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21:55:24

일루미나티

광명회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음모론에 대한 내용은 일루미나티 음모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일루미나티(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음모론:
일루미나티 음모론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동음이의어:
일루미나티(동음이의어)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colbgcolor=#801A24><colcolor=#FFFFFF> 일루미나티
光明會 | Illuminati
[1]
파일:2e1edfd1f59263b2d55125e5bdfa89b7.jpg
일루미나티의 상징인 미네르바의 부엉이
창립 1776년 5월 1일
창립자 아담 바이스하우프트
폐지 1785년

1. 개요2. 역사3. 음모론4. 밈화5. 대중매체6. 여담
6.1. 국내 반응

[clearfix]

1. 개요

18세기 후반 프로이센 왕국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급진적 성격의 자발적 결사체.

공식 활동 기간은 10년 내외로 짧으나, 오늘날 그림자 정부 관련 음모론의 중심 소재로 사용된다.

2. 역사



일루미나티의 창립자는 바이에른의 잉골슈타트 대학에서 실천 철학을 교육하던 아담 바이스하우프트(Adam Weishaupt) 교수로, 1776년 5월 1일에 일루미나티를 조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여느 계몽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이성을 중시했던 바이스하우프트는 절대왕정가톨릭 교회로 대표되는 기득권 체제를 전복시키고 자유평등사상을 바탕으로 유토피아를 건설하려고 했다. 바이스하우프트의 사상은 점차 지지를 얻어 바이에른 전역으로 순식간에 퍼져 나갔는데, 전성기에는 유럽 각국에 지부가 설립되고 귀족, 정치인, 지식인, 부자들이 가입해 회원이 2-3천 명에 이를 정도였다. 그러나 일루미나티의 사상은 각국 정부 세력에게는 너무나 급진적이고 위험했기 때문에 공권력에 의해 탄압받기 시작했고, 이를 피하려 프리메이슨의 체계를 모방해 비밀결사이자 지하조직으로 변모했다.

1785년 교황 비오 6세는 일루미나티를 이단으로 규정했다. 가톨릭 사회[2]에서 이단의 집회에 참가하는 것은 곧 파문으로 이어졌으므로 많은 구성원들이 탈퇴하였다. 이로써 일루미나티는 사회적으로 금기시되어, 해산 이후 대대적인 검거와 탄압으로 1790년경에는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다.

당시 일루미나티의 급진적 계몽 사상은 미라보 백작에 의해 프랑스에도 소개되었으며, 이 밖에 존 로크의 인식론과 자유의지주의, 장 자크 루소사회계약론으로 대표되는 계몽주의 사상의 유행은 민중들에게 하나의 정신적 동기가 되어 1789년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는 데 영향을 주었었다.

3. 음모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루미나티 음모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밈화



파일:hXICyyh.png

파일:Gp01QJ2.jpg

파일:cmsXNAK.jpg

일부 음모론자들의 과도한 일루미나티 배후론 주장에 대한 반감으로 일루미나티와 아무 관련이 없는 것들을 모두 일루미나티를 상징하는 것으로 비꼬는[3] 관행이 일종의 밈화가 되었다.

2010년대 후반부터는 모든 것을 숫자 3과 억지로 엮는 일루미나티 드립으로 변환되었다.

5. 대중매체

파일:external/image.aladdin.co.kr/pimg_750268163206525.jpg

유명한 '일루미나티의 다이아몬드'. 앰비그램 아티스트이자 드렉셀 대학교 교수인 존 랭던의 작품이다. 존 랭던은 댄 브라운의 아버지의 지인이었다. 댄 브라운은 자신의 작품에 반해 여러 가지 작업을 같이 했고 자신의 소설 천사와 악마에서 이런 앰비그램들의 디자인을 등장시키기도 했다. 댄 브라운의 시리즈물에 나오는 주인공 로버트 랭던 교수의 이름은 존 랭던에서 따온 것이다. 천사와 악마에서 일루미나티를 다루기는 했으나 18세기의 비밀결사가 아닌 16세기부터 존재한 과학자 집단으로 나온다. 자세한 것은 천사와 악마의 문서 참조.

마블 코믹스에는 몇몇 네임드 히어로들이 창설한 비밀 단체로 나온다. 이후 MCU의 영화인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에서 지구-838의 지배 세력으로 나온다.

영화판인 <툼 레이더 1>에서 악역으로 등장한다.[4]

The Black Watchmen은 일루미나티가 되어 세계 곳곳을 감시하는 게임이다.

데이어스 엑스에서 일루미나티가 모든 사건의 흑막으로 나온다.

도시야월기담에서는 서아시아 마법사 협회의 이름으로 나온다. 리베디크가 협회장을 맡고 있다.

SCP 재단 세계관에서는 요주의 단체 세계 오컬트 연합(GOC)의 수뇌부인 108 평의회의 구성단체로 나온다.

문명 6의 비밀결사 모드에서 '미네르바의 부엉이'라는 집단이 존재하는데 그냥 봐도 일루미나티 음모론을 모티브로 했음을 알 수 있다. 경제 특화 비밀결사라 성능이 좋은 편.

바이오하자드 4로스 일루미나도스 역시 스페인어로 일루미나티와 똑같은 뜻을 가졌다.

이터널시티 시리즈에서 비밀결사로 등장했고 주적으로 나오는 캠페인도 있었지만 패러사이트와 게스트의 이야기가 중점이 되면서 맥거핀으로 전락했다. 사실 정황상 일루미나티의 상부 조직원들이 외계인이라는 떡밥이 있고 일루미나티 자체도 게스트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에서 템플 기사단이 일루미나티라는 가상조직을 만들어 역정보들을 유출한다.

오버워치 시리즈에서는 이 정체불명의 조직이 일루미나티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희절창 심포기어 AXZ에서 일루미나티(바바리아 계몽결사)를 모티브로 한 '파바리아 광명결사'가 적측 세력으로 등장한다.

데드데이즈에서는 최종 흑막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신세기 에반게리온에서 나오는 제레프리메이슨과 일루미나티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래비티 폴즈빌 사이퍼라는 악당이 있다.

디버프 마스터에선 스토리의 흑막 중 일루미나티라는 단체가 나온다.

대건물주에선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흑막으로 나오나, 주인공에 의해서 몰락한다.

라이트 노벨 마리얼레트리에선 한자로 번역해 광명학회로 등장한다. 거기다 주인공이 소속되어 있는데 보급함을 가지고 있는 등 군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작중에선 한반도를 통일한 고려연방과 제해권을 두고 다투고 있는 중.

일루미나티 음모론에서 많이 쓰이는 스티븐 잭슨 게임즈의 일루미나티 보드 게임도 있다.

국내 예능 프로그램 차트를 달리는 남자에서 자주 언급된다.

배틀그라운드의 에란겔이란 맵에 일루미나티 심볼 사진이 많이 붙여져 있다.

6. 여담

  • 유명세를 역이용하여 일루미나티를 사칭하는 집단들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칭 집단들의 목적은 일루미나티를 사칭함으로써 멤버를 늘리거나 사업성 목적으로 이용하려는 등의 목적에 지나지 않는다.
  • 어도비 포토샵의 과거 눈 모양 아이콘이 섭리의 눈을 떠오르게 한다는 주장 때문인지 CS로 넘어가면서 해당 아이콘은 폐지되었다.

6.1. 국내 반응

전세계적인 음모론인 만큼 대한민국에서도 꽤 유명한 밈으로 퍼졌는데, 특히 프리메이슨과 자주 엮인다.

또한 프리메이슨 외에도 '오메가 클럽'이라는 가입제 조직이 일루미나티와 엮여 음모론자들에게 유명하다. 창립자가 '커튼 뒤의 사람들'이란 소설을 집필한 전적이 있는데, 책의 내용으로 봐서는 괜히 음모론자들이 달라붙은 게 아닌 듯.


[1] 라틴어로 '계몽하다', '계몽된 자' 혹은 '밝히다, 깨달은'이라는 뜻의 '일루미나투스(illuminatus)'의 복수형에서 유래되었다. '바이에른 광명회'로 번역되기도 한다. 바이에른 광명회는 독일어로 "Illuminatenorden Bayern", 광명회는 독일어로 "Der Illuminatenorden"이다. 계몽 결사, 바이에른 계몽결사, 바바리아(바이에른의 영어표기) 계몽 결사, 광명회 같은 다양한 이름들은 대개 일본 오컬트 팬덤에서 한자를 사용해 번역한 것을 다시 한국어로 중역해서 수입한 것이다.[2] 특히 독일의 바이에른 지방은 전통적으로 가톨릭이 강세였다.[3] 그래서 영미권에서는 특정 사진의 삼각형 내지 전시안 부분이 아닌 엉뚱한 모습을 근거로 들어 일루미나티 드립을 한다. 덤으로 일루미나티 대신 'iluminate', 'ilusion', 'aluminium', 'alumni', 'illustrate' 등 유사한 발음의 오탈자를 의도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4] 그런데 DVD판에서는 ‘광명파’(...)라고 번역되어있다. 파일:툼레이더번역1.jp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