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의 종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08080,#111><colcolor=white> 시대별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영어 | 중세 영어 | 근대 영어 | 현대 영어 | }}} | |||
지역별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앵글리시 | 베이식 잉글리시 | 피진 잉글리시 | 브로큰 잉글리시 | }}}}}}}}} |
1. 개요
근대 영어(近代英語) 또는 근세 영어(Early Modern English)는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쓰였던 영어의 고어를 가리킨다. 현대 영어의 직계 전신인 언어이다.2. 상세
중세 영어의 굴절이 거의 상실되고 영어에 관련된 '규범'이 딱히 정해지지 않았던 시기이다. 이 시기 영어 문법은 형태보다는 의미에 크게 기반하여 형성되었고, 이로 인해 현대 영어의 기준으로는 문법에 맞지 않다고 느껴질 표현들이 많이 나오게 되었다. 또한 현대 영어에 비해 2인칭 단수 비격식 대명사인 thou의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1]근대 영어의 특징을 잘 드러내는 작품은 1611년에 출판한 킹 제임스 성경의 최초 판본이 대표적이다.
근대 영어의 유동적인 정체성은 셰익스피어 희곡에서 잘 드러난다.
3. 대모음추이
대모음추이는 근대 영어에서 완료된 모음 음가의 전체적 변화를 말한다.[2] 흔히 '영어는 철자와 발음이 다르다'라고 말하는데, 많은 경우 대모음추이가 그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