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8 10:03:16

Perplexity


주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파일:OpenAI-black-monoblossom.svg파일:OpenAI-white-monoblossom.svg
ChatGPT
파일:Gemini(앱) 아이콘 (2025).png
Gemini
파일:claude 심플 로고.svg
Claude
파일:Grok_로고.svg파일:Grok_로고_다크.svg
Grok
파일:Windows Copilot 로고.svg
Copilot
파일:perplexity 심플 로고.svg
Perplexity
파일:DeepSeek 아이콘.svg
DeepSeek
파일:Galaxy AI Logo.png
Galaxy AI
MAU 1천만 이상 ·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전체
<colcolor=#1C343B,#E8E8E6> 퍼플렉시티
Perplexity AI, Inc.
파일:perplexity_logo_light.svg파일:perplexity_logo_dark.svg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2022년 8월
창업자 앤디 콘빈스키
데니스 야라츠
아라빈드 스리니바스
조니 호
경영진
CEO
아라빈드 스리니바스
CTO
데니스 야라츠
CSO
조니 호
사장
앤디 콘빈스키
거래소 비상장 기업
기업가치 180억 달러 (2025년 7월)
MAU 171만 명(2025년 6월 국내 앱 사용자 기준) #
지원언어 35개[1]
본사 소재지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2]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역사4. 요금제5. 수익모델6. 논란
6.1. 무단 크롤링 논란
7. Comet 브라우저8. 카페 큐리어스9. 기타

1. 개요

Where Knowledge Begins
지식이 시작되는 곳
앱 실행 후 나오는 문구
미국의 AI 개발 기업이자 이 기업에서 개발한 동명의 생성형 인공지능 검색 엔진 서비스.

2. 특징

주로 검색 기능에 특화된 서비스로, RAG 기반 실시간 쿼리 처리를 진행하여 연관성 높은 링크를 선별한 뒤 LLM으로 요약한 답변을 제공하는 방식을 쓰고 있기 때문에 타사 서비스 대비 모델의 응용력은 떨어질 수 있으나 실시간성과 인공지능 환각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3]

Sonar라는 독자 모델을 가지고 있으나 성능이 좋지 않은 편이다.[4] Perplexity가 제공하는 인공지능 검색 서비스는 GPT, Gemini, Claude 등 타사의 언어 모델을 끌어다 쓰는 AI wrapper 서비스에 가깝다. Microsoft Copilot과 함께 LLM 기반 MAU 1천만 명 이상 서비스 가운데 타사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유이한 브랜드이다.

또한 제공되는 모든 모델의 검열이 타사에 비해 적은 편이다. 특히 공식 앱에서의 검열이 필요 이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악명높은 Gemini 모델과 역할극을 전면 차단하는 Claude의 모든 모델도 Perplexity의 같은 검열 수준이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검색 엔진을 전제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무료 유저도 제한 없이 검색이 가능하다. 다만 Pro 검색은 횟수에 제한이 있으며, Pro 검색을 다 쓸 경우 주기적으로 Pro로 업그레이드하라는 광고가 표시된다.

브라우저의 기본 검색엔진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소 검색창에서 입력하기만 하면 바로 Perplexity가 검색해서 알려준다. 같은 제작사가 개발한 Comet 브라우저의 경우 Perplexity가 기본 검색 엔진으로 되어 있어 설정이 따로 필요하지 않다.

3. 역사

아라빈드 스리니바스와 데니스 야라츠는 박사 과정 당시 비슷한 주제의 논문을 쓴 뒤 UC 버클리를 기반으로 인연을 맺었으며, 조니 호를 영입하고 데이터브릭스 공동창업자였던 앤디 콘빈스키가 투자자 겸 운영 도움역으로 합류하며 2022년 8월 설립되었다. CEO인 스리니바스는 OpenAI 연구원 출신의 인도계 미국인이다. 그는 구글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던 당시 검색 엔진의 역사에 대한 공부를 시작했으며, 링크 기반 검색 대신 질문에 대한 출처 인용과 보고서형 답변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퍼플렉시티를 시작했다.

2022년 12월 7일, 서비스를 출범시켰다.

2024년 1월 엔비디아, 제프 베이조스 등을 대상으로 7,36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기업가치는 5억 달러 이상을 인정받았다.

2024년 4월 23일, 시리즈 B1 라운드에서 소프트뱅크, 도이체 텔레콤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10억 4,000만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아 6,27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히면서 유니콘 기업 대열에 합류했다. 기존 투자자인 엔비디아와 제프 베이조스 외에도 스탠리 드러켄밀러, 안드레 카파시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2024년 6월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며 기업가치 30억 달러를 인정받았다고 한다.

틱톡이 미국 사업 철수 위기를 맞은 상황에서, 2025년 1월 18일 바이트댄스에 미국 합작 법인 설립 방식의 합병을 제안했다. 1월 27일에는 기존 투자자들이 그대로 신규 법인에 포함되는 대신, 추후 3,000억 달러 규모 이상의 기업공개 시 미국 정부가 지분 50%[5]를 가져가고 퍼플렉시티와 투자자 측이 이사회를 통제하며 기술 통제권도 중국 정부와 끊어낸다는 조건을 담은 새로운 제안서를 바이트댄스 측에 제출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6]

2025년 1월 28일부터 DeepSeek의 추론 모델인 R1[7]을 지원했었다.

2025년 2월 1일부터 OpenAI의 추론 모델인 o3-mini를 지원했었다.

2025년 2월 4일부터 Gemini 2.0 Flash를 지원했었다.

2025년 2월 14일부터 자체 모델로 구동하는 Deep Research를 지원한다.

2025년 2월 25일부터 Claude 3.7 Sonnet를 지원했었다.

2025년 3월 2일부터 OpenAI의 GPT-4.5를 지원했었다.

2025년 3월 7일부터 Claude 3.7 Sonnet의 추론 모드를 지원했었다

2025년 4월 9일부터 Gemini 2.5 Pro를 지원했었다.

2025년 4월 15일부터 OpenAI의 GPT-4.1를 지원했었다.

2025년 4월 22일부터 xAI의 Grok-3 beta를 지원했었다.

2025년 4월 23일부터 OpenAI의 추론 모델인 o4-mini와 GPT-Image-1를 통한 이미지 생성을 지원한다.

2025년 5월 23일부터 Claude 4.0 Sonnet의 일반, 추론 모드를 지원한다. 2025년 9월 30일부로 지원 종료했다.

2025년 5월 30일부터 다양한 유형의 결과물을 생성하는 Labs[8]를 지원한다. 기존의 Deep Research는 Research로 변경되어 검색과 랩스 모드 사이의 중간 역할을 수행한다.

2025년 6월 7일부터 Gemini 2.5 Pro(06.05버전)를 지원한다.

2025년 6월 10일부터 OpenAI의 추론 모델인 o3을 지원했고 2025년 10월 1일부로 지원 종료했다.

2025년 7월 3일부터 맥스 요금제를 출시하고 맥스 요금제에서만 이용가능한 o3-pro와 Claude 4.0 Opus의 추론 모드를 지원한다.

2025년 7월 11일부터 xAI의 Grok-4 추론모델를 지원한다.

2025년 8월 8일부터 OpenAI의 GPT-5를 지원한다.

2025년 8월 19일부터 맥스 요금제 이용자에 한해 OpenAI의 GPT-5-thinking을 지원한다.#

2025년 8월 25일부터 GPT-5-thinking이 프로 요금제 이용자도 이용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2025년 9월 16일부터 Pro 모델에 이미지 생성 모델로 구글 2.5 Flash Image (나노바나나)바이트댄스 Seadream 4.0이 추가되었다.

2025년 9월 26일부터 Max 요금제 대상으로 Sonar 모델의 추론 버전을 테스트중이라는 뉴스가 나왔다.#

2025년 9월 30일부터 Claude Sonnet 4.5의 일반, 추론 모드를 지원한다. #

2025년 10월 8일부터 OpenAI의 GPT-5 Pro를 Max 요금제 한정으로 순차적으로 지원예정이다. #

4. 요금제

<colcolor=#1C343B,#E8E8E6> 무료 프로 맥스
<colbgcolor=#E8E8E6,#1C343B> 가격 $0 월 $20
연 $200
월 $200
언어모델 최고[9] 비추론 모델
Sonar[10], Claude Sonnet 4.5, GPT-5,
Gemini 2.5 pro
추론 모델
Claude Sonnet 4.5 Thinking, GPT-5 Thinking, Grok-4
o3-pro, GPT-5 pro, Claude Opus 4.1 Thinking
모델이 추가된다.
기본검색 무제한
프로검색 일 3회 일 300+회 무제한
리서치 X 일 500+회 무제한
랩스 월 50회 무제한
이미지모델 GPT Image 1
FLUX.1
DALL-E 3
Nano Banana (2.5 Flash Image)
Seadream 4.0
답변 시각화 O
파일 업로드 및 분석 일 3회 무제한
API 크레딧 $0 $5
#[11]

5. 수익모델

현재 프로와 엔터프라이즈 프로 등의 구독제와 API 라이선싱으로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스포티파이를 언급하며 2024년 연내로 프로라타(pro-rata) 방식의 광고 수익 비례 배분형 비즈니스 모델 도입을 예고했다. 대표적으로 사용자의 쿼리에 대해 뉴스 및 광고를 섞어서 답변을 제공하고 연관 질문을 보여주며 광고 질문도 함께 보여주는 방식이다. CPM 기반으로 광고를 노출시킨 것에 비례하여 광고주로부터 수익을 얻고, 해당 답변의 출처 및 컨텐츠를 제공해준 파트너 언론사와 해당 수익을 배분한다. 이 경우 쿼리가 증가하는 것에 비례하여 인용 컨텐츠 출처가 늘어나서 수익 분배의 다양성도 높아지는 만큼 인용이 곧 수익이 되는 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어필한다. 현재 포춘, 슈피겔, 텍사스 트리뷴 등의 언론사와 파트너 관계를 맺어둔 상황이라고 한다.

6. 논란

6.1. 무단 크롤링 논란

2024년 6월 와이어드는 퍼플렉시티가 포브스를 비롯한 매체들을 무단으로 도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를 내보내기도 했다. 특히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반 실시간 쿼리 처리를 위해 봇으로 robots.txt를 무시하고 무단 크롤링 및 스크래핑을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논란은 퍼플렉시티 외에도 OpenAI 등의 언어 모델 개발사 상당수가 겪으며 법정 분쟁 발생 가능성을 높인 바가 있는 만큼 향후 프로라타 광고모델 도입을 위해 컨텐츠 제공사와 어떤 합의안을 도출할 지에 대한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 상황이다.

7. Comet 브라우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omet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omet#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omet#|]]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5년 7월 9일 Perplexity를 탑재한 Comet 브라우저를 출시 하였다. # # 출시 초기에는 Pro 구독자만 지원했다가 이후 10월 3일부터 모든 사용자에게 공개하였다.#

출시 기념으로 대학생이거나 교직원임을 인증하면 1년 프로 구독권을 무료로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8. 카페 큐리어스

<colcolor=#1C343B,#E8E8E6><colbgcolor=#4ebbaa> 카페 큐리어스
Cafe Curious
주소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430
아티스트컴퍼니 지하 1층, 지상 1층
영업시간 평일 10:30-20:00
토요일 10:00-19:00
일요일 10:00-15:00
인스타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2025년 9월 3일에 개장한, 퍼플렉시티가 운영하는 1호 직영 카페. 회사가 좋아하는 몽환적인 레트로퓨처리즘 분위기에 맞게 카페가 꾸며져 있다. 이곳에서 프로 이용자는 커피를 50% 세일해서 먹을 수 있고 신규 이용자는 프로를 한 달 무료로 쓸 수 있다. 카페 방문기

이 회사가 입점한 빌딩이 배우 이정재가 소유한 아티스트컴퍼니이기 때문에 개장 전날 이정재가 이곳을 찾아가 덕담을 나누었다. 기사[12]

9. 기타

  • 모바일 기업 NothingNothing Phone (2a)를 2024년 3월 19일까지[13] 구입한 고객에게 Perplexity Pro 1년 무료 구독권을 제공했었다.#
  • SKT가 서비스 중인 에이닷의 대화형 검색서비스는 Perplexity의 모델을 통해 이루어진다. 에이닷 가입자에 한해 Perplexity Pro 1년 구독권을 제공한다. NH농협은행, 페이북도 똑같이 1년 구독권을 선착순으로(약 30만원 상당의 검색 서비스) 제공하였다.
  • 생성형 AI 중 40~50대 한국인 사용시간 순위 2위를 기록했다. # 또한 2024년 1분기 기준 1,500만명의 사용자를 돌파했다고 한다.# 또한 매월 2억 5,000만 건의 쿼리를 처리하고 있다고 한다.

[1] 인터페이스는 18개 언어를 지원하고 있다.[2] 출처 ##.[3] 반대로 창의적이고 이론적인 답변은 기본 Sonar 모델 사용 시 타사 LLM 대비 떨어지는 편인데, 이는 Pro 요금제 구독을 통해 Claude Sonnet 4.5, Grok 4등 타사 모델을 사용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다.[4] 다만 OpenAI의 GPT-4.1 출시와 비슷한 시기에 모델의 성능 자체는 크게 업그레이드되었다. 이 이후로는 특정 분야에서는 GPT-4o와 비교해도 거의 꿇리지 않고, GPT-4.1도 능가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성능에 비해 표현 방식이 서투르고 Grok보다도 더 정형화된 답변을 내놓는 편. 답변을 이해하기 쉽게 해달라고 요청해도 검색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뒤 그걸 기반으로 자연스럽게 답변할 뿐, ChatGPT의 답변처럼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설명" 한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5] 대신, 미국 정부는 합병법인의 이사회에 참가하지 않으며, 경영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조건이 붙는다.[6] 이를 통해 미국인 데이터가 중국 정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의도를 미국 정부 측에 어필하는 듯한 뉘앙스를 풍긴다.[7] 정확하게는 기존 오픈소스로 공개된 R1을 기반으로 퍼플렉시티가 추가 학습과정을 거쳐 검열을 제거한 R1-1776 모델을 자체 서버에서 호스팅하여 제공한다.[8] 보고서, 스프레드시트, 대시보드 등 다양한 형식을 지원한다.[9] "각 쿼리에 대해 최적의 모델을 선택합니다"라고 되어있지만, 비구독자의 경우 거의 대부분의 상황에서 자체모델인 Sonar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0] 자체 모델이다.[11] 250인 이하 기업용 요금제로 엔터프라이즈 프로가 별도 존재하며, 그 이상의 경우 별도 문의가 필요하다.[12] 실제로 이정재는 같은 해 3월 퍼플렉시티의 광고를 찍을 정도로 관계가 깊다.[13] 리딤 코드 등록 기한은 2024년 4월 30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