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8 06:47:08

Strike Fighters(모바일)

Strike Fighetrs
스트라이크 파이터즈
파일:SFMC main logo.jpg
<colbgcolor=#1492FF><colcolor=white> 발매 2017.03.15
제작 ThirdWire Productions
유통 ThirdWire Productions
플랫폼 Google Android, Apple iOS
장르 비행 시뮬레이션
기타 부분유료화|Free2Play
관련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1]

1. 개요2. 특징3. 게임 시스템4. 등장 장비
4.1. 등장 공중장비4.2. 등장 지상장비
5. 무장6. 전장7. 문제점
7.1. 고증 오류
7.1.1. 2025년 고증화 패치
7.2. 과도한 제작자의 사심 반영7.3. 특정 국가 차별7.4. 제멋대로인 무장 추가 기준7.5. 소통이 없는 제작자7.6. 불편한 게임플레이
8. 기타

1. 개요

Strike Fighters는 Strike Fighters 시리즈의 6번째 모바일 플랫폼작이다. 본래 이름은 'Strike Fighetrs Modern Combat'이었으나, 각종 DLC의 추가로 연도 구분이 무의미해진 관계로 2020년 5월 중순 앱 이름이 Strike Fighters로 변경되었다. 이후 자사의 다른 게임들은 스토어에서 모두 내려가 모바일 플랫폼에서는 이 게임 하나밖에 남아있지 않다.[2]

종합적으로 Strike Fighters Legends의 기본 모습을 갖춘 채 시스템을 완전히 바꾸어 게임성을 크게 향상하였다. 기본적으로 레이더의 모습도 바뀌었고, 타게팅 포드나 자체 목표 획득 시스템이 있으면 지상유닛을 선명하게 볼 수가 있는 등 여러 면이 바뀌었다. 기본적으로 적 처치시 100포인트를 주며, 출석보상도 전작과 같은 출석일수×500크레딧이었으나 현재는 일일 미션 클리어 보상 5,000 크레딧으로 대체되었다.[3] 일일 미션 보너스와는 별개로 매일 한 번 미션 결과창 죄상단에 위치한 선물 상자 아이콘을 클릭해 광고를 시청하고 추가 보상을 얻을 수 있다. 원래 1만 크레딧이던 보상이 2025년부터 2만 5천 크레딧으로 변경되었다.

메모리얼 데이, 추수감사절 같은 미국의 기념일이 되면 미션 수행 보상을 두 배로 지급한다. 이 때를 노려 돈을 많이 모아주자.[4] 현금 결제 요소의 경우 모두 5,500원이었다가 6,500원으로 인상된 후에는 추수감사절~블랙 프라이데이기간이나 기념일에 관계없이 비정기적으로 1,000원 혹은 일정 비율 할인해 준다.

보상 이벤트를 진행하지 않으면 대부분 인게임 상점 크레딧 구매 시 제공하는 크레딧을 50% 늘려준다. 즉 이벤트 기간동안 크레딧을 구매하면 45만 크레딧을 받을 수 있다.

공휴일/미국 문서에 있는 대부분의 기념일에 이벤트를 진행하지만 어떤 날에 어떤 이벤트를 진행하는지는 순전히 제작자 마음인 것으로 보인다.

예전에[5] 크리스마스 기념으로 일정 횟수의 미션을 클리어하면 2020 추가 DLC 중 하나를 무료로 제공했었던 적이 있었다. 물론 지금은 보상 2배 혹은 할인 이벤트로 대체.

국제적인 군사 충돌이 일어나면 관련국이 포함된 DLC를 무료로 제공하며, 관련국의 공군기가 추가되기도 한다. 일례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발발한 후 우크라이나 공군이 포함된 패키지 1을 무료로 제공했으며, 이후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발발하자 이스라엘 공군기들을 더 추가함과 동시에 이스라엘 공군이 포함된 패키지 4를 무료로 제공했다. 현재는 제공 종료.

시뮬레이션이라는 큰 틀을 해치지 않으면서 아케이드성이 적절히 가미된 나름 괜찮은 게임이다. 몇 시간씩 진득하게 하기는 좀 그렇고 타임킬링용으로 가볍게 몇 판 즐기기 좋다. 아케이드성이 매우 짙은 게임이 난무하는 모바일 공중전 게임 시장에서 시뮬레이션을 원하는 사람에게는 한줄기 빛 같은 게임. 이보다 더 하드코어한 시뮬레이션성을 지향하는 게임도 몇몇 있으나, 민항기 위주이거나 군용기 위주여도 종류가 몇 안 되는 게임인데 반해 이 게임은 각종 지원기를 제외하고 구현된 국가의 거의 모든 공군기를 조종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제작사 여건 상 게임에 대규모로 투자하는 게 불가능해 그래픽 업데이트가 출시 이후 단 한 번밖에 없을 정도로[6] 그래픽이 상당히 열악하고, 이런 항공 시뮬레이션 같은 경우 제대로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PC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 이 분야 자체가 인지도가 낮아 빛을 보지 못하고 있는 비운의 게임. 시뮬레이션 불모지인 대한민국에서의 인지도는 절망적인 수준.

2. 특징

전체적으로 총 5가지가 크게 변했다. 다만 변경된 사항 중 몇몇 기능들은 현금 결제가 필요하다.
현질이 필요한 경우는 (☆) 표시.
1.다른 작품과 달라진 기체 선택
이 게임은 기체의 무장 상태에 따라 버전이 나뉘어서 기체가 매우 많은 편이었으나, 본작에서는 아예 무장을 신기능으로 도입해 더 이상 그럴 필요가 없어져 상당히 편리해졌다. 또한 기체를 연도별로 나눈 타작과 달리,기본적으로 현대전이라는 것을 따라 1980~2020년대 기체 밖에 없어 연도 제한에서 자유로워졌다. 이후 각종 DLC의 추가로 1991년 걸프 전쟁, 1980년대 냉전 및 1972년 베트남 전쟁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게 되었다. 자사의 모바일 시리즈들을 이 게임 하나에 통합하는 추세인 듯. 실제로 본작을 제외한 전작 모바일 시리즈들은 플레이스토어와 앱스토어, 개발사 홈페이지에서도 모두 내려가 더 이상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레벨 제한은 그대로 있지만 돈을 써서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2. 미션 구도가 매 판마다 변경됨
이 작품이 전작들과 구분되는 이유다. 모바일 전작 시리즈들은 그저 적군 섬멸이 주 내용인지라 시간이 다 되거나 죽을 때까지 싸우는 거라면, 이번 작은 자신에게 주어진 미션을 수행하면 된다. 일부 미션은 전작이랑 비슷하지만, 구도 자체가 달라졌다는 거에 감사를 표하자. 게다가, 그토록 유저들이 바라는 기능인 아군기가 존재한다.

3. 원하는 대로 꾸밀 수 있는 무장 커스터마이징(☆)
이 시스템은 처음은 아니지만, 상당히 좋은 기능으로, 각 나라별로 공대공/공대지/공대함/대레이더 미사일을 장착 가능하며, 당연히 레이저/GPS 유도폭탄/대함미사일까지 장비 가능하다. 물론 로켓이나 추가 연료 탱크, 무유도 폭탄도 있고, 그걸 뗄 수도 있다. 다만 현실성 있게 유도 폭탄들은 타게팅 포드가 있어야 제대로 사용이 가능하고 락온 사거리는 공대지 미사일보다 짧다. 무엇보다 자가추진이 불가능한 무장들의 경우 탄속이 느린 것까지 구현되었고, 각 무장별로 최대 속도나 비행 방식 같은 것도 전부 구현되었다! 이렇듯 무장에 따라 사거리, 미사일 속도,장비 가능 갯수가 각 장비/기체마다 다르다.

이 기능은 (모바일판 한정)Strike Figthers 시리즈에서 반 외전격인 Star Vector[7]의 무장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을 이 작품에 맞게 적용하였다.

4.스스로 꾸밀 수 있는 커스텀 미션(☆)
미션 자체도 본인이 원하는 대로 설정 가능하다. 임무의 성격은 물론, 지역과 아군 및 적군까지 설정이 가능하고 등장 기체와 적/아군의 규모까지 세세하게 정할 수 있다. 기본으로 선택할 수 있는 전장은 대한민국, 이란, 시리아, (패키지 1을 무료로 받았다는 가정 하에) 우크라이나 동부로 DLC를 구매하면 더 추가된다. 전장들은 전부 국제관계상 군사적 충돌의 가능성이 있거나 이미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고 있는 분쟁 지역이며, 기본적으로 자신이 플레이하려는 기체의 소속 국가 혹은 그 근방의 전장이 선택되지만, 미 공군의 경우 활동 무대가 무대다 보니 커스텀을 하지 않아도 거의 대부분의 맵을 돌며 플레이할 수 있고, 그만큼 미국의 적국 소속 공군이라면 어디서나(...) 지겹게 볼 수 있다. 한국 전장은 툭하면 J-10C와 J-20이 나오는 바람에 난이도가 조금 있는 편. 마음만 먹으면 미 공군 vs 미 해군 공중전 훈련 상황이나 태평양 전쟁 현대전 버전, 적대국끼리 연합 공군을 구성하거나, 우크라이나 전장을 선택해 전향한 러시아 공군 기체를 컨셉으로 같은 러시아 공군과 싸우는 등 각종 가상 시나리오를 구상해 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확장팩에 등장하는 진영의 전투기들은 확장팩 구매를 하지 않아도 아군/적군으론 등장시킬 수 있다.

한마디로 비록 돈을 써야 되지만 그만큼 추가 요소가 많이 늘어났다.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여러 국가의 공군과 전장이 추가되나 DLC처럼 판매하는 방식이다. 게다가 딱히 현질이라 해도 기체를 전부 주는 것도 아니고 직접 크레딧으로 언락해야 하며, 딱히 성능이 독보적이지도 않다.

5.콕핏뷰 시점 제공(☆)
F-16 스타일의 콕핏 모델이 제공된다. 콕핏 뷰 시점을 선택하면 자이로를 이용해 조종해야 한다. 화면 드래그로 전방 180°를 자유롭게 둘러볼수 있고, 확대 축소가 가능하다. 문제는 콕핏 모델이 F-16의 그것뿐이라서 어떤 기체를 타던지 F-16을 타는 느낌이 든다. 콕핏의 많은 부분이 실제로 가동된다. 전방의 HMD, FLIR 화면, 레이더 화면, RWR, 수평계, 고도계, 속도계 등이 실제로 전투기의 상태를 출력해준다. 자이로 조종이 능숙하다면 계기비행도 시도해볼만 하다.

3. 게임 시스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trike Fighters(모바일)/게임 시스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trike Fighters(모바일)/게임 시스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trike Fighters(모바일)/게임 시스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등장 장비

4.1. 등장 공중장비

들어가기 전에 알아둘 건 이 게임에서 수치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제공 전투기, 멀티롤기, 공격기 등의 기종별 설계 목적이 다르기에 수치가 크게 차이나는 경우면 몰라도 10 내외의 근소한 차이면 무시할 수 있다. [8] 그렇기에 사실상 대략적인 면만 대충 보여주는 수치는 참조용으로만 보고, 같이 제공되는 실기체의 스펙을 봐야 한다. 최고 속도, 폭장량, 엔진출력, 탑재 가능한 무장, 추력편향노즐이나 AESA, PESA 같은 위상배열 레이더의 장착 여부[9] 등등, 이런 곳에 바로 핵심이 있다.

기만체의 경우 단좌형은 6번, 복좌형은 9번, 일부 공격기에 한해[10] 10번, 폭격기의 경우 둔하고 큰 덩치인 걸 감안해서인지 기종에 따라 B-2를 제외하면[11] 12~16번 사용할 수 있었으나, 2025년 9월 23일자로 기체의 기령과 체급을 고려해 기령이 많거나 덩치가 작을수록 기만체 사용 가능 횟수가 적어지며, 반대의 경우에는 많아지게끔 패치되었다. 이 패치로 말미암아 각종 경공격/전투기, 초기형 F-16이나 F/A-18D/F 같이 기만체 사용 가능 횟수가 줄어든 기체가 있는가 하면, F-15E나 Su-30, 블록 50 이후 사양의 F-16 같은 전폭기들은 기만체 사용 가능 횟수가 9~12회로 폭격기와 거의 동일하게끔 바뀌었고, A-10의 경우 형식에 관계없이 24번 사용할 수 있어 폭격기를 아득히 능가한다. 폭격기는 아직 기만체 변동 사항이 없다.

전에는 각 공군 기체를 한 대씩 주는 소위 '기본 기체'가 있었으나 패치로 첫 기본 기체는 500크레딧으로 팔고 한 국가의 공군을 택하면 타국의 기본 기체 가격은 5배인 2,500 크레딧으로 오르게 바뀌었다, 아쉬운 부분 중 하나.

업그레이드형의 경우 약 20,000~60,000 크레딧 내외로 기본형 기체보다 대폭 낮은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12] 구매할 경우 기체 이름 옆에 붙어 있는 [upgrade]라는 글자가 [upgraded]로 바뀌는 쓸데없이 깨알같은 디테일이 있다.

또한 각 진영의 약자가 엿장수 마음대로다. 해당 국가의 국어를 기반으로 한 약자를 쓰는 곳이 있는가 하면 영어 기준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기본 2020년외에도 추가 DLC 진영, 그리고 데저트 스톰작전 당시 1991년 팩이나 냉전당시 공군팩등이 있다, 아래 항목들 참조.

하술하겠지만 업데이트를 할 때 변경 내역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변경 사항 반영이 매우 느릴 수 있고, 기본 컨텐츠 외에는 전부 현금 결제가 필요해 접근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서술이 부족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자. 기체 가격의 경우 비정기적으로 변동되므로 정확한 수치가 아닐 수 있으며, 대충 그 정도의 가격이 잡혀 있다고 생각하자.
Strike Fighters(모바일)의 기체 종류
Modern Combat 2020 기본 Modern Combat 2020 추가 DLC Desert Storm 1991 DLC Cold War Europe 1980-89 DLC Vietnam War 1972 DLC

편집 지침
인게임 내 진영 정렬 순으로 정렬함. (국가명별 ABC순)
총합 댓수에는 업그레이드 버전, 확장팩 기체 포함.
해군 항공대 기체도 같이 있는 진영은 편의상 통합하여 작성함. 해군 항공대 기체는 ☆표로 표시한다.

4.2. 등장 지상장비

항목 참조.

5. 무장

항목 참조.

6. 전장

항목 참조.

7. 문제점

7.1. 고증 오류

시뮬레이션 게임 치고는 고증 오류가 너무 많다. 일단 게임 엔진상 한계로 모든 기체의 기동성이 실기체와 비교하면 상당히 굼뜨다. 특히 추력 면에서는 모든 기체들이 현실과 달리 가속이 느린 편이다. 이렇게 전체적으로 너프를 먹고 시작하는 마당에 이중에서도 가속이 느린 기체들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체를 타면 정말 엄청나게 답답한 게 확 체감된다. 포스트스톨 기동이 불가능한 건 덤. 확실히 문제이긴 하지만 엔진을 바꾸자니 게임을 완전히 갈아엎고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야 하는지라 유저들도 가끔씩 기동성 개선을 해달라는 요청을 하는 걸 제외하면 딱히 문제 삼지는 않는 편이다.

기체 고증도 간간히 지적되고 있다. F-15의 경우 형식 불문하고 모델링 상 노즈 아랫부분이 살짝 더 내려와 있으며, F-35B는 다른 형식에 비해 노즐이 짧은데 인게임에서는 다른 형식들과 노즐 길이가 똑같은 것이나, 무장의 사거리 오류 등이 대표적으로 지적받는 문제. 일부 F-16의 경우 표기상으로는 GE F110을 사용하는 블록 X0 계열인데 실제 제원표에 표시되는 바로는 P&W F100을 사용하는 블록 X2 계열인 등의 오류가 있었으나, 2025년 11월 11일 핫픽스 업데이트로 수정되었다.

플레이어가 선택한 기체에 따라 미션의 완급 조절도 없어서 장거리 순항 미사일을 탑재한 폭격기의 경우 여타 일반 전술기와 똑같이 목표 지점 인근에서 스폰되는데, 폭격기 입장에서 이 정도는 전쟁 중이라 방공식별구역이 무의미하다는 것을 고려해도 진작에 격추되고도 남는 엄청나게 가까운 거리다. 또한 순항 미사일이 보통 적국의 영공보다 훨씬 먼 곳에서 안전하게 타격하기 위해 발명된 것을 생각했을 때 적국의 영공에 이미 들어온 상태에서 발사하는 인게임의 순항 미사일 운용은 사실상 영거리 사격이나 다름없다. 아니면 적군이 단체로 미쳐서 죄다 직무유기를 했거나 자체 탑재 무장으로 방공망 하나 걷어내기도 벅찬 경공격/전투기 역시 지상 유닛의 수를 조절할 수 없어 수많은 방공장비의 호위를 받고 있는 지상 부대를 적기의 견제까지 서비스로 받으면서 홀로 독대해야 한다. 현실에서 이러면 그냥 얌전히 죽으라는 거나 마찬가지. 그 외에도 스트라이크 패키지를 호위하는 아군 호위기가 너무 적다거나, 아군 방공망의 부재 등의 오류가 있다.

무장 고증도 시원찮은데, F-15K는 운용 가능 무장이었던 매버릭을 뺐더니 운용한다는 정보가 없는 HARM을 줘 버렸다...[13] 이외에 매버릭의 장탄수 비고증[14] 문제가 지적되었으나 이는 2024년 12월 28일 고증화 패치가 드디어 이뤄졌다. 단 팬텀은 국가를 막론하고 여전히 고증에 맞지 않는 6연장 발사대를 사용 중이다.

지상장비 고증은 공중전 게임이라고 그냥 관심을 끈 건지 공중장비 고증이 선녀로 보일 지경으로 개판이다. 미중러 3개국의 고증은 좋은 편인데 문제는 이 3개국의 고증 좋다.[15] 대한민국의 경우 K-2 흑표, 천궁-II, K-31 천마, K808, K-30 비호, K-21 등 게임에 나올 만한 한국산 장비가 차고 넘치는 데도 딱 M48 패튼(...) 하나다. 이것도 사실 대한민국 지상세력을 묘사하기 위한 겉치레인 거지 사실상 대한민국 장비가 하나도 구현되지 않은 셈. 그나마 패튼의 경우 해병대에서 아직도 쓰고 있으니 변명이라도 할 수 있지만 나머지 전장들은 미 육군이 다 쌈싸먹는 건지 이미 대부분의 국가에서 퇴역하거나 2선급으로 전락한 레오파르트 1과 그나마 최신형인 크로탈 NG 둘을 제외한 유럽산 지상장비는 모조리 등장하지 않고 전부 미국제로 통일당했다.[16]

7.1.1. 2025년 고증화 패치

제작자도 각종 고증 오류가 있다는 걸 알고는 있는지 2025년 8월 부로 각종 고증화 패치가 진행되고 있다. 물론 현실 작계 반영은 한참 멀었지만, 그나마 일부라도 수정되고 있는 게 다행인 점. 특히 유도 무장의 유도 방식이 크게 개선되었는데, 반능동 레이더 미사일은 무장을 바꿨다가 다시 반능동 레이더 미사일을 선택하여 발사하는 식으로 여러 표적과 동시교전을 하는 꼼수를 사용할 수 있었지만, 2025년에 8월 업데이트로 끝까지 한 표적에만 끝까지 락온을 유지해야 하도록 패치되었으며, 지금은 무장을 바꾸는 즉시 유도가 중단된다. 레이저 유도 무장도 이전에는 FnF나 다름없는 식으로 운용이 가능했는데 25년에 반능동 미사일과 마찬가지로 끝까지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변경되었다.[17]

2025년 9월 23일에는 하드 모드를 키지 않아도 적기가 기만체를 사용하도록 바뀌었다.[18] 하드 모드를 켰을 때는 기총 재장전이 더 이상 불가능하며, 기체 간 성능 차이도 구현했는지 격차가 클 경우 비스텔스기도 기만체를 사용하지 않고 급기동만으로 능동 레이더 미사일을 회피할 수 있으며, 더 이상 기만체를 한 번만 사용해서 SAM을 회피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상술했듯 기만체 사용 가능 횟수도 전체적으로 재조정되었다. 기만체에 미사일이 기만될 확률도 전체적으로 낮췄는지 적기가 기만체를 사용해도 격추가 가능해 예전처럼 거의 대부분이 빗나가는 불상사를 줄였다. 아쉬운 점이라면 각종 경공격/전투기와 많은 국가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F-16은 모두 일괄적으로 기만체 갯수를 3개로 줄여버려 강제로 생존성에 손해를 보게 되었다. 특히 F-16의 경우 최신 개량형이 되어야지 겨우 기만체가 늘어나는 걸 빼면 유도 고증화와 기만체 너프로 효율까지 극도로 떨어지게 되어[19] 큰 타격을 받았다. 고증 면에서는 뭐라 할 게 없으나 상술했듯 이들로는 더 이상 일반적인 지상 미션 플레이가 지나치게 어려워져서 지상 유닛 수량 조절 기능이나 소규모 지상 유닛만 있는 신규 미션의 추가가 절실한 상황.

미사일들도 점점 세분화되고 있다. AGM-65가 첫출발을 끊었으며, 그 다음으로 AIM-9이, 2025년 11월 25일 업데이트로 AIM-120C가 각각 C[20], C-5, C-7, C-8 4가지로 세분화되었다.

7.2. 과도한 제작자의 사심 반영

게임을 플레이하다 보면 업데이트에 제작자의 사심이 들어가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금 더 직접적으로 말하자면 제작자 개인의 정치 & 외교적 논리를 게임에다 그대로 반영한다. 아무리 특정 국가에 대한 사적인 호불호가 있다고 해도 고증은 우선적으로 지키는 게 일반적인 시뮬레이션 게임으로서는 낙제점인 셈. 그저 자기 마음에 든다 혹은 안 든다고 특정 진영에 과도한 버프를 주거나 너프를 가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몇 가지 예시를 들자면...

* 우크라이나 공군 버프와 러시아 공군 차별. 설명이 필요없다.
  • 튀르키예, 이집트, 이란 3개국의 기체들을 삭제했다가 복각하는 걸 반복하고 있다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발발하자 이스라엘 공군기는 추가하고 해당 3개국의 기체는 다시 삭제해 버림으로서 의도했든 아니든 본인이 어딜 지지하는 지 공개해 버리고 말았다. 이 국가들은 하마스를 공개적으로 지지(이란)하거나 중립을 표방하는 척 하면서 은근히 하마스를 지지(튀르키예, 이집트)한 적이 있기 때문에 한 마디로 괘씸죄(...) 라는 것. 결국 계속 삭제와 복구가 반복되는 것에 욕을 먹었는지 현재 3개국의 기체들은 전부 상시 판매로 전환된 상태이다.
  • 2025년 4월 11일, 이 행보가 극에 달해 무려 그린란드 전장과 가상의 그린란드 공군기를 무료로 추가하고 미국, 그것도 대놓고 진영명 옆에 '(MAGA)'라고 적힌 기체들과 적대하게 설정해 놓았다. 이쯤되면 정말로 미국에 있는 회사가 맞는가 싶다 심지어 보수 색채가 강한 텍사스다 무료로 추가되는 기체는 제작자가 지지하는 입장을 내비치는 국가의 기체들이며, 전장 추가는 DLC가 아닌 이상 없다는 걸 감안하면 트럼프 정권이 싫다는 걸 공개적으로 내비친 것과 다름없기 때문에 유저들 대부분이 최악의 업데이트라며 부정적으로 보고 있을 정도로 반응이 좋지 않은 상태다. 그도 그럴 것이 지금까지 추가된 전장은 최소한 적대 관계가 명확한 진영들끼리 대결 구도를 설정해 놓았는데, 현재 미국이 그린란드를 탐내고 있을지언정 대놓고 그린란드 및 덴마크와 척을 지고 적대하겠다고 선언한 적은 없다. 그냥 트럼프 정권이 싫다는 거 하나만으로 시뮬레이션 게임에 노골적인 정치적 요소를 삽입하는 엄청난 무리수를 둔 셈.
  • 관세 문제로 미국과 캐나다의 외교관계가 급속도로 냉각되자 역시나 캐나다가 구매하려고 간만 보고 있는 JAS 39E 그리펜을 바로 추가해 줬다. 심지어 정식 기체도 아닌데 캐나다 자국식 명칭까지 적용한 가상 기체로 취급하고 추가했다. 그나마 타국처럼 거저 주는 가격이나 무료로 추가한 게 아닌 것이 차이점이라면 차이점.

7.3. 특정 국가 차별

미국의 실질적 적국인 중국, 러시아의 기체는 취급이 매우 안 좋다. 성능이 검증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본인이 정보기관 문서라도 훔쳐 보는 건지 일부 하이급 기체를 제외하면 무조건적으로 서방 기체들보다 성능이 낮게 책정되어 있으며, 서방 기체들은 실전 배치가 됐든 안 됐든 신규 무장이 포착되면 곧잘 추가되는 것에 비해 이 2개국의 기체들은 공통적으로 이미 운용이 확인된 무장이 있더라도 무장 업데이트를 거의 받지 못하고 있다. 이 두 국가의 수출형 기체들까지 방사 피해를 입은 건 덤. 서방 기체들의 사례와 비교해 보면 정말이지 기가 찰 지경이다.
  • 러시아 기체의 경우: 러시아의 침략 전쟁이 발발한 이후 대놓고 차별하고 있다. 전쟁 발발 이후 2025년 기준 러시아 기체들이 받은 신규 무장은 2023년에 추가된 R-37M과 Kh-47M2 킨잘, 2025년 8월 30일 추가된 UMPK-500 셋이 끝이다. 킨잘은 격추가 불가능하다느니 온갖 거창한 홍보를 해오다가 실전에서 패트리어트에 격추되었다는 논란이 있는 걸 고려하면 킨잘의 추가는 사실상 조롱의 의도가 다분하다. 심지어 Su-57은 스텔스 성능이 너프까지 받았다! 이외에도 공중 플랫폼에서 운용 가능하지만 미구현 상태인 무장이 많고,[21] 세분화가 너무 대충 되어 있다.[22] 이렇게 엄청난 푸대접을 받으며 가끔씩 도색이나 변경되는 게 러시아 기체들의 현주소다. 반대로 우크라이나는 서방에게 요청한 공여 목록에 있는 기체 및 무장들이 매우 빠르게 추가되는 등 누가 봐도 과도한 버프를 주며 사실상 대놓고 우크라이나를 지지하는 것을 표명하여 러시아 공군 차별은 전쟁이 끝나지 않는 한, 어쩌면 끝나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 중국 기체의 경우: 이쪽은 유저들이 관심이 없을 뿐이지 러시아 기체들보다 사정이 더 안 좋다. J-10, J-20 같이 서방 기체와 성능이 비등하거나 좋은 기체들이 있으나, 저 둘이 끝이고 러시아 기체는 그래도 가끔 가다 신규 무장을 찔끔찔끔 받기라도 했는데 이쪽은 출시 이후부터 지금까지 추가된 신규 무장이 PL-17 단 하나밖에 없다가 2025년 9월 30일에 들어서야 드디어 신무장인 AKF-98A를 받았다. 게다가 PL-17은 개발 및 테스트중인 모습만 포착된 거지 실전 배치가 진행되었다는 정보는 아직까지 없는데, 이러면서 차기 함재기로 사실상 채택이 확정된 J-35는 감감무소식이다. 그나마 러시아 기체와 달리 도색이라도 자주 변경해주는 게 다행이라면 다행인 점이지만 이마저도 여태까지 받은 취급을 고려해 보면 향후 중국이 정말 침략 전쟁을 벌일 경우 러시아보다 못한 수준으로 대우가 떨어질 수도 있다.
  • 한국 기체도 위 둘만큼은 아니지만 은근히 차별받고 있다. F-16 계열기들이 세분화 및 고증화되지 않았으며,[23] KF-21 보라매는 아무리 공개된 정보가 부족하다고 해도 억까에 가까울 정도로 전체적인 성능이 같은 체급의 기체들에 비해 좋지 않다. 특히 엔진 성능은 실기체의 엔진 제원과 비교해 턱없이 모자라다.[24] 무장의 경우 위 중러 2개국과는 다르게 2025년 8월 31일 핫픽스 업데이트로 KGGB까지 추가되어 현용 무장은 충실히 구현된 상태. 물론 엄밀히 말하자면 KGGB도 장기간 미구현 상태였기 때문에 아쉬움이 남는 건 마찬가지다.

7.4. 제멋대로인 무장 추가 기준

대체 어떤 기준으로 무장을 추가하는지 알 수가 없다. 보통은 실전 배치 + 실기체의 운용 정황이 포착되거나, 판매나 통합 계약이 이뤄져야 추가하는 것처럼 보이다가도 테스트 정황이나 찌라시만 포착되면 곧바로 추가하는 경우도 있고, 이미 실전 배치된 지 오래된 물건임에도 전혀 추가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주로 서구권 무장들이 전자, 동구권 무장들이 후자에 해당된다. R-37M은 2019년 운용에 들어갔음에도 2023년에 추가되었는데, 같이 추가된 미국의 AIM-174는 테스트 사진이 공개된 지 약 한 달만에 추가되었고 Kh-35 역시 2025년 3월 인도의 MiG-29K에만 추가되었다가 무려 8달이나 지나서야 러시아의 Su-34에도 추가되었다. UMPK 역시 최소 2023년부터는 활발히 운용되기 시작했으니 2년이나 지나고서야 추가된 셈. 그나마 이건 양반인 게, 중국의 대지 무장은 몇몇 미사일과 LT/LS 계열 유도 폭탄만 있을 뿐 TG/TL 계열 폭탄 및 미사일 등 수없이 많은 무장들이 있음에도 죄다 미구현 상태로 조사를 의도적으로 안 하는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심각하게 부족한 상태이다.

항공 폭탄과 로켓 종류는 전작들과 비교해 종류가 굉장히 많이 줄어들었다. 로켓의 경우 서구권 국가들은 히드라 70만 있고 양대산맥으로 취급되는 주니 로켓이 없으며, 동구권 국가 역시 S-5, S-8만 구현되어 있고 S-13, S-24, S-25등의 대구경 로켓들은 전부 미구현되었다. 항공 폭탄 진영과 유도 가능 여부에 관계없이 3,000 파운드 이상의 고중량 폭탄과 집속탄을 제외한 저항력 폭탄 같은 파생형들은 싸그리 미구현되었다. 설상가상으로 집속탄은 2020년대 캠페인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아무래도 집속탄 금지 협약을 의식하고 넣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해당 문서를 열람하면 알 수 있듯 이 협약에 서명하지 않은 국가는 미국, 대한민국을 포함해 생각보다 많다. 왜 추가하지 않는지는 불명.

또한 제원상 장착이 가능해도 실전에서 잘 운용하지 않으면 가차없이 빼 버리는데, 매버릭이 미구현된 일부 기체들,[25] A-10, MiG-25, MiG-31 등 일부 기체의 외부 연료 탱크 미구현, 내부 무장창과 기총, 추가 주익 파일런이 미구현된 F-111E/F[26], F-15E/I/K가 공통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GBU-28 미구현, 상술한 집속탄 등 셀 수 없이 많다. 서구권의 Mark 80 시리즈 항공 폭탄들은 각각 500파운드, 2,000파운드인 Mark 82와 Mark 84를 주로 사용한다는 걸 의식해서인지 250파운드인 Mark 81은 아예 미구현, 1,000파운드인 Mark 83은 미 해군 및 해병 항공대와 일부 기체들을 제외하면 사용이 불가능하다. 동구권도 마찬가지로 FAB 계열 항공 폭탄은 중량이 최소 100kg~최대 9000kg까지로 다양한데 인게임에서는 100kg, 250kg, 500kg 짜리만 있다. 이마저도 FAB-100은 일부 공격기에만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때문에 고중량 항공 폭탄 탑재가 가능한 폭격기들은 얄짤없이 저 두 물건만 써야 한다. 러시아 폭격기만의 특색이 죽어버린 건 덤.

이러한 로드아웃이나 무장을 정말로 영원히 안 쓸 지 알 수도 없는데[27] 잘 사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미구현한다면 이미 퇴역했거나 도입이 불확실 및 취소된 기체들도 모조리 삭제해야 형평성에 맞지만 반대로 아무렇지 않게 추가하는 보면 정말이지 아이러니의 극치.

7.5. 소통이 없는 제작자

제작자가 유저들과 일절 소통을 하지 않는다. 업데이트를 해도 패치 노트 내용을 'Minor fixes and improvements' 외에는 일절 제공하고 않고 있다. 유일하게 알려주는 게 DLC 추가 정도. 기체 추가는 머릿수가 늘어나니까 찾기 쉬운데 무장이 추가된 경우 추가된 기체를 파악해야 하고 그 다음에 또 추가된 무장을 일일이 찾아줘야 하며, 도색이 변경된 경우에도 변경된 기체를 일일이 찾아야 한다. 버그들 역시 무슨 버그가 있는지도, 이를 고쳤다고 하지도 않기 때문에 버그인지, 제작자가 의도한 기능인지 알 수가 없다. 하위 문서에 '불명확'이 많이 등장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너프와 버프 및 기체 추가/삭제도 나름 중요한 정보인데 단 하나도 알려주지 않아 유저들을 당황케 한다. 대표적으로 어드밴스드 슈퍼 호넷과 기타 국가들의 기체가 아무런 공지도 없이 삭제되었으며, Su-57J-20은 내부무장창에 6발의 AAM이 들어가는 걸[28] 잠수함 패치로 4발로 너프되었다. 그나마 어드밴스드 슈퍼 호넷은 DLC로나마 재등장했고, J-20과 Su-57의 탑재량 너프는 고증인 게 밝혀졌다.[29]

문의에 대한 답변도 거의 보내지 않는다. 제때 안 보는 건지 고의로 씹는지는 불명. 공식 디스코드 서버는 말 그대로 서버 만들기만 해놓고 아예 관심을 꺼버려서 모더레이터, 심지어는 서버 관리용 봇조차 단 하나도 없기 때문에 욕설이 올라오는 건 일상 다반사고 유저간 분쟁, 도배, 심지어는 테러를 가해도 전혀 제재를 가하지 않아 가해 유저를 유저 개개인이 알아서 차단하거나 디스코드 자체에 신고를 해야 하며, 아무리 맨션을 하던 질문글이 올라오던 답변도 전혀 하지 않아 같은 유저들이 최대한 지식을 끌어모아 답변을 하고 있는 황당한 실정이다. 서버 분위기가 조용하고 다들 이런 비주류 게임을 하고 있다는 심리 때문에 전체적으로 서로 상부상조하는 분위기가 있어서 그런 거지 만약에 활발했으면 진작에 서버 터지고도 남았을 일이다. 그러다가 2025년 7월 22일, 개발사 공식 블루스카이 계정 개설 소식과 함께 서버를 물갈이하면서 드디어 봇이 도입되어 욕설 정도는 필터링을 하기 시작했다. 업데이트 공지도 작성을 시작하기는 했는데, 고작 이 두 가지가 끝이라서 제작자가 유저들에게 일방적으로 통보만 하고 유저들끼리 의논하는 구조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이렇게만 보면 유저들의 피드백을 나몰라라 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유저들의 요구사항은 간간히 업데이트에 반영해 주고 있기는 해서 완전히 무관심한 것은 아니다. 문제는 유저들의 제시한 의견에 대해 가능한지 불가능한지 답변도 하지 않고, 하다못해 다음 업데이트 사항에 대한 소정의 설명조차 없는 등 최소한의 소통을 하려고 하지 않는 것.

7.6. 불편한 게임플레이

게임플레이도 자잘하게 불편한 요소가 은근히 많다. 일단 튜토리얼이 없으며,[30] AI의 수준이 너무 낮다. 노가다 효율도 매우 좋지 않은데, 기본 기체와 도저히 못 써먹을 성능의 몇몇 저열한 기체들을 제외하면 기체 가격들이 아무리 적어도 3만~6만 단위에서 시작하며, 종결급 기체는 거의 20만 후반대의 가격을 자랑하는데 어떠한 DLC도 구매하지 않았다는 가정 하에 아무리 많이 벌어도 3000 크레딧을 넘기는 일이 없어 재화를 모으는 데만 한세월이 걸리며, 재화가 충분히 모여도 레벨 제한 때문에 막힌다면 그만큼 레벨도 올려야 하기 때문에 기체를 사는데도 한세월이 걸린다. 때문에 게임플레이의 진척이 상당히 느리고 답답하다. 상술했듯 업그레이드 기체 구매 비용을 대폭 인하시키고 일일 미션과 광고 시청 보상을 늘린 것으로 보아 제작자도 노가다 효율이 불편한 것은 인지하고 있는 듯하다.

또한 게임 내 근접 항공 지원, 항공 차단 미션의 주 목표물인 기갑 부대와 수송 콘보이는 육안으로나 열상 화면상으로나 정지해 있지만, 시스템상으로는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JDAM 같은 GPS 유도 폭탄으로 이들을 폭격하려 할 때, 이상하게 락온 속도가 느린 것도 이 때문. JDAM 문서에도 나와 있듯 GPS 유도 폭탄은 그 특성상 이동 표적에 대한 타격 능력이 없으며, 이는 게임 실행 시 나오는 팁으로도 설명해 준다. 이는 GPS 유도 방식을 사용하는 일부 장거리 순항 미사일도 마찬가지로 일반 지상 목표를 락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정지해 있는 목표를 락온하는 시간보다 2배 이상 길다. 고증을 지킨 것이기도 한데 아무리 봐도 정지 표적인 걸 이동 표적으로 판정하는 게 문제일 뿐. 그리고 이걸 그대로 받아들이자니 정작 목표는 움직이고 있는데 목표를 호위하는 자주대공장비는 움직이지 않는다는 기이한 설정이 된다(...).

폭격기의 경우 별도의 조준 시스템이 없어 수평 폭격이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라 제대로 된 폭격 조준기를 요구하는 유저들이 많다. 미사일들 널렸으니 무유도 폭탄의 운용을 굳이 상정하지 않고 그냥 전폭기와 공격기의 무유도 폭탄 조준 시스템을 그대로 복붙한 듯 한데, 베트남전 캠페인에 무유도 폭탄만 탑재할 수 있는 B-52D가 추가되면서 이 논리도 설득력을 잃어버렸다. 무유도 폭탄의 운용은 속도 빠른 B-1B, Tu-22M, Tu-160이나 가능한 수준이고 이들마저 전폭기, 공격기와 똑같이 저공으로 접근해 폭탄을 투하해야 한다. 가뜩이나 기동성이 떨어지는데 대공 장비들의 위협에 강제로 노출되어야만 해서 무유도 폭탄을 장비한 폭격기로 대지 미션을 플레이하면 실패할 확률이 대단히 높다. 운이 좋아야지 항공 차단 미션이나 겨우 클리어할 수 있을 정도. 오죽하면 일부 유저들이 무유도 폭탄을 고공에서 투하하면 미처 땅에 닿기도 전에 증발해 버리는 것 같다는 추측을 내놓는 지경이다.

가감속을 버튼식이 아니라 수동 스로틀식으로 조작하면 수직이착륙기의 호버링이 불가능하다. 어째서인지는 불명.

공대함과 정밀 타격 미션에서 대지 유도 무장들이 반능동 공대공 미사일마냥 같은 목표물을 계속 락온하는 현상이 있다. 이는 제작자가 두 미션의 주요 목표인 함선과 목표 시설을 한 번에 파괴할 수 없는 것으로 설정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때문에 이들을 한 번에 파괴할 수 있는 무장으로 공격하더라도 계속 같은 목표물만을 락온한다. 정밀 타격 미션에서는 어차피 파괴해야 하는 목표가 하나라서 계속 시선을 집중할 수 있으니 좋기는 한데 문제는 목표가 여러 개인 대함 미션에서는 이미 대함 미사일을 발사한 함선에 또 대함 미사일을 발사해서 미사일을 낭비하는 참사가 일어난다.

8. 기타

  • 기본적으로는 시뮬레이션 게임이지만 편의성을 위해 여러 가지 현실적 요소가 빠져 있다. 아래는 그 예시 중 몇 가지. 다만 상술했듯 고증화 패치가 거듭되고 있으므로 이 중 일부는 없어질 수도 있다.
    • 기총을 재장전할 수 있다.[노멀]
    • 유도 보조 수단이 필요한 무장들의 유도 보조 수단이 미구현된 경우가 은근히 많다. 대표적으로 AGM-88 HARM은 HTS 포드가 없지만 정상적인 유도가 가능하며, AGM-142 팝아이 또한 AN/ASW-55 데이터링크 포드 없이 운용이 가능하다. Kh-23과 같은 수동 지령유도식 미사일 역시 유도를 위한 데이터링크 포드가 미구현 상태이며, 미사일을 직접 조작하는 대신 여타 공대지 무장처럼 락온 후 발사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어 도중에 기동하여 이탈하는 등의 행동을 해도 명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아무리 추적 성능이 좋은 최신예 미사일을 발사해도 기만체 한 번이면 전부 교란되며, 이건 (하드 모드로 설정했을 경우) 아군과 적군을 가리지 않고 적용된다.
    • 레이더가 재밍을 당해도 락온이 느려지는 것 뿐이지 정상적인 공중전이 가능하다.
    • 모든 방공 장비는 오직 플레이어의 기체만 공격한다.
    • 적이 사용하는 대공 미사일은 지대공 공대공 불문하고 어느 정도 인접했을 때 좌우 급기동 한 번만 해 줘도 쉽게 뿌리칠 수 있다.[노멀]
    • 공대함 미션의 적군 함대는 기본적으로 미션 수행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지나치게 밀집한, 속칭 사진용 대형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다가이 같은 기만체나 연막 등을 일절 사용하지 않고, 플레이어가 발사한 대함 미사일이 아무리 후지더라도 재밍을 하거나 격추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는다.
  • 여러 사유에 의해 업데이트 주기가 굉장히 불규칙하다. 보통 업데이트 한 번 하는 데에 평균적으로 1~2달 정도 걸린다. 느리면 그 이상으로 걸릴 수도 있다는 소리.[33] 2025년 들어 거의 한 달 간격으로 줄었으나 대신 검수를 꼼꼼히 하지 않는 건지 업데이트 한 번 하면 발견되는 버그가 상당히 많아졌다. 업데이트 주기가 긴 다른 게임들은 주로 온라인 멀티플레이 게임이거나 이벤트 개최를 통해 유저들이 심심할 여지를 줄이는데, 이 게임은 멀티플레이도, 이렇다 할 이벤트도 없어서 한 달이라도 다른 게임에 비해 더 길게 느껴지는 건 덤. 보통 업데이트 주기가 길수록 대규모 패치를 진행하기 때문에 1달이 넘어가도록 업데이트가 없으면 유저들은 업데이트 안 한다고 항의하는 게 아니라 뭔가 큰 게 온다고 기대하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큰 기대를 안 하니까 빡칠 일도 없다 단, 심각한 문제나 버그가 있으면 빠르게 대응하기는 한다. 하술할 DLC 해프닝은 고작 2일만에 해결되었다. 현재까지도 소규모 개발진을 유지하고 있는 만큼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며, 제작자 본인의 나이도 있기에 활발하게 제작 활동을 할 수 없기도 하다. 또한 군사 무기라는 게 빠르게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냥 군사적으로 뭔가 소식이 없으면 업데이트 구경은 영영 물 건너 간다고 봐야 한다. 그래도 신규 무장 탑재 소식이나 도장 변경 소식이 들려오면 비교적 빠르게 선택적으로 반영해주는 것을 보면 확실히 게으름이 원인은 아니다. 어쨌든 이러한 연유로 업데이트 컨텐츠 또한 많을 때도 있고 거의 없을 때도 있기 때문에 여러모로 플레이어의 인내심을 상당히 요구하는 편이다. 그리고 이걸 상당히 창렬스러운 노가다 효율로 해결했다 다른 게임처럼 업데이트를 자주 혹은 정기적으로 할 거라는 생각은 처음부터 버리고 시작하자.
  •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개발자에게 개인적으로 메일을 보내지 말고 디스코드 서버에 가서 문의해 보도록 하자. 눈팅은 하는 건지 가끔씩 유저들이 추가를 요청하는 요소들이 업데이트에 포함되기도 한다. 2025년 3월 4일 업데이트로 유저들의 요구가 많던 정밀 타격 미션을 현대 캠페인에서도 플레이할 수 있게 된 것이 그 예시. 이외에도 UAV나 공격 헬리콥터 추가 제안 등 아직까지 남아있는 게임의 포텐셜을 최대한 끌어올리려고 유저들이 노력하고 있다(...).
  • 구매한 DLC가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웬만하면 안고 가는 걸 추천한다. 정말 마음에 안 들면 환불해야겠지만 여느 게임이 그렇듯 환불을 받으려면 개발자에게 문의하고 사정 설명하고 진땀을 빼야 한다. 무엇보다 환불을 해도 구매한 기체는 다시 잠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구글을 통해 환불할 시에는 사유 불문하고 거의 다 환불해 주는 특성상 오해의 소지가 있으며, 개발자도 바보가 아닌지라 이런 경우 결제가 막혀 버린다! 정말 모르고 그랬거나 처음일 경우 개발자에게 문의하면 풀어주기도 하지만 무조건 풀어주는지도 불확실하며, 무엇보다 위 사항을 악용할 경우 결제가 영원히 막힐 수 있다. 이걸 개발자가 풀어줄 지는...
  • 업데이트 내역을 설명해 주지 않지만 내용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는데, 용량이 세 자릿수에서 놀면[34] 메이저 업데이트로, 기체나 무장이 추가될 확률이 높다. 두 자릿수라면 마이너 업데이트로 보통 버그픽스, 도색 변경, 너프 혹은 버프가 이뤄진다. 다만 최근에는 에셋 제작 최적화에 성공했는지 용량이 적어 마이너 업데이트라고 생각했는데 기체 추가 업데이트인 경우도 종종 있기는 하다.[35] 이 중에는 아주 드물게 지상 장비가 아무도 모르게 추가되기도 한다. 우크라이나 전장에 크로탈 NG 대공 미사일이 조용히 추가된 것이 그 예시. 물론 수정 여부는 둘째치고 버그 유무조차 알 수 없으니 유저 입장에서는 뭐가 달라진 건지 스스로 게임 붙잡고 뺀질나게 해보는 것 빼고는 알 방도가 없다. 때문에 공식 디스코드에서는 유저들이 스스로 집단 지성을 이루어 업데이트 요소를 파악하는 진기한 광경을 볼 수 있다(...).
  • 드디어 히트 블러 옵션과 기체 한정이지만 실시간 그림자 옵션이 추가되었다. PC판 스트라이크 파이터즈 모던 컴뱃의 기능을 그대로 가지고 온 것으로 추정.
  • 미션을 시작하면 본인이 현재 취하고 있는 자세에 맞춰 게임 내 자이로 센서가 맞춰진다. 단, 자동으로 보정되지는 않기 때문에, 자세를 바꾸거나 자세가 틀어져도 자이로 센서는 초기 값을 그대로 가지고 있어 기체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선회하거나 심하면 급기동을 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에 손가락으로 화면을 쓸면서 직접 보정을 해줘야 한다. 주의할 점은 자이로 센서 보정은 상하좌우가 반전되어 있어 본인이 원하는 방향으로 보정을 하고 싶다면 그 반대 방향으로 조작해줘야 한다는 것.
  • 게임 내 속도계에 표시되는 기본 속도 단위는 지시대기속도(IAS, Indicated Air Speed)이다. 그 밑에 조그맣게 표시되는 속도가 우리가 익히 아는 마하와 지상속도(GS, Ground Speed)이며, 공대지 무장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지상속도가, 공대공 무장이 선택되었거나 기총 외에 사용 가능한 무장이 없을 시에는 마하가 표기된다. 우측 고도계는 해발 고도를 기본으로 표시하며, 공대지 무장 선택 시 그 밑에 지상고도(AGL, Above Ground Level)가 표시된다. 추력 편향 노즐 작동이나 F-15 계열기의 공기 흡입구 작동이 구현되어 있고, 심지어 교란용 가짜 캐노피(False Canopy) 도색[36]을 적용한 기체들의 도장도 전부 반영되어 있다! 미군의 A-10, 캐나다군의 F/A-18, 폴란드의 FA-50GF/PL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의외의 디테일을 보여주는 면도 있지만 애프터 버너를 켤 때 노즐 작동과 러더 모션이 구현되지 않은 게 아쉬운 점.
  • 국가를 막론하고 각종 극초음속 미사일과 핵무기는 구현되어 있지 않다. 이는 문제점이라기보다 게임 자체의 한계점으로, 이런 무장들이 추가되면 이에 대응되도록 교전 거리와 미션 소요 시간, 난이도 등 게임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손봐야 하므로, 이런 불상사를 피하고 타임킬링용 모바일 게임이라는 정체성에 맞추기 위해 앞으로도 추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킨잘이 구현된 것으로 보아 추후 극초음속 미사일은 구현될 가능성도 있다.
  • 어째서인지 미국, 대한민국, 일본의 F-16 계열기들은 복좌형인 B/D계열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국가들은 복좌형이 모두 따로 구분되어 있는 걸 보면 아쉬운 부분. 유로파이터 타이푼, J-10 등 일부 기체들 또한 복좌형이 구현되지 않았다. 아무래도 세 국가 모두 복좌형 F-16을 훈련용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애초에 훈련용이라고 해도 무장 운용 능력 자체는 있으며,[37] 우크라이나는 또 훈련형인 Su-27UB를 실전용으로 잘만 써먹을 수 있다(...).
  • 전투는 제1세계 vs 제2세계 구도를 기본 골자로 따르지만 외교 관계가 영 좋지 않은 국가들이면 죄다 한 판 붙기(...) 때문에 같은 진영들끼리 싸우는 경우도 있고, 다른 진영이라도 싸우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전자는 키프로스 전장과 베트남 전장을,[38] 후자는 대한민국 전장을 예시로 들 수 있다.[39] 단, 국제 군사 정세의 반영은 거의 없는 편이며,[40] 줄타기 외교 노선을 표방하는 국가들은[41] 3세계가 아닌 1세계로 간주하고 있다.
  • 국제 군사 관계가 상당히 잘 반영되어 있다. 사람들이 모를 만한 동남아 국가 간의 관계도 잘 반영되어 있는데, 캄보디아 전장과 부탄 전장이 그 예시.[42] 이와 동시에 제작자 본인의 해석이 굉장히 짙게 반영된 가상의 설정이 채택된 전장들도 있는데,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우크라이나 전장: 우크라이나가 서방의 지원을 받으며 러시아와 전쟁 중인 실제와는 달리 게임 내에서는 미국을 위시한 NATO 회원국 소속 공군기들로 플레이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이들이 아군으로 등장해 서방 세계의 전방위적 군사 개입이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 일본 전장의 부재: 일본 전장이 없다. 때문에 일본 기체로 플레이할 시에는 한국 전장이 기본으로 선택된다. 한국이 전화에 휩쓸려 일본이 지원을 해주는 설정이라 하면 딱히 뭐라 할 말이 없지만 일본 또한 북중러 3국의 군사적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걸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부분. 때문에 공식 디스코드 서버의 제안 채널에는 종종 일본 전장의 추가 요청글이 올라온다.[43]
    • 미국 전장의 부재: 역시 게임 내에서 미국을 배경으로 하는 전장은 가상적기 훈련 상황을 가정한 네바다 전장 이외에는 없다. 아무래도 미국 본토에 직접적인 적성국의 공격이 가해진 적이 없다 보니 아예 미국 배경 전장 자체를 상정하고 있지 않은 듯. 때문에 일본과 비슷하게 전면전 상황을 가정하고 알래스카나 미국 서부 전장 추가 요구를 가끔씩 볼 수 있다.
    • 파타고니아 전장: 해당 전장의 기본 구도는 아르헨티나 vs 칠레로 설정되어 있는데, 파타고니아가 해당 국가들에 걸쳐져 있어 영유권 분쟁 지역이긴 하지만 같이 추가된 에콰도르, 우루과이, 페루까지 걸쳐져 있는 건 아니기 때문에 이 3개국이 굳이 가세할 만한 지역은 아니다.
  • 굳이 추가해도 되지 않을 걸 추가해서 유저들의 희망회로를 불태우는 일이 있다. 일례로 걸프전 DLC에 포함된 AH-1W와 프로토타입 팩의 출시로 현재까지도 공식 디스코드 서버의 제안 채널에는 각종 공격 & 무장헬기와 프로토타입 기체들의 추가 요청이 종종 올라오고 있다. 일개 인디게임에 너무 과도한 걸 요구한다는 의견도 소수 있으나 이미 개발자 본인이 명분을 제공해 줘 버린지라... 최근 드론 요격 미션 추가 이후로는 UCAV의 추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 2023년 7월 5일 마이너 업데이트로 DLC를 구매하지 않아도 추가 기체, 맵과 콕핏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치명적인 버그가 발생하는 해프닝이 있었다. 이는 7월 7일 긴급 패치로 해결되었으나, 이미 구매한 기체는 계속해서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 이러한 방식으로 구매한 기체는 정상적으로 구매한 것으로 처리되지 않는 것인지 인터넷 연결이 없으면 이용할 수 없다. 또한 기체를 구매했다고 DLC 전부가 해금되는 것은 아니며, DLC를 이용하고 싶다면 똑같이 현금 결제를 통해 구매해야 한다.
  • 한국 시간 기준 2024년 7월 5일, 2020년대 캠페인 기체들의 테일 마크 추가가 확정되었다. # 현재 테일 마크 적용이 확인된 기체들은 전부 미군 기체이며, 다른 국가들의 기체도 테일 마크가 추가될 지는 불명. 동월 30일 업데이트가 적용되었고, 예상대로 테일 마크 추가는 미군 기체만 해당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 폭격기와 배치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은 F-15EX는 테일 마크가 없으며, 프로토타입 DLC의 기체들 역시 배치가 이뤄지지 않은 관계로 테일 마크가 구현되지 않았다. 이후 8월 4일 핫픽스 업데이트에서 이스라엘의 F-35가 테일 마크를 받은 것을 보면 장차 폭격기와 F-15EX 및 다른 국가의 기체들에게도 테일 마크 혹은 도색 패턴이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
  • 2024년 10월 28일, 업데이트로 데저트 스톰 팩 4 추가와 함께 항법등 작동이 구현되어 시간대를 밤으로 설정할 경우 항법등이 켜지는 걸 볼 수 있다. 물론 모든 기체에 적용된 것은 아니고, 사실상 항법등 텍스처 자리를 기존 색상에서 야광색으로 바꾼 것이기 때문에 광원 효과를 기대할 수도 없어 자세히 봐야 알 수 있다.
  • 2025년 4월 11일 업데이트 전에는 캠페인마다 지정된 미션이 제각각이었고 다른 캠페인을 선택한 후 동일한 캠페인을 재선택해도 미션이 바뀌어 있었는데, 업데이트 이후로는 어떤 캠페인을 선택해도 지정된 미션은 변경되지 않도록 패치되었다. 이것도 버그였을지도 모른다
  • 2025년 7월 19일 업데이트로 일명 시간여행 버그가 발생하였다. 한 유저에 따르면 걸프전 DLC 추가 당시에도 이 버그가 발생했었다고. 시간여행 버그를 체험해 볼 수 있는 방법은 일단 원하는 캠페인 두 개를 정해놓은 다음, 아군이나 적군으로 스폰되었으면 하는 기체가 위치한 켐페인을 선택해 미션 에디터의[44] 설정을 아무거나 건드리고 다시 배경으로 원하는 캠페인을 선택하고 미션 에디터를 '절대 건드리지 말고' 그대로 미션을 시작하면 된다. 이러고 미션을 시작할 경우 처음 선택했던 켐페인의 기체들이 적기/아군기로 스폰된다. 이를 이용해 과거의 기체가 현재의 기체와 같이 날거나, 현재의 기체로 과거 캠페인을, 과거의 기체로 현재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무궁무진한 시간여행 시나리오 재현이 가능하다. 냉전 캠페인에는 폭격기가 아직 없다는 걸 이용해 냉전 캠페인에서 현대 캠페인의 B-52와 Tu-95를 스폰시킨 다음 각국의 기체가 요격한다는 시나리오도 가능하다.
  • 상술한 블루스카이 계정 개설 후 SNS와 디스코드에 메이저 업데이트에 한해 업데이트 예고를 하기 시작했다.


[1] 제작사 공식 디스코드 서버.[2] 다만 제작자는 여전히 SFMC로 부르고 있다.[3] 다만 일일 미션이 뭘 해야 달성되는 지는 알 수 없다. 그냥 게임을 돌리다가 어느 순간 클리어 되는 걸 봐서는 적기 N기 격추나 지상/해상 목표 N개 파괴 혹은 미션 성공 등 상당히 간단한 미션인 듯.[4] 미션/무장 커스텀 기능을 이용해 장거리 타격이 가능한 기체로 정밀 타격 미션을 뛰면 판당 11,000 크레딧을 벌 수 있다.[5] 2018이나 2019년으로 추정됨.[6] 하술하겠지만 이것도 무슨 비약적인 향상이 아니라 그냥 히트 블러랑 그림자가 추가된 것일 뿐이다. 그러니까 그 전에는 그림자조차 없었다는 소리.(...) 대신 웬만한 휴대폰에서 돌려도 발열이 상당히 낮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다. 플래그십 기기를 사용할 경우 발열이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 또한 그만큼 배터리 사용량이 적은데, 과장 살짝 보태서 같은 시간 동안 인스타그램 릴스 혹은 유튜브 영상 시청을 하는 것보다 배터리 소모가 적다![7] 우주가 배경인 비행 시뮬게임. PC버전의 본시리즈와 여타 다른 모바일버전의 작품과 비교하면 상당히 특이하다.[8] 극단적으로 말해서 손만 잘 맞는다면 F-15E로 공대지 30킬 이상, 혹은 FA-50이나 AMX 같은 경공격기로 F-22 5대 이상 격추도 가능하다.[9] 위상배열 레이더를 장착한 기체들의 락온 속도는 매우 빠르고 보통 우수한 재밍 능력까지 겸비하여 전투력과 생존성 향상에 크게 도움을 준다.[10] A-10, Su-22, Su-25.[11] 높은 스텔스 능력 때문인지 일반 복좌기와 똑같은 9발이다.[12] 원래는 기본형 기체보다 약간 낮은 가격으로 책정되어 기체가 비싸면 비쌀수록 업그레이드형 기체도 그만큼 비싸게 사야 했으나, 패치로 수정되었다.[13] 단 F-15K가 매버릭 운용이 가능하다는 말은 나무위키를 포함한 각종 위키, 일부 블로그 등에서 서술로만 확인할 수 있고, 명확한 증거인 실기체가 매버릭을 운용하는 사진이나 영상이 없으므로 삭제한 것일 수도 있다. 당장 원본인 F-15E는 매버릭을 장비한 사진이 있는데도 인게임에서 매버릭을 사용할 수 없다.[14] G형, K형이 6연장 발사대를 사용했다. 실제로는 중량 문제로 단장 발사대를 사용한다.[15] 사실 중국도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은 자국산 HQ 시리즈가 아니라 러시아의 것을 그대로 갖다 쓰기 때문에 완벽하지는 않다. 분명 S-300 같은 건 HQ-9로 둔갑시킬 수 있을 만 할텐데도 이러한 정성조차 없어서 분명 중국을 상대했는데 S-300, S-400이라는 이름이 킬로그에 그대로 뜬다(...). 후술할 사례들이 너무 개판이어서 묻힐 뿐.[16] 냉전 캠페인에서는 게파트를 볼 수 있으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레오파르트 1은 볼 수가 없다.[17] 패치 초기에는 반능동 레이더 미사일처럼 무장을 바꿔 여러 표적과 동시 교전할 수 있었으나 얼마 되지 않아 막혔다.[18] 단, 하드 모드를 키지 않으면 적기가 기만체를 사용해도 스텔스기가 아닌 이상 100% 명중한다.[19] 고증화 패치 이전에는 대부분의 F-16에서 공통으로 탑재할 수 있는 조합인 AGM-65G 6발, GBU-12 4발으로 웬만한 대지상 미션은 단독으로 클리어가 가능했다.[20] 엄밀히 따지자면 C-3.[21] 대표적으로는 Kh-38 미사일 기반의 Kh-36 유도 폭탄과 이와 비슷하게 생긴 UMPB D-30sn 등.[22] 그나마 KAB 계열 유도 폭탄은 중량이 제대로 세분화되어 있는 상태이나 나머지 공대지 유도 무장의 경우 세분화가 미흡하다. 사실 러시아 무장들이 파편화가 너무 심하게 진행되서 범용 공대지 미사일인 Kh-25의 경우 수출형과 훈련용을 제외하고도 파생형이 무려 10가지나 될 정도이며,# 공대공 미사일도 꼭 레이더 유도 버전과 적외선 유도 버전을 따로따로 만들 정도로 상당한 개족보(...)를 자랑하긴 한다. 그래도 인터넷 좀 뒤져보면 찾을 수 있는 걸 이 악물고 나몰라라 하는 걸 보면 구현하기 싫은 게 맞는 듯...[23] F-16들은 F-16C PB/PBU 및 KF-16/KF-16U로 구분되어야 한다. 명칭의 경우 공식적으로는 필승 보라매지만 공군 내부에서는 대부분 파이팅 팰컨으로 통용되므로 변경되지 않아도 무방할 듯. 다만 폴란드의 F-16(야스총프), F-35(후사르), 카타르의 F-15QA(아바빌), 이스라엘 기체들(바락, 수파, 라암, 아디르) 처럼 자국 명칭이 반영된 기체가 상당수 있으며, 심지어 태국 공군 기체는 자국에서 사용하는 형식명까지 그대로 적용해 준 걸 보면 불가능한 건 또 아닌 것으로 보이고 실제로 F-35A는 2025년 7월 19일 업데이트로 공식 명칭인 프리덤 나이트가 반영되었다.[24] 아마 실제 가속 성능이 공개되지 않고 초음속 시험 비행 장면만 공개되다 보니 정확히 구현된 게 아닐 수도 있으나 이미 수많은 실전을 통해 성능이 드러난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기에 제작자의 의도가 보인다고밖에 할 말이 없다. 정상적으로 구현되었다면 적어도 같은 엔진을 사용하는 슈퍼 호넷이나 예상치인 유로파이터 타이푼 정도의 성능이 나와야 한다.[25] F-15E, F-111F, A-6E SWIP, A-7E 등. 이중 F-15E와 F-111F는 추가적으로 AGM-130이 미구현되었다.[26] 따라서 F형은 AN/AVQ-26 페이브 택 포드를 탈착할 수 없다.[27] 위 GBU-28같은 경우도 미군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는 걸 들어 추가하지 않는다는 논리를 내세울 수는 있지만, 정작 현역으로 미군에서 쓰이던 걸프전 DLC에서도 찾아볼 수 없어서 변명밖에 되지 않는다. 그리고 현재도 잘만 비축해 두고 있는 대한민국 공군과 이스라엘 공군은 뭐가 되는가? 역시나 집속탄의 경우 현재도 운용 중인 국가들을 바보로 만드는 것이나 마찬가지. 로드아웃 문제도 동일하다. 예시로 든 매버릭의 경우 실전이 터지고 주 운용 기체인 A-10이나 F-16의 손실이 막심하면 무슨 짓을 해서라도 다른 기체에 인티하고 써먹으려는 시도라도 해 봐야지 그대로 버릴 건가? 당장 현역기의 손실을 대비해서 퇴역 기체를 정성을 들여 보존하는 게 미군이다.[28] 기본으로 장비되는 단거리 IR 미사일을 제외한 수량.[29] Su-57의 경우 6발 탑재가 가능하다는 의견도 있기는 하지만 6발을 탑재한 모습은 프라모델이나 일부 도면 상으로만 발견되었고 현재로서는 4발만 탑재한 모습만 포착되어 고증일 가능성이 높다.[30] 다만 이 게임 자체가 튜토리얼이 필요할 만큼 복잡한 시스템이 있는 게 아니기에 적응 자체가 빠른 편이라 적응한 뒤로 이를 문제삼는 유저는 거의 없다.[노멀] 모드 한정.[노멀] 모드[33] 실제로 Reinforcement Pack 12는 무려 7개국의 공군이 추가되는 만큼 거의 5달이 지나도록 업데이트가 없었다.[34] 예전에는 1gb짜리 업데이트도 간간히 나왔었으나, 현재는 보통 500mb를 초과하지 않는다.[35] 가장 최근인 2025년 11월 5일에 진행된 업데이트는 약 150mb 였는데도 DLC 패키지가 추가되었다.[36] 동체 하부에 캐노피 모양의 도색을 함으로서 지상 및 공중에서 적군이 기체의 위치와 이동 방향을 헷갈리게 하기 위한 목적의 도색이다.[37] 훈련용 기체라서 전시에 놀고먹는 건 아니기 때문. 평시에도 무장 운용 능력이 없으면 훈련 자체를 하지 못한다. 실제로 KF-16D의 경우 실전용 무장을 멀쩡하게 장착하고 비행하는 사진이 존재한다.[38] 키프로스는 같은 NATO 회원국인 튀르키예 - 그리스 구도고, 베트남 전장은 같은 공산국가인 베트남 - 중국 구도로 설정되어 있다.[39] 대한민국 전장은 본인이 러시아군의 기체를 선택하지 않는 이상 러시아군 기체가 등장하지 않는다. 아주 좋지는 않지만 나름대로 괜찮은 한러관계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40] 이를 반영하면 플레이할 수 있는 전장이 확 줄기 때문. 당장 중동만 봐도 미군이 철군한 뒤 '공식적인' 군사 작전을 펼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레바논이나 시리아 등 미국이 아닌 타국이 개입중인 중동 지역을 제외하면 플레이할 수 있는 전장이 없어진다. 비슷하게 2024년 들어 한러관계가 급속도로 냉각되어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게임 대한민국 전장에는 여전히 러시아군 기체가 적군으로 등장하지 않는다.[41]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 등[42] 캄보디아 전장의 경우 태국 - 중국, 부탄 전장의 경우 인도 - 중국 구도인데, 캄보디아와 태국, 그리고 부탄과 중국이 서로 사이가 좋지 않은 것을 반영했다.[43] 보통 중러 2개국의 침략이 발생할 시 가장 먼저 상륙 교두보로서 공격받을 확률이 높다고 점쳐지는 오키나와, 홋카이도가 많이 언급되는 편. 이외에 쿠릴 열도나 도쿄도 종종 보인다.[44] 다른 말로 말하자면 미션 에디터 기능을 구매하지 않았다면 버그 체험이 불가능하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Strike Fighters|Strike Fighters]]}}}{{{#!if external != "o"
[[Strike Fighters]]}}}}}}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Strike Fighters?uuid=e6147b74-45e1-41a5-9f78-0f2d8c7c2a39|r25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Strike Fighters?uuid=e6147b74-45e1-41a5-9f78-0f2d8c7c2a39#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Strike Fighters?from=255|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Strike Fighters|Strike Fighters]]}}}{{{#!if external != "o"
[[Strike Fighters]]}}}}}}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Strike Fighters?uuid=e6147b74-45e1-41a5-9f78-0f2d8c7c2a39|r25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Strike Fighters?uuid=e6147b74-45e1-41a5-9f78-0f2d8c7c2a39#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Strike Fighters?from=255|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