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5 19:44:34

경희대학교 야구부

파일:경희대학교 시그니처(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학교 정보
역사
(신흥무관학교 · 동양의과대학)
임원 상징
학부 대학원
학풍 장학금 학사 제도
동아리 총학생회 캠퍼스
(서울캠퍼스 · 국제캠퍼스)
학내 언론 야구부
||<-12><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000000><bgcolor=#0d326f>
기타 정보
||
입학 교통편 사건사고
커뮤니티 출신 인물 역동전
||<-12><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000000><bgcolor=#0d326f>
관계 기관
||
글로벌미래교육원 경희의료원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경희의료원 교육협력 중앙병원
}}}}}}}}}}}}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야구부
(Kyung Hee University)
창단 1961년
지역 경기권
감독 최태원
우승 기록[1] 12회
홈페이지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역대 전적
대회 우승 준우승 4강[2]
<colbgcolor=#0a326f> 대통령기 3회(1970, 1972, 1987) 3회(1989, 1999, 2008) -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 2회(1998, 2022) 1회(2003) -
협회장배/주말리그 왕중왕전 - 1회(2013) -
대학야구 춘계/하계/추계리그 3회(1969, 2005, 2008)[3] 6회(1965, 1970, 1971, 1972, 2000, 2006)[4] -
4회(1964, 1993, 1995, 2010)[5] 3회(1970, 1997, 2012)[6] -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 - - -

1. 개요2. 학번별 출신 선수3. 역대 감독4. 여담

[clearfix]

1. 개요

경희대학교의 야구부.

그동안 여러 굵직굵직한 선수들을 배출하였으나, 2017년 이후로 프로 진출자를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드래프트에서 고졸 선수를 선호하는 분위기 때문으로 다른 대학 야구부도 마찬가지인 상황이다.

2021년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에서 4강까지 진출했으나 성균관대학교 야구부에 패했다.[7]

2022년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에서 결승에 올라 송원대를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2. 학번별 출신 선수

학번 이름
<colbgcolor=#0a326f><colcolor=#ffffff> 1974 천창호
1977 성낙수
1981 정은배
1982 이복근
1983 임성주
1984 곽권희, 원원근, 이국성
1985 박선일
1986 김명환[8]
1987 오종우, 이변직[9]
1988 배숙현, 전승식[10]
1989 김덕칠, 김종성, 박충식, 최태원
1990 김도완[11], 김종훈, 이숭용
1991 최경환, 최창수
1992 김기한, 김석용, 박태순, 이상원, 이용택, 임봉수, 최재석, 허유신[12]
1993 강규철, 노상진, 안재준, 윤경진, 최영필
1994 김경진, 김경태, 김수영, 서정일, 안용완, 조대희
1995 강민구, 구명준, 김정식, 이흥태, 최성옥, 최영완, 홍성흔
1996 김민환[13], 김인호, 박승민, 박창원, 양현석, 전석윤
1997 김덕용, 김수환, 오장용, 이양노, 이영규, 정대현, 한승흠
1998 김태식, 이승호, 이현석[14], 조현수
1999 길휘종, 박유영, 이병국, 이수용, 이해림, 한상훈
2000 구자민, 김세훈, 김준섭, 박종관, 윤호철, 허용, 홍석균
2001 강유삼, 권소용, 김명규, 이호근, 조상혁
2002 김성환, 김용섭, 박정규, 손세진, 이성준, 이승재, 장태종
2003 권익한, 김동훈, 김이슬, 김한상, 오재원, 이호신, 정현석
2004 김정환, 박언효, 박준혁, 송종선, 안준형[15], 이재엽
2005 김창현, 박재성, 박현준, 배우열, 손정훈, 양동일, 유상현, 이수범, 정주영
2006 김신균, 김정훈, 신창명, 전현기, 조원범, 최형준, 호석화
2007 강성호, 김종진, 김준희, 김진수, 안규영, 정우양, 천성균
2008 류동호, 마낙길, 오호성, 이동민, 장철희, 조재민, 최성훈, 황민우
2009 김경용, 김진철, 나담주, 민정후, 손정욱, 이효상, 정기완, 정성직, 조하늘, 지영완
2010 김재곤, 심규범, 정성민, 조경민, 조성모, 조승현
2011 강동우, 박기환, 박휘연, 이정호, 이호중
2012 김신우, 김주현, 김준수, 김지훈, 노관현, 이상우, 최주호, 홍성목
2013 김민기, 안찬호, 여운, 이석현, 이정훈, 장민도, 한승훈
2014 김태선, 남승윤, 박재석, 전상혁, 정수한, 최기웅
2015 곽서호, 김경근, 노민석, 이동현, 이재혁, 이청현, 정윤환, 최종현, 추연준
2016 김영도, 김태진, 김해성, 김형우, 박영빈, 오지훈, 최근수, 최성선
2017 김호영, 류하성, 박태산, 장문석, 전진영
2018 권민수, 김철민[16], 류승범, 이호선, 전정배, 정원휘, 최우석
2019 김정현, 김주승, 백현수, 양홍영, 윤성호, 이승진, 정준영
2020 권규헌, 박성역, 백동운, 심기정
2021 김재호[17], 박서정, 유준서, 이재준
중퇴 김장우(2011)

3. 역대 감독

  • 신인식
  • 오춘삼
  • 이국성 (2001~?)
  • 김도완 (2014~2022)
  • 이석현(감독 대행)
  • 최태원 (2023~ )

4. 여담

  • 최태원이 스톡킹에 출연해 술회하기를 서울캠퍼스 정문 쪽에 야구부 숙소가 있었으며 숙소가 비좁고 낡았다고 한다.
  • 구타가 횡횡하던 시절 박충식은 경희대에서 고려대 숙소로 도망갔고 고려대의 이상훈은 경희대로 도망갔다는 일화가 있다.
  • 홍성흔이 잠 자고 있던 방졸 정대현을 시켜 라면을 끓여오도록 한 일이 있다. 홍성흔의 말에 의하면 정대현이 라면을 기가 막히게 잘 끓였다고 한다.


[1] 대통령배+전국대학야구선수권+협회장배/주말리그 왕중왕전+춘계리그+추계/하계리그+전국종합야구선수권[2] 4강 진출의 경우는 최근의 기록만 남아 있다.[3] 춘계[4] 춘계[5] 하계, 추계[6] 하계, 추계[7] 성균관대는 준결승전에서 송원대에 승리를 거둔 동강대를 대파하고 우승을 차지했다.[8] MBC 청룡(후에는 팀을 LG트윈스에 인수) 2차 7라운드 전체 2번 지명 후 미입단[9] 1991 태평양 2차 5순위 지명[10] 1992년 2차 5순위 롯데로 지명하다가 지명 후 미입단, 후에는 실업 현대로 활약하다가 사회인 야구를 지키고 있다.[11] 성남고 출신, 전 본교 야구부 감독[12] 장충고, 1996년 현대 2차 1순위 지명[13] 광주일고 졸업 후, 1996년 2차 15순위(쌍방울 레이더스)지명 후 진학, 2000년 입단 후 SK인계로 1군 경기 없이 은퇴. 은퇴 후 2002년 모교인 광주일고 투수 코치로 활동했다.[14] 2002년 LG트윈스 2차 5순위 지명 후 진학, 2006년 졸업 후 미입단.[15] 한서고 출신. 2004년 2차 8라운드 55순위의 지명으로 삼성에 입단하다가, 선수 시절 1군 경기는 없었으며, 2010년 SK에 이적하다가 퓨쳐스 올스타전에 출전하다가 같은해 1군에 승격하지 못하고 은퇴했다. 배명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18), 여주대학교 야구부 코치 (2019~2020)[16] 김철호의 쌍둥이 동생.[17] 강릉영동대에서 편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