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9 10:06:15

SPRUNKI/모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SPRUNKI|SPRUNKI]]

1. 개요2. Infected3. Para Sprunki(기생 모드)4. Phase 시리즈5. Sprunked 시리즈6. Sprinkle(스프링클)7. Retake 시리즈(리테이크)8. REJOYED(리조이드)9. Sprunkr (스프런커)10. The Lost File(잃어버린 파일)11. Night Time Mode(밤 모드)12. Spruted(스프루티드)13. Sprunki Babies(아기 모드)14. Pyramixed 시리즈(피라믹스드)15. Sprunki OC(OC 모드)16. Sprunki Swap (스왑 모드)17. Sprunki Modded(스프런키 모드)18. Sprunksters(스프런크스터)19. SPRUNKLINGS(스프런클링스)20. Sprunki 2P(2P 모드)21. Swapped AU(AU 스왑 모드)22. Wenda shot all mod(枪枪爆头 好运连连)(웬다 올샷 모드)23. Sprunki 1996(1996년 스프런키)24. sprunki Parody Box(스프런키 패러디박스)25. scrunkly(스크런클리)26. Sprunki Katchup(스프런키 케찹)27. Sprunki BRUD TREATMENT(사이먼 올바이트 모드)28. Sprunki Star and Heart(스프런키 별과 하트)29. Silly Sprunki(실리 스프런키)30. Sprunki but "COOLER" (스프런키 하지만 더 멋짐)31. SPRU-what?(스프런- 어?)32. Simon's relam33. Sprunki MSI34. Shatter Sprunk(기생 버섯 모드)35. 리스킨 모드36. 문제점 및 비판
36.1. 리스킨 모드36.2. 양산형 모드

1. 개요

SPRUNKI의 모드들을 소개하는 문서다.

2. Infected

모드 썸네일 (열람 주의) [펼치기 · 접기]
파일:스프런키 감염 모드.png

링크
시작부터 호러 버전으로 시작하며 스토리상으론 모습이 더 기괴해지는 감염 병이 있는 모드이다.[1]

각각 아이콘마다 색깔이 있는 불이 들어왔다.

감염된 스프런키들오렌, 비네리아, 스카이, 더플, 사이먼, 웬다, 핑키, 블랙으로 총 8명이다.
반감염인 스프런키들클루커, 브러드, 가놀드, 오왁크스, 미스터 썬, 터너, 제빈으로 총 7명이다.
생존인 스프런키들펀 봇, 그레이, 미스터 펀 컴퓨터로 단 셋 뿐이다.
사망했으나 호러 모습 그대로인 스프런키들레디, 미스터 트리로 둘이다.

3. Para Sprunki(기생 모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PRUNKI/모드/Para Sprunki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모드/Para Sprunk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모드/Para Sprunki#|]][[SPRUNKI/모드/Para Sprunk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Phase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PRUNKI/모드/Phase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모드/Phase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모드/Phase 시리즈#|]][[SPRUNKI/모드/Phase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Sprunked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PRUNKI/모드/Sprunked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모드/Sprunked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모드/Sprunked 시리즈#|]][[SPRUNKI/모드/Sprunked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Sprinkle(스프링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PRUNKI/모드/sprinkle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모드/sprinkl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모드/sprinkle#|]][[SPRUNKI/모드/sprinkl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Retake 시리즈(리테이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PRUNKI/모드/Retake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모드/Retake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모드/Retake 시리즈#|]][[SPRUNKI/모드/Retake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REJOYED(리조이드)

파일:37236371-shd8vaua-v4.webp


링크

제작자는 Burnt_Toast_56이다. 특이하게 기존 캐릭터들의 팔이 묘사되어 있지 않던 것과 다르게 팔의 묘사가 생겼고[2] 다른 인크레디박스 처럼 자신의 성격에 맞는 옷을 입었으며 음악도 미스터 펀 컴퓨터을 제외한 모든 음악이 리뉴얼 되었다.[3] 각자의 직업도 가지고 있고 공식 설정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링크

이 버전 또한 Retake 모드와 동일하게 블랙을 놓으면 노래를 부르다가 돌변하면서 호러 버전으로 진입한다. Retake와 달리 나무 같은 기괴한 모습이며, 중간 중간에 모자이크 형태로 변한다.

9. Sprunkr (스프런커)

파일:sprunkr.jpg
링크

10. The Lost File(잃어버린 파일)

모드 썸네일 (열람 주의) [펼치기 · 접기]
파일:thelostfile.jpg

링크

모드를 실행시키면 파일이 로딩되는 연출이 나오고, "이 게임은 피, 고어, 공포를 유발하는 이미지가 있습니다. 뭔가 아주 무서운 걸 보기 싫으시면 당장 떠나세요!!!!!!!!!!!!!!!!!!!!!!!!!!![4] (농담 아니고 누르시면 점프스케어가 있습니다)" 라고 적힌 화면이 나온다. 화면을 누르면 비명 소리가 들리며 바로 다크모드와 유사한 배경의 화면으로 이동한다. 상단에는 이미지와 설정 이외에 캐릭터들의 설명이 적힌 파일 모양의 아이콘이 있다. 기본적으로 바람소리가 배경음악으로 들린다.

[ 캐릭터 목록 펼치기 · 접기 ]
  • \ 브론(Bron): 브론즈색이며, 남성이다. 입이 가려져 있고[5] 모자를 썼으며, 눈에 시계가 박혀 있다. 시계가 똑딱이는 소리를 낸다.
  • \ 마크(Mark): 암적색이며, 남성이다. 실험대 위에 누운 채 한쪽 눈알이 뽑혀 있고, 하반신이 없으며, 뇌가 보인다. 비트박스 소리를 낸다.
  • \ 민트(Mint): 민트색이며, 여성이다. 칼에 베인 듯한 양쪽 눈 위에 초록색 안대를 쓰고 있다. 검이 맞부딪히는 듯한 소리를 낸다.
  • \ 데이비드(David): 암녹색이며, 남성이다. 왼쪽 눈을 네모난 안대로 가렸다. 실험으로 스프런키들을 해치고 파일을 작성한 본인으로 보이며, 세상이 시뮬레이션 속의 가짜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파일의 설명을 보면 데이비드는 제빈, 블랙과 함께 모든 것을 계획했다고 하며[6] 세상은 끝나야만 한다고 적혀 있다. 하이햇과 스네어 드럼 소리를 낸다.[7]
  • \ 블로섬(Blossom): 밝은 분홍색이며, 여성이다. 삿갓을 쓰고 있으며, 머리와 몸에 낫이 박힌 채 피를 흘리고 있다. 킥 드럼 소리를 낸다.
  • \ 그레이(Gray): 회색이며, 남성이다. 원작의 그레이와 동일하게 겁에 질려 있으며 베이스 소리를 낸다.
  • \ 오닌(Onin): 올리브 녹색이며, 남성이다. 눈과 입 부분이 뚫린 회색 가면을 쓰고 있다. M.o.T.C 라는 위험한 컬트[8]컬티스트라고 한다. 힘겹게 숨을 쉬는 듯한 소리를 낸다.
  • \ ???: 팔과 몸이 긴 검은색 괴물. 이름은 알 수 없으며, 눈과 입이 크게 뚫린 듯한 기괴한 형상이다. 파일의 설명에는 "내 악몽은 이제 진짜야" (MY NIGHTMARE IS NOW REAL) 이라는 글만 적혀 있다. 비명 소리를 낸다.
  • \ 스카이(Sky): 하늘색이며, 남성이다. 머리와 갈비뼈만 남은 채로 갈고리에 매달려 있다. 두 쇠파이프가 십자 모양으로 얼굴을 관통하며 꽂혀 있다. 실로폰 소리를 낸다.
  • \ 라이트맨(The Lightman): 깜박이는 전구 아래 보이는 검은 실루엣이다. 파일의 설명에 따르면 존재의 증거는 많지만 출현이 드물다고 한다. 전등 스위치를 깜박이는 듯한 소리를 낸다.
  • \ 파사(Pasa): 어두운 보라색이며, 여성이다. 머리와 몸이 절단된 채 피를 흘리고 있다. 데이비드의 친구이며, 어느 날 호기심으로 데이비드의 지하실에 들어갔다가 레이저 커터 주변에서 거의 죽은 채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전자 피아노 소리를 낸다.
  • \ 블러드 트리(Blood Tree): 줄기와 잎이 붉은 나무이다. 데이비드의 얼굴로 보이는 그림 위에 'BOUNTY'(현상금) 이 적힌 회색 포스터가 붙어 있다. 피아노 소리를 낸다.
  • \ 블랙(Black): 블랙의 비공식 스프라이트를 사용하는 캐릭터이다. 파일에서는 이미지 부분이 검은 펜으로 마구 칠한 듯 덮여 있어 모습을 볼 수 없으며, 이름도 '???'라고만 되어 있다. 설명에는 '이건 그냥 무시하자.' (Let's just ignore this one.) 라고 적혀 있다. 차분한 신시사이저 패드 소리를 낸다.
  • \ 라벤더(Lavender): 라벤더색이며, 여성이다. 유명한 뮤지션이며 운이 좋아 죽지 않고 살아남았다고 한다. 얼굴에 4개의 현이 있는 악기가 대각선으로 꽂혀 있다. 하프와 비슷한 현악기 소리를 낸다.
  • \ ???: 흰색 몸에 검은 얼룩이 묻은 듯한 캐릭터. 이름은 알 수 없다. 파일의 이미지 부분을 보면 원래는 TV 스크린 속에 존재했다가 밖으로 나온 듯 보인다. 8비트 신시사이저 소리를 낸다.
  • \ 미스터 펀 컴퓨터(Mr. Fun Computer): 갈색 탁자 위에 놓인 컴퓨터 모니터이다. 화면에 금이 가 있으며, 세상이 시뮬레이션이라는 것과 모두가 죽었다는 말을 반복한다. 속삭이는 듯한 목소리를 낸다.
  • \ 제빈(Jevin): 파란색이며, 남성이다. 데이비드와 오랜 친구라고 한다. 파일의 설명에 따르면 데이비드와 제빈은 블랙과도 자주 어울려 다녔다고 한다.[A] 원작의 제빈보다는 조금 높은 합창단 소리를 낸다.
  • \ 버플(Bupple): 밝은 파란색이며, 여성이다. M.o.T.C 컬트에서 도망치려다 실패했으며 얼굴 한 쪽이 절단되고 몸이 베인 채 갈비뼈가 드러나 있다. 몸에는 M.o.T.C 컬트의 심볼이 새겨져 있다. 여성 합창단 소리를 낸다.
  • \ ???: 검은색에 흰색 테두리가 있고 작은 눈이 있는 캐릭터. 파일에서는 '얘는 그냥 저기 서서 날 보고 있어' (IT'S JUST STANDING THERE LOOKING AT ME)라고 적혀 있다. 연주 시 입을 기계처럼 벌리며 이상한 비명 소리같은 것이 들린다. 입방구
  • \ ???: 위의 캐릭터와 똑같이 검은색에 흰색 테두리가 있지만 웃는 표정을 짓고 있다. 설명에서는 '너 누구야?' (Who are you?)라고 적혀 있다. 신디사이저를 연주하는 소리를 낸다.
  • \ 화이트(White): 작중 파일에서만 언급되며, 언급된 바로는, 주변 스프런키들을 죽였다고 한다.

11. Night Time Mode(밤 모드)

파일:Screenshot_20250220_111753_Samsung Internet.jpg
페이즈 2의 썸네일[10]
링크
제작자의 프로필

기존의 스프런키의 특유의 고어함이 없고 모든 캐릭터들이 기존캐릭터들의 모습과 다르게 디자인 되어있으며 가놀드, 미스터 펀 컴퓨터, 블랙의 사운드가 바뀌어있다. 여담으로 이 모드의 스프런키 캐릭터들은 기존의 세계관에선 별개의 인물이다. 페이즈 2와 페이즈 3는 별개로 마찬가지, 제작자는 한국인이다. 이름은 Cremis_CJH1007 프로필 사진에 달려있는 캐릭터는 왕벽한 멸멍의 날올리브 히긴스이며 제작자의 최애 캐릭터라고 한다. 이 이유로 페이즈 2의 썸네일이 왕벽한 멸멍의 날 1편의 타이틀 화면과 구도가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여담으로 이 모드는 마지막 업데이트의 음원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물론 스크래치애서 재현한 버전으로.
그리고 1페이즈 스크래치 모드는 해킹을 당해 삭제당한것으로 보인다.
정신줄 놓은듯하다.

12. Spruted(스프루티드)

파일:Spruted-Update.png
Cocrea Scratch Scratch Repost Remastered Cocrea

"로이 늑대"라는 유튜브 채널에 최초 업로드된 한국인이 만든 AU 모드이다. 리마스터 버전은 실행 시 스토리를 알려주는 인트로가 나온다는 특징이 있다. 스카이가 목도리를 착용하고 있거나 미스터 트리에게 랜턴이 매달려 있는 등 캐릭터들의 모습이 많이 리메이크되었으며, 이름이 달라진 캐릭터들도 있다.

[ 캐릭터 목록 펼치기 · 접기 ]
이름이나 설정이 바뀐 캐릭터들은 다음과 같다.

Oren → Orinx
매우 잘난 척을 하며 다른 사람들을 얕보는 것이 취미가 되었다. 하지만 듀퍼 앞에서 만큼은 깝죽거리지 않는데, 그 이유가 듀퍼에게 깝죽거렸다가 얻어 맞았기 때문이라고(...).[11] 성격 때문인지 핑키와 사귄다는 설정이 사라졌다.[12]
호러 버전에서는 다른 사람들의 관심을 가지고 싶다는 욕망과 약물의 반응으로 인해 얼굴이 눈 3개로 바뀌었다.

Reddy → Blaze
원래의 레디보다 화가 더 많아졌으며 뭘 하든 화를 낸다. 그리고 누군가와 싸우게 된다면 이길 때까지 끈질기게 공격한다고 하며 주로 사용하는 공격 수단이 입이라고 한다.
호러 버전에서는 분노와 약물의 반응으로 인해 얼굴이 거대한 입이 되었다. 눈은 인게임에서 구현되지 않았을 뿐 아주 작게 존재한다고 한다.

Clukr → Clankr
직업은 정비사이며, 쉬는 시간에 할 것이 없다면 머리의 심벌즈를 가지고 논다고 한다.
호러 버전에서는 퍼니봇에게 공격 받아 목에 심벌즈가 박혀 사망했다.[13]

Funbot → FunnyBot
다른 건 다 잘 갖추어져 있지만, 해킹 방지 시스템만 잊어버려 해킹에 매우 취약하다. 때문에 블랙에게 해킹당해 호러 버전의 메인 킬러가 되었다.

Vineria → Thryssa
마을과 멀리 떨어져 있는 정원에서 식물을 가꾼다. 가끔 더피와 사이론을 초대하여 같이 논다.
호러 버전에서는 정원에 혼자 숨어 살아남았다. 마을과 멀리 떨어저 있고 낡아 보이기에 블랙과 퍼니봇이 자세히 살펴보지 않은 것.

Gray → Groy
격투기를 배우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무뚝뚝해 보이지만 어떨 때는 의기양양한 모습을 보이며 먼저 나서기도 한다. 남을 지키려는 의지가 강하다.
호러 버전에서는 퍼니봇에게 머리가 잘려 사망했다. 목에 머리끈이 묶여있는데 원래는 목을 졸라 죽일려 했다가 죽지 않아 머리를 자른 것.가장 불쌍하다. 목이 졸리고 겨우 살았더니 머리까지 잘렸다...
업데이트로 기존에는 머리에 머리띠만 매고 있었지만, 현재는 불덩어리가 그려진 옷과 검은 외투를 입고 있다. 머리띠는 이전보다 더 두꺼워졌다.

Brud → Brown
원작 브러드 보다는 뇌가 크고 똑똑하다. 하지만 이해 할 줄 아는건 3줄 이하의 글과 감정, 색, 온도 정도가 끝이다. 양동이는 그냥 쓰고 다닌다고 하며, 심심할 때 마다 양동이를 높이 던졌다가 다시 받는걸 반복하며 멍을 때린다. 그러다가 가끔 머리에 맞아서 기절하기도 한다.
호러 버전에서는 블랙에게 양동이로 얼굴이 뚫려 사망한다.

Garnold → Garno
클랭커, 시이나와 함께 일하며 가끔 발명가 일도 한다. 원작보다 더 단단하고 정밀한 갑옷을 입고 있다.
호러 버전에서는 갑옷 덕분에 살아남았다. 비살상 무기들로 생존자인 스캬이를 지켜준다.

Owakcx → ZAYRIK
자주 다치는 편이며 보기와는 다르게 그렇게 미친 편은 아니다. 하지만 가끔 이성을 잃고 미친 듯이 행동하기도 한다.
호러 버전에서는 머리와 상체의 살가죽이 다 뜯어진 상태로 사망했다.

Sky → Skyi
더피와 절친이다. 곰인형 모으기 보다는 그림 그리는 것이 취미이다. 그런데 그리는 그림은 거의 다 곰이다.
호러 버전에서는 오른쪽 허벅지에 외상을 입었으며 가놀에게 보호받고 있다고 한다. 외상을 입힌 사람은 비정상화 된 블레이즈라고 한다.
해피 페이즈 2에서 모습이 바뀐 캐릭터 중 하나다. 성장하여 엔지니어가 되었으며 고글은 Cyina에게 물려받았다고 한다.

Mr. Sun → Mr. Solar
그저 태양처럼 생긴 생명체. 생명체들에게 크게 영향이 가지는 않는다. 하지만 태양에서 태어난지라 뜨겁기는 엄청 뜨겁다고.
호러 버전에서는 온 몸이 검은 끈에 감긴 채 사망했다. 검은 끈의 주인은 블랙이라 한다.

Durple → Dupy
어려졌다. 스캬이와 같은 14살이 되었으며, 매우 순수해졌다고 한다. 스캬이와 절친이다. 한 쪽 뿔이 부러져 있는데, 갤러리를 보면 넘어졌다가 부러뜨린 것으로 보인다. 이는 크리스마스 QnA 영상에서 공인되었다.
호러 버전에서는 사이론과 함께 생존했다.
더피를 놓을 시 6분의 1 확률로 더플이 등장한다. 물론, 원작의 더플은 아니며 스프루티드 형식으로 변경된 더플이다.
파일:스프럿트 더플.jpg
만약 Sprunkr 코드 입력 후 설정에서 ??? invite를 활성화 할 시 Spunkr 더피로 바뀐다.
해피 페이즈 2에서 모습이 바뀐 캐릭터 중 하나다. 성장했으며, 보라색 옷을 입고있다.

Mr.Tree → Mr.Plant
그냥 얼굴 달린 나무라고 한다. 그래도 할 건 다 하지만 존재감이 거의 없어 미스터 플랜트가 뭘 하는지 모르는 사람이 더 많다고 한다.
호러 버전에서는 가지에 달려있던 랜턴이 떨어져 윗동을 다 태워버려 사망한다.

Simon → Syron
꿈이 래퍼이기 때문에 매일 자신의 비밀 안식처에서 랩 연습을 한다. 더피의 친한 형이다.
호러 버전에서는 더피와 함께 자신의 비밀 안식처에 숨어 생존했다.
해피 페이즈 2에서 모습이 바뀐 캐릭터 중 하나다. 모자가 검은 모자로 바뀌었으며, 래퍼가 되었다고 한다.

Tunner → Tano
사람들을 지키는 것은 원작과 동일하나 친한 인물들이 있으며, 특히 ???과 제일 친하다고 한다. 마을을 지키고자 한다는 목적이 같기 때문.
호러 버전에서는 퍼니봇에게 머리에 총을 맞아 사망했다.
리마스터드의 호러버전에서는 머리가 으깨져 사망했다.

Mr. Fun Computer → Fun.com
컴퓨터가 본체가 아니다. 안에 있는 프로그램이 본체이기에, 컴퓨터가 망가져도 데이터만 남는다면 다시 살아날 수 있다. 부르는 노래의 가사가 원작과 달라졌다.
호러 버전에서는 스크린이 깨진 채 등장한다.
해피 버전 가사 [ 펼치기 · 접기 ]
>Hello, today isn't such a fun day?
There is only way to play
Making jokes and puns,
Because this moment is very fun!
안녕, 오늘은 정말 재미있는 날이지 않아?
놀 수 있는 방법은 하나 뿐이야
농담과 말장난들을 만드는 거야,
왜냐하면 지금 이 순간이 아주 재미있으니까!

호러 버전 가사 [ 펼치기 · 접기 ]
> Once I laughed, but now I sigh-h,
A hollow shell where dreams must die.
You played the game, but lost your tu-rn-rn,
Now feel the fire, let it burn-un-un
나는 한때는 웃었지만 이제는 한숨을 쉬ㅇ-어
꿈들이 죽어야만 하는 빈 껍데기
너는 게임을 했지만, 네 차례를 놓쳤ㅇ-ㅇ-어
이제 불을 느껴봐, 타오르게 해ㅂ-ㅂ-봐

Wenda → Wenna
본래의 에릭 카트먼 같은 성격은 없어졌으며, 선행을 자주 한다. 피비나의 유일한 친구이자 제일 친한 친구다.
호러 버전에서는 피비나에게 머리를 먹혀 사망했다.

Pinki → Pivina
소심한 성격 때문에 친구를 만들지 못한다. 유일한 친구는 웨나 뿐이다. 요리 실력도 형편 없으며, 웨나도 이를 커버해주지 못 한다.
호러 버전에서는 소심한 성격을 고치고 싶어하는 마음과 약물의 반응으로 인해 머리의 윗부분이 입이 되었다. 그리고 가장 친한 웨나의 머리를 베어 먹었다.

Jevin → Jevios
혼자서 보내는 시간이 제일 많으며 항상 신만을 믿는 광신도다. 하지만 가끔 마을로 내려와 사람들과 어울리기도 한다.
호러 버전에서는 얼굴이 퍼니봇에 의해 관통 당해 사망했다.
리마스터드의 호러버전에서는 얼굴에 눈이 1개 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Black → X
마을에 갑자기 나타난 평화주의자. 가끔 사람들에게 조언도 해주는 편이다.[14]
호러 버전에서 설정에 들어가면 오른쪽 아래에 검은 점이 있는데 해당 점을 누를 시 블랙이 드럼 소리를 낸다.
해피 모드에서 유일하게 배치가 불가능한 캐릭터이다.


[ 보너스 캐릭터 목록 펼치기 · 접기 ]
이 모드 전용 보너스 캐릭터들이 있다. 목록은 아래와 같다.[15]
  • 시이나(Cyina): 푸른색이며, 고글을 쓰고 있다. 해당 모드 한정으로 가끔 가놀드에게 찾아간다는 설정이 있다. 드럼 소리를 낸다. 호러 버전에서는 안구가 사라진 채 사망한 상태로 등장한다.
    해피 페이즈 2에서 모습이 바뀐 캐릭터 중 하나다. 고글은 Skyi에게 주었으며 결혼까지 하고 프로그래머로 일하지만 야근에 육아에 온갖 일 때문에 피곤에 몸이 찌들었다고 한다.
  • 에메랄드(Emerald): 청록색이며, 동물 귀와 꼬리가 있다. 거의 대부분을 귀찮아 하는 컨셉이다. Cyina와 Mareen의 친구이다. 호러 버전에서는 왼쪽 안구가 사라진 채 등장한다. 참고로 생존자라고 한다.
    2월 13일 업데이트로 새로운 설정이 생겼다. 쿠로마메와 폭시를 제외한 나머지 여우 캐릭터들(Snowfox, Lumen, Vurr, Betty)과 같이 배치할 시 얼굴 표정이 썩으며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 그 이유는 오로지 본인만 여우이고 싶어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쿠로마메는 여우가 아니라고 생각했거나 그냥 맘에 들어서 싫어하지 않는 것이라고 하며, 폭시는 그냥 로봇이라서 싫어하지 않는다고 한다.
  • 마린(Mareen): 암적색이며, 번개 모양의 뿔을 가지고 있다. 기타 소리를 낸다.[16] 호러 버전에서는 뒤틀린 웃음을 보이며 SAVE THEM이라는 말을 계속 외친다. Cyina를 죽인 장본인. SAVE THEM의 의미는 모드 내에서 등장하지 않은 제 3자들을 뜻한다고 한다.
    해피 페이즈 2에서 모습이 바뀐 캐릭터 중 하나다. Cyina가 고생한다는 것을 알고 괴롭히지 못하자 실증나버린 모습이다.
  • 블리스(Bliss): 검은색이며, 머리 위에 두 개의 뿔을 가졌다. 갤러리에서의 모습을 확인해보면 뿔이 나 있는 꼬리를 가지고 있다. 호러 버전에서는 눈과 입 색만 하얗게 바뀐다. 또한 보호막에 보호받고 있는데, 상황 파악을 못 한다는 설정 때문에 그 사실을 모른다고 한다.
  • 스노우 라이트(Snow Light): 이름과 알맞게 눈처럼 백색이며 눈이 없다. 알려진 것이 거의 없으며, 유령이라는 것 정도만 알려져 있다는 설정이 있다. 갤러리에서 모습을 확인해보면 고양이 꼬리를 가지고 있다. 호러 버전에서는 입 모양이 바뀐 채로 등장한다. 블리스에게 보호막을 씌워준 장본인이며 한번 씌워주고 막대한 에너지 손실에 쓰러졌다 한다.
  • 듀퍼(Duper)[17]: 더피의 친형이다. 어두운 보라색이며, 왼쪽 눈에 상처가 있다. Muted Trumpet의 피치를 낮춘 소리를 낸다. 호러 버전에서는 눈에서 빛이 나고 있는 상태로 등장한다. 더피와는 다른 마을에 산다고 한다. 해당 마을의 싸움 1짱이라 한다. 업데이트로 스키가 추가되며 스프루티드의 유일한 커플 캐릭터가 되었다. 스키와 같이 배치할 시 사운드가 바뀐다.
  • 스키(Ski): 스카이의 친누나다. 밝은 하늘색이며, 머리가 꽤 길다. 듀퍼와 커플이라는 설정이 있으며, 그에 맞게 듀퍼의 옆에 스키를 배치할 시 듀퍼와 함께 사운드가 바뀐다. 사운드만 바뀌는 듀퍼와는 다르게 얼굴이 붉어지는건 덤.
    스키라는 이름은 그 스키에서 따온게 맞다고 한다.
    호러모드에서는 눈에서 빛이 나며 두려워 하는 표정을 보인다.
  • 미스터 블루스/라디오 레드(Mr.Blues/Radio Red): 각자 파란색과 코랄색이며, 검은 모자를 쓴 캐릭터들이다. Mr.Blues는 가면을 쓰고 있으며, Radio Red는 총을 들고 있다. Mr.Blues는 제빈과 비슷한 코러스 소리를 내며, Radio Red는 3,2,1을 외친다. 호러 버전에서는 Mr.Blues의 가면이 울상이 되며, Radio Red는 머리에 총구멍이 난 상태로 등장한다. 미스터 블루스는 블랙보다도 강력한 힘을 지니고 있지만 누군가가 특별한 이유를 가지고 부탁하거나 선공하지 않는 이상 먼저 공격하는 일이 없다고 한다.
  • 기어릭(Gearick): 황토색이며, 눈이 톱니바퀴인 캐릭터이다. 시이나가 만들었으며, 머리에 있는 것은 손잡이라고 한다. 톱니바퀴가 돌아가며 틱틱거리는 소리를 낸다. 호러 버전에서는 오른쪽 톱니바퀴가 빠지고 손잡이가 부러진 상태로 등장한다.
  • 우더(Wooder): 갈색이며, 나무로 이루어진 목각인형 캐릭터이다. 시이나가 만들었으며, 머리에 달린 4개의 목각에서 소리를 낸다. 호러 버전에서는 얼굴이 번져있는 상태로 등장한다.[18]
  • 리버핀(Riverfin): 종이배 모자를 쓰고 있는 청록색의 캐릭터이다. 기타 소리를 낸다. 호러 버전에서는 몸이 반토막 난 상태로 등장한다. 페이퍼 블로섬과 친한 친구라고 한다.
    해피 페이즈 2에서 모습이 바뀐 캐릭터 중 하나다. 해적 일에 질려 해군 공부를 하여 해군이 되었다고 한다.
  • 페이퍼 블로섬(Paper Blossom): 분홍색이며, 검은 꽃 화관을 쓰고 있고 얼굴에 표정이 바뀌는 종이를 붙이고 있다. 호러 버전에서는 종이가 실종 포스터로 바뀐 상태로 등장하며, 음의 피치가 매우 낮아진다. 리버핀과 친한 친구라고 한다.
  • ???[19]: 등에 산탄총을 매고 있으며, 한쪽 눈에 안대를 쓰고 있다. 사냥꾼이 직업이며 마을을 지키는 것이 본업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 캐릭터에 대한 질문들의 답변을 보면 "His name doesn't exist yet! I'll refer to him as 'Black Helper'!"(그의 이름은 아직 없어! 난 그를 'Black Helper'라고 지칭할게!) 라는 말이나 "data expiration"(데이터 말소) 라는 말만이 돌아올 뿐인 것을 보면 직업이 사냥꾼이라는 말은 거짓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호러 버전에서는 모든 장신구가 없어지며 하얀 왼쪽 눈과 이빨만이 보인다. String 소리와 드럼 소리를 같이 낸다.
  • 마드(Mard): 원작 스프런키 갤러리에 있던 그 마드이다. 호러 버전에서는 블랙에게 조종당하는 모습으로 등장하며 이는 갤러리에서 확인 가능하다.
    펀봇과 같이 둘 시 소리가 바뀐다.
  • 데비캣(DeviCat): 2월 11일 업데이트로 등장한 새로운 보너스 캐릭터이다. 캐릭터의 원작자는 RRPB이며, 보라색이다. 고양이 방울을 목에 매고 있으며, 검은 모자, 그리고 CD를 머리에 착용하고 있다. 보너스 캐릭터 중 유일한 미성년자이며, 개발자의 자캐가 아니다.
    하지만 보너스 캐릭터이기에 Spruted의 스토리에는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호러모드에서는 눈이 빛나며 웃고 있다. 해당 공식 캐릭터 컨셉으로 남의 고통을 즐긴다고 한다.
  • 해터스 (Hatters): 2월 13일 업데이트로 등장한 새로운 보너스 캐릭터이다. 캐릭터의 원작자는 Fanmadeitemmaker이며, 짙은 회색이다. 클루커와 비슷한 짙은 회색의 심벌즈를 머리에 2개 달고 있으며, 조금 이상한 드럼 소리를 낸다. 모드 내 캐릭터들 중 키가 제일 작다. 헤터스도 마찬가지로 개발자의 자캐가 아니다.
    하지만 보너스 캐릭터이기에 Spruted의 스토리에는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호러모드에서는 두려운 표정을 하며 옆을 바라본다.

이 모드에서의 블랙은 새 루프가 진행될 때 돌변하며 호러 버전으로 넘어간다.[20] 호러 버전에서는 아이콘들이 전부 픽셀화되며, 계속하여 커졌다 작아지고 뒤틀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리마스터드 업데이트로 호러모드가 업데이트 되었다. 배경에 있는 검은 구름을 클릭한다면 밤으로 바뀌며, 다른 모든 아이콘과 상호작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블랙은 움직일 수 있는데, 다른 폴로들은 배치가 불가능하지만, 유일하게 배치가 가능한 6번 폴로에 블랙을 배치할 시 블랙이 가운데로 이동한다. 그리고 플레이어의 화면을 잡으며, 목이 뒤로 꺾인 후 기괴하게 입을 벌리며 화면을 입 안으로 끌고 온다. [21]

만약 리마스터드에서 호러모드에 입장한 후 크레딧을 볼 시 기존의 크레딧 뒤로 누군가의 눈이 나오며 말을 건다. 캐릭터 이름은 "Nover"이며 유일하게 플레이어의 존재를 파악하는 캐릭터이다. 호러모드에서 등장할 시 플레이어에게 기회를 준다고 하며 다시 페이즈 1로 돌려보낸다. 만약 이때 다시 검은 구름을 클릭할 시 눈 아이콘이 생기며, 이 아이콘을 누를 시 숨겨져있던 해피 페이즈 2로 이동된다. 블랙의 계획이 막혀 아무 일 없이 잘 지나간 몇년 후의 시점이라 한다.
만약 해피 페이즈 2에서 크레딧을 볼 시 Nover가 재등장하며 고맙다는 말과 함께 다시 페이즈 1로 돌려보내며 Nover 캐릭터를 획득할 수 있다.
Nover를 배치할 시 대부분의 코드에 있던 캐릭터들로 변한다. 사운드는 Fl studio의 Vocal 샘플들.
만약 해피 페이즈 2에 배치할 시엔 아무런 소리도 내지 않으며, 호러 페이즈 2에서 배치할 시 점프스케어와 함께 "You gave up your chance" 라는 메세지를 출력한다. [22]

몇몇 갤러리 이미지들은 모자이크가 되어 있는데, 호러 버전에서 모자이크가 풀린다.

해당 모드의 캐릭터들은 대부분 호러 버전에서의 역할이 바뀌어 있다.[23] 호러 버전의 생존자는 트리샤, 가놀, 더피, 사이론, 그리고 오른쪽 허벅지에 외상을 입은 스카이까지 총 5명이다.

해당 모드의 설정으로 Spruted의 캐릭터들은 다른 모드들의 캐릭터들보다 크기가 훨씬 작을것이라 한다.
Sprunki 캐릭터와 크기를 비교한다면 Spruted의 캐릭터는 Sprunki 캐릭터의 2분의 1 정도 크기일 것이라 한다.[24]

해금할 수 있는 다양한 업적들이 존재한다. 업적의 종류와 해금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업적 목록 펼치기ㆍ접기 ]
- No more!!
코드 입력기에 Ineedmore을 입력할 시[25] "STOP!"이라는 소리와 함께 해금되는 업적이다. 업적 해금 뒤에는 빨간 아이콘 하나가 나오는데, 해당 아이콘을 누를 시 메인 아이콘들이 추가 아이콘으로 변환된다. 다시 누르면 원래대로 돌아온다.
추가된 캐릭터들은 왼쪽부터 로이(모드 제작자), El cool p, Lumen, BoyFriend (FNF), NotGod, 스프런키 미사용 폴로, Bell, Blue Ghost, Vurr(abgerny), Peuljjin, Span이다.[26]

- He's here
블랙을 놓으면 해금되는 업적이다. 업적 이름의 He는 블랙을 지칭하는 듯.

- Barrier
호러 버전에서 블랙과 블리스를 함께 놓을 시 해금되는 업적이다. 호러 버전의 블리스는 보호막으로 보호받아 혼자 멀쩡한데 이가 블랙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증거.

- Cat's taste
호러 버전에서 웬다와 핑키를 함께 놓을 시 해금되는 업적이다. 정황상 핑키가 웬다의 머리를 베어먹은 듯 보인다.

- Brothers
듀퍼와 더피를 함께 놓을 시 해금되는 업적이다. 업적의 이름은 더피의 형이 듀퍼라는 설정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 old perfume
호러 버전에서 설정의 "Old-BG" 토글을 켜면 해금되는 업적이다.

- different place
No more!! 업적을 해금하면 나오는 빨간 아이콘을 누르면 등장하는 캐릭터들 중 El cool p, Lumen, NotGod, Vurr를 함께 놓을 시 해금되는 업적이다.

- You see this!
화면 상단의 스크래치 블록 모양 아이콘을 누르면 나오는 크레딧을 끝까지 본다면 해금되는 업적이다.

- Christmas![a]
christmas를 입력할 시 해금되는 업적이며, 크리스마스 캐릭터 2개가 나온다. 해당 캐릭터들은 이름이 없다. 한 캐릭터는 손에 종을 들고 슬레이 벨 소리를 내며, 한 캐릭터는 산타 복장을 하고 루프마다 한 번씩 "Ho ho ho, merry christmas!" 라고 말한다.

- Durples![a]
durple을 입력할 시 해금되는 업적이며 세 명의 다른 더플들이 등장한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Spunkr, Sprunki, Sprunked에서의 더플이다.

- Skys![a]
sky를 입력할 시 해금되는 업적이며 세 명의 다른 스카이들이 등장한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Spunkr, Sprunki, Sprunked에서의 스카이이다.


아래 업적들은 Remastered에서 달성 가능하다.
- Brothers
Dupy와 Duper를 같이 배치할 시 달성된다.

- Code user
코드 입력칸에 아무 코드를 입력할 시 달성된다.

- The only couple
Duper와 Ski를 같이 배치할 시 달성된다.

- He's here
호러모드 진입 시 달성된다.

- Ocular extraction
Cyina와 Mareen을 같이 배치할 시 달성된다.
해당 코드는 원래 오리지날에 먼저 추가될 코드였으나, 여러가지 문제로 보류되다 잊혀져 오리지날엔 추가되지 못했다고 한다.

- What does the cat taste like?
Wenna와 Pivina를 같이 배치할 시 달성된다.

- Barrier
Black과 Bliss가 같이 연주할 때 달성된다.

- Spruted Player
Spruted를 10분 동안 플레이 할 시 달성된다. 현재 버그로 몇분 플레이 하지 않았음에도 달성되는 경우가 있다.

- Dupy?
더플을 배치할 시 달성된다. 운이 필요한지라 빨리 될수도 있고 늦게 될수도 있는 업적이다.

- He gonna watching you..
호러 페이즈 2에서 크레딧을 볼 시 달성된다. 아이콘에 있는 눈은 Nover의 눈이다.

- Happy Ending
해피 페이즈 2에서 크레딧을 볼 시 달성된다. 해당 업적이 있어야지만 Nover를 사용할 수 있다.

- Wait.. Hey Aren't you tired?
Spruted를 1시간동안 플레이 할 시 달성된다. 현재 버그로 몇분 플레이 하지 않았음에도 달성되는 경우가 있다.


[ 코드 목록 펼치기ㆍ접기 ]
코드를 입력하면 등장하는 숨겨진 캐릭터들이 있는데, 코드는 아래와 같다.

- Horrorishere [30]를 입력할 시 호러 버전이 해금된다.[31] 개발자가 스크래치 버전이 비활성화 당하자 바꾼 호러 버전 활성화 방식이다.

- sans를 입력할 시 Undertale의 샌즈와 파피루스가 나온다.[a] 와 샌즈! 업적의 이름은 없다. 샌즈와 파피루스의 스프라이트 이름은 Joke1과 2로, 그저 장난으로 추가된 캐릭터들이다.

- they in here을 입력할 시 [b]くろまめ(쿠로마메), Eras(에라스), 리피(Leafy)가 나온다.

- wasthatthebiteof87[b]를 입력할 시 Five Nights at Freddy's의 프레디 파즈베어, 토끼 보니, 병아리 치카, 해적 폭시가 나온다. 호러모드 업데이트로 해당 캐릭터들의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 brainrot[b]을 입력할 시 유튜버 BENJIxScarlett이 변형한 오렌BENJIxScarlett이 만든 만큼 동심파괴이 나온다. 그래서인지 변형된 오렌을 배치하면 BENJIxScarlett이 작곡한 Sprunki Song이 나온다.[36] 변형된 오렌과 일반 오렌을 같이 둘 시 변형된 오렌의 표정이 썩으며 아래로 천천히 사라진다.

- CreatorOC [b]를 입력할 시 개발자의 자캐들이 나온다. 캐릭터의 이름은 왼쪽부터 오른쪽 순서로 Roy [38], Hyunus[39], SnowFox, Star/Moon shark이다.

- OtherMods [b]를 입력할 시 각자 Lumen(Foxes), NotGod (Rooms), Blue Ghost(darkend), Vurr(abgerny)가 나온다.

- NewPeoples [b]를 입력할 시 4개의 자캐들이 나오며 각자 Digi(Craziness Edits), Robert game(diego_official)[42], Orchid(Thanatia), Betty({Betty_mintfox})[43]가 나온다.
코드가 업데이트 되어 6개의 캐릭터가 더 추가되었다. 왼쪽부터 Potion(lofi0479_33393), Prupy(NALEŚNIK GAMES), Cheesty(Nicky_Dupy), Cyanide(Granola), Kiyoshi(Artman), Rozar(zaruyanise)이다.

- Friends [b]를 입력할 시 3개의 캐릭터가 나오며 순서대로 LB, Peuljjin, Bell이다. 해당 캐릭터들은 개발자와 공동 개발자의 지인들의 캐릭터다.

- Spunkr [b]를 입력할 시 Spunkr의 Miek와 함께 메뉴 버튼이 4번 반짝거리며 메뉴에 들어갈 시 망가져있던 ??? 버튼이 복구된다. 해당 버튼을 누를 시 더피가 Spunkr의 모습으로 바뀐다. [46] 해당 코드가 업데이트 되며 기존에는 Miek만 해금 되었지만, 이제는 순서대로 Sprootin, Globy, lil poptart가 같이 해금된다.

- FallingInk를 입력할 시 Bendy 시리즈를 모티브로 하는 캐릭터 2개 해금된다.
각 캐릭터들의 이름은 Elias Monroe와 Remy로 보인다. [47]


[ 상호작용 목록 펼치기ㆍ접기 ]
현재 존재하는 캐릭터간의 상호작용은 다음과 같아

- Ornix
BrainRot Oren: 같이 배치될 시 BrainRot Oren이 두들겨 맞는 소리와 함께 들어간다.

- FunnyBot
Mard: 같이 둘 시 Mard의 사운드가 바뀐다

- Dupy
Skyi: 같이 붙여서 배치할 시 Skyi의 사운드가 바뀐다.

- Emerald
Kuromame, Foxy를 제외한 나머지 여우 캐릭터: 에메랄드의 표정이 썩으며 음을 내지 않는다.

- Mareen
Remy [이름불명]: 같이 둘 시 Remy가 떨며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

- DeviCat
FNAF 캐릭터, Brainrot Oren, black, Peuljjin: 같이 배치한 후 Devicat을 음소거할 시 Devicat이 불만을 가진 모습으로 바뀐다.

- Duper
Ski: 같이 배치할 시 서로의 소리가 바뀌며, Ski는 얼굴이 붉어진다.

- Kuromame
Betty: 같이 배치할 시 웃으며, 가까이 붙여서 배치할 시 쿠로마메의 얼굴이 붉어진다.
brown[49]: 같이 배치할 시 쿠로마메가 질투한다.

- Elias Monroe [이름불명]
Remy: 같이 둘 시 Remy가 떨며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

- Digi
Robert game: 같이 배치할 시 Digi의 사운드가 바뀐다.

- Betty
brown: 같이 둘 시 얼굴이 붉어지며 사운드가 바뀐다. 만약 가까이 배치할 시 Betty가 노래를 멈춘다.

- Peuljjin
Black: 같이 배치할 시 Peuljjin의 모션이 더 역동적으로 바뀌며 블랙이 당황한다.
Eras: 같이 배치할 시 Eras의 표정이 썩는다.
BrainRot Oren: 같이 배치할 시 BrainRot Oren의 표정이 썩는다.
LB: 같이 배치할 시 Peuljjin이 소리지르며 들어간다. 이걸 3번 할 경우 Peuljjin이 화를 내며 오히려 역으로 LB를 쫒아낸다.
Cyanide: 같이 배치할 시 Peuljjin이 Cynaide를 쳐다보며, Cynaide는 겁먹은 표정으로 바뀐다.

- Globy
Mr.Nova: 같이 둘 시 Nova가 Globy의 사운드에 맞춘다.


개발자는 다른 사람들의 캐릭터를 몇명 골라 인게임에 추가하고 있다. 하지만 부작용이 있었는데 다음에 다시 뽑을거니 기다려 달라고 언급 했음에도 불구하고 Cocrea 댓글에는 물론이고 Youtube 댓글에서도 자신의 OC를 추가해달라는 댓글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개발자가 누군가의 댓에 답변으로 캐릭터를 공식적으로 뽑기 전에 언급하면 해당 사람의 캐릭터는 추가하지 않을거라 하기도 했다.
개발자는 현재 Spruted 말고도 자신이 만든 다른 모드들에 관심을 가져주었으면 한다고 한다. [51]
그래서인지 Foxes를 리마스터 하여 업로드 하기도 했다.

13. Sprunki Babies(아기 모드)

파일:스파런키바이비모드스.png
링크

말 그대로 스프런키들이 아기인 모드이다.[52]원본은 스프런키 리마스터 모드이며, 이 모드는 스프런키 리마스터 모드를 리믹스한 모드이다. 스프런키 특유의 고어함이 없고, 호러 버전 대신 밤 모드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

가끔 이 모드를 phase 시리즈로 아는 사람들이 있다.[53]

밤 모드에서는 일부 캐릭터들이 조금 병맛[사이먼][더플][웬다]이다. 밤 모드에서는 캐릭터들이 장신구를 일부 벗고 있다.[57] 더플은 초창기 버전의 소리를 낸다.

여담으로 이 모드를 또 리믹스한 sprunki phase 3 but babies 모드가 있다.[58]

14. Pyramixed 시리즈(피라믹스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PRUNKI/모드/Pyramixed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모드/Pyramixed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모드/Pyramixed 시리즈#|]][[SPRUNKI/모드/Pyramixed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Sprunki OC(OC 모드)

파일:sprunki oc.png
링크
기본 스프런키들이 완전히 달라진 모드이며 일반 스프런키들을 선택하는 창의 몇몇 곳은 비어있는 상태이다.

사용되는 캐릭터들은 다른 유튜버들이 제작한 ’스프런키 자캐‘들을 빌려온 것이다. 단, Sherbet(셔벗)은 따로 원작자가 없는 이 모드 오리지널 스프런키이다.

Sprunki OC가 유명해지면서 이 모드에 나오는 캐릭터들을 가지고 4차 창작을 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그러면서 생겨난 커플링이 있는데 바로 릴리와 텔레. 하지만 이 커플은 저연령층 양산형 컨텐츠 제작자들이 만든 커플이나 다름없고, 릴리와 텔레를 가지고 생산하는 양산형 컨텐츠들을 두 캐릭터의 원작자들이 불편해 하고 있으니 너무 심하게 엮지는 말자.

[ 캐릭터 목록 펼치기 · 접기 ]
이름이 밝혀진 스프런키들만 서술한다.

Rose (로즈) - 원작자는 R0YEK1TTY. 긴 앞머리에 천사링이 있는 연보라색 여성 스프런키이다. 원작에서의 레디의 소리를 리믹스한 소리를 낸다. 호러 버전에서는 천사링이 부서져 있고 몸에 피가 조금 묻어 있으며 슬픈 표정으로 연주를 한다. 드럼 소리를 내는 건 똑같다.

Lily (릴리) - 원작자는 kaeofthekae. 머리에 전자레인지가 있는 연보라색 여성 스프런키로, 이 모드에서 제일 유명하다.[59] 전자레인지 문을 여닫거나 버튼을 누르는 소리를 낸다. 호러 버전에서는 하체가 잘리고 전자레인지에 입이 달린 상태. 제작자가 말하길 전자레인지가 돌아가 사망하여 그녀의 영혼을 가둔 상태라고 한다. 사실상 더플처럼 비정상화 되었다고 볼 수 있다.

Bit (비트) - [공통] 도트모양의 표정과 사각형 머리를 가진 하늘색 남성 스프런키이다. 기계를 조작하는 듯한 소리를 낸다. 호러 버전에서는 얼굴이 하얀색으로 변하고 고통스러워하며 발광한다. 음악을 멈추고 기다릴 때, 연주 시 도트로 변할 때가 있다.

Dorn (도른) - [공통] 머리 자체가 문인 연갈색 남성 스프런키이다. 자기 얼굴을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비트를 낸다. 호러 버전에서는 문에 금이 갔으며 문 속에는 호러 버전 특유의 실사 눈이 있다. 원작자가 생존한 상태라고 하였기에 핑키, 브러드와 같이 외상을 입은 생존자거나 비정상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BILL (빌)[오해] - 원작자는 OTON TV INDONESIA. 야구 배트를 등에 지고 아구 모자를 쓴 파란색 남성 캐릭터이다. 침착하고 착한 성격에 야구를 좋아한다고 하며, 야구 경기가 생각나는 하이햇, 스네어 드럼 소리를 낸다. 호러 버전에서는 눈 한 쪽이 칼에 박히고 몸이 긁힌 채 우울한 표정을 짓는다. 자세한 부상 원인과 생사 여부는 추후에 밝혀질 듯.

Sherbet (셔벗)[오해2] - 몸 전체가 아이스크림인 연노란색 남성 스프런키이다. 모티브는 바닐라 아이스크림으로 보인다. 호러 버전에선 뇌가 보일 정도로 엄청 녹아내렸다. 트위스티드 쉬림포.

Tele (텔레) - [공통] 몸 배 쪽에 다이얼이 있고 머리 위에는 통화기가 있는 빨간색 남성 스프런키이다. 위에 있는 릴리 다음으로 유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러 버전에서는 한쪽 눈엔 다이얼이, 한쪽 눈엔 전화기가 박힌 채 배가 뚫려 사망한다.

Aqua (아쿠아)[오해3] - 원작자는 Skully.5. 뒷머리가 길고 그 안에 얼음 조각이 들어있고 머리에 빨대가 있는 아쿠아마린색 캐릭터이다.[66] 얼음 조각이 서로 약하게 부딪히는 듯한 소리를 낸다. 여자친구가 있다는데 이름은 Bella(벨라). 호러 버전에서는 왼쪽 눈이 검은색으로 변하고, 얼음이 있던 자리에는 눈들이 있으며, 덜덜 떠는 듯한 소리를 낸다. 원작자가 사망했다고 공인했다.

TOCK (톡)[오해4]- 원작자는 YarelRed17. 머리가 시계인 연분홍색 남성 스프런키이다. 알람시계 소리를 낸다. 오왁크스, 클루커와 친구라고 한다. 호러 버전에서는 머리의 종 부분 한 쪽이 뽑히고 눈알에 박혀버렸다.


[ 출시 전망 캐릭터 목록 펼치기 · 접기 ]
이 캐릭터들의 조건은 이러하다.
  • 1.조회수가 80만회 이상인 경우
  • 2.원작자가 이전에 출시되었던 캐릭터들을 만들었을 경우
  • 3.OC모드의 제작자의 유출로 모습을 보인 경우
  • 이 조건들중 하나라도 만족하면 서술 가능하다.

Mr.Tv (미스터 TV)[공통] - 머리가 텔러비전이고 몸에 초록색 코어가 달린 스프런키이다. 모습이 기계인것으로 보아 클루커, 가놀드가 만든것으로 추정된다. 머리에 빛을 내며 노이즈 소리를 낸다. 호러버전 에서는 머리가 박살나고 코어가 붉어진채 "에러 감지됨, 끝이 오고있다." 같은 메세지를 보내며 노이즈를 낸다. 비트, 도른, 텔레가 이 모드에 나온것을 보면 이쪽도 출시 가능성이 높다.

16. Sprunki Swap (스왑 모드)

모드 썸네일 (열람 주의) [펼치기 · 접기]
파일:spRUNki_paws.webp

링크[69]

업데이트 전 링크[70]

제작자는 Americium이며, 제작자의 매력있는 그림체와 섬뜩하나 꽤나 중독성 있는 노래로 인해 정말 많은 인기를 얻은 모드이다.

외상이 없는 생존자는 미스터 펀 컴퓨터, 웬다, 블랙으로 총 3/4명이다.[71][72]
외상이 있는 생존자는 오렌, 가놀드, 사이먼으로 총 3명이다.[73]
상태가 불명인 캐릭터는 클루커로 총 1명이다.[74] 사망 확률이 조금 더 높다.
비정상화가 된 캐릭터는 펀 봇, 미스터 썬, 미스터 트리, 터너, 제빈으로 총 5/6명이다.[75][76]
사망한 캐릭터는 레디, 비네리아, 오왁크스, 스카이, 더플, 핑키로 총 6명이다.[77]
다른 캐릭터 한테 외상을 입히거나 살해한 캐릭터는 그레이, 브러드로 총 2명이다.[78]

[ 캐릭터 목록 펼치기 · 접기 (묘사, 열람 주의) ]
* 오렌 ⇆ 핑키 : 원작의 핑키처럼 얼굴이 뜯어져나간 모습이다. 리듬은 원작과 비슷하다. 업데이트 이후로는 표정이 바뀌었다.이스터 에그가 있는데,오렌과 핑키를 같이 배치하면 핑키가 오렌을 바라본다.
  • 레디 ⇆ 스카이 : 원작의 스카이처럼 온 몸이 쇠파이프로 뚫린 모습이다. 원작과 리듬이 비슷하나, 스프라이트의 경우 소리를 낼때마다 왼쪽과 오른쪽으로 눈을 돌리는 방향이 다르다. 업데이트 이후로는 이를 악물고 있으며 표정도 화난 표정으로 바뀌었다.
  • 클루커 ⇆ 가놀드 : 원작의 가놀드가 헬맷 내 스프링락에 괴사한 것을 반영하여 해당 모드의 클루커의 경우 온 몸이 스프링락으로 칭칭 감겨있는 모습이다. 리듬은 원작과 비슷하나 소리가 드럼 심벌즈와 비슷하게 바뀌었다. 업데이트 이후로는 몸에만 밧줄로 묵였다.
  • 펀 봇 ⇆ 미스터 펀 컴퓨터 : 원작의 미스터 펀 컴퓨터처럼 안구 쪽 화면에 'Run', 'Error', ‘HELP', 여러 개의 눈알 등의 오류 화면들이 뜨며, 엄청난 폭타 리듬을 선사한다. 업데이트 이후로는 외상이 사라지고 표정이 어이없는듯한 무표정으로 바뀌었는데, 제작자의 심리를 반영한 변화로 보인다.
  • 비네리아 ⇆ 오왁크스 : 원작의 오왁크스처럼 입과 하반신 가죽이 뜯어져나간 모습이며, 원작과 리듬이 비슷하고 해당 모드의 클루커와 비슷하게 눈을 양옆으로 흔드는 모습을 보여준다. 업데이트 이후로는 마라카스가 매우 빠른 소리를 내게 바뀌고, 외상이 사라지고 표정도 무표정으로 화면을 노려보는 걸로 바뀌었다. 이 또한 제작자의 심리가 반영된걸로 보인다.
  • 그레이 ⇆ 웬다 : 원작 웬다의 사이코적 인 캐릭터성을 스왑받아 사백안이 되었으며, 대부분의 스프런키들을 죽이거나 외상을 입혔다. 베이스 연주음이 바뀌었다. 또한 꼬리가 생겼다.
  • 브러드 ⇆ 사이먼 : 원작의 사이먼처럼 두 눈이 사라지고 입이 기괴하게 벌어진 모습이다. Retake의 아고고벨과 소리가 비슷하다.
  • 가놀드 ⇆ 클루커 : 원작의 클루커가 머리가 짓눌려서 죽은 것처럼 바이저가 커져서 마치 바이저가 무게 때문에 깔린 듯한 모습이 되었다. 원작과 리듬은 비슷한 편.
  • 오왁크스 ⇆ 비네리아 : 원작의 비네리아와 비슷하게 두 눈이 밖으로 튀어나온 모습이며, 좀 더 천둥 같은 북소리로 바뀌었다. 가끔씩 소리지르기 전 화면이 붉게 변하는 연출이 나온다.
  • 스카이 ⇆ 레디 : 원작의 레디와 똑같이 피눈물을 흘리고, 하반신과 얼굴 반이 사라지고 줄에 목이 매달리게 되었다. 제작자가 목에 매인 줄을 잡고 있는 손을 그린 것을 볼 수 있다. 원작보다 리듬이 빨라졌다.
  • 미스터 썬 ⇆ 미스터 트리 : 얼굴과 태양 주위 부분이 녹아내린 듯한 모습으로 변이하였다. 갤러리를 보면 Sprunki Pyramixed의 미스터 트리 얼굴에서 따왔다고. 연주 할때엔 얼굴 부분이 빛난다. 오르간이 섞인 듯한 피아노 소리로 바뀌었다.
  • 더플 ⇆ 터너 : 원작의 터너처럼 이마 정중앙에 총알이 박힌 모습이다. 연주 시 It's just a burning memory의 첫 소절을 트럼펫 단조로 불러준다.
  • 미스터 트리 ⇆ 미스터 썬 : 나무 줄기 가운데에 큰 눈과 그 주위 작은 눈 6개로 이루어진 모습이다. 소리가 오르간보다는 가늘게 소리가 난다. 눈의 디자인은 Phase 4 모드의 미스터 썬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 사이먼 ⇆ 브러드 : 원작의 브러드만큼은 아니나 머리 한쪽을 조금 뜯어먹혀서 왼쪽 더듬이가 사라지고 오른쪽 옆구리가 뚫린 모습이다. 원작의 8비트 신디사이저의 소리로 더 빠른 리듬으로 연주한다.
  • 터너 ⇆ 더플 : 원작의 더플처럼 섬뜩한 인상으로 바뀌었으며, 연주할 때마다 입이 벌어졌다 닫힌다. 원작과는 달리 연주음이 하프 소리로 바뀌었다.
  • 미스터 펀 컴퓨터 ⇆ 펀 봇 : 펀 봇과 역할이 바뀐만큼 감염되진 않았으나 원작의 펀 봇처럼 슬픈 얼굴을 하고 있으며, 원작과는 달리 목소리가 아닌 기계스러운 음을 연주한다.[79]
  • 웬다 ⇆ 그레이 : 원작의 그레이의 캐릭터성을 받아 얼굴이 울상인 모습이며, 연주 시 손으로 눈물을 닦으며 아이가 우는 소리를 낸다.
  • 핑키 ⇆ 오렌 : 원작보다 얼굴은 괜찮아졌으나, 원작의 오렌처럼 갈비뼈가 벌어진 채 내장이 전부 노출된 모습이다. 원작처럼 감미로운 여성 코러스 목소리를 낸다. 그리고 오렌이 있으면 오렌을 보고 미소짓다가 노래를 부른다.
  • 제빈 ⇆ 블랙 : 원작의 블랙처럼 소름끼치는 얼굴의 형태를 가지게 되었으며,[80] 무거운 남성 코러스를 낸다.
  • 블랙 ⇆ 제빈 : 원작가 NyankoBfLol이 그린 해피 버전의 블랙의 디자인을 약간 바꾸어서 사용했다. 제빈과 비슷하게 남성 코러스를 연주 한다.


여담으로 배치 이스터 에그 하나가 있는데, 오렌 혹은 핑키를 배치할 때 핑키나 오렌이 이미 배치되어 있는 상태라면 오렌이나 핑키를 배치할 시에 핑키가 기존 배치 스프라이트와 달리 오렌이 있는 쪽을 보면서 살짝 미소를 짓는 것을 볼 수 있다. 원작에서의 커플 설정을 정말 잘 살린 이스터 에그.

현재 업데이트가 취소되며 해당 모드의 모든 스프런키들의 애니메이션이 제거되었다. 외형도 약간 바뀌며 음악도 잔잔하고 불길한 느낌으로 변경됐다. 갤러리를 보면 원작인 SPRUNKI의 리마스터가 예정되고 캐릭터들의 외형, 특히 웬다가 전부 교체된다는 소식에 충격을 받은 것이 이유로 보인다. 이 때문인지 현재 해당 모드 미스터 펀 컴퓨터의 대기 스프라이트가 화가 난 표정으로 바뀌었는데, 연주를 시작하면 화면에 "去你妈的 内容农场 去你妈的 营销号"라는 문구만 뜬다. 해석하자면 "컨텐츠 농장들 전부 엿먹어. 니네 엄마 마케팅 계정으로 꺼져." 2025년 4월 2일 한국 시간 기준으로 스프런키 스웹이 아닌 스프런키 리스킨으로 바뀌었다.

이와는 별개로 개발자가 만든 해피 버전의 모드도 존재하는데, 일부 음만 보강됐을 뿐 특별한 변화는 없어보이나 사실 오렌과 핑키를 바로 옆에 붙여놓으면 핑키가 오렌에게 키스하고 기대는 엔딩이 있는 모드이다.

17. Sprunki Modded(스프런키 모드)

파일:못마땅 블랙.png
링크

기존 원작을 개조한 모드. 또한 폴로들을 움직일 수 있으며, 속도 또한 0.5배, 원속, 1.5배, 2배로 맞출 수 있는 모드다.

모든 캐릭터를 한 번에 연주하는 기능이 있어 완벽한 합창단을 만들 수 있다.

블랙도 해피 버전으로 연주 가능하다. 블랙의 아이콘을 갖다대면 해피 버전의 상상도 블랙이 나오며, 소리는 RENREN의 Four-Days Dead다. 해피 버전에서 호러 버전로 넘어가려고 할 때는 상단 위의 눈 버튼을 누르면 된다.[81]

18. Sprunksters(스프런크스터)

파일:sprunkstersmod.png
링크

데모판으로 출시된 스프런키 모드다. 제작자는 Bismeowth Entertainment.

해피 버전에서는 특유의 둥글둥글하고 귀여운 캐릭터들이 특징이지만[82], 호러 버전에 돌입 시 그림체가 완전히 바뀌고 캐릭터들의 디자인도 확연히 달라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대기 캐릭터인 폴로에다 스프런키 아이콘을 가져다 대면 시선이 플레이어로 향한다. 호러 모드의 경우, 얼굴이 없는 채 붉게 되었으며, 아이콘을 가져다 대면 기괴하고 휘갈겨 그린듯한 섬뜩한 미소를 짓는다. 또한 이 모드는 타 모드와 달리 호러 모드에서는 생존 / 사망 쪽이라기 보단 기괴하게 변한 모습이 특징이다.

[ 캐릭터 목록 펼치기 · 접기 ]
* 오렌 : 사운드는 원작과 비슷한 킥 드럼이지만 박자가 미묘하게 다르고 심장 고동 소리를 연상 시킨다, 앞머리와 헤드셋의 모양이 바뀌었으며 더듬이가 전방으로 굽어졌다. 호러 버전에서는 원작과 달리 눈이 없고 더듬이가 아래를 향한채 굽어 있으며 목과 왼팔은 뼈만 남아서 마치 좀비를 연상 시킨다. 사운드는 원작의 해피 버전 사운드인 킥드럼과 비슷하게 변경 됐다.
  • 레디 : 사운드는 기존과 같은 스네어 드럼. 양쪽 뿔이 두 번 접혀 있으며, 꼬리가 추가 되었는데 악마로 설정했다. 호러 버전에선 거대하고 근육질이며 사악한 악마의 모습으로 변했으며, 오른쪽 눈에 흉터가 추가 되었다. 스네어드럼과 무언가를 세게 치는 소리를 섞은 듯한 소리를 낸다. 병맛스럽다.
  • 클루커 : 사운드는 기존과 같은 하이햇. 입을 다물고 있으며 연주할 때 자신의 심벌즈를 잡으면서 연주한다. 호러 버전에서는 얼굴은 한쪽 눈만 보인 채 검게 묘사했고 팔이 검게 변했다. 하이햇 연주를 마치 마라카스 같은 소리를 낸다.
  • 펀 봇 : 사운드는 기존과 비슷한 아멘 브레이크. 여기서는 움직임과 표정이 다양해졌다. 호러 버전에선 기존과 달리 오른팔이 뜯겨져 나갔고 얼굴은 괴로워하는 표정과 바이러스, 눈동자가 빠르게 나오는 화면이 나오며, 사운드도 원작과 다른 비트가 나온다.
  • 비네리아 : 사운드는 기존과 같은 마라카스. 뿔이 없어졌고 외모가 다르며, 호러 버전에선 기존과 달리 가발 일부만 남겨졌고 머리에 검게 변한 꽃으로 보이는 걸 달고 있으며, 눈물이 맺힌 채 자신의 왼팔을 잡으며 연주한다. 기존과 달리 마라카스 박자가 느리다.
  • 그레이 : 사운드는 베이스에서 기타를 튕기는 듯한 사운드를 내며 디자인은 기존과 비슷하다. 다만 뿔이 곡선으로 변했고 눈의 묘사가 조금 다르다. 호러 버전에서는 자신의 입이 꿰메지거나 녹아버린 듯 하게 변했으며 자신의 입을 어루만지며 연주한다. 노이즈가 낀 베이스 음을 낸다.
  • 브러드 : 사운드는 기존의 아고고벨에서 좀 더 높은 톤을 낸다. 원작과 달리 혀를 내밀고 있으며 몸을 움직일 때 양동이가 잠깐 들려져 원작에서 언급한 뿔이 보인다. 호러 버전에선 왼쪽 몸이 녹은 듯한 체형에 웃는 얼굴이 그려진 양동이를 아예 얼굴까지 푹 썼으며, 왼손으로 머리를 때려서 연주한다. 이 때 둔탁하게 금속을 치는 소리를 낸다.
  • 가놀드 : 사운드는 기존과 달리 풍부해진 신디사이저를 낸다. 등에 로켓과 금속 2개가 달렸으며, 눈이 반 정도 보이며, 전광판은 하얀 원이 시계 방향으로 움직인다. 호러 버전에서의 묘사는 원작 일부 참고했는데, 뇌 묘사가 추가 되었으며 오른팔이 뜯겨졌으며 마치 허수아비 같이 매달려있으며 하체가 사라졌다.
  • 오왁크스 : 사운드는 기존의 크래쉬 심벌과 북을 사용한다. 뾰족한 머리 묘사가 늘어났고 오른 눈에 안광을 묘사했다. 호러 버전에선 마치 예티를 연상 시키는 초록색 털을 가진 괴물로 묘사했으며 연주할 때 마다 입을 벌리며 팔을 움직인다. 북 소리를 낸다.
  • 스카이 : 사운드는 기존의 오르골과 비슷하지만 실로폰을 두드리는 소리와 비슷해졌으며 머리에 바보털이 가늘어졌다. 호러 버전에선 바늘로 꿰메서 만든 듯한 곰 인형이 되었다. 왼쪽 눈은 단추로 변했고 오른쪽 볼엔 바늘로 꿰멘 흔적이 있다.
  • 미스터 썬 : 사운드는 기존의 피아노지만, 연주가 다르다. 코로나 묘사는 6개의 꼭지점이며 연주할 때 몸을 상하좌우로 움직인다. 위아래로 움직일 때는 눈을 ><으로 표현한다. 호러 버전에서는 원작과 달리 해골을 연상시키게 되었으며, 붉게 변했다. 또한 피아노의 소리가 울린다.
  • 더플 : 사운드는 기존의 트럼펫이지만 음이 조금 더 높다. 뿔이 곡선으로 묘사되었고 얼굴 양 옆의 지느러미를 날카롭게 묘사하고 송곳니가 튀어나와 있으며 원작 설정에서 드래곤 계열이라는 걸 반영해서 날개와 꼬리 묘사가 추가 되었고 마지막에 화염 브레스를 뿜는다. 호러 버전에서는 거대해졌고 좀 더 사실적이고 위협적인 드래곤으로 묘사했다. 눈동자가 붉게 변했으며 머리의 뿔과 속 날개, 복부, 꼬리의 하얀 뿔이 좀 더 하얗게 되었다. 호러 버전의 멜로디는 기존과 비슷한 호른이지만 이쪽은 소리가 울려퍼진다.
  • 미스터 트리 : 사운드는 기존의 오르간이지만 멜로디가 다르며, 현실적인 모습과 데포르메 중간 정도로 묘사했으며 얼굴은 잭 오 랜턴과 비슷하게 되었고, 연주할 때 >W< 표정도 짓는다. 호러 버전에서는 원작처럼 오르간이지만 멜로디가 다르며, 원작과 달리 윗 부분이 사라져 윗 부분은 뿔 같은 가시 하나만 남았고 옆구리에 가시 묘사가 추가 되었으며 죽은 듯한 얼굴에 피로 보이는 듯한 액체를 흘리고 있다.
  • 사이먼 : 사운드는 기존의 8비트 신디사이저지만 멜로디가 살짝 다르다. 머리의 더듬이 사이에 전기 묘사가 추가 되었으며 곧게 뻗지 않고 지그재그이며, 앞머리가 더 삐죽 나와있으며 얼굴애 털 묘사가 추가 되었고 피카츄를 연상시키는 꼬리가 추가 되었다. 호러 버전에선 눈이 역안으로 변했으며, 기괴하게 썩소를 짓는다. 기존의 호러 버전 사이먼은 빠르게 연주하던 것과는 다르게 느린 템포로 연주한다.
  • 터너 : 사운드는 원작과 달리 머스타드 모드처럼 기타다. 그에 맞춰 기타를 연주하고 귀의 색이 피부색과 통일되었고 모자에 노란 오각별이 추가 되었으며, 빨간 스카프를 목에 두르고 있다. 호러 버전은 기존의 기타는 일렉트릭 기타로 변했으며, 얼굴은 고스트 라이더를 연상시키게 해골로 변했고, 모자의 노란 오각별은, 마법진 같은 원에 붉은 역오각별로 변경되었다.
  • 미스터 펀 컴퓨터 : 사운드는 메인 보컬인 것은 그대로이나 톤과 가사가 다르며, 꾸러기 모자 색상이 달라졌고, 모니터를 바치는 책상은 서랍장으로 변했다. 호러 버전에선 원작과 달리 노이즈가 끼며 끊기고 지직거리는 남성의 보컬로 변경되었으며, 모니터 위쪽이 부서져 있고, 서랍장 모양도 달라졌다.
  • 웬다 : 사운드가 추임새를 넣는 것 같던 기존과 달리, 바이올린 소리로 묘사했으며, 원작 설정에 언급된 고양이 설정을 반영해 대놓고 고양이로 묘사했다. 호러 버전에선 원작과 달리 혈흔 묘사가 없지만, 단검을 들고 있고, 저주하는 듯한 가사로 변했고, 마지막에 그림자로 변하며 붉은 글씨가 나온다.
  • 핑키 : 사운드는 기존의 여성 합창 코러스이며, 토끼라는 것을 부각하기 위해 귀 안쪽이 자주색이 되었고 리본 색깔이 조금 더 붉어졌다. 호러 버전에선 노이즈가 낀 듯한 여성 합창 코러스이며, 온 몸이 꿰멘 자국이 있고, 눈을 크게 뜨고 있으며 입을 크게 벌리고 있다.
  • 제빈 : 사운드는 기존의 남성 합창 코러스이며, 로브를 길게 묘사했으며 호러 버전에선 원작과 달리 로브가 찢어졌으며 악마 모양의 두개골로 변했다. 연주할 때 눈구멍에 붉은 안광을 띈다. 코러스는 마치 콰이어를 연상시킨다.
  • 블랙 : 원작 스프런키 제작자가 만든 해피 버전 상상도 일부를 바탕으로 했다. 배치하면 망가진 파이프 소리를 낸다. 다만 다른 스프런키와 달리 눈동자 묘사가 없고, 송곳니가 대놓고 드러났으며, 복부를 자세히 보면 입이 또 있다. 원작 및 다른 모드와 달리 올려놓으면 그대로 연주하나, 내려놓을 경우에야 호러 모드가 활성화 된다. 호러 버전에서는 실크햇을 착용하고 있으나, 몸이 거대해졌고, 실크햇에 뿔이 추가 되었고 눈동자가 묘사 되었고, 항상 혀를 내밀고 있고, 복부의 거대한 입으로 연주한다. 뒤를 자세히 보면 꼬리가 있다. 사운드는 기존의 바람 소리 대신 짐승의 그르렁 거리는 소리를 낸다.


특이하게 이 모드에선 블랙을 놓으면 바로 호러 버전으로 진입하는 것이 아니라, 블랙을 놓은 뒤 해지해야 호러 버전으로 진입한다.[83]

Cocrea의 문제로 인해선지 사운드가 전부 박자가 잘 안 맞는다.

19. SPRUNKLINGS(스프런클링스)

파일:1000017429.png
cocrea 링크

스프런키의 아기 버전 모드로 제작자는 CapriBlueSEYT. 이건 제작자의 공식 유튜브공식 틱톡 계정이다.

캐릭터들의 키가 작아졌고 색도 연해졌으며 탁자 위에 올라가 있다. 캐릭터들의 반 이상이 웃고 있다.[84] 웃지 않는 캐릭터는 레디, 클루커, 그레이[85], 브러드, 오왁크스, 터너가 있다.

캐릭터들의 색이 파스텔 톤으로 변했으며 소리도 톤이 조금 높아졌다. 귀여운 분위기의 음악을 만들수있다.

미스터 펀 컴퓨터의 자리에 Malik 스프런키[86]가 있다. Malik은 어른이며, 브러드의 음을 조금 낮춘 것과 비슷한 소리를 낸다.

스카이가 14살이라는 설정을 반영해 스카이는 다른 스프런키들보다 조금 더 작다. 미스터 썬, 미스터 트리는 원작과 모습이 똑같다.

해당 모드의 제작자인 CapriBlueSEYT가 위에 서술된 'Sprunki Babies'와 'SPRUNKLINGS'를 같은 모드로 생각하지 말아달라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현재 몇몇 캐릭터의 움직임이 추가됐다.[87]
새로운 캐릭터로 마드, 토스티드 레인보우 샌드위치, 클루비, 베일리, 로로, 스몰, 히퍼컵, 타일러가 추가됐다.

현재 호러 버전도 추가되었다. 호러 버전의 생존자는 그레이, 제빈 단 두명이다.

20. Sprunki 2P(2P 모드)

파일:sprunki2pthumbnail.jpg
링크
스프런키 캐릭터들의 성격이 정반대가 된 모드이다. 제작자는 Joy_crown. 캐릭터들의 색도 보색으로 반전되었으며, 설정상으로도 달라진 부분이 다수 있다.

캐릭터들의 달라진 색과 성격은 다음과 같다.

[캐릭터 목록 펼치기ㆍ접기]
* 오렌 : 밝은 파란색이 되었다. 여유로워 보이던 원작과는 다르게 슬픈 표정을 짓고 있으며, 어딘가 불안해 보인다.
호러 버전에서는 다행히 피의 독수리 형벌은 당하지 않아 생존한 듯 보이지만, 심장이 뛰는 소리로 연주를 하는 것은 똑같다.
  • 레디 : 몸은 민트색이, 뿔은 청록색이 되었다. 성격이 착해졌는지 부드러운 미소를 띠고 있다.
    호러 버전에서는 공중에 줄로 매달려 있는 것은 똑같으나, 살이 붙어있고 괴로운 듯 목 부분을 부여잡고 몸부림을 친다. 그리고 자세히 보면 레디를 뺄 때 밑에 마법진이 있다![88]
  • 클루커: 진회색이 되었다. 상시 무표정이던 원작과는 다르게 개구진 미소를 짓고 있으며, 연주 시에도 계속 웃고 있다.
    호러 버전에서는 원작과 같이 머리의 반이 날아간 데 더해 몸에 알 수 없는 큰 상처가 하나 더 생겼다. 무언가 뾰족한 것에 찔렸거나 에 맞았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 펀 봇: 노란 부분은 밝은 파란색, 회색 부분은 진회색이 되었다. 눈과 입은 붉은색으로 바뀌고 표정도 화난 표정으로 변해 조금 위협적인 인상이 되었다.
    호러 버전에서는 왼쪽 눈 부분의 화면이 깨져 있으며, 표정은 웃고있다.
  • 비네리아: 분홍색이 되었다. 머리의 꽃 장식은 연두색 잎이 달린 꽃으로 변했으며, 뿔은 짙은 보라색이다. 어딘가 짜증난 듯이 눈썹이 치켜올라가 있으며, 상어 이빨이 생겼다.
    호러 버전에서는 검은 뱀 두 마리가 왼쪽 눈을 뚫고 나와 있다. 원작의 몸 속에서 자란 식물의 역할을 여기선 뱀이 맡은 듯.
  • 그레이: 몸은 원작과 색이 거의 유사한 회색이나, 귀와 눈 부분의 색은 흐려져 진회색에서 연회색이 되었다. 무표정이던 원작과는 다르게 옅은 미소를 띠고 있다.
    호러 버전에도 희미한 미소를 잃지 않는다. 외상이 없는 생존자 중 한 명.
  • 브러드: 남색이 되었다. 머리에는 양동이 대신 보안경을 쓰고 있으며, 한 손에 보라색 약물이 든 삼각 플라스크를 들고 흔들며 소리를 낸다. 표정은 일관되게 무표정이다. 바보이던 원작과는 반대로 실험실의 과학자가 된 듯하다.
    호러 버전에서는 외상 없이 생존했다. 등 뒤에 무언가가 든 시험관 두 개를 감추고 있는데, 그것의 성분이 무엇일지는 불명.
  • 가놀드: 밝은 파란색이 되었다. 머리에 조금 해진 듯한 네모난 상자를 뒤집어쓰고 있으며, 웃는 표정이 그려진 종이를 정면에 서툴게 붙여뒀다.[89]
    호러 버전에서는 상자의 귀퉁이가 찢어져 한 쪽 눈이 드러났고, 웃으며, 상자 밑에서 피가 흐른다.
  • 오왁크스 : 보란빛이 돋는 파란색이 되었다. 여유로운 미소를 짓고 있으며, 눈도 원작과는 다르게 멀쩡하다.[90]
    호러 버전에서는 원작의 스카이가 그랬던 것처럼 온 몸에 쇠막대가 꽂힌 채 피를 흘리고 있으며, 눈동자가 사려져 흰자만 남았다.
  • 스카이 : 빨간색이 되었다. 눈썹은 화난 듯 치켜올라가 있으나 입은 미소를 띠고 있어 문제가 많은 말썽쟁이처럼 보인다.
    호러 버전에서는 몸과 얼굴에 피를 묻힌 채 생존해 있으며, 여전히 악마 같은 웃음을 하고 있다.
  • 미스터 썬 : 가운데의 노란 부분은 파란색, 주변의 삼각형들은 하늘색이 되었다. 해맑게 웃고 있던 원작과는 다르게 매우 화난 표정으로 연주를 한다.
    호러 버전에서 원작과 눈에 띄는 차이는 없다.
  • 더플 : 몸은 연두색이, 뿔과 지느러미는 밝은 초록색이 되었다. 미묘하게 불만 있는 듯한 표정을 짓고 있으며, 연주 도중에는 짜증내는 듯 눈을 흘기기도 한다.
    호러 버전에서는 각각 이마, 왼쪽 눈, 심장 부근에 한 발씩 총상을 입었다.
  • 미스터 트리 : 줄기는 군청색, 잎은 분홍색이 되었다. 만사가 귀찮은 듯한 눈을 하고 있으며, 입꼬리도 반대로 내려가 있다.
    호러 버전에서는 줄기에 실종자 포스터 대신 세 개의 커다란 눈이 생겨 있다.
  • 사이먼 : 짙은 파란색이 되었다. 매우 피곤한 듯 반쯤 감긴 눈을 하고 있으며, 눈 밑에는 다크서클까지 생겼다. 수면제 내지는 항우울제가 필요해 보인다.
    호러 버전에서는 입이 양옆으로 크게 찢어져 있으며, 몸에도 무언가 날카로운 것에 대각선으로 베인 듯한 외상을 입었다.
  • 터너 : 몸은 파스텔 블루, 모자는 어두운 남색이 되었다. 우쭐대는 듯 한 쪽 눈썹은 올라가고 한 쪽 눈썹은 내려가 있으며, 입꼬리도 한 쪽만 위로 향해 있다. 자아도취가 심한 성격이 된 듯하다.
    호러 버전에서는 얼굴에 피가 조금 튄 것을 제외하면 멀쩡하며 외상이 없다. 연주를 하지 않을 때는 여전히 그 여유롭게 허세부리는 듯한 미소를 하고 있다.
  • 미스터 펀 컴퓨터 : 시험관을 꽂아넣는 기계가 되었다. 연주를 하며 기계에 딸린 화면에 웃는 얼굴이나 시험관 그림을 띄운다. 갤러리를 보면 브러드의 실험 기구 중 하나인 듯.
    호러 버전에서는 스크린에 "Unknown error"가 적힌 창과 블루 스크린이 뜨다가 눈 두 개가 나타나기를 반복한다.
  • 웬다: 검은색이 되었다. 양 눈썹이 아래로 내려가고 눈도 크게 뜨지 않아 표정이 매우 순해졌다.
    호러 버전에서는 눈 밑에 할퀸 자국이 있으며, 공포에 질린 듯 양 눈에 눈물이 맺혀 있다.
  • 핑키: 밝은 연두색이 되었다. 비네리아와 비슷하게 짜증난 듯한 표정을 하고 있으며, 연주를 하지 않을 때는 마치 화면을 노려보는 것처럼 눈살을 찌푸린다.
    호러 버전에서는 눈가와 얼굴 아래에 피가 묻었으며 리본이 훼손되고 눈이 조금 충혈되었다.
  • 제빈: 몸은 노란색, 로브는 채도가 낮은 어두운 노란색이 되었다. 연주 내내 의미심장한 미소를 띠고 있다. 연주를 하지 않을 때의 모습은 머스타드 모드의 제빈을 쏙 빼닮았다.[91]
    호러 버전에서는 혼자서 광기에 가까운 웃음을 지으며 연주를 한다. 소리는 구 버전의 소리고. 생존자 치고는 몸과 얼굴에 피가 수상할 정도로 많이 묻었다.
  • 블랙: 하얀색이 되었다. 그럼 화이트? 놓으면 호러 버전으로 진입하기는 하지만, 원작처럼 실사 얼굴이 있는 무서운 모습이 아닌 블랙의 비공식 스프라이트를 색상만 반전한 듯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잔뜩 겁에 질린 듯한 표정을 하고 있다.

갤러리의 첫 번째 장을 보면 십자 표시 위에 붉은 동그라미 문양이 새겨진 눈이 그려진 수상한 책[92]이 존재하는데, 작중 호러 모드에서 스카이, 미스터 썬, 미스터 트리, 터너, 미스터 펀 컴퓨터가 그 눈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책의 내용 혹은 그 책의 소유자에게 홀리게 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93] 어찌 보면 비정상화 된 셈.

팬들이 2P 모드와 관련해 다양한 2차 창작물을 만들고 있는데, 눈에 띄게 성격이 변한 제빈, 블랙, 터너, 스카이, 웬다 등의 캐릭터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제빈은 도끼를, 터너는 을, 스카이는 나이프를 들고 셋이서 호러 모드 학살을 주도한다는 묘사가 많은 편이다.[94] 성격이 순해진 웬다와 블랙은 주로 이들에게 당하는 쪽으로 그려진다.[95]

여담으로 3P 창작물이 있다.

21. Swapped AU(AU 스왑 모드)

파일:Sprunki Swapped[Fixed].jpg
Scratch Port Cocrea Port

리믹스 기능으로 원본 모드를 리믹스해 만들어진 모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PRUNKI/모드/Swapped 캐릭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모드/Swapped 캐릭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RUNKI/모드/Swapped 캐릭터#|]][[SPRUNKI/모드/Swapped 캐릭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스프런키의 AU중 하나이며 캐릭터들의 디자인이 서로 바뀌었다. 아직은 미완성 그러나 두 포트에 들어가보면 제작자가 댓글을 남긴걸 볼수 있다.
(코크리아 댓글)
All Character Is Remake
모든 캐릭터는 리메이크 되었습니다
(스크래치 댓글)
Characters is Old Version
They get Remake
캐릭터들은 예전 버전 입니다
그들은 리메이크 되었어요

[버전 별 업데이트 펼치기 · 접기 ]
V1 : 공유
V2 : Grada 수정
V3 : 위에 바 수정
V3.1 : Oadd,Renny,Fun ukr 호러 버전 완성
V3.2 : 프로젝트 썸네일 변경
V3.3 : Clubot,Pinkria,Greda 호러 버전 완성
V?.? : 업데이트 중단됬습니다 플레이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V3.4 : -다른 Port?-
V3.5 : 캐릭터들 리메이크

22. Wenda shot all mod(枪枪爆头 好运连连)(웬다 올샷 모드)

링크
시작 부터 호러 모드로 시작하고 미스터 썬과 미스터 트리와 웬다를 재외한 모든 스프런키들이 호러 버전 터너처럼 머리에 외상이 있다!![96][97]아마 웬다가 대부분의 스프런키들에게 총을 쏜거 같다.

생존자는 외상이 없는 미스터 썬,미스터 트리,웬다이고. 클루커, 펀 봇, 그레이, 브러드, 가놀드는 총을 맞았으나 피가 보이지않아 생존같다.[98]

23. Sprunki 1996(1996년 스프런키)

링크
말 그대로 스프런키가 1996년에 나온 게임처럼 바뀌어버린 모습이다.
제작자는 Sprunked로 유명한 drakermaker다.
이 모드에는 마드와 제작자의 오너캐(Draker)가 있다.
스프런키들이 1996년 스프런키라는 컨셉이라서 저퀄리티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호러 버전이 된 상태로 스프런키를 놓고 노래가 시작되면...

죽거나 비정상화 된 스프런키들이 1996년 공포게임 같이 더 끔직하게 바뀐다! 호러 모드에서는 Draker가 피눈물을 흘리며 웃고 있다.[99]

호러 버전의 생존자는 그레이. 펀 봇, 브러드, 마드다. 블랙을 설치하면 점프 스케어가 나오니 깜놀 주의가 필수다.

평소 모드들의 호러 버전에서는 제빈이 살아있지만 이 모드의 제빈은 블랙처럼 기괴하게 변했다.

Sprunki 1996의 제작자는 Sprunked의 제작자와 동일인물이다.

24. sprunki Parody Box(스프런키 패러디박스)

파일:PARODYBOX title.webp
원본 링크
업데이트 버전

Jeanz라는 스페인 출신 미성년자[100]가 제작한 스프런키 모드. 여러 모드에서 영감을 받은 모드로, Rejoyed처럼 팔이 달려있는 건 아니지만[101], 각자 어울리는 옷을 차려입었다. 캐릭터들도 원작과 비슷하면서 사소한 차이점이 있다.

업데이트 전에는 썸네일의 그레이가 찡그리고 있었다.

캐릭터들의 개성있는 외형과 더불어 해피 버전, 호러 버전이 모두 대호평을 받은 모드다. 그러나 동시에 Pyramixed나 Swap 모드처럼 콘텐츠 팜 때문에 모드가 개발중단 되는 걸 우려하는 반응도 많다.

호러 버전이 있지만 현재는 업데이트로 잠시 삭제되어서 블랙을 놓아도 넘어가지지 않는다. 현재 개발자는 소리와 외형은 다 개편하였고 애니메이팅에 집중하고 있다고 한다.

[ 캐릭터 상세 펼치기ㆍ접기 ]
오렌
원작과 비슷한 헤드셋을 끼고 있다. 옷은 파란색 대학교로 추정되는 코트를 입고 있다. 서울대?
호러 버전에서는 헤드셋을 목에 걸고 있고, 눈 부분에 붕대가 감겨 있다. 눈이 파인 것으로 추정된다.

레디
원작처럼 화난 표정을 짓고 있다. 목에는 날카로운 목걸이를 차고 있으며, 검은 'SPORTS'라는 글씨가 적힌 와이셔츠를 착용하고 있다.
호러 버전에서는 목이 매달려 있다. 하지만 몸 밑으로 장기가 나와 있고 감긴 부분을 잡고 있으며, 미치광이처럼 웃고 있다!
이 모드에서는 여전히 힘 세고 분노조절에 문제가 있지만 원작과 다르게 오렌과 베프고 핑카메나와 가놀드와도 친하다고 하다. 또한 미스터 블랙과 연관되어 있는데, 호러 버전 상태를 고려하면 미스터 블랙 때문에 레디가 살해를 저지르다 저지당한 것으로 보인다.

클루커
눈 디자인이 점눈처럼 바뀌고 머리 위 심벌즈는 그대로고 연구원처럼 안경과 과학복이 생겼다[102]. 비네리아와 함께 일하는 엔지니어이다. 호러 버전에선 살아있으며 안경이 부러졌고, 이마가 살짝 찢어져 있다. 또한 표정도 겁먹은 표정이다.
후술할 Moch의 말에 따르면 호러버전의 주인공이다.

펀 봇
약간의 디자인 변경을 제외하면 스프렁드의 펀 봇과 유사하다. 업데이트 전엔 두 모드 전부 입으로 Retake모드와 비슷한 방식으로 연주했지만 현재는 직접 비트박스를 한다. 호러 버전에서는 자신과 같이 외상이 없는 그레이와 같이 땀을 흘리면서 긴장한 표정으로 연주한다.

비네리아
가발이 더 길어져서 장발이 되었고 파란 보석 목걸이와 진녹색 터틀넥 셔츠를 입었다. 호러 버전에서는 얼굴과 손이 검은 얼룩범벅이 된 채로 사망했다.
클루커와 함께 일하는 엔지니어이며, 다섯 살 때 미스터 트리를 심었다고 한다.

그레이
악마 꼬리가 생기고 후드티를 입은 것을 제외하면 원작과 큰 차이는 없다. 호러 버전에서는 크게 달라진 점은 없지만 이마에서 땀을 흘린다. 소리는 베이스.
여전히 조용한 성격이지만 친구를 많이 만드려고 하고 현재는 레디와 웬다랑만 얘기한다고.

브러드
회색 티셔츠를 입고 사시가 어느정도 나아졌다. 여기서는 그냥 사시는 아니고 두 눈을 따로 굴릴 수 있는 설정이다. 원작보다 더 빠르게 아고고벨 소리를 낸다. 호러 버전에서는 양동이가 뚫리고 큰 대못이 박힌채 사망했고, 리테이크 해피 버전과 비슷한 소리를 내면서 중간중간 오류음을 낸다.
원작보단 좀 더 똑똑해졌으며 많은 걸 배우려고 한다고 한다.

가놀드
지퍼가 달린 슈트를 매고, 얼핏 보면 로봇으로 보일 정도로 정교한 마스크와 바이저를 썼다. 사운드는 좀 더 느린 신디사이저. 호러 버전에서는 바이저 뒤와 목으로 피를 흘리면서 죽었고, 바이저에도 작게 금이 가 있다. 또한 고요한 신디사이저 소리를 낸다.
과거에는 손상된 바이저를 올린 채 의식이 있는 눈으로 주위를 둘러보는 모습이였다.
요리를 좋아하며 장래희망도 요리사라고 한다.

오왁크스
환자복 비슷한 옷을 입었고, 소리를 낼 때 화면이 번쩍이는 이펙트가 추가되었다. 호러 버전에서는 얼굴 밑과 몸이 찢어지고 소리를 낼 땐 화면을 잠시 붉게 점멸시킨다. 또한 동공의 크기 차이가 매우 커졌다.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으며 치료가 상당히 힘든 모양이다.

스카이
귀가 쥐에 가깝게 더 커졌고, 종 귀걸이를 찼다. 항상 웃고 있으며, 소리도 종에 가깝게 수정되었다. 호러 버전에서는 십자 모양으로 몸이 파이프로 뚫려 사망했다.

미스터 썬
디자인은 광택을 제외하면 별 차이 없다. 원작과 같은 피아노 소리며, 코로나를 빛내면서 연주한다. 호러 버전에서는 기괴한 검은 외눈이 박혀 있으며 조용한 피아노 소리로 연주한다. 과거에는 피눈물을 흘리는 가느다란 두 눈으로 몸을 좌우로 흔드면서 연주했다.
무려 4조6030억이란 나이를 지녔으며 세계의 수호자라고 한다.

더플
검은 정장을 입었으며 눈이 역안으로 바뀌었고 꼬리가 생겼다. 연주할 때는 굵은 트럼펫 소리를 이어서 낸다. 호러 버전에서는 동공이 사라진 채 피눈물을 흘리고, 연주할때 입을 작게 벌리면서 동공이 잠시 빛난다. 과거에는 Retake처럼 입을 억지로 벌리면서 연주했다.
설정상 밴드의 일원이고 색소폰도 연주한다고 한다.

미스터 트리
나무 줄기에 구멍이 뚫렸고 그 자리에 얼굴이 있다. 또한 옆에는 덤불과 비네리아의 물뿌리개가 있다. 소리는 원작과 동일한 오르간. 호러 버전에서는 얼굴이 사라진 채 흑백으로 바뀌고, 좀 더 위압적인 오르간 소리를 연주한다.
비네리아보다 다섯 살 어리지만 그녀를 딸처럼 취급한다고 한다.

사이먼
털코트를 입었고 더듬이가 전기를 연상시키게 구불구불해졌다. 소리는 원작과 비슷한 신디사이저. 호러 버전에서는 원작과 다르게 생존자로 묘사되며, 왼쪽 눈 밑이 많이 찢어진 채 불안한 표정으로 연주한다.
설정에서는 많은 것이 바뀌었는데, 오렌의 형이며 더플과 오렌과 자주 게임을 한다. 또한 무려 터너와 사귀는 사이이며, 양아들 스몰도 있다고 한다.

터너
반다나를 낀 서양 카우보이풍 옷을 입었고 모자의 디자인도 약간 바뀌었다. 소리는 휘파람이며, 업데이트로 원작과 더 비슷하게 바뀌었다. 호러 버전에선 원작과 비슷한 참사를 당했다.
상술했듯 사이먼과 사귀는 사이이며, 양아들 스몰이 있다.

미스터 펀 컴퓨터 → 펀 컴퓨터
미스터가 빠져서 그런지 여기서는 남성/젠더리스로 변경. 밑에 본체도 추가되고 리본과 마이크도 추가되었다. 호러 버전에서는 정상적인 형태로 나오고 help_us.ogg와 그것의 두 번째 버전을 실행시키면서 노래를 부른다.
[ 해피 버전 가사 펼치기ㆍ접기 ]
>Come on! Come on!
Don't stop the dance
The rhythm is calling you
Take a chance!
Hands up high, feel the groove
Sing with us
And let's unite during this fun time!
어서! 어서!
계속 춤을 춰
리듬이 너를 부르고 있어
기회를 잡아!
손을 높이 들고, 그루브를 느껴봐
우리와 노래 불러
그리고 이 즐거운 시간 속에 함께하자!

[ 호러 버전 가사 펼치기ㆍ접기 ]
>Everyone got hurt
All of us are dead
We need help, go save us us u u u-
Don't let it make more of this
Make it stop this, save us us u u u-
모두가 다쳤어
우린 전부 죽었어
도움이 필요해, 우릴 도와줘 줘 줘 줘-
그것이 이걸 더 일으키게 두지 마
멈추게 해줘, 도와줘 줘 줘 줘-

웬다
리본이 달린 회색 스웨터를 입었으며 그레이와 같은 꼬리가 추가되었다. 사운드는 원작처럼 추임새. 호러 버전에서는 칼을 든 채 피칠갑이 되었고 사악한 웃음소리를 낸다. 원작처럼 메인 킬러가 된 걸로 보인다.
핑카메나와 그레이와 베프고, 장난을 좋아하지만 오왁크스한테는 자제한다고 한다. 수영과 그림 그리기도 좋아한다고 한다.

핑키 → 핑카메나
뒤에 커다란 리본이 달린 연분홍빛 스웨터를 입었고, 원작과 마찬가지로 여성 합창 코러스를 부른다. 호러 버전에서는 Retake처럼 오른쪽이 찢겨나갔으며 귀가 쳐져있다.
원작처럼 오렌과 사귀며, 딱히 기독교는 아니나 성가대에서 활동한다고 한다.

제빈
벨트가 달린 더 긴 로브를 입었고, 짧게 끊어가는 남성 코러스 음을 낸다. 호러 버전에서는 눈의 음영이 더 짙어졌고 눈이 한쪽만 작게 보이고, 입이 피칠갑이 된 채 몸을 돌리면서 노래를 부른다. 리믹스 버전에서는 감염이라고도 표시되었다.
음산해보여도 좋은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미스터 블랙의 정보를 가장 잘 안다고 한다.

블랙 → 미스터 블랙
하얀 카라를 제외하면 해피 버전의 상상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모습을 하고 있다. 제빈보다 더 굵고 큰 남성 합창단 소리를 낸다.


[ 보너스 캐릭터 상세 펼치기ㆍ접기 ]
매터슨
살구색 농부 스프런키. 카우벨을 목에 걸고 있으며 뒤엔 쇠스랑을 차고 있다. 종소리를 내며 연주한다. 호러버전에선 (매터슨 기준) 오른쪽 눈이 쇠스랑에 뚫려 사망하고 둔탁한 종소리를 낸다.

그래스브릭
벽돌이 몸통, 풀이 머리 역할을 한 괴물형태의 스프런키. 레디처럼 화나있으며, 비슷한 느낌의 비트소리를 낸다. 호러버전에선 페이즈3 더플마냥 몸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난채[103] 감염되었다.
설정상 본래 Dandy's World에 나올 예정이였으나 위험해서 퇴출당하고 그 뒤로 항상 화나있다고 한다.

시스틴
분홍색 치마를 입은 고양이형 스프런키. 다만 웬다랑은 인상이 아주 많이 다르다. 소리는 따로노는 일본애니 소리이며(…) 두번째 루프에선 아예 얼굴을 붉힌다. 사실상 개그용 캐릭터. 호러버전에서는 겁에 질린 걸 제외하면 별 차이 없다.
엄연히 이름이 있으나 보통은 키티걸로 불린다고.

스몰
사이먼과 터너의 양자식. 색은 연노랑색이고 그들의 특징을 섞은듯한 외형을 하고 있다. 소리로 잔잔한 실로폰같은 소리와 높은 베이스음를 연주한다. 호러버전에선 귀쪽 부분이 약간 외상을 입었으며 겁먹은채로 조용히 연주한다.
마법같은 존재로, 성별이 따로 없고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정 가능하고, 속은 장기 없이 피와 살로만 차있다고 한다. 또한 불사의 존재이나, 외상은 입을 수 있다고 한다. 펀봇을 짝사랑하지만 펀봇은 이를 모른다고 한다.

마드
원작 갤러리에도 있던 인크레디박스 머스타드 모드 기반 스프런키. 경쾌한 일렉기타로 연주한다. 호러버전에선 무표정으로 바뀐채 호러모드 특유의 그림체로 인해 음영이 낀 눈으로 정면을 쳐다봐 음산한 느낌을 주고, 어두운 분위기의 일렉기타로 연주한다.
이 모드에서도 마드는 머스타드에 미쳐있으며, 약간 멍청한 곰이라고도 한다.

슬레케이
안쪽엔 스웨터, 바깥엔 코트를 입은 장발의 적갈색 여성 스프런키. 얼핏 들으면 피아노로도 들릴 수 있는 차분한 기타소리로 연주한다. 슬레케이 이후의 캐릭터는 대규모 패치이후로 나온 캐릭터라 호러버전은 구현되지 않았지만, 개발자의 포스트를 통해서 어떻게 될지는 가늠할 수 있다. 거기에 따르면 슬레케이는 오른쪽 눈이 베일것으로 보인다.
항상 모두를 응원하는 착한 성격의 소유자라고 한다.

모치
분홍색 구슬이 있는 스카프와 갈색자켓을 입은 민트색 쥐 스프런키. 스카이랑 비슷하지만 좀더 초록색에 가까운 민트색이고 귀가 동그랗다. 칼림바로 연주한다. 호러버전에서는 머리에 매우 큰 구멍이 뚫릴 것이라고 한다.
마드랑 스카이랑은 매우 친하다고 한다. 또한 부모님으로부터 도망쳐 나왔다는 언급을 보면 어두운 과거가 있는걸로 보인다.
모치는 클루커를 좋아하고 편히 이야기할수 있는 삼촌같은 인상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양쪽 누구도 서로를 이성으로써 좋아하지 않는다. 애초에 모치는 성인인 클루커와 달리 10대라서 커플링이 되면 상당히 이상해지고, 원작자 또한 이 커플링은 안 좋아하므로 자제하자.
캐릭터의 추천인이자 주인인 Moch는 패러디박스를 비롯한 각종 스프런키 커뮤니티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유저로, Phase 1.5를 비롯한 다른 모드들에서도 많이 나온다.

메즈
선글라스를 낀 청록색 스프런키. 색은 모치와 스카이 사이에 있는 흔히들 시안색이라고도 불리는 청록색이다. 독특한 목소리로 노래를 부른다. 호러버전에선 선글라스를 벗은채 두려워하는 상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선글라스는 5살 생일파티때 오렌한테서 받았고, 이후로 항상 쓰고 다닐거라고 약속했다고 한다.
캐릭터의 원작자인 mezbofficial또한 스프런키를 비롯한 인크레디박스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유저로, Phase 1.5의 제작자이기도 하며, 거기선 오리지날 인크레디박스의 폴로 형태로써 등장한다.

코너
고깔콘을 쓴 베이지색 스프런키. 색은 메터슨과 터너의 중간쯤 된다. 특이하게 울리는 소리를 낸다. 마찬가지로 대강 어찌될지 모습은 나왔으나 호러버전에서 어떻게 되는건지가 상당히 설명하기가 난해한다.[104]
만사가 귀찮은 스프런키라고 하며, 콘을 벗기는걸 싫어한다.

프살막
군청색의 다종족 스프런키. 청량하게 울리는 소리로 연주한다. 호러버전에선 한쪽뿔이 짤리고 감염 비스무리하게 변이될 것으로 보인다.

25. scrunkly(스크런클리)

링크
스프런키 캐릭터들의 모습과 음악이 리메이크된 모드이다.
호러 버전의 미스터 펀 컴퓨터/트리는 리테이크의 소리를 사용한다.
캐릭터 목록 (펼치기ㆍ접기)
오렌은 입가에 주름이 조금 생겼다. 벽(지)를 치는 소리
비슷한 소리를 낸다. 호러버전에선 스카이처럼 막대기 하나가
꽂혀 있다. 뭔가 미묘하게 소리가 다르다

레디는 뭔가 살짝 모래를 치는(?)소리를 낸다. 입이 반원이
됬으며, 마지막 2번 칠때는 브러드같이 멍청(?)해진다
호러버전에선 몸을 shake한다. 소리가 매우 둔탁해졌다

클루커는 오렌과 마찬가지로 입가에 주름이 조금 생겼다.
눈동자를 심벌즈 쪽으로 계속 옮긴다. 호러버전에선 정신이
나간것처럼 멍하다.

펀봇은 고양이입을 하고 있으며, 가끔씩 눈을>< 모양으로 감는다.
호러버전에도 달라진게 거의 없다.

비네리아는 미소가 썩소(?)가 되었다. 그리고 입을벌릴때
40~50도 기울어 진다. 호러 버전에선 눈을 돌리며 고개를 조금씩
돌린다.

그레이는 달라진게 거의 없다. 호러버전에선 목을 기울여 주위를
살피면서 노래한다.

브러드는 눈 동공 크기가 달라졌고, 살짝 촐싹댄다. 호러버전에선
목소리가 매우 굵다.

가놀드는 좀 모션이 변했고, 호러버전에선 눈을 우,하,상,좌
순서로 움직인다.

오왁크스는 똑같고, 호러버전에선 빨간 점프스케어가 뜬다.

스카이는 거의 비슷하지만, 모션이 달라졌다. 호러버전에도
마찬가지.

미스터 선은 선글라스를 쓰고 노래한다. 호러버전에는
선글라스를 벗고 노래한다.

더플은 이가 생겼다. 호러버전에선 눈을 뒤집는다.

미스터 트리는 피노키오가 됬다. 호러버전은 똑같다.

사이먼도 입가에 주름이 조금 생겼다 호러버전에선 입이 조금
작아진 모습을 보여준다.

터너는 뼈를 물고있고, 호러버전은 똑같다.

미스터 펀 컴퓨터는 표정이 바뀌고, 호러버전에선 가사가
바뀌었다.

웬다는 화장을 했고, 호러버전에선 눈을 반쯤 윙크한다.

핑키는 똑같다. 호러버전에도 마찬가지.

제빈은 그림자가 졌다.

블랙은 똑같다.


보너스 캐릭터 목록 (펼치기ㆍ접기)

락커. 일단 락커라고 칭하겠다. 사물함 소리를낸다. 호러버전에도
마찬가지.

TV-1. 비공식이다. 악기는 뭔지 모르겠다. 호러버전에선 에러음
비슷한걸 낸다.

발디. 진짜 발디다. 소리는 "봉 헉! "이다. 호러버전에선 자
소리를 낸다.

조개소녀. 일단 조개소녀라고 칭하겠다. 스틸 드럼 소리를 내고,
호러버전에선 리테이크 고유의 리듬을 낸다

기타 걸. 진짜 기타 소녀다. 기타를 친다. 호러버전에선 소리가 더 빠르다.

비네리아-베이비. 비공식적인 이름이다. 비트이다. 호러버전에선 더 급하다.

선글라스슈퍼아이돌(?) 비공식적인 이름이다. 기타 소리를 낸다.
호러버전에선 기타를 세게 치는 소리다.

26. Sprunki Katchup(스프런키 케찹)

파일:케첩 리스킨 아님.png
게임 속 배경이 붉은색으로 변했고, 폴로 두 명도 빨간색으로 변했다. 아이콘이 달라진 스프런키들도 몇 명 있는데, 스프런키들을 꺼내보면 몸이 전부 케첩처럼 빨간색으로 변해있다.
캐릭터들 간의 불협화음이(…) 큰 특징인 모드. 참고로 오렌과 브러드는 케첩을 짭짭 먹는 특이한 소리를 낸다.
호러버전으로 진입하려면 두 개의 모자 아이콘 중 우리가 아는 검은색 모자 아이콘을 드래그 하면 된다.
엑스트라 캐릭터가 4명 있으며, 이들의 아이콘은 블랙의 아이콘과 미스터 펀 컴퓨터의 아이콘 사이에 있다. 참고로 하얀색 모자 아이콘은 블랙을 닮은 엑스트라 스프런키의 아이콘이다.

27. Sprunki BRUD TREATMENT(사이먼 올바이트 모드)

사이먼 올바이트 모드(추정)
기존 호러 버전 보다 더 긴박한 브금을 만들수 있는 모드다. 이 모드의 특징은 사이먼을 제외한 거의 모든 스프런키들이 호러 버전 브러드 처럼 얼굴과 몸통이 잘린 모드다. 특히 미스터 트리, 제빈, 블랙은 더 많이 몸을 먹혔다. 엑스트라 캐릭터인 마드와 소닉까지 사이먼한테 먹혔다.[105] 생존자는 외상이 없는 유일한 생존자인 미스터 썬과 기존과 똑같은 브러드, 비정상화 된 사이먼 까지 단 셋이다. 이 모드에서 사이먼은 페이즈 3 더플과 비슷하게 몸이 길어졌다.
그래서 캐릭터 창에도 미스터 썬과 사이먼을 재외한 모든 아이콘 창이 반쯤 먹혀있다.

28. Sprunki Star and Heart(스프런키 별과 하트)

링크

29. Silly Sprunki(실리 스프런키)

링크
BENJIxScarlett이 만든 sprunki song을 기반으로한 모드
Silly인 이유가 sprunki song이 brainrot 뇌절이기 때문

[ 캐릭터 목록 펼치기 · 접기 ]

오렌
-헤드셋 밑에 마이크가 달려있다.
레디
-기존것과 비슷하게 생겼다.
클루커
-레디와 동일하게 비슷하게 생겼다.
펀봇
-안테나가 바뀌었고, 화면 옆에 스피커가 생겼다

펀봇, 그레이, 미스터 트리, 제빈, 블랙을 놓으면, 위 스마일 버튼에 각자의 색이 나온다. 2번정도 클릭하여 기다리면 화면이 꺼매진뒤, 호러 버전으로 가진다










30. Sprunki but "COOLER" (스프런키 하지만 더 멋짐)

링크

원작을 리메이크한 모드다. 외상을 입지 않은 생존자는 클루커,[106] 핑키다. 오렌, 펀 봇, 그레이, 브러드, 사이먼[107] 외상을 입었을뿐 살아있을것으로 추정된다.

31. SPRU-what?(스프런- 어?)


링크
원작의 스프런키 종족이 아닌 원본 인크레디박스 엔진을 이용해 원작 폴로들의 모습으로 리스킨•리믹스한 모드이다. 기존처럼 블랙을 배치해도 호러 모드로 전환되는 것이 아닌, 원작 게임처럼 보너스가 추가되며 컷씬을 감상하는 식.

기존 스프런키를 악용하는 컨텐츠들을 풍자하는 요소가 다수 있다.

기존의 있던 캐릭터들은 모습, 포지션만 남긴채 바뀐듯 하며 스카이는 아예 성별이 바뀐 상태고 가놀드는 바이저만 착용한 상태, 그리고 웬다를 싫어하는 그레이는 I❤️ WENDA라고 쓰여있는 티셔츠를 입고있다.


보너스 영상 가사 [ 펼치기 · 접기 ]
>BOO!!
Oh no, everything's so scary!
Wenda's gonna stab you, so you gotta have to parry!
Blood, horror, gore, while I'm movin' through the floor.
And I bust through your door, and take your money 'till you're poor!
BREAK IT DOWN!
Yeah I hate contents farms and brainrot.
When I find the people that make 'em, They will get shot!
Don't you ever mess with us, or you will get Sprunked up!
워!!
안돼, 모든게 너무 무서워!
웬다가 너를 찌를 꺼야, 너는 피해야 해!
피, 공포, 고어, 내가 바닥을 뚫는 동안.
니 집 문을 부스고 너가 땅거지가 될때까지 돈을 훔칠꺼야!
집어치워!
그래 나는 콘텐츠 팜과 뇌절 밈을 싫어해.
내가 그런거 만드는 제작자를 찾으면, 바로 쏴버릴꺼야!
절때 우릴 건들지마, 아님 너는 스프런키 될꺼야!

32. Simon's relam

원작 그대로 사이먼이 이 게임의 주인공이자 만악의 근원인 모드. 아이콘을 보면 블랙이 없고 그저 보너스 캐릭터 두명이 있다. 호러버전을 해제하는 방법은 그저 사이먼을 중앙에 놓고 기다리면 된다. 바로 변하는 것이 아닌, 분위기가 아날로그 호러로 바뀌며 사이먼의 눈이 검게 변하 있한 모습으로 있다. 미완성이므로 해피버전의 모습으로 그대로 있는 캐릭터가 있다.

33. Sprunki MSI

링크
오렌[실종]과 펀봇[추정] 제외한 모두가 끔찍하게 죽어버리는 모드다[110][111]

34. Shatter Sprunk(기생 버섯 모드)

링크
생존자는 펀봇[추정], 가놀드, 미스터 썬[추정], 미스터 펀 컴퓨터[추정], 제빈[추정]. 거의 대부분의 캐릭터들이 기생버섯 포자에게 감염되버리는 모드이다.



35. 리스킨 모드

36. 문제점 및 비판

36.1. 리스킨 모드

리스킨 모드란, 원작 모드를 기반으로 하는 인크레디박스의 모드를 기반으로, 기존 폴로들을 SPRUNKI 캐릭터로 바꿔놓는 모드들 등을 말한다. 대표적 예시로 Sprunstard(머스타드 모드)가 있고 Sprunki Ketchup 2.0(케첩 모드2)도 포함된다.

이 때문에 Sprunkstard에서부터 시작해 인크레디박스의 대표 모드들까지 리스킨 해버리는 사태까지 있었으며, 원작자인 'NyankoBfLol'가 SPRUNKI 리스킨 모드를 그만 양산 해내라고 한 적이 있다.

실제론 SPRUNKI 모드 중 인기가 많은 머스타드 모드와 같이 기존 인크레디박스 모드들의 폴로를 스프런키로 바꾸어 버린다면, 원작 모드보다 리스킨의 인기가 많아지며 동시에 원작 모드의 존재 자체가 아예 무시만 받게 되어버린다. 또한 원작 모드의 허가 없이 개나소나 다 리스킨을 만들기에 원작 모드의 인기가 점점 없어진다.

SPRUNKI 모드 역시 절반이 리스킨 모드이기에.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NyankoBfLol는 이러한 모드들을 원하지 않는다고 선언한 적이 있다.

36.2. 양산형 모드

Para Sprunki, Phase 시리즈와 같이 기존 모드에서 약간 스킨만 덧되어 입힌 걸 모드로 출시하며
동시에 대부분의 모드들 또한 Sprunki의 폴로에 그저 스킨만 입힌 것이기에 해외 유튜버들이 과장된 표현을 쓰는 때가 매우 많다.

Para Sprunki 역시 나쁘진 않은 모드이나, 타 모드들을 Para Sprunki[116]의 스타일로 재구성된 모드들이 많으며 모드의 비평가와 불쾌감 역시 많은 편이다.



[1] 악성 광고가 많기 때문에 플레이는 추천하지 않는다.[2] 사실 원작에서도 팔이 존재하긴 한다는 제작자의 언급이 존재한다. 이 설정을 부각한 모양.[3] 웬다의 경우 해피 버전에서 리뉴얼 되었지만 호러 버전에서는 기존 소리가 그대로 나온다[4] 느낌표가 27개다.[5] 사실 입이 뜯긴 게 맞다(...).[6] 이때 블랙의 이름이 검은 펜으로 칠해진 채 거의 가려져 있다.[7] 주인공으로 추정된다.[8] 팔각형 속에 11자가 그려진 듯한 도형을 심볼로 사용한다.[A] [10] 썸네일에 있는 캐릭터들은 왼 쪽 부터 제빈, 오왁크스, 핑키[11] 제작자의 말로는 호러버전때의 Orinx는 듀퍼 정도는 가뿐하게 이긴다고 한다.[12] 크리스마스 QnA에서 이 질문이 나오자 "우리 둘은 아무 관련 없으니 신경 꺼! 내가 왜 저 토끼랑 사귀어야 하는데?" 라고 대답했다.[13] 리마스터 버전에서는 입 밑부분에 심벌즈가 박혀 찢어져있다[14] 이는 Remastered 한정이다. 그리고 이런 모습 마저도 가짜일 뿐이다.[15] 이전에는 메인 엑스트라와 서브 엑스트라로 나뉘었으나, 현재는 메인과 서브의 구별이 사라졌다.[16] 가장 친한 친구의 눈을 뽑은 후 도로 집어넣어 다시 살리는 것이 취미라는 설정이 있다.[17] 로이 늑대 채널에 올라온 크리스마스 QnA 영상에서 이름이 밝혀졌다.[18] Wooder의 얼굴은 유성매직으로 그려진 것이라 번진 것이라고 한다. 다시 얼굴을 그려준다면 되살아난다고 한다.[19] Remastered 한정. 오리지널 Spruted에서는 호러 버전에서만 등장하는 캐릭터이다.[20] 이때 모자와 넥타이가 블랙의 몸에 흡수된 후 눈을 뜨고 기괴하게 입을 벌리며 돌변한다.[21] 이때 블랙의 메세지 뒤로 랜덤한 캐릭터의 메세지가 출력된다.[22] 이 상태에선 재시작 말고는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23] 예로 들면 사망자였던 비네리아나 가놀드 등은 생존자가 되었으며, 그레이나 브러드 등은 사망자로, 핑키나 오렌, 레디 등은 비정상화 되었다.[24] 즉, 약 116.5cm다.[25] 해당 코드는 Scratch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26] Lumen과 NotGod, blue ghost는 제작자의 또 다른 모드인 Foxes와 Rooms, Darkend 모드의 폴로들이며, Bell, Peuljjin, Span은 제작자의 지인들의 캐릭터이다.[a] 오리지널 Spruted에서만 해금 가능하다.[a] [a] [30] 스크래치 재업로드 본에서만 사용 가능한 코드이다.[31] 다만 다음에 나오는 대답에 Y 또는 Yes라고 입력한 뒤 블랙을 놓아야만 호러 버전으로 넘어갈 수 있다.[a] [b] Remastered 버전에서만 사용 가능한 코드이다.[b] [b] [36] 다만 그대로 나오지 않고 조금 편집되어서 나온다.[b] [38] Ineedmore 코드의 로이와는 다르게 보컬이다.[39] 해당 캐릭터는 매 루프 초반엔 인간이였다가 루프 후반에 샤미드로 변한다.[b] [b] [42] 디기와 로버트 게임을 같이 둘 시 디기의 소리가 바뀐다.[43] 해당 캐릭터와 브러드를 같이 둘 시 베티의 얼굴에 홍조가 생기며 소리가 바뀌고, 브러드와 매우 가까이 둘 수 얼굴이 시뻘개지며 아무런 소리도 재생하지 않는다.[b] [b] [46] 해당 모습은 Spunkr 개발자가 만든 디자인이며, 사운드와 애니메이션은 Spruted의 개발자가 진행했다. Spunkr에서도 더피를 찾아볼 수 있으며 Spunkr에서의 더피의 사운드는 Spunkr 제작자가 만들었다. 단 서로의 차이점은 목도리의 방향이 다르다.[47] 해당 캐릭터들의 스프라이트 이름이다.[이름불명] 스프라이트 이름이다.[49] Betty를 같이 두었을때만 상호작용 한다.[이름불명] [51] Foxes, Darkend, Rooms등[52] 그래서인지 모자같은 장신구가 너무 커졌다.[53] 물론 페이즈 0으로.[사이먼] 정신이 나간 것 같은 모습으로 기존 호러 버전처럼 고개를 다양한 각도로 흔든다. 눈은 있다.[더플] 더플은 아예 운다. 기존 호러 버전처럼 기괴하게 벌리진 않지만 입을 크게 벌리며 운다.[웬다] 호러 버전 모습과 비슷하지만 피가 묻어 있지 않고 어설프다. 소리가 매우 이상한 기존 호러 버전의 일렉기타 소리를 낸다.[57] 오렌은 헤드폰을 벗고, 브러드는 양동이를 벗고, 가놀드는 슈트를 벗고, 미스터 펀 컴퓨터와 터너는 모자를 벗고, 핑키는 리본을 빼고, 제빈은 후드를 벗었다. 가놀드, 터너, 제빈은 대머리다.[58] 페이즈 4도 있다.[59] 유튜브에서 조회수 10,000,000회를 달성했을 정도. 틱톡에도 있다.[공통] Bit, Dorn, Tele, Mr.Tv는 모두 원작자가 Alarm_clock이다.[공통] [오해] 와기/카이라고 잘못불리기도 한다. 이로 인해 원작자는 빌을 와기/카이라고 부르는 영상들을 까기도 한다.[오해2] 크리미 잘못 불리기도 한다.[공통] [오해3] 아이시라고 잘못 불리기도 한다.[66] 특유의 똘망한 눈과 뾰족한 입, 긴 머리 때문에 종종 여자라고 오해받기도 한다. 지칭 대명사가 They/Them인 것을 보면 중성이거나 논바이너리일 가능성이 있다.[오해4] 벨리라고 잘못 불리기도 한다.[공통] [69] 원본은 다른게임으로 바뀠으며 이게임은 스프런키 스웹 리텍스쳐이다.[70] 현재 이 사이트로 가면 업데이트가 중단되기 전 버전을 플레이 할 수 있다.[71]
미스터 펀 컴퓨터 - 외상은 없지만 불안해하며 연주한다.
웬다 - 눈물을 흘리지만 외상은 없다.
블랙 - 비공식 스프라이트를 사용했다. 눈이 크며, 외상이 없고 높은 음을 낸다.
[72] 그레이도 외상이 없는 생존자로 추정.[73]
오렌 - 얼굴 가죽이 그레이에게 뜯겼다.
가놀드 - 슈트의 왼쪽은 약간 내려가 있고 반쪽은 부서져 있으며, 피를 조금 흘린다.
사이먼 - 브러드에게 머리 한쪽과 몸통이 약간 뜯겼다. 머리 부분은 원작 브러드 보다는 덜 뜯겼다.
[74] 몸이 스프링으로 감겨 있고 머리에서 피가 나며, 피눈물을 흘린다. 생존자라고 하기에는 너무 외상이 많고, 사망자라고 하기에는 다른 사망자들에 비해 외상이 적은 탓에 상태 불명으로 분류된다.[75]
펀 봇 - 화면에서 에러가 뜬다. 해킹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스터 썬 - 지친 표정으로 바뀌었고 눈이 없다.
미스터 트리 - 검은색이 되었고 눈이 7개나 생겼다!
터너 - 동공이 커지고 이빨이 보인다. 모자는 아직있다.
제빈 - 얼굴이 실사로 변했다.
[76] 브러드는 비정상화로 추정.[77]
레디 - 쇠 파이프로 온 몸이 관통당했고 눈도 한쪽이 쇠 파이프에 붙어 있다.
비네리아 - 턱과 몸통 가죽이 뜯긴 채 피를 흘린다.
오왁크스 - 두 눈이 뽑혀 있고 피를 흘리며 비명을 지른다.
스카이 - 얼굴 반쪽이 없어져서 뼈와 내장이 보이고, 눈물을 흘린다.
더플 - 머리 부분에 총을 맞았고 피를 흘린다. 사망자 중 가장 외상이 적다.
핑키 - 내장이 다 보이고, 두 눈은 피눈물을 흘린다.
[78]
그레이 - 거의 모든 스프런키들을 학살을 했음.
브러드 - 사이먼을 베어 먹었다고 공인 되었다.
[79] 가사는 This world no long normal So you run away So you run away (이 세계는 더 이상 정상이 아니야 그래서 넌 도망가야 해 그래서 넌 도망가야 해)이다.[80] 마치 인크레더블 밈의 확장판 11.5페이즈의 얼굴을 연상시킨다.[81] 호러 버전에서 다시 해피 버전으로 넘어갈 때에도 이 방법을 쓰면 된다.[82] 다만 원작과 디자인이 꽤 다른데 원작에 언급한 팔을 묘사했으면서도 원작과 달리 다리도 묘사했다.[83] 해피 버전에서 블랙을 놓으면 망가진 파이프 오르간 소리를 내며, 리셋 버튼이 위험 경고 표지 모양으로 바뀐다. 경고 표지로 변한 상태의 경우 눌러도 리셋이 비활성화 된다. 호러 버전으로 넘어가기 싫다면 Run을 눌러 강제 종료해야한다.[84] 심지어 제빈까지도 약간의 미소를 띤다![85] 그레이는 아예 웃지 않는다.[86] 미스터 펀 컴퓨터는 미래 시점의 가놀드와 클루커가 만들었으므로, 둘이 아직 어린아이인 Sprunklings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펀 봇도 같은 이유로 초기 제작에선 없었으나 팬들의 요청으로 추가되었다.[87] 오렌, 레디, 오왁크스, Malik, 웬다, 마드, 토스티드 레인보우 샌드위치[88] 아마 제빈이 쓴 흑마법일 듯하다. 목이 졸리고 흑마법까지 당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사망으로 추정된다.[89] 이 영상을 보면, 상자를 벗긴 채 놓으면 연주할 때 양 눈을 위아래로 따로 굴리는 걸 볼 수 있다(...). 원작 브러드의 사시 설정을 물려받은 듯하다.[90] 다만 심벌즈 소리를 낼 때에 잠깐 동안 오른쪽 눈동자가 십자 모양이 된다.[91] 제작자도 그런 점을 아는지, 갤러리에 엄근진한 제빈 이미지와 함께 "그는 머드타드 제빈이 아니야. 그를 머스타드라고 그만 불러." 라고 명시해 두었다.[92] 파일:sprunki2psusbook.png[93] 책의 소유자는 호러 버전에서 외상 없는 생존자이자 눈동자가 멀쩡하고 계속해서 의미심장한 웃음을 짓고 있는 제빈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원래도 광신도라는 설정이 있었으니 성서로 위장한 흑마법서 하나쯤을 끼고 다닌다는 컨셉이 생겼다고 해도 달리 이상하지 않다.[94] 노랑(제빈), 파랑(터너), 빨강(스카이)으로 컬러 상으로도 들어맞는 조합이라 더욱 엮이는 일이 잦은 듯하다.[95] 웬다가 오히려 터너에게 총으로 협박을 당한다거나, 블랙이 제빈의 도끼에 맞아 죽는(...)그럼 사이먼은 브러드에게 먹혔나? 등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96] 원작에서 외상이 없는 생존자였던 그레이,펀 봇,제빈도 총을 맞았다.[97] 블랙도 총을 맞았다![98] 그레이는 출혈이 있으나 다른 스프런키보다 출혈량이 적으니 생존으로 서술함.[99] 사실 옛날의 Sprunked에서도 이랬다.[100] ID로 보아 2010년생으로 추정된다. 만약 진짜라면 제작자 못지 않은 음악적 감각이 뛰어난 셈.[101] 호러 버전 일부에서는 팔이 있다.[102] 업데이트 전에는 이가 보이도록 웃고 있다. 업데이트 전의 모습을 묘사하자면 :D로 말할 수 있다.[103] 정확히는 벽돌부분이 특정 부분에서 끊어져있고, 검은 액체가 끊어진 부분 사이로 연결되었다.[104] 묘사하자면 콘이 사라지고 이빨이 달린 큰 살덩이가 눈을 미롯한 머리위쪽을 파묻었다.[105] 호러 버전에서 외상이 없는 생존 상태인 펀 봇, 그레이, 제빈까지도 먹혀 버렸다.[106] 구 버전에서는 사망이었다.[107] 사이먼은 구 버전에서 외상이 있는 생존자였다.[실종] 혹은 감염[추정] [110] 심지어 블랙까지도[111] 미스터 썬, 미스터 트리, 미스터 펀 컴퓨터는 감염만 당했을뿐 죽진 않은 상태라 한다.[추정] [추정] [추정] [추정] [116] 대표적으로 퀄리티가 높고 폴로들의 목소리가 다른 Retake, Sprunki pyramixed, Sprunked 기타 등등 이러한 모드들의 허가를 받지 않고 스킨을 입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