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14:02:23

육군훈련소지구병원

국군논산병원에서 넘어옴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 관내 종합병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주시 충청남도 공주의료원
계룡시 계룡대지구병원
논산시 육군훈련소지구병원, 의료법인 백제병원
당진시 당진종합병원
보령시 아산사회복지재단 보령아산병원
서산시 서산중앙병원, 충청남도 서산의료원
예산군 예산종합병원
아산시 아산충무병원
천안시 단국대학교병원,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충청남도 천안의료원, 천안충무병원
홍성군 충청남도 홍성의료원
충청지역 상급종합병원
}}}}}}}}} ||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의무사령부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수도병원
국군대전병원
국군대구병원
국군함평병원
파일:수도방위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서울지구병원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 국군고양병원
파일:제2군단 부대마크.svg 국군춘천병원
파일:제3군단 부대마크.svg 국군홍천병원
국군강릉병원
파일:제5군단 부대마크.svg 국군포천병원
국군양주병원
파일:제7기동군단 부대마크.svg 국군구리병원
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 대한민국 해군
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 해군해양의료원
해군포항병원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대한민국 공군
파일:항공우주의료원 부대마크.svg 공군항공우주의료원
파일:공군교육사령부_마크.png 공군교육사령부 기지병원
계룡대 근무지원단 직할대
파일:계룡대 근무지원단 로고.png 계룡대 지구병원
육군교육사령부 육군훈련소 예하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육군훈련소 지구병원
의무를 담당하는 부대는 의무부대 문서 참고.
※ 기타 : 국군의무사령부 | 국군의무학교 | 국군의학연구소 | 의무후송항공대
※ 둘러보기 : 참모본부 | 작전사령부 | 사관학교 | 교육사령부 | 군수사령부 | 근무지원단 | 형사사법기관 | 정보부대 | 파병부대
해체된 국군병원 }}}}}}}}}
육군훈련소지구병원
陸軍訓練所地區病院
Korea Army Training Center District Hospital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colbgcolor=#334682><colcolor=#fff> 창설일 1956년 9월 30일 (육군 117병원)
1971년 1월 12일 (육군제2훈련소지구병원)
2003년 3월 1일 (국군논산병원)
2011년 1월 1일 (육군훈련소지구병원)
약칭 훈련소병원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육군훈련소
종류 국군병원[1]
역할 육군훈련소 의무지원
병원장 중령 서재기 (의정 00기)
위치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득안대로 450-8 (죽평리)
진료시간 09:00~18:30
전화번호 041-740-8533
1. 개요2. 상세3. 진료 및 입퇴원
3.1. 진료 과목3.2. 접수/진료
4. 출신인물
4.1. 병원장
5. 기타
5.1. 근무환경
6. 부대 영상7. 여담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국방 환자관리 훈령 제4조(육군훈련소지구병원 등의 진료범위)
① 육군훈련소지구병원, 공군교육사령부 기지병원은 제47의5부터 제52에 따른 간부의 공무상요양, 의무조사, 진료미종결 전역자 치료, 군병원 전역자의 국가유공자 등록안내를 제외한 조항을 준용하여 진료할 수 있고, 「병역법 시행령」제25조에 따른 입영정밀신체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육군훈련소지구병원육군훈련소 예하의 의료기관이다. 2003년 3월 1일에 창설하였으며,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에 위치하고 있다.

이름에 병원이 들어가지만, 엄밀히 따지면, 국방환자관리훈령에서 제시하는 군병원에는 해당하지 않는다.[2] 그러나 공군교육사령부 기지병원과 함께 훈령의 일부 조항[3]을 제외하고 여타 군병원과 동일하게 진료가 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 보았을 때, 군병원에 준하는 군 보건의료기관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군병원보다는 살짝 낮고 사단급(비행단급) 의무부대보다는 높은 정도라고 이해할 수 있다.

2. 상세

파일:국군논산병원.png
국군논산병원 시절 전경
육군제2훈련소지구병원으로 출발 국군의무사령부로 이관된 2003년 3월 1일 국군논산병원으로 창설 후, 2011년 11월 1일 국군의무사령부에서 육군훈련소로 이관되며 육군훈련소지구병원으로 재창설되었다.

육군훈련소 지원병원으로서 훈련소 예하 부대 및 인접 부대 의무지원을 하고 있다.

3. 진료 및 입퇴원

3.1. 진료 과목

  • 내과
  • 피부과
  • 외과
  • 정형외과
  • 신경외과
  • 안과
  • 이비인후과
  • 비뇨기과
  • 가정의학과
  • 치과
  • 한의과(침구과)
  • 정신건강의학과

3.2. 접수/진료

파일:4dc29d1d-b002-4e4a-b8ca-83f20a5dc191.jpg
육군훈련소지구병원 내부

접수 및 진료 절차는 접수처에서 인적사항(훈련병이면 신병교육연대와 교번, 기간병이면 소속)을 제출한 뒤 본인이 희망하는 진료과 앞 모니터로 순서를 알려주는 방식이다. 훈련소 내부 병원이라는 특성상 늘 훈련병들로 인해 붐비며, 이로 인해 대기시간이 상당히 길다. 그날의 접수는 거의 대부분 당일 아침에 받으므로, 대기시간을 줄이고자 한다면 아침 일찍 접수하는 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물론 진료를 위해 일과를 빼고 지구병원에 온 기간병들은 설령 아침 일찍 접수하고 진료를 봤다고 해도 인근 햄버거집이나 카페에서 잡담하면서 일과 끝날 즈음 느지막히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4. 출신인물

4.1. 병원장

||<-6><tablewidth=100%><tablebordercolor=#a00e0e><tablebgcolor=#fff,#1f2023><bgcolor=#a00e0e><color=#fff> 역대 국군논산병원장 ||
<rowcolor=#fff> 역대 이름 계급 임관 주요보직 기타
00대 남택서 예) 소장 군의 17기 국군의무사령관
00대 박동언 예) 소장 군의 22기 국군의무사령관
역대 육군훈련소지구병원장
<rowcolor=#fff> 역대 이름 계급 임관 주요보직 기타
00대 이정만 예) 중령 군의 00기 前 병원장
00대 서재기 중령 의정 00기 前 병원장
00대 신광용 대령 의정 00기 前 병원장

5. 기타

5.1. 근무환경

의무병으로서는 갈 수 있는 병원부대 중 국군수도병원과 더불어 가장 업무가 많은 곳이다. 국군의무학교 수료 전 자대배치 날에 이곳으로 배치받은 교육생들은 모두의 위로를 받는다.

2022년 외래 기준으로 하루 약 120~160명의 환자가 오며, 이등병상병 신체검사랑 외래환자가 많이 오는 날이 겹치는 날엔 병원이 터지는 사태가 종종 발생한다. (야진하고 초근받자)

6. 부대 영상

[훈련병의 품격] 20부. 훈련병들을 위한 24시간 응급의료체계 | 2014.7.1. 국방TV

7. 여담

  • (구)국군논산병원 시절에는 연무대고속버스터미널 바로 옆에 병원이 있었다. 영외에 있던 병원이 훈련소 영내로 옮겨지면서 옛 병원 건물은 철거됐고 그 부지 중 일부는 민간 아파트가 지어졌다.
  • 병원이 영외에 있던 시절에는 훈련소 의무대에서 간단히 처치하기 힘든 훈련병들을 한꺼번에 모아서[4] 병원으로 실어보냈는데 육군훈련소 직할대인 수송근무대에서 운행하는 대형 버스가 각 연대를 돌면서 훈련병들을 태워 날랐다. 그 당시에는 근처의 군부대에서도 약간 아파서 외진나가는 건 이쪽으로 나가는 편이었다. 아주 심각한 상황이면 국군대전병원으로 외진을 가지만 그 경우에도 웬만해서는 (구)논산병원에서 1차 치료나 응급처치를 하고 대전으로 보내는 편이었다.
  • (구)논산병원에 외진을 나가던 시절에는 일부러 병을 키워서(!!!) 외진을 받을 수 있도록 고통을 감수하는 꼼수를 부리는 훈련병도 더러 있었다. 그 이유 중에 하나는 논산병원에서 근무하는 여성 간호장교들을 보기 위해서라는 카더라도 있다. 하지만 일부러 병을 키우는 행동은 좋은 게 아니다.
  • 수많은 가짜 환자와 진짜 환자중 누가 진짜 환자인지를 가려내기 위한 군의관들 사이의 노하우 공유가 있다.

8. 관련 문서



[1] 국방환자관리훈령 상 일부 업무를 제외하고 군병원에 준하게 취급된다.[2] 군병원에는 의무사령부 예하 전후방 병원들과 해군해양의료원, 해군포항병원, 공군항공우주의료원만이 명시되어 있다.[3] 제4조(육군훈련소지구병원 등의 진료범위) ① 육군훈련소지구병원, 공군교육사령부 기지병원은 제47의5부터 제52에 따른 간부의 공무상요양, 의무조사, 진료미종결 전역자 치료, 군병원 전역자의 국가유공자 등록안내를 제외한 조항을 준용하여 진료할 수 있고, 「병역법 시행령」제25조에 따른 입영정밀신체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4] 훈련소 본부근무대 쪽에 있던 의무대에서 군의관들이 1차적으로 진료를 보고 (구)논산병원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외진' 판정을 내려서 (구)논산병원으로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