軒 집 헌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車,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고등학교 | 3급 | ||||||
- | |||||||
일본어 음독 | ケン | ||||||
일본어 훈독 | のき, くるま, たか-い, てすり, と-ぶ | ||||||
轩 | |||||||
표준 중국어 | xuā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軒은 '집 헌'이라는 한자로 수레, 창문, 처마, 건물, (누각처럼) 뻥 뚫린 건물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집 |
음 | 헌 | |
중국어 | 표준어 | xuān |
광동어 | hin1 | |
객가어 | hiên | |
민북어 | hṳ́ing | |
민동어 | hiŏng | |
민남어 | hian | |
오어 | xi (T1) | |
일본어 | 음독 | ケン |
훈독 | のき, くるま, たか-い, てすり, と-ぶ | |
베트남어 | hiên |
뜻을 나타내는 車(수레 거/차)와 소리를 나타내는 干(방패 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본래는 고대 중국에서 고위 관리가 사용하던, 앞에 난간이 있고 위로는 화려한 일산(햇빛가리개)을 친 수레를 가리킨다. 그러나 의미가 확장되어 그냥 '수레'란 의미로도 쓰였다. 그 외에도 창문, 처마라는 뜻도 있고, 누각처럼 벽면이 뻥 뚫린 건물, 혹은 그냥 건물이나 방이란 뜻으로도 쓰였다.
유니코드에는 U+8ED2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JMJ(十十一十)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𨍓[⿰車⿱人車](U+28353)
- 𩋱[⿰革⿱人車](U+292F1)
5. 유의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靬(가죽 간)
- 肝(간 간)
- 奸(간사할 간)
- 姧(간음할 간)[1]
- 皯/䵟/𩈅[⿰面干](검은빛 간)
- 馯(검푸른말 간, 사나울 한)
- 𥾍[⿰糸干](다림질할 간)
- 杆(몽둥이 간)
- 忓(방해할 간, 아름다울 한)
- 秆(볏짚 간)
- 盰(부릅뜰 간, 멀리볼 천)
- 𪔆[⿰鼎干](솥 간)
- 玕(옥돌 간)
- 衦(옷주름펼 간)
- 𢁗[⿰巾干](자루 간)
- 虷(장구벌레 간)
- 𧿂[⿰𧾷干](정강이뼈 간)
- 旰(해질 간)
- 𤮽[⿰甘干](감자 감)
- 幵(평평할 견)
- 𩾝[⿰鳥干](기러기 안)[2]
- 矸(깨끗할 안/간)
- 𦏹[⿰羽干](나는모양 안)
- 犴(들개/옥 안)
- 㸩(머무르게할 안)
- 𪗙[⿰齒干](이드러날 안)
- 訐(들추어낼 알)
- 飦(죽 전)
- 𩎒[⿰韋干](가죽 한)
- 豻(들개 한)
- 汗(땀 한)
- 扞/㢨(막을 한)
- 仠(막을 한, 길 간)
- 屽(산이름 한, 언덕 안)
- 骭(정강이뼈 한/간)
- 鼾(코고는소리 한)
- 釬(활팔찌/급할 한)
- 𤽂[⿰白干](흴 한)[3]
- 𤰟[⿰田干](소금기있는땅 항)
- 酐(쓴술 항)
- 㶥(간)
- 𪌃[⿰麥干](궐)
- 𭆺[⿰口干]
- 𱖇[⿰土干]
- 𭒋[⿰姦干]
- 𨸗
- 𭱌[⿰洱干]
- 𥘏[⿰示干]
- 𬏎[⿰番干]
- 𨊱[⿰車于]
- 𩵟[⿰魚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