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민석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두산 베어스 등번호 104번 | ||||
노유성 (2016.5.14.~2017) | → | <colcolor=#fff> 권민석 (2018) | → | 전창민 (2019) | |
두산 베어스 등번호 4번 | |||||
전민재 (2018) | → | <colbgcolor=#ed1c24> 권민석 (2019) | → | 박지훈 (2020) | |
두산 베어스 등번호 7번 | |||||
전민재 (2019) | → | 권민석 (2020~2022) | → | 이유찬 (2023~2024) | |
두산 베어스 등번호 34번 | |||||
스탁 (2022) | → | 권민석 (2023~2024) | → | 홍성호 (2025~) |
| |
권민석 權珉錫 | Kwon Min-Seok | |
출생 | 1999년 2월 20일[입학유예] ([age(1999-02-20)]세) |
강원도 속초시 | |
국적 |
|
학력 | 영랑초 - 설악중 - 강릉고 |
신체 | 184cm | 74kg | 280mm | B형 |
포지션 | 내야수[2]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18년 2차 10라운드 (전체 100번, 두산) |
소속팀 | 두산 베어스 (2018~2024) |
병역 | 전시근로역[3] |
가족 | 부모님, 동생 |
1. 개요
前 두산 베어스 소속 내야수.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권민석(야구선수)/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권민석(야구선수)/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플레이 스타일
두산 내야의 미래를 책임질 만큼 빈틈없는 탄탄한 수비를 자랑했다. 어쩌면 10라운더, 그것도 드래프트 전체 꼴찌 지명자가 6년 넘게 살아남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장점.그러나 타격에서는 평균 이하의 모습을 보였다. 2군에서도 2할대 초반 수준의 타율을 기록하며, 선구안과 컨택도 부족했다. 통산 순장타율 역시 6푼대에 머무를 정도로 타구에 힘을 싣지 못했다.
하지만 2023 시즌 후반부터 2군 성적이 급상승하며 타격에 눈을 뜬 듯한 모습이었다. 1군에서 종종 안타를 칠 때도 타구질 하나만큼은 모두가 인정했었기에, 두산 팬들은 많은 기대를 걸었다.
대주자 자원으로 기용된 적도 있을 만큼 발은 그럭저럭 빠른 편이며, 준수한 수비력을 자랑했다. 내야 전 포지션을 완벽하게 소화가 가능해 한 때 내야진에 부상이나 공백이 발생하면 가장 먼저 콜업되기도 했으나, 강승호, 박계범, 안재석의 합류 이후로는 경쟁력을 잃었다. 결국 2023년 이후로는 1군에 콜업되는 일이 크게 줄어들었고, 2024 시즌 도중 스스로 야구를 접고 말았다.
4. 여담
- 초등학교 4학년 때까지 축구를 하다가 아버지의 권유로 야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 가장 좋아하는 식당은 토마토 김밥이며 가장 자주 먹는 메뉴는 돌솥김치알밥과 추억의 도시락이라고 한다.
- 좌우명은 즐겁게 살자이다.
- 팀 내에서 여성 팬 선호도가 높은 선수 중 한 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