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13:23:06

S2W

<colbgcolor=#050405> 에스투더블유
S2W
파일:S2W_로고.svg
<colcolor=#fff> 설립 2018년 9월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대표자 서상덕
기업 규모 중소기업 (스타트업)
본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192번길 12, 판교미래에셋센터 3층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제품
3.1. SAIP(에스에이아이피)3.2. XARVIS(자비스)3.3. QUAXAR(퀘이사)
4. 기타

1. 개요

세상을 위한 기술, 내일을 위한 데이터
S2W 공식 브랜드필름

대한민국의 빅데이터 분석 AI 기업.

주로 국가안보 및 기업 정보 분석을 전문으로 하는 기술 기업으로, 2023년 세계경제포럼(WEF)에서 ‘100대 기술 선도기업’으로 선정되었다. 데이터 간 관계 파악과 의미 추론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최적의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데이터 인사이트를 도출하도록 지원한다. 현재, 이러한 기술은 제조, 철강, 유통, 금융, 방산 등 다양한 산업군 및 정부기관에 확대 적용되고 있으며, 민간과 공공 부문의 데이터 분석 및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복잡한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분석 및 처리 기술을 독자적으로 발전시켜 왔으며, 2022년부터 3년 연속 세계 최고 권위의 자연어처리(NLP) 학회에서 논문이 공식 채택되기도 했다. 멀티도메인 교차분석 기술은 서로 다른 도메인에서 데이터를 수집·선별하고, 중요 정보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보다 정교한 데이터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이를 통해 숨겨진 연관성을 밝혀내고, 빅데이터의 체계적 분석과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발전은 신뢰할 수 있는 AI 플랫폼 구축에도 중요한 기반이 된다.

2. 역사

  • 2018년
    • 2018년 9월, 에스투더블유㈜ 법인을 설립했다.
  • 2019년
    • 10월, 사이버안보 빅데이터 플랫폼 ‘자비스(XARVIS)’를 출시했다.
    • 2019년 12월에 시리즈 A 투자 유치(35억 원)를 완료했다.
  • 2020년
    • 2020년 2월, 인터폴 공식 파트너 기업으로 선정되고, 국내 정부기관과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
  • 2021년
    • 2021년 9월, 시리즈 B 투자 유치(120억 원)를 완료했다.
  • 2022년
    • 4월, CTI 플랫폼 ‘퀘이사(QUAXAR)’를 출시했다.
    • 11월, 국가정보원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 참여기업으로 선정됐다.
  • 2023년
    • 2023년 5월, 세계 최초 다크웹 언어모델 ‘다크버트(DarkBERT)’를 공개했다(세계 최고 권위 NLP 학회 ACL 기재).[1]
    • 6월에는 세계경제포럼(WEF) ‘세계 100대 기술 선도기업’으로 선정됐다.[2]
  • 2024년
    • 2월, 생성형 AI 플랫폼 ‘SAIP(S2W AI Platform)’를 출시했다.
    • 5월, 현대제철 AI 기반 사내 지식정보 플랫폼을 구축했다(SAIP 공급).
    • 6월 중순, 사이버보안 문서 특화 AI 언어모델 ‘사이버튠’을 공개했다(세계 최고 권위 AI 학회 NAACL 기재).[3]
    • 2024년 7월, MS 본사와 ‘코파일럿 포 시큐리티’ 협업을 체결했다.
    • 2024년 9월, 인도네시아 정부기관과 서비스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누적 60억 원 규모).[4]
    • 9월 10일, 제1회 안중근애국기업인상을 수상했다(매일경제 & 글로벌세아그룹 공동 제정 수출기업인상).
    • 10월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 미래혁신대상 기업’으로 선정됐다.
    • 중소벤처기업부 ‘초격차 스타트업’ 및 TIPS ‘R&D 우수성과기업’으로 선정돼 11월 중기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 2025년
    • 2025년 1월, 싱가포르 정부기관과 서비스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5]
    • 2025년 2월, 롯데멤버스 트렌드 분석 AI 서비스 '세그먼트 랩' 플랫폼을 구축했다(SAIP 공급).[6]
    • 2025년 3월, 일본 정부기관에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7]

3. 제품

3.1. SAIP(에스에이아이피)

산업용 생성형 AI 플랫폼. 기업 내부·외부 데이터를 결합해 도메인 특화된 분석과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고객 행동 분석, 문서 검색 자동화, 내부 지식 체계 구축 등 다양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품 상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AIP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IP#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IP#|]][[SAIP#|]]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XARVIS(자비스)

사이버안보 빅데이터 플랫폼. 국가안보 및 공공 치안 강화를 위한 사이버범죄 인텔리전스 솔루션이다.

다크웹, 텔레그램 등 익명 채널을 모니터링해 데이터 유출, 금융 사기, 불법 거래 등의 위협을 탐지한다. 특히, 세계 최초 다크웹 특화 언어 모델 다크버트(DarkBERT)를 기반으로 방대한 사이버 위협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AI 기반 검색 기능과 DarkCHAT(다크챗)을 활용해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조회하고, 사이버 범죄 동향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의 거래 흐름을 추적해 금융 범죄를 감시하고, 다출처 데이터를 연계해 숨겨진 관계를 밝혀내는 기능을 지원한다. 제품 상세

3.3. QUAXAR(퀘이사)

AI 기반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CTI) 플랫폼. 기업 및 기관이 보안 위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I 기반의 위협 분석 기능을 통해 보안 위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기업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내부 보안 시스템만으로 감지하기 어려운 기업 데이터 및 계정 유출, 피싱, 악성코드 유포 등의 위협을 조기에 파악하고,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CVE 취약점, 위협 행위자,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등 실제 공격 사례와 연결된 기술적 지표들을 교차 분석해 제공한다. 제품 상세

4. 기타

  • 다크웹 분석을 기반으로 성장한 기업인 만큼, 시큐리티 가드레일(Security Guardrails)과 같은 기술을 적용해 데이터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며, LLM 및 AI 보안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1] 관련 기사[2] 세계 100대 기술 선도기업 리스트[3] 관련 기사[4] 관련 기사[5] 관련 기사[6] 관련 기사[7]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