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19:25:11

기관지

1. 신체 기관
1.1. 개요
1.1.1. 각 부분의 명칭
1.2. 특징1.3. 역할 및 기능1.4. 관련 질병
1.4.1. 기관지1.4.2. 기관지낭포1.4.3. 기관지기형1.4.4. 기관지진균증1.4.5. 기관지폐이형성증1.4.6. 기관지폐렴
1.5. 기관지에 관한 용어들1.6. 기관지 내시경 검사1.7. 인공 기관지?1.8. 여담1.9. 관련 문서
2. 간행물

1. 신체 기관

/ bronchus[1]
파일:기관지.jpg

1.1. 개요

기관을 연결하는 공기통로. 기관의 말단에서 좌, 우로 갈라져 시작되며 폐로 연결되고, 여기서 다시 나누어진 엽기관지를 거쳐 세기관지로 이어진다.

1.1.1. 각 부분의 명칭

  • 기관용골(carina) : 기관이 좌우로 나누어지는 부분.
  • 주기관지(principal bronchi) : 기관의 말단에서 폐로 이어지는 2개의 관을 말하며, 위치에 따라 좌주기관지(左主氣管支, 왼주기관지)와 우주기관지(右主氣管支, 오른주기관지)로 나뉜다.
  • 엽기관지(lobar bronchi) : 폐의 허파를 생성하는 부분인 엽으로 이어지는 기관지로, 위치에 따라 우상엽기관지(오른위엽기관지), 좌상엽기관지(왼위엽기관지), 중엽기관지, 하엽기관지, 설분엽기관지 등으로 나뉜다.
  • 구역기관지(subsegmental bronchi) : 엽기관지에서 이어지는 부분이다.
  • 세기관지(bronchiole)[2] : 지름 1mm 이하의 가느다란 기관지로, 끝부분에 수많은 폐포가 존재하며, 많은 근육이 있다.
  • 종말기관세지(terminal bronchiole), 호흡기관세지(respiratory bronchiole) : 세기관지에서 이어지는 부분이다.

1.2. 특징

느슨한 결합조직으로 싸여 있는데, 이 결합조직은 의 결합조직과 연결된다.

기관지의 외측은 줄무늬 모양으로 불규칙하게 배열된 섬유성 연골막으로 되어 있고, 안쪽은 상피세포로 된 점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평활근으로 된 근육층이 있다.

바깥쪽의 섬유성 막에는 림프관, 신경, 작은 혈관등이 있는데, 이 혈관이 체순환계로부터 기관지벽에 혈액을 공급해 준다.

위 이미지에서도 볼 수 있다시피, 왼쪽 기관지의 각도가 오른쪽 기관지의 각도보다 더 크다. 때문에 기도 이물은 대부분 우측 폐로 들어간다.

그리고 매우 징그럽게 생겼다...

1.3. 역할 및 기능

  • 공기 통로로서의 역할
    • 외부의 산소를 체내로 전달
    • 체내의 이산화탄소 배출
    • 일부 석형류는 기관지에 울대가 있어서 소리를 내는 역할도 한다.
  • 기관지 내의 이물질 이동 및 제거 : 기관지 점막의 점액과 섬모의 운동으로 일어난다.
  • 외부에서 침입하는 균에 대한 면역 작용

1.4. 관련 질병

1.4.1. 기관지

/ bronchial cancer

기관지에 발생하는 을 말한다. 폐암의 대부분에 해당하며, 40세 이상의 남성 및 흡연자에게 주로 발생한다.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세포의 종류에 따라
    • 편평상피암(扁平上皮癌 / squamous cell carcinoma of lung[3], Plattenepithelkrebs)
    • 선암(腺癌 / adenocarcinoma)
      • 기관지 폐포암(bronchioloalveolar carcinoma) : 폐포를 따라 암 조직이 확산되는 형태이다. 다른 폐암보다 진행이 느리기 때문에 증상이 비교적 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 말분화암(末分化癌)
  • 발생한 부위에 따라
    • 폐문형(肺門型), 폐야형(肺野型), 특수형

자세한 것은 폐암 문서의 해당 내용을 참고할 것. 상술한 것처럼 폐암의 유형 중 하나이기 때문에 폐암의 분류 방법과 유사하다.

1.4.2. 기관지낭포

/ bronchogenic cyst

선천성 질환으로, 기관 또는 기관지의 발아, 분기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 폐내기관지낭포는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증상을 보이지 않지만, 소아의 경우는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1.4.3. 기관지기형

/ bronchial anomalies, Bronchialanomalie

말 그대로 기관지가 기형인 것으로, 기관지 부재, 분기이상, 협착, 선천성 기관지 담도루(congential bronchobiliary fistula)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분기 이상의 유형 중 전위성 기관지에 해당하는 유형으로는 기관기관지(tracheal bronchus, 氣管氣管支)가 있는데, 이는 기관에서 좌우의 기관지로 분기되기 전에 기관에서 직접 분기되는 유형이다.

1.4.4. 기관지진균증

/ bronchomycosis

기관지 점막 상피에 진균의 일종인 칸디다가 정착하여 발생하며, 만성기관지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 칸디다에 의해 발생하는 '기관지칸디다증'의 좁은 의미로 이 말을 쓰기도 한다.

1.4.5. 기관지폐이형성증

/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자궁에서 지낸 기간이 짧고 출생 당시의 체중이 적은 미숙아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폐질환으로,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으로 인한 인공환기요법 등의 치료를 받은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자궁에서 36주 이상을 지냈음에도 인공적인 산소 공급이 필요한 경우로 정의하기도 한다.

1.4.6. 기관지폐렴

/ bronchopneumonia

폐렴균, 화농균 등에 의해 발병한다. 폐렴 참고.

1.5. 기관지에 관한 용어들

  • 기관지생검(氣管支生檢 / transbronchial biopsy)은 기관지를 통하여 폐나 기관지, 또는 그 부근에 있는 조직을 채취하는 검출법이다. 기관지파이버스코프(fiberoptic bronchoscope)라는 기관지경을 많이 사용한다.
  • 기관지흡인(氣管支吸引 / endobronchial aspiration)은 기도 내의 분비물에 의해 기도폐색, 질식, 감염의 악화 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비강 또는 구강에서 도관을 사용하여 분비물을 흡인하는 것이다.
  • 기관지 점액선의 양성 종양을 기관지선종(氣管支腺腫 bronchial adenoma)이라고 하는데, 조직학적으로 카르시노이드형, 원주종형(圓柱腫型)으로 구분한다.
  • 부교감신경의 긴장 등으로 기관지의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이를 기관지경련(氣管支痙攀 / bronchismus, bronchospasm, bronchial spasm)이라고 한다.
  • 기관지동맥(氣管支動脈 / bronchial arteries, Bronchial Schlagader)과 기관지정맥(氣管支靜脈 / bronchial veins) : 기관지동맥은 기관지를 따라 폐문에서 폐의 내부까지 연결된 동맥이고, 기관지정맥은 폐실질에서 출발한 소정맥이 폐문을 지나기 전에 합류하는 부분의 정맥이다.
  • 기관지순환계(氣管支循環系 / bronchial circulation system, System von Bronchialkreislauf) : 기관지에서 혈액을 순환시키는 구조로, 흉부대동맥에서 분기하여 좌우 기관지벽, 식도앞 또는 뒤를 거쳐 폐문에 이르는 형태이다.
  • 기관지나무 또는 기관지수상구조(氣管枝樹狀構造 / bronchial tree) : 의학적인 용도로 쓰이는 기관지 모형을 이렇게 부르기도 하는데, 기관지의 형태가 나무를 거꾸로 세운 듯한 모습과 비슷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1.6. 기관지 내시경 검사

/ bronchoscopy

1898년에 독일의 의사 Gustav killian이 개발한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검사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기관지 내시경의 종류에 따라 : 금속관으로 만든 경직성 내시경 또는 유리 섬유에 스테인리스 망, 합성수리를 입힌 구조의 굴곡성 내시경
    • 경직성 내시경은 구부러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피검사자의 기관지 부근까지 일직선 형태로 들어가기 때문에 피검사자의 신체에 큰 부담을 줄 수 있고, 전신마취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굴곡성 내시경은 기관지 부근까지 구부러지며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경직성 내시경에 비해 피검사자의 신체에 부담을 덜 준다고 할 수 있다.
  • 광원에 따라 : 백색광 또는 형광 내시경
    • 백색광 내시경으로 관찰한 결과 특별한 이상을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을 형광 내시경으로 관찰함으로써 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부위를 백색광 내시경으로 관찰한 결과 붉은색으로만 나타난 부분을 형광 내시경으로 관찰하면 초록색 계통과 붉은색 계통의 색이 같이 나타난다고 할 때, 형광 내시경 검사에서 붉은색 계통으로 보이는 부분이 이상 부위일 수 있다.
    • 최근에는 단순 촬영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점을 보완할 수 있는 초음파 내시경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초음파로 림프절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조직 검사용 바늘로 조직을 흡인하는 방법이다.

폐암, 폐결핵, 기관지결핵 등의 질병을 진단하거나 폐렴의 원인균, 기도 폐쇄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진단 목적 외에 치료 목적으로도 시행된다.

기관지내시경 검사를 받기 전에는 피검사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적절한 검사 계획을 세우기 위하여, 또는 피검사자의 신체 상태가 검사를 받기에 적절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혈액 검사, 흉부 X-ray 검사, 심전도 검사, 폐활량 검사 등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간혹 기침이나 가래, 열 등 후유증이나 출혈, 기흉, 폐렴, 후두 경련, 급성 호흡부전 등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후유증,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도 사전 검사가 필요하다.

검사 도구로는 조직검사용 겸자, 세포검사용 솔,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등이 이용된다.

1.7. 인공 기관지?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런 거 없다.

선천적으로 기관지 없이 태어났거나 기관지암이 발병하여 기관지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에는 기관지를 대체할 '인공 기관지'가 필요할 것이다. 실제로 인공 기관지 이식 수술로 건강을 회복한 사례가 있는데, 동아일보 기사에 따르면 2011년에 기관지암 말기 판정을 받은 아프리카 출신의 어떤 남성이 자신의 줄기세포로 만든 인공 기관지로 건강을 회복했다고 한다. 인공 기관지를 이식하는 수술이 세계 최초로 성공한 것은 2011년이다.

그러나 위에 서술된 줄기세포로 만든 인공기관지는 동물실험이나 윤리적 동의가 부족한 상태에서 실시되었고, 이식받은 환자 9명 중 7명이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2명도 위중한 상태임에도 모두 완화된 것으로 쓰는 등, 논문이 조작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식 수술을 진행한 파울로 마키아리니는 스웨덴의 카롤린스카연구소에서 해고되었다. 인공 기관지, 그리고 스타 의사의 추락(마키아리니 스캔들) Paolo Macchiarini: A surgeon’s downfall

특히 위에 설명된 첫번째 수술환자인 Andemariam Beyene의 수술 12달후 내시경 사진이 공개되어있는데, 조직에 감염과 상처가 가득하고 기관 끝부분에 구멍이 생겨 점액이 차오른 모습은 충격적이다. Andemariam Beyen는 결국 2014년 1월에 사망하였다.

선천성 기도 무형증으로 기도없이 태어난 한국과 캐나다 혼혈인 해나 워렌 역시 인공 기관지 삽입 수술을 받고 약 3달 후에 세상을 떠났다. 3년 후인 2016년에 마키아리니의 진실이 알려졌을 당시 해나를 기억하고 있던 많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큰 충격을 받았다.#

결국 이 일화를 바탕으로 한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배드 닥터: 메스를 든 사기꾼이 2023년에 나왔다.

1.8. 여담

  • 서울신문 기사에 따르면 TV조선 '인생다큐 마이웨이'에 출연한 가수 한영애가 기관지 확장증으로 노래를 부르지 못했던 시절이 있었다고 한다.
  • 세계일보 기사에 따르면 중국의 강력한 스모그로 인해 일본산 '기관지약'이 중국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데, 중국의 모 병원에서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한다.
  • 기관지의 각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는 그림에서 각 부분별로 알파벳에 첨자를 붙여 A1, A2처럼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데, 알파벳은 일반적으로 각 그림마다 A, B, V 등 한 가지로 통일하지만, 같은 부분이라도 그림별로 숫자가 다를 수 있으므로 기관지에 대하여 설명할 때 주의해야 한다. 기관지의 상엽에서 하엽으로 내려갈수록 숫자가 커지는 편이며, 상염-중엽-하엽 순으로 회전하듯이 숫자를 매긴 경우도 있다.

1.9. 관련 문서

2. 간행물

, / bulletin, mouthpiece, organ[4]

기관에서 발행하는 신문(-紙)이나 잡지(-誌)를 말한다. 이들 중 공공기관에서 발행하는 기관지를 관보(官報), 회사에서 발간하는 기관지를 사보(社報), 정당에서 발간하는 기관지를 당보(黨報)[5], 학회에서 발간하는 기관지를 학보(學報)라고 부른다.

역사적으로는 호남학회의 기관지인 <호남학보>, 동이학회의 기관지인 <동인학보>, 조선어학연구회 기관지인 <정음>, 서북학회 기관지 <서북학회월보> 등이 있다.


[1] 형용사형으로 'bronchial'이 있는데, 이는 '기관지의'라는 뜻이다. 기관지와 관련된 여러 가지 용어에 쓰인다.[2] 소기관지, 기관세지라고 부르기도 한다.[3] 여기서 'cell' 또는 'of lung'을 생략하여 간단히 'squamous carcinoma'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4] a + ~ + organ 형태로 쓰인다. 예를 들어 '정당 기관지'와 '정부 기관지'는 각각 a party organ, a government organ이다.[5] 일본공산당의 당보인 아카하타가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