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한국방송출판의 게임잡지
1.1. 개요
한국방송출판[1]이 냈던 게임잡지로, KBS 문화사업단 시절이던 1995년 11월에 창간된 국내 최초의 게임 전문잡지라고 KBS에서 선전하던 것이다. 참고로 진짜 국내 최초는 1990년 8월에 창간된 게임월드. 그리고 비슷한 주제로 경쟁하던 PC파워진은 창간년도가 1995년 8월이므로 사실 저 광고는 과장 광고였다. 창간호.초기에는 게임잡지라는 것 자체가 널리 알려져있지 않았기 때문에 그 위상을 넘볼 자가 없는 말그대로 지존이었다.
전성기 당시 발매시기가 되면 KBS1 채널이라든지 게임천국에서 BGM으론 블레이드 러너 End Title을 깔고 이 잡지의 광고를 때렸다.
명색이 게임잡지인데 초기에는 툼 레이더 시리즈 공략으로 수십페이지를 그대로 잡아먹었다. 그것도 한 번에 안 하고 꼭 2달에 걸쳐서 공략했다. 또는 요즘 보면 오덕이라고 까는 그런 취미 관련 페이지들도 비중있게 수록하는 등 게임잡지라기보다는 취미 소식지라는게 조금 더 적절한 표현이었을 것 같다. 특히 툼 레이더, 버추얼 온 시리즈는 항상 비중있게 다뤘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밖에 애니메이션 리뷰라든지 소개도 하고 1997년에는 신세기 에반게리온 극장판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 같은 경우는 몇달에 걸쳐 상세한 줄거리와 장면들을 올리기도 했으며 19금 미연시도 종종 소개하곤 했다.
게임잡지의 전성기를 열어갔지만 번들 게임 경쟁과 와레즈의 등장에 의한 PC 패키지 게임의 몰락으로 인해 2003년 6월[2]에 '휴간'이라고 내걸고 폐간했다.[3]
존속 당시 홈페이지 도메인은 'www.kbsgamepia.co.kr'이었다.
1.2. 코스프레 표지
1998년 5월호부터 일러스트 대신 코스프레 사진을 표지로 내세우는 독특한 편집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좌상단 사진의 리사 앤더슨 코스프레를 한 사람은 배우 이요원.
그 외 코스프레 사진들
ㅍㅍㅅㅅ 측 자료
이 시기 표지 모델을 거친 이들 중 유명인은 배우 송나영, 공은국 등 극소수가 손에 꼽히며, 이 잡지에서 연재되던 초록불과(물론 연재 당시엔 "초록불"이란 닉은 안썼다) 진산의 울티마 온라인 여행기는 상당히 괜찮다.
1.3. 번들 게임 논란
- 참조 항목 : 번들 CD경쟁시대
게임피아는 PC 게임 잡지에 정품게임 번들 CD를 끼워서 판매하는 마케팅을 처음으로 제시[5]하기도 했다. 번들 게임 제공으로 인해 구매자들은 게임지 자체의 내용보다는 번들 게임에 따라 잡지를 구입하게 되었고, 번들 게임으로 인한 업체들의 부담 증가, 그 결과에 따른 게임지들의 퀄리티 하락 등의 문제로 인해 한때 각 잡지사가 번들 게임을 주지 않기로 합의했으나, 1997년 10월 졸업 제공으로 게임피아가 이 합의를 깨고 번들 게임을 다시 제공하기 시작했다.
결국 번들 게임 CD 제공은 잡지사 간의 무한 출혈 경쟁으로 이어졌고, 그 결과 PC 패키지 게임 시장의 대몰락과 PC게임 잡지의 몰락이라는 비극적인 결말로 이어졌다. 재미있는 점은 게임피아에서 제공한 번들 게임의 퀄리티는 타 잡지사에 비해 현저히 낮았기 때문에 정작 욕만 무진장 먹고 재미는 크게 못 봤다는 점. 초기에는 코에이와 팔콤의 고전게임으로 가장 재미를 봤지만 그 이후부터는 발매된 지 5년이 지난 게임들을 부록을 내놓다가 비난을 받았다. 그러다가 타 잡지들처럼 발매된 지 얼마 안 된 최신 게임들을 부록으로 내놓기 시작했다.
사실 욕 먹을 만하다. 불법 복제와 함께 한국 패키지 게임 시장을 말아먹은 주범이라고 평해도 무방할 듯. 물론 그렇다고 타 잡지사들이 비판을 벗어날 수는 없을 것이다. 열 올려서 고퀄리티의 게임을 준 건 오히려 PC파워진 같은 타 잡지사들이었다.
'게임은 게임을 사서 하는 거다'라는 당연한 논리를 깨먹은 주범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 이전에 이미 FDD 시대부터 게임은 카피해서 하는 거란 인식이 한국사회에 보편적이었다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그 시절에 동네 컴퓨터가게 같은 곳에 디스켓을 가져가면 500원 정도에 복사해주곤 했다.
다만 게임 잡지사들끼리 제 살 깎아먹는 경쟁을 막기 위해 번들 CD를 내지 않기로 한 합의를 깨고 자회사의 이익을 위해 그나마 안정화될 뻔했던 경쟁을 다시 심화시키고 여러 잡지사들을 시망상태로 만들어놓은 건 평생 까여도 모자란 부분.
당시 각 잡지사 번들 경쟁으로 잡지사간의 치킨 게임이 진행될때 위 문단에 언급된 것과 같이 점점 최신 게임을 번들로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게임이 출시되면 당시 유저들은 출시 직후 몇만원(대략 3~4만원)이나 주고 게임을 사느니 좀 기다린 후 잡지를 사, 번들로 받자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고 출시 직후 사는게 미련한 짓이 되었다. 이렇게 번들로 받으면 상당한 금액을 남길 수 있었다. 이는 번들로 출시한 지 2~3달 밖에 안 된 게임도 주었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다.
이후 번들 경쟁, 와레즈 창궐, 마그나카르타 눈사태의 망령 사태가 겹치면서 한국 패키지 시장은 회생 불가능으로 무너지고 대부분의 개발사들이 온라인 개발사로 전향하였다. 그리고 이때 체질변환을 하지 못한 기존의 강자들(소프트맥스, 손노리 등) 역시 같이 몰락하고 넥슨(바람의 나라), NC소프트(리니지)가 급부상하였으며 이때부터 일본의 주요 게임회사의 한국 지사들이 철수하기 시작했다. 이때 국내에서 장수하던 국내외 패키지 회사 중 멀쩡하게 살아남은 회사는 스타크래프트로 대박난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6] 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참고로 게임피아는 대항해시대2와 삼국지 영걸전을 번들로 제공하여 두 작품을 널리 알린 잡지다. 현재 관점으로 약간 미화를 해 준다면, 패키지 게임 시장을 파멸로 몰아넣긴 했지만 게임 그 자체를 널리 알리는 데는 공헌했다고 봐 줄 수도 있겠다.
2. 한국의 게임 유통사
홈페이지
공식 블로그
위의 게임잡지와는 관련이 없는 게임 유통 회사이다.
주로 EA, 캡콤[7] 등의 게임을 유통하고, 한닌, SCEK의 작품 유통도 일부 담당하고 있다.
근래 디지털터치와의 유통 연계가 눈에 띄게 많고 슈타인즈 게이트나 콥스파티 BLOOD DRIVE, 토귀전 극 등의 한글화 유통도 담당하고 있다.
자사 게임샵인 소프라노를 운영하고 있다.
2020년 2월 26일 기준 유통한 닌텐도 스위치용 캡콤 게임의 패키지를 모두 스티커정발했다.
- 몬스터 헌터 더블 크로스 Nintendo Switch™ #
- 바이오하자드 레벌레이션스 언베일드 에디션 #
- Street Fighter 30th Anniversary Collection #
- 록맨 11(메가맨 11) #
- 캡콤 벨트액션 컬렉션 #
- 역전재판 123 나루호도 셀렉션 #
- 드래곤즈 도그마: 다크 어리즌 #
- 록맨 ZERO & ZX 더블 히어로 컬렉션 #
데빌 메이 크라이 5, 몬스터 헌터: 월드, 몬스터 헌터 월드: 아이스본, 몬스터 헌터 라이즈 등 게임피아가 유통을 맡은 캡콤 게임이 게임 진행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번역 품질이 좋지 않아, 게임피아가 관여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다.
연이은 오역 논란에 몬스터 헌터 시리즈 팬덤은 항상 게임피아를 성토했으나 아무런 공식 입장도 취하지 않았는데, 이런 게임피아의 행보에 의문을 품은 모 유저가 2021년 5월 27일 게임피아에 전화로 해당 이슈에 관한 질의를 하고 답변을 커뮤니티에 공개하였다. 해당 유저에게 게임피아 측은 몬스터 헌터 라이즈의 번역을 담당하지 않았으며, 게임피아가 관여하지 않은 문제이기 때문에 답변을 하지 않는 것이 낫다는 판단해 입장 표명을 하지 않았다고 해명하였다. #
[1] 유아교육잡지 <TV유치원>과 어학잡지 <굿모닝 팝스> 등을 낸 출판사로, 2000년 KBS 미디어에서 분리됐다.[2] 이 무렵에 KBS 2TV에서 게임 방송 프로그램인 게임 스테이션(후기인 2004년 11월에 게임정보특급으로 변경)이 방송되기 시작했다.[3] 2000년대 들어서 대략 5~6년 사이에 다수의 PC 게임잡지와 온라인 게임잡지들이 폐간되고 말았다. 온라인 웹진이나 커뮤니티의 발빠른 소식 전달과 유저간의 커뮤니티 활성화 등으로 달마다 발간되는 종이 잡지로 이를 따라가기가 어려웠기 때문으로 보인다.[4] 단, 1999년 3월호 표지 속 후지사키 시오리 코스프레 의상은 동네 교복점에서 만들었다고 한다.[5] 게임 잡지 중에서 처음은 게임라인 창간호로 게임피아보다 2개월 빠르다.(게임라인 1996년 8월, 게임피아 1996년 10월) 게임라인은 창간호 아니냐고 할 수 있는데, 게임피아도 1주년 기념호였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6] 정확히는 한빛소프트에서 발매했다.[7] 캡콤엔터테인먼트코리아 홈페이지에 소프라노가 언급된 걸 보면 서로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