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강선규 姜善圭 | |
<colbgcolor=#113DA6><colcolor=#fff> 출생 | 1925년 6월 19일 |
경상남도 마산부 (現 창원시 마산합포구) | |
사망 | 1989년 (향년 64세) |
학력 | 마산공립중학교 (졸업) 와세다대학 (전문부) |
의원 선수 | 1 |
의원 대수 | 6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2. 생애
1925년 6월 19일 경상남도 마산부(現 창원시 마산합포구)에서 양조회사를 경영하던 강형우(姜炯祐)의 아들로 태어났다. 마산공립중학교, 일본 와세다대학 전문부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했으나 4학년 때 중퇴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수료했다.이후 경상남도 창원군 내서면 회원리(현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회원동)에서 내서탁주를 경영하였다.#
1956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마산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당에서 구파에 속하였다. 1960년 3.15 부정선거에 항의하여 시위를 하다가 경찰에 연행되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공천에서 정남규에 밀리자 민주당 구파동지회 후보로 경상남도 마산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정남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정남규를 상대로 선거무효소송을 제기하였다가 곧 취하하였다.
이후 축산업에 종사하다가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5년 민정당이 민주당을 흡수하여 민중당이 되자 민중당에 속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한국독립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한태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신민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 황은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3. 여담
젊은 시절 교통사고를 당하여 한쪽 다리를 절뚝거려 지팡이를 쥐고 다녔다고 한다.4. 선거 이력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1956 | 1956년 지방선거 (마산시의회 의원) | | - | 당선 (1위) | 초선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마산시) | 14,416표 (28.74%) | 낙선 (2위)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마산시) | [[민정당|]] | 25,545표 (49.44%) | 당선 (1위) | 초선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마산시) | | 12,021표 (21.31%) | 낙선 (2위)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마산시) | [[국민당(1971년)|]] | 2,189표 (3.19%) | 낙선 (4위) |
역대 후보 이력 | ||||||||||||||||||||||||||||||||||||||||||||||||||||||||||||||||||||||||||||||||||||||||||||||||
|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마산 | 거제 | 진해·창원 | ||
공석 전임자: | 구태회 | 최석림 | 김주인 | 공석 전임자: | |
삼천포·사천·하동 | 산청·합천 | 밀양 | |||
김용순 | 방성출 | 신영주 | 변종봉 | 이재만 | |
양산·동래 | 울산·울주 | 김해 | 남해 | 거창·함양 | |
노재필 | 최영근 | 김택수 | 최치환 | 민병권 | |
◀ 제5대 제7대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