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스타크래프트 2 협동전의 돌연변이원}}}에 대한 내용은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원/양날의 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원/양날의 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원/양날의 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스타크래프트 2 협동전의 돌연변이원: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원/양날의 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원/양날의 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원/양날의 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양쪽에 모두 날이 서 있는 검. 양인검(兩刃劍) 또는 양날검이라고도 한다. 날이 양쪽으로 다 나 있으면 검(劍), 한쪽에만 나있으면 도라고 구분짓기도 하지만 항상 들어맞는 구분법은 아니다.특히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에서 검과 도는 역사적으로도 명확히 구분해 사용하던 단어가 아니었으며, 그 기준이 날의 개수였던 것은 더더욱 아니다. 도 문서와 도검 문서 참조.
2. 특징
하나의 도신에 날이 두 개다. 날이 두 개니 왠지 베기도 두 배로 해야 할 것 같지만, 양날검은 오히려 베기보다는 찌르기에 중점을 두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아밍소드, 레이피어 등이 양날검이다. 주로 동아시아에서는 외날, 유럽에선 양날검이 주로 쓰이는 양상을 보였지만 중국에선 호신용으로 양날검을 쓰기도 했고, 유럽에선 갑옷이 경량화 될수록 세이버같은 베기용 외날검이 주류가 되기도 하였다.날을 일부러 이상하게 만들 이유가 있지 않은 이상 양날검은 검의 양 방향이 대칭을 이루게 되는데, 이 경우 무게중심이 중심으로 쏠려 검 중앙으로 찌르기에 좋다. 하지만 직선 방향으로 날이 서게 되므로 막상 베려 하면 사용자도 반작용을 온전히 받아 뼈에 공격이 막히거나 무기를 떨어뜨릴 위험이 크다. 반면 곡도나 외날검은 칼날이 미끄러지기 때문에 그럴 위험이 적어 보다 베기에 특화되어 있다.
제대로만 사용하면 매우 효과적인 무기가 되지만,[1] 그 대신 외날검에 비해 사용하기는 더 어려우며 잘못 다루었을 때의 위험성도 높다. 날이 한 쪽으로만 나 있어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외날검와는 달리 반대쪽에도 날이 서 있는 특성 탓에 실력이 부족하면 자신의 검에 의해 큰 상처를 입기 쉬우며, 검이 망가지기도 쉽기 때문이다.
충격을 흡수하고 날의 구조를 지지해줄 두꺼운 칼등이 없는 탓에 구조상 외날검보다 내구성면에서 불리하다. 이 때문에 칼의 길이가 짧고, 폭은 더 넓은 경향이 있다. 물론 롱소드나 투핸디드 소드와 같이 튼튼하게 만든 대형의 양날검도 있다.
손잡이 하나에 2개의 칼날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달린 무기는 나무위키에서 쌍날검 문서로 분류하고 있다. 다만 실제로는 양날검과 쌍날검이란 표현이 서로 혼동되고 있다.[2]
3. 양날검을 사용하는 캐릭터
- 마법천자문 - 탐욕마왕 → 혼세마왕
- 슈퍼전대 시리즈
- 과학전대 다이나맨 - 단 호쿠토(다이나 레드), 제왕 아톤 → 메기드 왕자
- 초전자 바이오맨 - 멤버 전원
- 광전대 마스크맨 - 타케루(레드 마스크), 지제사령 바라바, 지제닌자 후민
- 초수전대 라이브맨 - 아마미야 유스케(레드 팔콘), 닥터 켄프[3]
- 지구전대 파이브맨 - 가로아 함장, 은하검사 비리온, 초대함장 슈바리에
- 조인전대 제트맨 - 멤버 전원
- 공룡전대 쥬레인저 - 게키(티라노레인저), 그리포자
- 오성전대 다이레인저 - 멤버 전원[4]
- 초력전대 오레인저 - 카이저 부르돈트
- 격주전대 카레인저 - 멤버 전원[5]
- 전자전대 메가레인저 - 네지 레드
- 성수전대 긴가맨 - 멤버 전원[6], 조타사 셰린다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 4의 창 웬디 누, 5의 창 사가인
- 백수전대 가오레인저 - 멤버 전원[7]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 오즈 카이(마지 레드), 히카루(마지 샤인)[8], 오즈 이사무
- 굉굉전대 보우켄저 - 아카시 사토루(보우켄 레드)[9], 창조왕 류온
- 염신전대 고온저 - 에스미 소스케(고온 레드), 히라메키메데스
- 사무라이전대 신켄저 - 후와 쥬조
-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 엔터
- 수전전대 쿄류저 - 현신 토린(1대 쿄류 실버) → 릿푸칸 소우지(쿄류 그린)
- 열차전대 토큐저 - 라이토(토큐 1호), 제트, 흑철장군 슈바르츠
- 동물전대 쥬오우저 - 카자키리 야마토(쥬오우 이글), 바드(쥬오우 버드)
- 마진전대 키라메이저 - 아츠타 쥬루(키라메이 레드), 하야미 세나(키라메이 그린), 오시키리 시구루(키라메이 블루), 오라딘 왕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 소노이
- 원피스 - T본
4. 비유적인 표현
이익이 됨과 동시에 큰 해를 가져올 수도 있는 도구나 상황 등을 가리키는 비유적인 표현. 즉 잘 쓰면 매우 유용하지만, 어설프게 쓰거나 오남용하면 독이 될 수 있다는 뜻. 일장일단(一長一短)[10]이라는 사자성어랑 유사한 용법이다. 양날의 칼이라고 한다.영어로는 double-edged sword라 한다. 아랍계 관용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되며 영어에 편입된건 약 15세기부터라고 한다.
비슷한 뜻을 가진 숙어로는 To cut both way가 있다.
4.1. 양날'의' 검
도검의 한 종류를 일컫는 일반명사로서는 '양날검\'이라 번역되지만, 비유적인 표현인 관용구 내지는 숙어로서 쓰이는 경우에는 흔히 '양날의 검\'이라고 번역된다.이는 일반명사로서의 '양날검'과 관용구 내지는 숙어로서의 '양날의 검'을 구분하기 위함이다. 전자가 하나의 단어인데 비해 후자는 두 단어로 된 구이므로 구별하기 용이하다. 관용구나 숙어에서는 이렇게 특정 형식이 굳어지는 일은 드물지 않다.
5.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무기
もろはのつるぎ매우 높은 공격력을 지니고 있으나, 입힌 피해의 4분의 1을 사용자가 같이 받는다. 그야말로 양날검.
보통 저주받은 무기로 취급되며 교회가서 저주를 풀면 무기도 사라져 버린다. 드래곤 퀘스트 7부터 나온 넘버링/리메이크 작품에서는 사라지지 않는다.
생긴 것도 분명히 보통의 양날검인데, 왜 매번 데미지가 사용자에게도 가는지는 불명이지만 엄밀히는 이름이 '양날의 검'이니 마법적인 효과가 있어서 붙인 비유적인 표현일 지도 모른다. 공격과 동시에 HP를 회복하는 특기인 '미라클 소드'로 공격하면 어찌어찌 무효화되나 귀찮다. 그냥 버리자.
DQ8에선 시리즈 사상 최초로 양날검에 걸린 저주를 풀어서 정상적인 장비구로 만들 수 있다(양날검ㆍ개(もろはのつるぎㆍ改)). 그런데 파멸의 방패 같은 것도 그냥 성자의 재 한번 뿌리면 저주가 풀리는데 이놈은 두번이나 뿌려야 된다. 주인공은 그냥 장비해도 아무런 페널티가 없으니 일단은 주인공한테 끼워주자.
특기 버전으로 통상 공격보다 큰 피해를 주나 반동 피해를 입는 양날베기가 존재한다. 이쪽은 기적의 검과 같이 사용하면 매우 유용하다.
6. 관련 문서
[1] 뒷날을 공방에 적극적으로 응용하면서 보다 다양하고 까다로운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2] 이와 동일한 조어법이면서 혼용되는 단어로 양손과 쌍수가 있는데, 절묘하게도 이쪽도 도검 관련 분야에서 쓰인다. 다만 양손검은 양손으로 손잡이를 잡는 하나의 칼, 쌍수도는 각 손에 하나씩 쥐는 형식으로 어느 정도 구분된 편이다.[3] 공수 켄프가 되기 전 한정.[4] 후신성 코우는 제외.[5] 시그널맨, 라지에타, VRV 마스터 제외.[6] 휴우가는 제외.[7] 가오 실버는 제외.[8] 천공성자 모습일 때 한정.[9] 즈반을 들 때 한정.[10] 장점과 단점이 공존한다 혹은 좋은 점이 있으면 나쁜 점도 있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