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M26 퍼싱| | }}} | |||||
파생형 | 실전 | 운용국 | 미디어 |
1. 아메리카
1.1. 미국
|
텍사스 군사 박물관 소장 미 육군 소속 M26 퍼싱 |
2. 유럽
2.1. 영국
|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소속 M26 퍼싱 |
2.2. 벨기에
|
1944년 겨울 박물관 소장 벨기에 육군 소속 M26 퍼싱 |
2.3. 이탈리아
|
돈 카밀로 박물관 소장 이탈리아 육군 소속 M26 퍼싱[1] |
2.4. 프랑스
|
소뮤아 기갑 박물관 소장 M26A1 퍼싱 |
2.5. 소련
|
우랄 전투 영광 군사 박물관 소장 M26 퍼싱 |
소련은 1000대의 퍼싱을 요구했으나 단 1대의 T26E3만이 랜드리스 되었다. 원문 해당 퍼싱은 노획한 티거 1에 발사사격등의 실험후 레닌그라드로 보내졌으나 다시 돌아오지 못했다.
그것과는 별개로 한국전쟁 당시 노획된 M26과 M46이 소련으로 넘어가기도 했다. 참고로 공산군이 격파해서 노획한건 아니고 미군 전차 승무원들이 밀려나는 전선을 감당하지 못하고 방치한 것을 주워간 것이다.
3. 아시아
3.1. 북한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소장 조선인민군 노획 M26[2] |
3.2. 중국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지원군 노획 M26A1 퍼싱 |
[1] 머즐브레이크가 변경된 차량이다.[2] 6.25 당시 미군이 중공군 개입으로 후퇴하면서 유기한 것을 북한군이 노획한 것. '미제침략군 중땅크《M26》','주체 40 (1951)년 4월 인민군부대들이 린제-차평리 일대에서 적을 포위섬멸하고 노획한 땅크.'이라고 적혀있다. 북한 정권은 미국과 이 전차를 모욕하기 위해 미 제국주의 침략군의 중전차라 표현한 것도 모자라서 격파된 전차마냥 주포 고각을 최대한 내려놓았다. 다른 북한 전차는 전부 주포가 위로 올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