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회의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2대 의회 | ||
김진용 → 박명준 | 박명준 → 홍순우 | 한상기 | |||
제3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3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김찬회 | 백창현 | 문일권 | |||
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김기영 → 최종오 | 이용부 | 이성구 → 임동규 | 임동규 | ||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8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8대 의회{{{#000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000;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박주웅 | 김귀환 → 김기성 | 허광태 | 김명수 | ||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10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10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박래학 | 양준욱 | 신원철 | 김인호 | ||
제1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1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김현기 | 최호정 | ||||
| }}}}}}}}} |
제18대 서울특별시의회 후반기 의장 김기성 金基星 | Kim Ki-sung | |
| |
<colbgcolor=#881b20><colcolor=#ffffff> 출생 | 1948년 3월 15일 ([age(1948-03-15)]세) |
경기도 안성군 (현 안성시) | |
본관 | 경주 김씨[1] |
학력 |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 / 학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행정학 / 석사[2])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 박사[3]) 성신여자대학교 (정치학 / 명예박사) 이르쿠츠크 국립대학교 (정치학 / 명예박사) |
경력 | 한나라당 서울특별시당 부위원장 서울특별시의회 정책연구위원회 위원장 서울특별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 위원장 제7대 서울특별시의회 부의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2. 생애
1948년 3월 15일 경기도 안성군(현 안성시)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부성통상 대표, 주식회사 오산종합건설 이사, 힐타운건설 대표 등으로 재임하였다.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서울특별시의회 도봉구 제2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최광웅 후보에 밀려 2위로 낙선하였다. 이후 주식회사 우이종합건설 대표이사를 지냈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의회 도봉구 제3선거구에 출마하여 새정치국민회의 정규진 후보를 단 3표(0.01%p) 차이로 꺾고 당선되었다. 2001년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감사행정학과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의회 도봉구 제3선거구에 출마하여 새천년민주당 정규진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의회 강북구 제4선거구에 출마하여 열린우리당 배봉수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2006년 7월 12일부터 2008년 7월 11일까지 제7대 서울특별시의회 전반기 부의장을 지냈고, 2008년 2월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도시행정학과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8년 11월 25일부터 2010년 4월 13일까지 제7대 서울특별시의회 후반기 의장을 지냈다.[4] 이후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 근무하였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강북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박겸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고려대학교 초빙교수, 성신여자대학교 석좌교수 등으로 근무하였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강북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새정치민주연합 박겸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3.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도봉 2 | [[민주자유당| | 13,447 (34.32%) | 낙선 (2위) | |
1998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도봉 3 | | 11,532 (43.85%) | 당선 (1위) | 초선 |
2002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14,419 (53.97%) | 재선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강북 4 | | 16,238 (49.20%) | 3선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강북구청장 | 56,731 (40.68%) | 낙선 (2위)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새누리당| | 60,812 (39.84%) |
[1]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선거공보물에 따르면, 경주김씨종친회 회장을 지낸 바 있다.[2] 석사 학위 논문 : REITs의 투자자보호와 투자성과 연구(2001.)[3] 박사 학위 논문 : 지방자치단체 자체감사시스템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2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