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23:06:17

SAIP


생성형 인공지능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유니모달 모델 기반
<colkeepall> 텍스트 [[소설|
소설
]] NovelAI · AI Dungeon · AI Novelist
대화형 [[챗봇|
챗봇
]] ChatGPT · Microsoft Copilot · Gemini · CLOVA X · Cue: · Inflection AI · Mistral AI · Grok
[[언어 모델|
언어모델
]] GPT · LLaMA · Gemma · Claude · Phi · Exaone · OpenELM · Qwen · DeepSeek
코드 [[코드#컴퓨터 소프트웨어|
코드
]] GitHub Copilot · Devin · Phind · DeepSeek
이미지 [[그림 인공지능|
그림
]] Midjourney · DALL·E · Imagen · Artbreeder · NovelAI Image Generation · Stable Diffusion · FLUX.1 · Gaugan2 · Dream by WOMBO · Adobe Firefly· Deep Dream Generator
[[영상 인공지능|
영상
]] Stable Video · Sora · Meta Movie gen · Lumiere · Veo · Runway AI · Kling AI
[[모델링|
모델링
]] LATTE3D
오디오
소리
[[음성|
음성
]] A.I.VOICE · DeepVocal · Voice Engine
[[음악|
음성/음악
]] Suno · Stable Audio · Udio · AIVA
멀티모달 모델 기반
대화형
+이미지
Exaone 3.5 · Samsung Gauss
+음성/이미지
GPT-4o · GPT-5 · Gemini · o1 · o3 · DeepSeek
+에이전트
Galaxy AI · Claude 3.7 Sonnet · SAIP
행위
동작
[[지능형 에이전트|
에이전트
]] Apple Intelligence · Project Astra · Operator · Google Jarvis · Manus AI
[[인공지능 로봇|
체화
]] Tesla optimus · Google RT-X · Gemini Robotics · Isaac Gr00t N1 · Helix
}}}}}}}}}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6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페르소나 채팅 플랫폼 Character.AI · CAVEDUCK · MyShell AI · Rolp.ai · zeta · 티카 · Babechat.ai · 크랙(뤼튼) · 레플리 · Elyn · 리플리챗 · Zena Life · 루나톡 · 버블챗 · GPTRPG
프론트엔드 TavernAI · RisuAI
LLM 개발사 ChatGPT · Microsoft Copilot · Gemini · CLOVA X · 어니봇 · Cue: · Pi · Le Chat · SAIP · 삼성 가우스
제공자 Perplexity · 뤼튼 · YouChat
컴패니언이루다 2.0 · 강다온 · 허세중 · Neuro-sama · 라디안 · 냥아지 · 쿠로냥아지 }}}}}}}}}

파일:S2W_로고_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003295><colcolor=#fff> 제품 SAIP(에스에이아이피)) · XARVIS(자비스) · QUAXAR(퀘이사)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colbgcolor=#050405> SAIP
에스에이아이피
파일:SAIP.png
<colcolor=#fff> 개발사 S2W(에스투더블유)
분류 대화형 인공지능
언어 한국어, 영어, 일본어
링크 KO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EN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JA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활용 사례
3.1. 제조업3.2. 유통업
4. 관련 문서

1. 개요

S2W AI Platform

산업 특화 생성형 AI 플랫폼. 기업 내·외부 데이터를 통합 분석한다.

제조, 유통, 금융, 항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유통 및 금융 산업에서는 SNS 콘텐츠 등의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략을 수립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제조업에서는 사내 문서 검색 및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구축하고, RAG 기술과 온톨로지 기반 분석을 통해 난해한 정보를 이해해 답변한다. 또한, 시큐리티 가드레일(Security Guardrail) 기능을 적용한 LLM 데이터 유출 방지 및 안전한 운용 체계를 갖추고 있다.

2. 특징

  • 통합 데이터 분석: 기업 내부의 정형(DB) 및 비정형 데이터(문서, 로그, 이미지)뿐만 아니라 뉴스, SNS 등 외부 데이터까지 함께 분석
  • 멀티모달(검색증강생성): 텍스트, 이미지, 표, PDF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검색 및 분석에 활용
  • 산업 특화 언어모델: 특정 산업의 용어 체계와 관계를 학습한 언어모델과 지식그래프 기반 분석
  • 자연어 기반 질의: 사용자의 질문을 SQL 쿼리로 자동 변환하여 데이터 분석 수행
  • 보안 아키텍처: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 및 시큐리티 가드레일 기반의 위협 차단 기능 포함

3. 활용 사례

3.1. 제조업

현대제철은 사내 지식정보 플랫폼 'HIP(Hyundai-steel Intelligence Platform)'에 생성형 AI 플랫폼 SAIP를 도입했다. 제철·제강 분야에서 생성형 AI를 본격적으로 업무에 적용한 첫 사례로, 현장의 공정 및 기술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고 분석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 SAIP는 비정형 기술문서와 업무 데이터를 사내망 내에서 안전하게 처리하며, 기존 검색 시스템보다 직관적이고 정확한 정보 탐색을 가능하게 한다. 검색-증강-생성(RAG) 구조에 내부 정보 보호 기술을 결합해, 산업 보안까지 고려한 생성형 AI 플랫폼으로 활용된다.관련 기사
현대제철 SAIP 도입 효과
  • 문서 연동 13만 건 이상(70년 이상 축적된 데이터)
  • 응답속도 평균 1초
  • 검색 및 답변 정확도 91%
  • 기존 6개 시스템 대체
13만건의 데이터 속에서 응답도 1초 만에…S2W의 'SAIP'로 가능

3.2. 유통업

롯데멤버스는 SAIP를 기반으로 약 4,300만 명의 엘포인트(L.POINT) 회원 데이터를 분석하는 트렌드 예측 시스템 '세그먼트 랩(Segment Lab)'을 구축했다. 내부 소비 데이터와 외부 트렌드 뉴스, 경쟁사 정보를 통합 분석하여, 마케팅과 상품 전략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자동 생성한다. 도메인 특화 언어모델과 지식그래프를 기반으로 맞춤형 보고서를 생성하며, hallucination을 최소화한 챗봇을 통해 실무자가 바로 활용 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제공한다.관련 기사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