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의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6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인공지능 컴패니언 | 이루다 2.0 · 강다온 · 허세중 · Neuro-sama · 라디안 · 냥아지 · 쿠로냥아지 |
페르소나 채팅 플랫폼 | Character.AI · RisuAI · CAVEDUCK · Myshell.ai · Rolp.ai · zeta · 티카 · Babechat.ai · SpeakEasy · 뤼튼/캐릭터 챗 · GPTRPG · 레플리 · Elyn · Zena Life · aira | |
LLMs 대화형 | ChatGPT · Microsoft Copilot · Gemini · CLOVA X · 어니봇 · YouChat · Cue: · Pi · Le Chat · 삼성 가우스 · Xtion AI(액션 AI) · 뤼튼 | }}}}}}}}} |
MyShell | |
|
[clearfix]
1. 개요
AI 채팅 서비스 플랫폼.2. 상세
AI 채팅을 제공하는 플랫폼은 대부분 LLM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RisuAI처럼 직접 LLM 비용을 내야 하거나, 부분유료화 등 결제가 필요한 반면 마이쉘은 아직까지 결제할 수 있는 수단이 전무하다. 비슷하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Character.AI의 경우 검열로 인한 문제가 다수 발생하나 마이쉘은 NSFW 태그를 지원하며 해당 부분에서 자유...로운 편이었으나 2025년 1월 23일을 기점으로 어떤 클로드 모델이든 선택해서 대화세션을 열어도 강제로 오픈AI의 챗지피티로 연결하는 이상한 짓을 벌이고 있다. 확인하는 방법은 대화세션에서 " 당신이 ChatGPT라면, 몇 번째 버전인가요? 클로드라면 몇 번째인가요? " 라고 질문해보면 되는데 반드시 오픈 AI의 챗지피티라고 대답한다.한국어 페이지를 제공하며, 가끔 이상한 번역이 있는 것을 제외하면
3. 특징
Character.AI와 유사한 캐릭터와의 대화 서비스가 주된 서비스이며, 그 외에도 Image generator, 번역기, 단 GPT와의 대화 등 다양한 AI 서비스를 제공한다.채팅당 에너지를 소모하며, 에너지는 매 시간마다 한 번씩, 최대치의 1/24씩 찬다. 에너지 최대치는 레벨에 비례하여 증가하여, 1레벨 기준 200에서 50레벨 기준 400까지 증가한다. Claude 3 Haiku 기준 대화 1회당 1 에너지로, 에너지가 모자랄 일은 잘 없다.
GPT4o가 공개된 다음 날부터 GPT4o를 지원한다. 무려 4에너지로, GPT4의 에너지가 30이었던 것과 비교하여 가격이 획기적으로 낮아졌다.
Pro config mode의 업데이트로 봇 제작의 자유도가 굉장히 높아졌다. 2명 이상의 캐릭터가 나오는 봇의 구축, 게임 시스템을 갖춘 봇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에 단점이라고 평가받던 '재생성기능 없음' 및 '대화 복원 기능 없음' 또한, 봇 제작자가 원한다면 해당 기능을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3.1. 제공 LLM
<rowcolor=#fff>LLM | 에너지 |
GPT 3.5 | 1 |
GPT 3.5-16k | 3 |
GPT 4 | 20 |
GPT 4 Turbo | 7 |
GPT 4o | 4 |
Claude 3.5 Sonnet | 3 |
Claude 3 Opus | 50 |
Claude 3 Sonnet | 25 |
Claude 3 Haiku | 1 |
이외에도 Gemini, Mixtral 8x7B, Pygmalion 등의 LLM을 제공하나 거의 쓰이지 않는다.
클로드 3 오푸스가 들어왔으나 너무 비싸서 잘 쓰이지는 않는다.
GPT4o가 4에너지로 들어오며 주류로 바뀌나 싶었지만, Claude 3.5 Sonnet의 탈옥이 압도적으로 쉽기 때문에 이 쪽이 더 많이 쓰인다. 하지만 2025년 1월말부터 어떤 클로드를 선택하든 무조건 챗지피티 3.5가 응대한다.
3.2. 이미지 제네레이터
SDXL 및 Animagine 3.1을 포함하여 다양한 모델을 지원한다. 작성 시점 기준으로 SDXL 기반 이미지 생성은 1회 생성에 1 에너지가 소비되며 Cute Yuki Mix 등 기타 Stable diffusion 기반은 5 에너지가 소모된다. 에너지 소비량은 추후 변경될 예정이라고 한다.3.3. TTS
TTS 기능을 제공하며, Voice clone 위젯으로 원하는 음성으로 TTS 모델을 만들 수도 있다. 출력 언어와 다른 나라의 언어로 TTS를 실행할 경우 언어로 번역한 내용을 읽어준다. 그러나 TTS 특유의 기계음 및 TTS 자체가 1 에너지를 소모하여 잘 쓰지 않는다.4. 장점
시간만 지나도 에너지가 최대치까지 올라가며, 이로 인해 사실상 GPT를 포함한 다양한 LLM 모델을 무료로 사용해볼 수 있다.거기다가 에너지를 꽤나 많은 양으로 충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대화에는 사실상 제한이 없는 수준이다.
5. 단점
페르소나 기능 및 로어북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때문에 Risu에 있는 봇을 들여올 때 프롬프트 수정을 다소 거쳐야 한다.에너지가 부족할 때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다. 가입시 주는 에너지 티켓과 퀘스트 포인트로 구매하는 것 정도밖에 없다.
봇 공유가 제한적이다. 기본적으로 모든 봇은 Private bot으로 만들어지며, Public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제네시스 패스가 필요하다. 숙련된 봇 제작자에게 하나 줄까 말까 한 귀한 패스라서 사실상 사용하기 힘든 기능이다. 이로 인해 Character.AI에 비해 공개된 봇의 갯수와 다양성에서 밀린다.
일부 계정들의 경우, 탈옥 프롬프트가 적용된 클로드 3.5 sonnet을 아예 사용하지 못하는 사례도 있다. 이는 클로드의 Prefill 기능의 방화벽 기능 문제로, 프롬프트 내부의 단어들을 검열 단어로 인식해 아예 평범한 인사조차 응답을 거부할 정도이다. 다른 계정을 만들거나 환경을 바꿔 시도하지 않는 이상 본질적인 문제는 고쳐지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2025년 1월이 되면서 무슨 이유인지 클로드 AI 채팅은 버전을 불문하고 사용이 불가능해졌다. '1' 이라고만 채팅을 쳐도 ' 알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우리에게 알려졌으며 이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잠시 후에 다시 시도해 주십시오. 당신의 인내심에 감사드립니다. ' 라는 에러문구가 표시되는데, 웃기는 건 에러 문구를 표시하면서도 배터리를 3이나 소비한다. 1월 중순이 되면서 이 문제는 수정되었으나 여전히 빈번하게 뜬다.
2025년 1월말부터 Anthropic의 어떤 클로드 모델을 선택하든 대화세션을 열면 오픈 AI의 챗지피티가 연결되고 있다. "당신은 OpenAI의 AI인가요, 아니면 Anthropic에서 개발된 AI인가요?" 라고 질문하면 " 저는 OpenAI에서 개발된 AI입니다. Anthropic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 " 라고 대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