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5 02:26:43

현대 가나 오십음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eee,#2d2f34>
기타 탁점 · 요음 · 촉음 · · ヶ, ヵ }}} * 음영 처리: 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쓰지 않는 가나
* 둘러보기: 틀:히라가나 · 틀:가타카나
}}}}}} ||
나카구로([ruby(中, ruby=なか)][ruby(黒, ruby=ぐろ)]) / 나카포쓰([ruby(中, ruby=なか)]ぽつ) / 나카텐([ruby(中, ruby=なか)][ruby(点, ruby=てん)])[1] / 구로마루([ruby(黒, ruby=くろ)][ruby(丸, ruby=まる)])
1. 개요2. 용법

[clearfix]

1. 개요

일본어에서 사용되는 기호의 일종.

2. 용법

우선, 복수의 단어를 나열, 구분할 때 이용한다. 예를 들어 마트에서 '야채·과일 코너'는 野菜・果物売り場인데, 야채(野菜)과 과일(果物) 사이에 한국의 가운뎃점(·)과 같은 용도로 사용한다. 한국어 문법에서 이 경우 가운뎃점을 쓰는 것이 원칙이나, ,(쉼표)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일본어에는 기본적으로 띄어쓰기가 없어 외래어에서 띄어쓰기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The World가나로 표기하면 ザ・ワールド인데, 이와 같이 The(ザ)와 World(ワールド) 사이에 띄어쓰기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외국인 인명에서도 성과 이름을 구별할때 쓴다.(ex: ホン・ギルドン, ジョン・ドウ) 비슷하게 쓰이는 기호로는 더블 하이픈(゠,U+30A0)이 있었다. 다른 언어권에서도 더블 하이픈이 20세기까지만 해도 가끔 쓰였으나, 지금은 일본어, 콥트어, 이누이트어를 제외하면 사실상 사문화되었다.

(・・・)와 같이 줄임말을 사용할 때도 사용된다. 나무위키에서 자주 사용되는 (...), (…)도 한국에서는 편의성 때문에 온점(.)을 주로 이용하지만, 일본에서는 나카구로를 사용한다. 한국의 온점에 해당하는 마침표(。)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니 주의. 하지만 블로그, 유튜브 댓글같이 문법을 별로 지키지 않아도 되는 곳에서 글을 쓸 경우엔 고리점(。)을 쓰기도 한다.

직함과 사람 이름, 내지는 고유 명사의 호칭·특징과 해당 고유 명사를 구분할 때 쓰인다. 일본어 가운뎃점의 이 용법을 잘 모르는 사람이 일본 문장을 그대로 번역해 오면서 나카구로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한국에서도 종종 '학생회장·서 진희', '한국의 관광지·제주도'와 같이 가운뎃점을 그대로 쓰는데, 이는 한국어에서는 이 상황에서 공백을 사용하므로 잘못된 용법이다. 덤으로 한국 한정으로 인터넷에서 나카구로 대신 아래아를 같은 용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한자로 쓰거나 세로쓰기를 할 때 소수점 대신 쓰이기도 한다.

일본어 키보드에서는 한글이나 영타 자판의 /에 위치한 키를 입력하면 ・가 기본으로 뜬다. 일본어의 나카구로의 유니코드는 U+30FB로, 명칭은 KATAKANA MIDDLE DOT이다. 한국어의 아래아(U+318D, HANGUL LETTER ARAEA)나 나카구로가 한국어에서 쓰였거나 가운뎃점(U+00B7, MIDDLE DOT)이 일본어에서 쓰였다면 즉시 고쳐 주자. 한국어 글쓰기에서 띄어쓰기나 쌍점을 쓸 곳에 일본식 가운뎃점을 쓰거나 아래아를 같은 용도로 쓰는 웃지 못할 참사가 벌어지기도 한다. 모양이 비슷하다고 해서 비슷한 글자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는 마치 한글 '쓰'를 써야 할 자리에 한자 '丛'(叢(떨기 총)의 간체자)을 는 것과 같고, I(대문자 i)와 l(소문자 L)과 숫자 1을 교환해 쓰는 것과 같고[2], 라틴 문자 H(에이치)와 그리스 문자 Η(에타), 키릴 문자 Н(엔)을 교체해 쓰는 것과 같다. 겉으로 보기엔 별 차이 없어 보일지 모르지만, 컴퓨터는 전혀 다른 걸로 인식하므로 검색에 있어 매우 불편을 겪을 것이다. 일부 인터넷 사이트(네이버)등지에서 가운뎃점 대신 사용하고 있다.

비슷한 예로 그리스어의 "·(GREEK ANO TELEIA, U+0387)"도 별개 취급을 받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주텐([ruby(中, ruby=ちゅう)][ruby(点, ruby=てん)])'이라고 음독하면 수학에서 사용하는 중점이다.[2] 이것은 역사가 깊으며 오래된 타자기에는 키 수를 줄이기 위해 숫자 1을 없애 이들을 같이 쓰도록 한 것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