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14:59:49

KGM 무쏘 EV

무쏘 EV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KGM 토레스
, KGM 토레스 EVX
,
,
,
,
파일:KG모빌리티 BI_워드마크.svg파일:KG모빌리티 BI_워드마크 화이트.svg KG모빌리티의 소형 픽업트럭 라인업
HDH 픽업트럭 액티언 스포츠/코란도 스포츠 무쏘 EV
파일:KG모빌리티 BI_워드마크 화이트.svg
파일:KG모빌리티 무쏘 EV.jpg
파일:KGM 무쏘EV 로고.png [1]

1. 개요2. 모델별 설명
2.1. 1세대 (O100, 2025~예정)
3. 제원4. 둘러보기

1. 개요

KG모빌리티에서 토레스토레스 EVX를 기반으로 개발한 유니 바디 형식의 전기 소형 픽업트럭. 무쏘 브랜드의 첫 번째 모델이기도 하다.

2. 모델별 설명

===# 출시 전 정보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GM 무쏘 EV/출시 전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1세대 (O100, 2025~예정)

<bgcolor=#fff>파일:KG모빌리티 무쏘 EV.jpg파일:KGM 무쏘 EV 후면.jpg
<bgcolor=#fff>파일:KGM 무쏘 EV 하드탑.jpg파일:무쏘 EV 하드탑 후면부.jpg

2025년 1월 25일부터 2월 2일까지 개최된 화천 산천어축제에서 실차가 첫 공개되었으며, 2월 14일부터 정식 공개와 동시에 사전예약을 받기 시작했다. KGM 딜러가 올린 영상에 등장한 화천 산천어 축제 당시 전시차량은 루프랙, 슬라이드식 격벽이 탑재되었으며 인근 안내판에는 사전예약 상담신청 후 출고시 50명에게 무쏘 브랜딩 손목시계를 제공한다는 안내와 함께 슬라이딩 + 리클라이닝을 지원하는 2열시트와 중형 SUV 수준의 거주성을 하이라이트로 소개했다.

핸디&터프(Handy&Tough)로 균형감 있는 외관은 그릴, 범퍼 하단부가 변경된 것을 빼면 콘셉트 카와 유사하게 나왔으며, 휠은 17인치 단일이다. 500kg의 최대적재량을 확보했다.

BYD에서 공급받는 80.6kWh 용량의 LFP 배터리가 탑재되며, 전륜 152kW(207마력)의 싱글모터를 기본으로 후륜 152kW의 듀얼모터 사양으로 출시한다. 주행거리는 복합 401km[2]을 인증받았다.

무쏘 EV5, MUSSO EV5 Electric Vehicle 라는 차명이 키프리스에 올라왔으나, 기아의 전기 SUV인 EV5와의 이름 혼선과 카피 논란을 의식해 사용하지 않고[3], 2025년 1월 24일 보도 자료를 통해 차명을 무쏘 EV로 확정했다. 이렇게 해서 2006년 4월 무쏘 스포츠의 단종 이후 18년 9개월만에 내수에서 무쏘 브랜드를 부활시켰다.[4] 탑라이더 기사

데크탑, 루프플랫캐리어, 스키드 플레이트, 데크디바이더, 롤바, 슬라이딩 베드 등의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상품을 통해 데크의 활용성을 높이고 외관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다.

가격은 STD 4,800만원, DLX 5,050만원으로 책정했으며, DLX는 무선 충전기, 디지털 키, 알파인 오디오가 추가된다. 전기차와 화물차에 모두 해당되며 전기차 보조금과 화물차 사업자 부가세 환급이 적용된다. 혜택 적용시 실구매가는 3,000만원 초중반대로 예상된다.[5]

3. 제원

MUSSO EV
<colbgcolor=#00a3d7> 생산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경기도 평택시 칠괴동
코드네임 O100
차량형태 4도어 소형 전기 픽업트럭
승차인원 5명
전장 mm
전폭 mm
전고 mm
축거 mm
윤거(전) mm
윤거(후) mm
공차중량 2,155kg
배터리 용량 80.6kWh
타이어 크기 245/60R17
구동방식 앞모터-앞바퀴굴림(FF)
양모터-양바퀴굴림(4WD)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세미 트레일링 암 기반 멀티링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트림 배터리 제조사 배터리 형식 최고 출력 최대 토크 항속 거리
2WD BYD 리튬인산철 152kW(207마력) kgf·m 401km(복합)
435km(도심)
359km(고속)
4WD kW kgf·m km(복합)
km(도심)
km(고속)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2f2c4d><tablebgcolor=#2f2c4d>
파일:KG모빌리티 BI_워드마크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회색 글씨: 단종차량
<rowcolor=#fff><colbgcolor=#2f2c4d><colcolor=#fff>구분승용 · SUV · RV · 승합 · 픽업버스트럭
1950년대-하동환뻐스-
1960년대지프/코란도 · HDH 픽업트럭-
1970년대-HA/HR버스DA트럭
1980년대코란도 훼미리에어로버스초대형 덤프트럭
1990년대칼리스타 · 체어맨 · 코란도(2세대) · 무쏘 · 이스타나트랜스타SY트럭
2000년대무쏘 스포츠 · 액티언 · 액티언 스포츠 · 카이런 · 렉스턴 · 로디우스-
2010년대티볼리 · 티볼리 에어 · 코란도 C · 코란도 투리스모 · 코란도(4세대) · 코란도 스포츠 · 렉스턴 스포츠-
2020년대코란도 EV · 토레스 · 토레스 EVX · 무쏘 EV예정 · KR10예정 · ME10예정 · F100예정 Q300예정스마트 · C 시리즈-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color: #fff,#1c1d1f"
{{{#!folding [ 차급별 구분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rowcolor=#fff><colbgcolor=#2f2c4d>차급시판 차량단종 차량
승용차
<colbgcolor=#2f2c4d><colcolor=#FFF>대형 세단-체어맨
스포츠카-칼리스타
SUV
소형티볼리티볼리 에어
준중형코란도(4세대) · 코란도 EV · KR10예정지프/코란도 · 코란도(2세대) · 액티언(1세대) · 코란도 C
중형토레스 · 토레스 EVX · 액티언(2세대)코란도 훼미리 · 무쏘 · 카이런
준대형렉스턴 · F100예정-
MPV대형ME10예정로디우스 · 코란도 투리스모
픽업트럭소형무쏘 EV예정HDH 픽업트럭 · 액티언 스포츠 · 코란도 스포츠
중형렉스턴 스포츠 · Q300예정무쏘 스포츠
상용차
-이스타나
트럭-초대형 덤프트럭 · DA트럭 · SY트럭
버스스마트 · C 시리즈하동환뻐스 · HA/HR버스 · 에어로버스 · 트랜스타
}}}}}}}}}}}}
파일:KGM_MUSSO_NEWLOGO_BLACK.png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KGM_MUSSO_NEWLOGO_BLACK.png무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rowcolor=#fff><colbgcolor=#000000>차급차량
소형
픽업트럭
무쏘 EV
중형
픽업트럭
Q300 프로젝트예정}}}}}}}}}



[1] 당초 토레스 EVT(Electric Vehicle Truck) 또는 무쏘 EV5로 예상되었으나, 무쏘 EV로 확정었다.[2] 저온 357km[3] 액티언 역시 출시 전 여러 차명 후보들이 존재했었기에 무쏘 EV5 역시 O100의 여러 이름 후보들 중 하나로 보인다. 머니투데이의 11월 24일 기사에서는 KGM 관계자가 차명이 아니라 서브네임, 모델 트림 정도로 이해해달라고 기사를 빌어 설명했다. #[4] 무쏘 EV를 시작으로 앞으로 내수시장에 출시하는 픽업트럭 풀체인지 역시 무쏘로 브랜드를 통합한다.[5] 다만 해당 가격은 화물차 사업자의 경우 부가세 환급이 적용되어 받는 가격이다. 일반인이 구매하면 4천만원 초반대 가격이 형성되어 현재 여론이 부정적이다. 이 정도 가격이면 렉스턴 스포츠보다 비싸며 한 체급 위의 타스만 깡통에 4륜을 추가해서 구매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9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9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