 경기도에 보낸 의견청취 공문에 김포도시관리공사에 도시철도 운영을 맡기는 방안이 2안으로 적시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